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총칙

 

□ 건축구조물 ( buildings and structures ): 건축물과 공작물 등 이 기준에서 규정하는 대상물을 총칭

 

○ 건축물 ( buildings ):토지에 정착하는 공작물 중 지붕과 기둥 또는 벽이 있는 것과 이에 부수되는 시설물, 지하 또는 고가의 공작물에 설치하는 사무소·공연장·점포·차고·창고 기타「건축법」이 정하는 것

 

○ 공작물 ( nonbuilding structures ) : 인공적으로 지반에 고정하여 설치한 물체 중 건축물을 제외한 것. 계단탑, 교통신호등·교통표지판 등 교통관제시설, 광고판, 광고탑, 고가수조, 굴뚝, 기계기초, 기념탑, 기계식주차장, 기름탱크, 냉각탑, 방음벽, 배관지지대, 보일러구조, 사일로 및 벙커, 송전지지물, 송전탑, 승강기탑, 옥외광고물, 옹벽, 우수저류조, 육교, 장식탑, 저수조. 전철지지물, 조형물, 지하대피호, 철탑, 플랜트구조, 항공관제탑, 항행안전시설, 기타 구조물을 포함한다.

 

○ 구조물 ( structures ):건축구조물의 뼈대를 이루는 부분으로, 구조공학적인 측면에서 건축구조물 등을 일컬을 때 사용

 

○ 가설구조물 ( temporary structure ):건축구조물의 축조를 위하여 임시로 설치하는 시설 또는 구조물. 가설공연장․가설전람회장․견본주택 등 가설건축물을 포함

 

□ 구조 ( structure )  : 자중이나 외력에 저항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건축구조물의 구성요소. 구조체와 부구조체 및 비구조요소를 포함한다.

 

○ 구조체 ( frame ):건축구조물에 작용하는 각종 하중에 대하여 그 건축구조물을 안전하게 지지하는 구조물의 뼈대 자체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부구조체를 제외한 기본뼈대를 지칭

 

- 구조부재 ( structural member ):기둥·기초·보·가새·슬래브·벽체 등 구조체의 각 구성 요소

 

○ 부구조체 ( sub structure ):건축구조물의 구조체에 부착하며, 구조설계단계의 골조해석에서는 하중으로만 고려하고, 시공단계에서 상세를 결정하여 시공하는 구조부재. 커튼월·외장재·유리구조·창호틀·천정틀·돌붙임골조 등을 포함한다.

 

- 유리구조 ( glass and glazing ):건축구조물의 구조체에 부착되어, 바람과 눈 및 자중을 지지하는, 유리와 유리고정물을 포함한 구조. 유리벽·유리지붕(썬루프)·유리난간·유리문 등을 포함한다.

 

○ 비구조요소 ( nonstructural components ):건축비구조요소와 기계·전기비구조요소를 총칭

 

- 건축비구조요소 ( architectural components ): 건축구조물을 구성하는 부재중에서 구조내력을 부담하지 않는 구성요소. 배기구, 부가물·장식물, 부착물, 비구조벽체, 악세스플로어(이중바닥), 유리·외주벽, 천장, 칸막이, 캐비닛, 파라펫, 표면마감재, 표지판·광고판 등을 포함한다.

 

- 기계·전기비구조요소 ( mechanical and electrical components ):건축구조물에 부착된 기계 및 전기 시스템 비구조요소와 이를 지지하는 부착물 및 장비

 

□ 구조설계원칙

 

○ 안전성 ( safety ):건축구조물의 예상되는 수명기간동안 최대하중에 대하여 저항하는 능력으로서, 각 부재가 항복하거나 좌굴·피로·취성파괴 등의 현상이 생기지 않고 회전·미끄러짐·침하 등에 저항하는 구조물의 성능

 

- 사용수명 ( service life ):건축구조물의 안전성 및 사용성을 유지하며 사용할 수 있는 기한  

 

○ 사용성 ( serviceability ):과도한 처짐이나 불쾌한 진동, 장기변형과 균열 등에 적절히 저항하여 마감재의 손상방지, 건축구조물 본래의 모양유지, 유지관리, 입주자의 쾌적성, 사용중인 기계의 기능유지 등을 충족하는 구조물의 성능

