Processing math: 100%

2017년 3월

> 10의 냉풍을 급기하는 덕트가 건구온도 30, 상대습도 70%인 실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 덕트의 표면에 결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려면 보온재의 두께는 최소 몇 mm 이상이어야 하는가? (, 30, 70%의 노점 온도 24, 보온재의 열전도율은 0.03kcal/mh, 내표면의 열전달률은 40kcal/ ㎡ h, 외표면의 열전달률은 8kcal/㎡h, 보온재 이외의 열저항은 무시한다.)

정답: 8mm
해설: 1) 전체 열관류 열량 q =KAΔt
          2) 외표면 열전달 열량 q1=αoAΔt1
          3) KAΔt = αoAΔt1
          4) K = αoΔt1Δt = 8×(3024)(3010) = 2.4kcal/ ㎡ ㆍhㆍ℃
          5) 열관류율(K) = 1/ 열관류저항
               열관류저항  = 단열재두께/ 열전도율
               1K=1αi+lλ+1αo에서 
               l= λ(1K1αi1αo)
                = 0.03×(12.414018)
                =0.008m
                =8mm

  내부 보온재 외부 내부+외부 (열관류율)
열전달률 40   8 K = 2.4
열저항율        
열전도율   0.03    
두께        

 

2017년 3월 필기
> 습공기
100kg이 있다. 이때 혼합되어 있는 수증기의 질량이 2kg이라면, 공기의 절대습도는?

더보기

정답: 0.02kg/kg'

해설: 절대습도==21002=0.0204

> 습공기의 수증기 분압이 Pv, 동일온도의 포화수증기압이 Ps일 때,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PvPs일 때 불포화습공기
    Pv = Ps일 때 포화습공기
    ③ PsPv×100은 상대습도
    Pv = 0일 때 건공기

더보기

정답 : ③

해설: 상대습도 = PvPsx100[%]


2009년 9월 실기

> 온도 10℃, 상대습도 60%의 공기를 20 ℃까지 가열하면 상대습도는 얼마가 되는지 다음표를 이용하여 구하시오.

온도 ℃ 포화수증기압 (kPa)
10 1.22711
20 2.33692
더보기

정답: 31.51 [%]

해설:

온도 10℃              ------------>        20 ℃
상대습도 60%       ------------>        ?
1) 공식 상대습도 = PvPsx100[%]
             60 =  Pv1.22711x100[%]
             Pv = 0.736266 [kPa]
2) 온도 20 ℃가 되어도 공기중의 수분량은 변하지 않는다.
     0.7362662.33692×100=31.505


2008년 4월 실기

> 전압력 760mmHg, 건구온도 20 ℃(포화공기의 수증기 분압 17.54mmHg) 상대 습도 50%인 습공기의 수증기 분압(mmHg), 절대습도(kg/kg'), 엔탈피(kJ/kg)를 구하시오.(단 건공기 및 습공기의 비열은 각각 1.01,1.85kJ/kg·K로 하며, 물의 증발잠열은 2501kJ/kg으로 한다.)

더보기

해설

1) 습공기의 수증기분압 (Pv)
    상대습도 = PvPsx100[%]
    50 =  Pv17.54x100[%] 
    Pv = 8.77mmHg

2) 습공기 절대습도( χ  ) =0.622xPvPv = 0.622x$\frac{8.77}{760-8.77} = 0.007261 [kg/kg']

3) 습공기 엔탈피 = Cp ·t+ χ ( Υ+Cw ·t) = 1.01x20+0.007261x(2501+1.85x20) = 38.625[kJ/kg]

'공조냉동기계기사 > 공조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조냉동기계기사] 결로 문제  (1) 2024.01.13
송풍기 문제  (0) 2024.01.11

2016년 8월

> 송풍기의 회전수가 1500rpm인 송풍기의 압력이 300Pa이다. 송풍기 회전수를 2000rpm으로 변경할 경우 송풍기 압력은?

정답: 533.3Pa
해설: 송풍기 상사법칙 적용
          P2P1=(N2N1)2(D2D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