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지하 주차장
발생시기 가을, 겨울 봄, 여름
외부조건 저온 저습 고온 다습
내부조건 고온 다습 저온 다습
     

2017년 3월

> 10의 냉풍을 급기하는 덕트가 건구온도 30, 상대습도 70%인 실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 덕트의 표면에 결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려면 보온재의 두께는 최소 몇 mm 이상이어야 하는가? (, 30, 70%의 노점 온도 24, 보온재의 열전도율은 0.03kcal/mh, 내표면의 열전달률은 40kcal/ ㎡ h, 외표면의 열전달률은 8kcal/㎡h, 보온재 이외의 열저항은 무시한다.)

정답: 8mm
해설: 1) 전체 열관류 열량 q =KAΔt
          2) 외표면 열전달 열량 $q_1 = α_oAΔt_1$
          3) KAΔt = $α_oAΔt_1$
          4) K = $\frac{α_oΔt_1}{Δt}$ = $\frac{8\times(30-24)}{(30-10)}$ = 2.4kcal/ ㎡ ㆍhㆍ℃
          5) $\frac{1}{K}=\frac{1}{α_i}+\frac{l}{λ}+\frac{1}{α_o}$에서 
               l= $λ(\frac{1}{K}-\frac{1}{α_i}-\frac{1}{α_o})$
                = $0.03\times(\frac{1}{2.4}-\frac{1}{40}-\frac{1}{8})$
                =0.008m
                =8mm

 

2017년 3월 필기
> 습공기
100kg이 있다. 이때 혼합되어 있는 수증기의 질량이 2kg이라면, 공기의 절대습도는?

더보기

정답: 0.02kg/kg'

해설: 절대습도=$\frac{수증기질량}{건공기질량}$=$\frac{2}{100-2}$=0.0204

> 습공기의 수증기 분압이 Pv, 동일온도의 포화수증기압이 Ps일 때,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PvPs일 때 불포화습공기
    Pv = Ps일 때 포화습공기
    ③ $\frac{P_s}{P_v}\times100$은 상대습도
    Pv = 0일 때 건공기

더보기

정답 : ③

해설: 상대습도 = $\frac{P_v}{P_s}$x100[%]


2009년 9월 실기

> 온도 10℃, 상대습도 60%의 공기를 20 ℃까지 가열하면 상대습도는 얼마가 되는지 다음표를 이용하여 구하시오.

온도 ℃ 포화수증기압 (kPa)
10 1.22711
20 2.33692
더보기

정답: 31.51 [%]

해설:

온도 10℃              ------------>        20 ℃
상대습도 60%       ------------>        ?
1) 공식 상대습도 = $\frac{P_v}{P_s}$x100[%]
             60 =  $\frac{P_v}{1.22711}$x100[%]
             $P_v$ = 0.736266 [kPa]
2) 온도 20 ℃가 되어도 공기중의 수분량은 변하지 않는다.
     $\frac{0.736266}{2.33692}\times100$=31.505


2008년 4월 실기

> 전압력 760mmHg, 건구온도 20 ℃(포화공기의 수증기 분압 17.54mmHg) 상대 습도 50%인 습공기의 수증기 분압(mmHg), 절대습도(kg/kg'), 엔탈피(kJ/kg)를 구하시오.(단 건공기 및 습공기의 비열은 각각 1.01,1.85kJ/kg·K로 하며, 물의 증발잠열은 2501kJ/kg으로 한다.)

더보기

해설

1) 습공기의 수증기분압 ($P_v$)
    상대습도 = $\frac{P_v}{P_s}$x100[%]
    50 =  $\frac{P_v}{17.54}$x100[%] 
    $P_v$ = 8.77mmHg

2) 습공기 절대습도( χ  ) =0.622x$\frac{Pv}{전압력-P_v}$ = 0.622x$\frac{8.77}{760-8.77} = 0.007261 [kg/kg']

3) 습공기 엔탈피 = Cp ·t+ χ ( Υ+Cw ·t) = 1.01x20+0.007261x(2501+1.85x20) = 38.625[kJ/kg]

'공조냉동기계기사 > 공조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조냉동기계기사] 결로 문제  (1) 2024.01.13
송풍기 문제  (0) 2024.01.11

2016년 8월

> 송풍기의 회전수가 1500rpm인 송풍기의 압력이 300Pa이다. 송풍기 회전수를 2000rpm으로 변경할 경우 송풍기 압력은?