 

○ 내구성 ( durability ):건축구조물의 안전성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서 장기간에 걸친 외부의 물리적, 화학적 또는 기계적 작용에 저항하여 변질되거나 변형되지 않고 처음의 설계조건과 같이 오래 사용할 수 있는 구조물의 성능

 

○ 친환경성 ( environment friendly ):자연환경을 오염하지 않고 자연 그대로 환경과 잘 어울리는 건축구조물의 성능 

 

□ 구조설계법

 

○ 강도설계법 ( strength design method ):구조부재를 구성하는 재료의 비탄성거동을 고려하여 산정한 부재단면의 공칭강도에 강도감소계수를 곱한 설계용 강도의 값(설계강도)과 계수하중에 의한 부재력(소요강도)이상이 되도록 구조부재를 설계하는 방법. 콘크리트구조와 조적식구조에 적용한다.

 

- 설계하중 ( design life ):구조설계시 적용하는 하중. 강도설계법 또는 한계상태설계법에서는 계수하중을 적용하고, 기타 설계법에서는 사용하중을 적용한다.

 

- 계수하중 ( factored load ):강도설계법 또는 한계상태설계법으로 설계할 때 사용하중에 하중계수를 곱한 하중

 

- 사용하중 ( service load):고정하중 및 활하중과 같이 이 기준에서 규정하는 각종 하중으로서 하중계수를 곱하지 않은 하중. 작용하중이라고도 한다.

 

- 하중계수 ( load factor ):하중의 공칭값과 실제하중 사이의 불가피한 차이 및 하중을 작용외력으로 변환시키는 해석상의 불확실성, 환경작용 등의 변동을 고려하기 위한 안전계수

 

- 부재력 ( member forces ):하중 및 외력에 의하여 구조부재의 가상절단면에 생기는 축방향력·휨모멘트·전단력·비틀림 등

 

- 강도 ( strength ):구조물이나 구조부재가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힘 또는 모멘트에 저항하는 능력

 

- 공칭강도 ( nominal strength ):구조체나 구조부재의 하중에 대한 저항능력으로서, 적합한 구조역학원리나 현장실험 또는 축소모형의 실험결과(실험과 실제여건간의 차이 및 모형화에 따른 영향을 감안)로부터 유도된 공식과 규정된 재료강도 및 부재치수를 사용하여 계산된 값

 

- 설계강도 ( design strength ):구조체 또는 부재의 공칭강도에 강도감소계수 를 곱한 강도

 

- 강도감소계수 ( strength reduction factor ):재료의 공칭강도와 실제강도의 차이, 부재를 제작 또는 시공할 때 설계도와 완성된 부재의 차이, 그리고 내력의 추정과 해석에 관련된 불확실성을 고려하기 위한 안전계수

 

○ 한계상태설계법 ( limit state design method, LSD ):한계상태를 명확히 정의하여 하중 및 내력의 평가에 준해서 한계상태에 도달하지 않는 것을 확률통계적 계수를 이용하여 설정하는 설계법

 

○ 허용강도설계법 ( allowable strength design method, ASD ):허용강도법하중조합 아래에서 부재의 허용강도가 소요강도 이상이 되도록 구조부재를 설계하는 방법

 

○ 허용응력설계법 ( allowable stress design method, ASD ):탄성이론에 의한 구조해석으로 산정한 부재단면의 응력이 허용응력(안전율을 감안한 한계응력)을 초과하지 아니하도록 구조부재를 설계하는 방법

 

- 응력 ( stress ):하중 및 외력에 의하여 구조부재에 생기는 단위면적당 힘의 세기

 

○ 성능설계법 ( performance based design method ):건축구조물을 건축주가 정한 성능지표 즉 안전성능, 사용성능, 내구성능 및 친환경성능에 만족하도록 설계하는 방법

 

□ 설계절차

 

○ 계획설계 ( schematic design, SD ):구조체에 대한 구조기준, 사용재료강도, 설계하중을 결정하고 구조형식을 선정하여 구조개념도와 주요 구조부재의 크기·단면·위치를 표현한 구조평면도 작성까지 기본설계 전 단계의 일련의 초기설계과정의 일