정답: 533.3Pa
해설: 송풍기 상사법칙 적용
          $\frac{P_2}{P_1} = (\frac{N_2}{N_1})^2(\frac{D_2}{D_1})^2$

1단압축 냉동사이클

1) 냉동사이클 선도

2) 냉동사이클 계산

  1. 냉동효과(냉동능력) : 냉매 1kg이 증발기에서 증발하며 흡수하는 열량
    $q_e = h_1-h_4$ [kJ/kg]

  2. 압축일량: 냉매 1kg을 압축기에서 압축하는 데 소요되는 일의 열당량
    w= $h_2-h_1$ [kJ/kg]

  3. 응축열량 : 냉매 1kg이 응축기에서 응축되며 방출하는 열량
    $q_c = h_2-h_3$ [kJ/kg]

  4. 성적계수 = $\frac{q_e}{w}$

  5. 냉매순환량 :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량
    G = $\frac{총냉동능력}{냉동효과}$ = $\frac{Q_e}{q_e}$ [kg/s]

  6. 냉동톤(RT) = $\frac{Q_e}{3.86}$

  7. 압축기 축동력 = $L_b = \frac{G\times압축일량}{압축효율\times기계효율}$ [kW]

  8. 압축비 = $\frac{응축압력}{증발압력}$

2016년 3월

 >다음 이론 냉동사이클의 p-h선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냉동장치의 냉매순환량은 540 kg/h이다.)

2020년9월

> 실린더 지름 200mm, 행정 200mm, 400rpm, 기통수 3기통인 냉동기의 냉동능력이 5.72RT이다. 이 때, 냉동효과(kJ/kg)? (, 체적효율은 0.75, 압축기의 흡입시의 비체적은 0.5m3/kg이고, 1RT3.8kW이다.)

해설: 1) 피스톤 토출량
          2) 냉매순환량
          3) 냉동효과

2020년 6월

> 다음 중 가장 큰 에너지는?

    100kW 출력의 엔진이 10시간 동안 한 일
   발열량 10000 kJ/kg의 연료를 100kg연소시켜 나오는 열량
   대기압 하에서 10의 물 10m390로 가열하는데 필요한 열량( , 물의 비열은 4.2kJ/(kgK)이다.)|
   시속 100 km로 주행하는 총 질량 2000kg인 자동차의 운동에너지


2019년 8월

> 그림과 같이 다수의 추를 올려놓은 피스톤이 끼워져 있는 실린더에 들어있는 가스를 계로 생각한다. 초기 압력이 300kPa이고, 초기 체적은 0.05 이다. 피스톤을 고정하여 체적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압력이 200kPa로 떨어질 때까지 계에서 열을 제거한다. 이 때 계가 외부에 한 일(kJ)은 얼마인가?


2019년 3월

> 실린더에 밀폐된 8kg의 공기가 그림과 같이 P1 = 800 kPa, 체적 V1 = 0.27 m3에서 P2 = 350 kPa, 체적 V2 = 0.80 으로 직선 변화하였다. 이 과정에서 공기가 한 일은 약 몇 kJ 인가?

> 이상기체 1kg이 초기에 압력 2 kPa, 부피 0.1 를 차지하고 있다. 가역등온과정에 따라 부피가 0.3 로 변화했을 때 기체가 한 일은 약 몇 J인가?

> 압력 2 MPa, 300의 공기 0.3kg이 폴리트로픽 과정으로 팽창하여, 압력이 0.5 MPa로 변화하였다. 이때 공기가 한 일은 약 몇 kJ인가? (, 공기는 기체상수가 0.287 kJ/(kg·K)인 이상기체이고, 폴리트로픽 지수는 1.3 이다.)


2017년 5월

> 보일러의 입구의 압력이 9800kN/m2이고, 응축기의 압력이 4900N/m2일 때 펌프가 수행한 일은 약 몇 kJ/kg 인가?(, 물의 비체적은 0.001m3/kg 이다.)


2016년 5월

> 30, 100kPa의 물을 800kPa까지 압축한다. 물의 비체적이 0.001m3/kg로 일정하다고 할 때, 단위 질량당 소요된 일(공업일)?


2016년 3월

> 실린더 내부에 기체가 채워져 있고 실린더에는 피스톤이 끼워져 있다. 초기 압력 50 kPa, 초기 체적 0.05 의 기체를 버너로 $PV^{1.4}$ = constant 가 되도록 가열하여 기체 의 체적이 0.2m3이 되었다면, 이 과정동안에 시스템이 한 일은?

> 밀폐 시스템이 압력 P1 = 200 kPa, 체적 V1 = 0.1 인 상태에서 P2 = 100 kPa, 체적 V2 = 0.3 인 상태까지 가역팽창되었다. 이 과정이 P-V선도에서 직선으로 표시된다면 이 과정 동안 시스템이 한 일은 약 몇 kJ 인가?


 

2018년 8월

> 40 냉동톤의 냉동부하를 가지는 제빙공장이 있다. 이 제빙공장 냉동기의 압축기 출구 엔탈피가 457kcal/kg, 증발기 출구 엔탈피가 369kcal/kg, 증발기 입구 엔탈피가 128kcal/kg일 때, 냉매 순환량(kg/h)? (, 1RT3320kcal/h이다.)

더보기

정답: 551

해설: 냉동능력 Q = G ㆍ qe에서
          G = $\frac{40\times3320}{369-128}$ = 551kg/h

> 암모니아 냉동장치에서 고압측 게이지 압력이 14kg/cm2·g, 저압측 게이지 압력이 3kg/cm2·g이고, 피스톤 압출량이 100m3/h, 흡입증기의 비체적이 0.5m3/kg이라 할 때, 이 장치에서의 압축비와 냉매순환량(kg/h)은 각각 얼마인가? (, 압축기의 체적효율은 0.7로 한다.)

더보기

정답: 3.73, 140

해설: 압축비 = $\frac{14+1.0332}{3+1.0332}$=3.73
         냉매순환량 G = $\frac{Vη _v }{v}$=$\frac{100\times0.7}{0.5}$=140kg/h


2017년 5월

> 밀도가 1200kg/m3, 비열이 0.705kcal/kg인 염화칼슘 브라인을 사용하는 냉각기의 브라인 입구온도가 -10, 출구온도가 -4되도록 냉각기를 설계하고자 한다. 냉동부하가 36000kcal/h 라면 브라인의 유량은 얼마이어야 하는가?

더보기

정답: 118L/min
해설: q = mC Δt
         m = $\frac{q}{CΔt}$ = $\frac{36000}{0.705\times(-4-(-10))}$ = 8510.64[kg/h]

         답의 단위가 L/min로 요구되었으므로
         m = ρQ에서
         Q = $\frac mρ$ = $\frac{8510.64\times1000}{1200\times60}$=118.2L/min
         참고 1㎥ = 1000L

냉동효과 ㎉/㎏
냉동능력 ㎉/h
냉동톤 1 RT==3320㎉/h


2018년 8월

> 피스톤 압출량이 48m3/h인 압축기를 사용하는 아래와 같은 냉동장치가 있다. 압축기 체적효율(nv)0.75이고, 배관에서의 열손실을 무시하는 경우, 이 냉동장치의 냉동능력(RT)? (, 1RT3320kcal/h이다.)

 

정답: 2.71

해설 : 냉매순환량
          열교환량
          냉동능력

2018년 8월

> 에어컨을 이용하여 실내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려 한다. 실외 35, 실내 20인 조건에서 실내로부터 3kW의 열을 방출하려 할 때 필요한 에어컨의 최소  동력은 약 몇 kW인가?

정답: 0.154

해설: 역카르노 냉동사이클에서 COP = $\frac{T_L}{T_H-T_H}=\frac{Q}{W}  에서 W=\frac{T_H-T_L}{T_L}Q = \frac{(35+273)-(20+273)}{(20+273)}\times3$=0.154kW

2018년 4월

> 암모니아 냉동장치에서 피스톤 압출량 120㎥/h의 압축기가 아래 선도와 같은 냉동사이클로 운전되고 있을 때 압축기의 소요동력(kW)?

정답: 12.8

해설: W = $\frac{G Δh}{860}$=$\frac{V}{v}\frac{Δh}{860}$ = $\frac{120\times(453-395.85)}{0.624\times860}$ = 12.85kW
         참고 1kw = 860kcal


2016년 8월

> 시간당 2000kg30물을 -10의 얼음으로 만드는 능력을 가진 냉동장치가 있다. 조건이 아래와 같을 때, 이 냉동장치 압축기의 소요동력은? (, 열손실은 무시한다.)

더보기

정답: 81kw

해설: 1) 증발기 냉동부하 Q1+Q2+Q3 = 230000kcal/h
              30℃물-> 0℃ 물 열량        Q1 = 2000x1x(30-0) = 60000 kcal/h
              0℃물-> 0℃ 얼음 열량       Q2 = 2000x80  = 160000kcal/h
              0℃얼음-> -10℃ 얼음 열량 Q3 = 2000x0.5x(0-(-10)) = 10000 kcal/h
          2) 응축기 응축열량 Qc = (1000x60)x1x(37-32) = 300000kcal/h
                                                   참고 1㎥ = 1000kg
          압축기 소요동력 W = 응축열량 - 냉동부하 = 300000 - 230000 = 70000 kcal/h
                                          = $\frac{70000}{860}$ = 81kW

 

열량= 내부에너지+일

H=U+PV


2019년 8월

> 증기가 디퓨저를 통하여 0.1MPa, 150, 200m/s의 속도로 유입되어 출구에서 50m/s의 속도로 빠져나간다. 이 때 외부로 방열된 열량이 500J/kg일 때 출구 엔탈피(kJ/kg)는 얼마인가? (, 입구의 0.1MPa, 150상태에서 엔탈피는 2776.4kJ/kg이다.)


2019년 3월

> 어느 내연기관에서 피스톤의 흡기과정으로 실린더 속에 0.2 kg의 기체가 들어 왔다. 이것을 압축할 때 15 kJ의 일이 필요하였고, 10 kJ의 열을 방출하였다고 한다면, 이 기체 1 kg당 내부에너지의 증가량은?

> 공기 1kg이 압력 50kPa, 부피 3m3인 상태에서 압력 900kPa, 부피 0.5m3인 상태로 변화할 때 내부 에너지가 160kJ 증가하였다. 이 때 엔탈피는 약 몇 kJ이 증가하였는가?

> 밀폐계가 가역정압 변화를 할 때 계가 받은 열량은?

     계의 엔탈피 변화량과 같다.


2018년 8월

> 다음 중 이상적인 스로틀 과정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양은?

정답: 엔탈피

> 이상기체가 등온과정으로 체적이 감소할 때 엔탈피는 어떻게 되는가?

정답: 변하지 않는다.

> 어떤 기체 1kg이 압력 50kPa, 체적 2.0m3의 상태에 서 압력 1000kPa 체적 0.2m3의 상태로 변화하였다. 이 경우 내부에너지의 변화가 없다고 한다면, 엔탈피의 변화는 얼마나 되겠는가?

정답: 100

해설: H=U+PV
        ΔH= ΔU+ Δ(PV) = 0+(P2V2-P1V1) = 100kJ

> 압력 250kPa, 체적 0.35m3의 공기가 일정 압력 하에서 팽창하여, 체적이 0.5m3로 되었다. 이 때 내부에너지의 증가가 93.9kJ이었다면, 팽창에 필요한 열량은 약 몇 kJ인가?

정답: 131.4

해설: δQ =dU+PdV 
          Q= ΔU+P(V2-V1) = 93.9+250x(0.5-0.35) = 131.4kJ


2018년 4월

> 습증기 상태에서 엔탈피 h를 구하는 식은? (, hf는 포화액의 엔탈피, hg는 포화증기의 엔탈피, x는 건도이다.)

정답: h= hf+x(hg-hf)


 

응축기는 열교환기이다.

냉각매체 종류: 수냉식 , 공냉식,  증발식


2019년 8월

> 전열면적 40㎡, 냉각수량 300L/min, 열통과율 3140 kJ/ ㎡ h인 수냉식 응축기를 사용하며, 응축부하가 439614 kJ/h일 때 냉각수 입구 온도가 23이라면 응축온도()는 얼마인가? (, 냉각수의 비열은 4.186 kJ/kgK이다.)

더보기

정답: 29.42

해설:

사용공식 :
1) Q = mC($T_{w2}-T_{w1}$)
      (439614/60) =300 x 4.186 x (Tw2-23)
       Tw2=28.83 ℃
 2) Q = K· A · ∆tm
    439614 = 3140 x 40 x ∆tm
    ∆tm = 3.5  
 3) ∆tm = Tc - $\frac{T_{w2}+T_{w2}}{2}$ 
     3.5 =Tc- $\frac{23+28.83}{2}$
     Tc = 29.415 ≒ 29.42 ℃


2018년 3월

> 다음 조건을 이용하여 응축기 설계시 1RT(3320kcal/h)응축면적? (, 온도차는 산술평균온도차를 적용한다.)

방열계수 : 1.3
응축온도:35 °C
냉각수 입구온도:28 °C
냉각수 출구온도:32 °C

열통과율: 900kcal/ ㎡h °C

더보기

정답: 0.96
해설: 방열계수 = $\frac{응축기 열량}{증발기 열량}$ = $\frac{Q_c}{Q_e}$=1.3 
          $Q_c$=K · A · Δt = $1.3Q_e$
          Δt= 35- $\frac{28+32}{2}$
           A = $\frac{1.3Q_e}{KΔt}$=$\frac{1.3\times3320}{900\times5}$


2017년 3월

> 냉각수 입구 온도가 15˚C이며 매분 40L로 순환되는 수냉식 응축기에서 시간당 18000kcal의 열이 제거되고 있을 때 냉각수 출구온도(˚C)?

더보기

정답: 22.5
해설: Q=m$C(T_2-T_1)$에서 $T_2=T_1+\frac{Q}{mC}$=15+$\frac{18000}{60\times40\times1}$

압축기-> 응축기 -> 팽차밸브 -> 증발기-> 압축기

압축기-> 응축기-> 드라이어 -> 팽창밸브 -> 증발기 -> 압축기

압축기-> 응축기 -> 수액기-> 열교환기(차게) -> 팽창밸브  -> 증발기-> 액분리기-> 압축기
                                                                                          | -> 열교환기(뜨겁게) -> 압축기                                                             

                      

산업인력공단 발표

  필기시험     실기시험    
회별 원서접수 (휴일제외) 시험시행 합격(예정)자 발표 응시자격 서류제출 (필기합격자결정 응시자격 기준일 원서접수 (휴일제외) 시험시행 합격자발표
제1회 1. 23(화)∼ 1. 26(금) 2. 15(목)∼ 3. 7(목) 3. 13(수) 2. 15∼3. 2 3. 7(목) 3. 26(화)∼ 3. 29(금) 4. 27(토)∼ 5. 12(일) 1차: 5. 29(수)
2차: 6. 18(화
제2회 4. 16(화)∼ 4. 19(금) 5. 9(목)∼
5. 28(화)
6. 5(수) 5. 9∼6. 1 5. 28(화 6. 25(화)∼ 6. 28(금) 7. 28(일)∼ 8. 14(수) 1차: 8. 28(수)
2차: 9. 10(화
제3회 6. 18(화)∼ 6. 21(금) 7. 5(금)∼
7. 27(토
8. 7(수) 7. 5∼8. 1 7. 27(토) 9. 10(화)∼ 9. 13(금) 10. 19(토)∼ 11. 8(금) 1차: 11. 20(수)
2차: 12. 11(수)

 출처 : https://www.q-net.or.kr/man004.do?id=man00402&gSite=Q&gId=

펠티에(Peltier)효과를 이용하는 냉동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펠티에 효과를 냉동에 이용한 것이 전자냉동 또는 열전기식 냉동법이다.

    펠티에 효과를 냉동법으로 실용화에 어려운 점이 많았으나 반도체 기술이 발달하면서 실용화되었다.

    이 냉동방법을 이용한 것으로는 휴대용 냉장고, 가정용 특수냉장고, 물 냉각기, 핵 잠수함 내의 냉난방장치이다.

     증기 압축식 냉동장치와 마찬가지로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등을 이용한 것이다.

열효율  열기관에서 열을 일로 바꾸는 데 효율
η= $\frac{Q_H-Q_L}{Q_H}$

성적계수 : 냉동기관에서 성능을 나타내는 값

공식

냉동기 $COP_R = \frac{T_L}{T_H-T_L}$
열펌프 $COP_{HP} = \frac{T_H}{T_H-T_L}$
$COP_{HP} = COP_R$ + 1


2020년 6월

> 다음 중 가장 큰 에너지는?

    100kW 출력의 엔진이 10시간 동안 한 일

   발열량 10000 kJ/kg의 연료를 100kg연소시켜 나오는 열량

   대기압 하에서 10의 물 10m390로 가열하는데 필요한 열량( , 물의 비열은 4.2kJ/(kgK)이다.)

   시속 100 km로 주행하는 총 질량 2000kg인 자동차의 운동에너지


2019년 4월

> 효율이 40%인 열기관에서 유효하게 발생되는 동력이 110kW 라면 주위로 방출되는 총 열량은 약 몇 kW 인가?

정답: 165
해설: 효율=$\frac{출력}{입력}=\frac{Q_1-Q_2}{Q_1}$
          0.4=$\frac{110}{Q_1}$
          $Q_1=\frac{110}{0.4}$=275kW
         $Q_1-Q_2$=110kW
         $Q_2$=$Q_1$-110=275-110=165kJ

> 축 동력 10kW, 냉매순환량 33kg/min인 냉동기에서 증발기 입구 엔탈피가 406kJ/kg, 증발기 출구 엔탈피가 615kJ/kg, 응축기 입구 엔탈피가 632kJ/kg 이다. 실제 성능계수와 이론 성능계수는 각각 얼마인가?


2019년 3월

> 시간당 380000 kg의 물을 공급하여 수증기를 생산하는 보일러가 있다. 이 보일러에 공급하는 물의 엔탈피는 830 kJ/kg이고, 생산되는 수증기의 엔탈피는 3230 kJ/kg이라고 할 때, 발열량이 32000 kJ/kg인 석탄을 시간당 34000 kg씩 보일러에 공급한다면 이 보일러의 효율은 약 몇 %인가?


2018년 4월

> 증기 압축 냉동 사이클로 운전하는 냉동기에서 압축기 입구, 응축기 입구, 증발기 입구의 엔탈피가 각각 387.2kJ/kg, 435.1kJ/kg, 241.8kJ/kg일 경우 성능계수는 약 얼마인가?

정답: 3.0

> Brayton 사이클에서 압축기 소요일은 175kJ/kg, 공급열은 627kJ/kg, 터빈 발생일은 406kJ/kg로 작동될 때 열효율은 약 얼마인가?

더보기

정답: 0.368
해설: $\frac{유효열량}{공급열량}$ = $\frac{406-175}{627}$ = 0.368



> 매시간 20kg의 연료를 소비하여 74kW의 동력을 생산하는 가솔린 기관의 열효율은 약몇 %인가? (단, 가솔린의 저위발열량은 43470kJ/kg이다.)

더보기

정답: 31

해설: $\frac{74\times3600}{20\times43470}\times100$ = 30.64%
         참고 1kW = 1kJ/s = 1x3600kJ/h


2017년 8월

> 어떤 냉장고의 소비전력이 2kW이고, 이 냉장고의 응축기에서 방열되는 열량이 5kW라면, 냉장고의 성적계수는 얼마인가? (, 이론적인 증기압축 냉동사이클로 운전된다고 가정한다.)

더보기

정답: 1.5
해설: COP = $\frac{Q_e}{W} =\frac{Q_c-W}{W} = \frac{5-2}{2}$ 

> 증발온도 -30˚C, 응축온도 45˚C에서 작동되는 이상적인 냉동기의 성적계수는?

더보기

정답: 3.2
해설: COP = $ \frac{T_L}{T_H - T_L} = \frac{-30+273}{(45+273)-(-30+273)}$


2017년 5월

> 출력 10000kW의 터빈 플랜트의 시간당 연료소비량이 5000 kg/h이다. 이 플랜트의 열효율은 약 몇 % 인가? (, 연료의 발열량은 33440 kJ/kg이다.)

정답: 21.5

해설: 열효율 = $\frac{10000\times3600}{500\times33440}$

> 어느 증기터빈에 0.4kg/s로 증기가 공급되어 260kW의 출력을 낸다. 입구의 증기 엔탈피 및 속도는 각각 3000kJ/kg, 720m/s, 출구의 증기 엔탈피 및 속도는 각각 2500kJ/kg, 120m/s 이면, 이 터빈의 열손실은 약 몇 kW가 되는가?


2016년8월

> 카르노 열펌프와 카르노 냉동기가 있는데, 카르노 열펌프의 고열원 온도는 카르노 냉동기의 고열원 온도가 같고, 카르노 열펌프의 저열원 온도는 카르노 냉동기의 저열원 온도와 같다. 이때 카르로 열펌프의 성적계수($COP_{HP}$)와 카르노 냉동기의 성적계수($COP_R$)의 관계로 옳은 것은?

정답: $COP_{HP} = COP_R$ + 1

 


2016년 5월

> 냉동실에서의 흡수 열량이 5 냉동톤(RT)인 냉동기의 성능계수(COP)2, 냉동기를 구동하는 가솔린 엔진의 열효율이 20%, 가솔린의 발열량이 43000kJ/kg 일 경우, 냉동기 구동에 소요되는 가솔린의 소비율은 약 몇 kg/h인가? (, 1 냉동톤(RT)은 약 3.86kW 이다.)

> 오토 사이클의 압축비가 6인 경우의 이론 열효율은 약 몇 %인가? (, 비열비 = 1.4 이다.)

2018년 3월

> 유량이 1800kg/h30물을 10의 얼음으로 만드는 능력을 가진 냉동장치의 압축기 소요동력은 약 얼마인가? (, 응축기의 냉각수 입구온도 30, 냉각수 출구온도 35, 냉각수 수량 50 /h이고, 열손실은 무시하는 것으로 한다.)

더보기

정답: 50.7kW

해석:

  1) 냉동부하, 증발기 열량

     Q1 = 유량x물비열x온도차 = 1800x1x(30-0) = 54000kcal/h
              물의 비열= 1kcal/kg °C
     Q2 = 유량x응고잠열 = 1800x79.68 = 143424 kcal/h
              물의 응고잠열= 79.68kcal/kg
     Q3 = 유량x얼음비열x온도차 = 1800x0.5x(0-(-10)) = 9000 kcal/h
               얼음의 비열=0.5kcal/kg °C 
      전체열량 = Q1+Q2+Q3 = 206424 kcal/h

  2) 응축기 응축 열량 = (50x1000)x1x(35-30) = 250000 kcal/h
      1 m³ = 1000kg
    

  3) 압축기 소요동력 = 응축기 응축열량 - 증발기 열량 = (250000-206424)/860 = 50.7kW
      1kW = 860kcal/h     


2016년 10월 실기

> 다음 조건과 같은 제빙공장에서의 제빙부하(kW)와 냉동부하(RT)를 구하시오.


2016년 5월

> 15의 순수한 물로 0의 얼음을 매시간 50kg 만드는데 냉동기의 냉동능력은 약 몇 냉동톤인가? (, 1 냉동톤은 3320kcal/h이며, 물의 응축잠열은 80kcal/kg이고, 비열은 1kcal/kg이다.)

더보기

 정답: 1.43

 해설: 1) 15 ℃ 물  → 0 ℃ 물
               Q1 = 50x1x(15-0) = 750 kcal/h
          2) 0 ℃ 물 → 0 ℃ 얼음
               Q2 = 50x80 = 4000 kcal/h
          냉동톤 = $\frac{750+4000}{3320}$ = 1.43RT

 

 

 

성적계수 : 성능을 나타내는 값

공식

냉동기 $COP_R = \frac{T_L}{T_H-T_L}$
열펌프 $COP_{HP} = \frac{T_H}{T_H-T_L}$
$COP_{HP} = COP_R$ + 1


2018년 4월

> 증기 압축 냉동 사이클로 운전하는 냉동기에서 압축기 입구, 응축기 입구, 증발기 입구의 엔탈피가 각각 387.2kJ/kg, 435.1kJ/kg, 241.8kJ/kg일 경우 성능계수는 약 얼마인가?

정답: 3.0


해설: COP = $\frac{q_e}{w}$=$\frac{387.2-241.8}{435.1-387.2}$=3.0


2017년 8월

> 어떤 냉장고의 소비전력이 2kW이고, 이 냉장고의 응축기에서 방열되는 열량이 5kW라면, 냉장고의 성적계수는 얼마인가? (, 이론적인 증기압축 냉동사이클로 운전된다고 가정한다.)

정답: 1.5
해설: COP = $\frac{Q_e}{W} =\frac{Q_c-W}{W} = \frac{5-2}{2}$ 

> 증발온도 -30˚C, 응축온도 45˚C에서 작동되는 이상적인 냉동기의 성적계수는?

정답: 3.2
해설: COP = $ \frac{T_L}{T_H - T_L} = \frac{-30+273}{(45+273)-(-30+273)}$


2016년8월

> 카르노 열펌프와 카르노 냉동기가 있는데, 카르노 열펌프의 고열원 온도는 카르노 냉동기의 고열원 온도가 같고, 카르노 열펌프의 저열원 온도는 카르노 냉동기의 저열원 온도와 같다. 이때 카르로 열펌프의 성적계수($COP_{HP}$)와 카르노 냉동기의 성적계수($COP_R$)의 관계로 옳은 것은?

정답: $COP_{HP} = COP_R$ + 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