 

○ 기본설계(중간설계) ( design development, DD ):계획설계를 바탕으로 정적·동적해석을 통한 내진안전성 평가를 포함한 정밀구조해석과 주요부에 대한 사용성 평가 및 기본설계용 구조계산서 작성, 각층 구조평면도와 슬래브·보·기둥·벽체 등 각종 배근도 및 주요부재의 배근상세도 작성, 착공용기초도면 작성 등, 계획설계와 실시설계의 중간단계에서 진행하는 일련의 구조설계과정의 일

 

○ 실시설계 ( construction document, CD ):기본설계를 바탕으로 건축주와 설계사 및 시공사 등 관련자가 협의하여 기본설계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기본설계도를 수정하여 최종 공사용 도면과 최종 구조계산서 및 구조체공사 특기시방서 등을 작성하는 일련의 최종 설계과정의 일

 

□ 구조설계 ( structural design ) 절차:구조계획에 따라 형성된 3차원공간의 구조체에 대하여 구조역학을 기초로 한 골조해석 및 구조계산으로 이 기준에 따라 구조안전을 확인하고 구조체 각부에 대하여 이를 시공 가능한 도서로 작성하여 표현하는 일련의 창조적 과정의 업무

 

- 구조설계도서 ( structural design documents ):건축구조물의 구조체공사를 위해서 필요한 도서로서 구조설계도와 구조설계서, 구조분야 공사시방서 등을 통틀어서 이르는 것

 

○ 구조계획 ( structural planning ):건축구조물의 사용목적에 맞추어 각종 외력과 하중 및 지반에 대하여 안전하도록 구조체에 대한 3차원공간의 구조형태와 각종 하중에 대한 저항시스템, 기초구조 등을 선정하고 또한 경제성을 고려하여 구조부재의 재료와 형상, 개략적인 크기를 결정하여 구조적으로 안정된 공간을 창조하는 일련의 초기 작업과정

 

○ 골조해석 ( frame analysis ):구조설계의 한 과정으로 해당 구조체가 하중 등 외력에 반응할 때 구조공학의 이론을 이용하여 그 구조체의 각 구성요소에 생기는 부재력과 변위의 값 및 지점에서의 반력값을 찾아내는 일

 

- 탄성해석 ( elastic analysis ):구조물이 탄성체라는 가정아래 응력과 변형률의 관계를 1차 함수관계로 보고 구조부재의 부재력과 변위를 산출하는 해석

 

- 비선형해석 ( nonlinear analysis ):실제 구조물에 큰 변형이 예상되거나 변형률의 변화가 큰 경우 또는 사용재료의 응력-변형률 관계가 비선형인 경우에 이를 고려하여 실제 거동에 가장 가깝게 부재력과 변위가 산출되도록 하는 해석

 

○ 구조계산 ( structural calculation ):구조체에 작용하는 각종 설계하중에 대하여 각부가 안전한가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역학적인 계산을 하는 일

 

○ 구조설계서 ( structural design reports ) 작성:구조계획과 골조해석 및 부재설계의 결과를 책임구조기술자의 경험과 기술력으로 평가·조정하여 경제적이고 시공성이 우수한 구조체가 되도록 표현한 도면화 전 단계의 성과품. 구조설계개요, 구조특기시방, 구조설계요약, 구조계산 등을 포함한다.

 

○ 구조설계도 ( structural design drawings ) 작성:구조설계의 최종결과물로서 구조체의 구성, 부재의 형상, 접합상세 등을 표현하는 도면

 

- 배근시공도 ( placing drawing ):배근공사를 구조설계도의 취지에 맞게 하기 위하여 철근을 설치할 위치와 간격 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

 

- 시공상세도 ( working drawing ):구조설계도의 취지에 맞게 실제로 시공할 수 있도록 각 구조부재의 치수 등을 시공자가 상세히 작성한 도면

 

- 제작·설치도 ( shop and erection drawing ):구조설계도면의 취지에 맞게 실제로 제작 및 설치할 수 있도록 구조 각부의 치수 등을 시공자 또는 제작·설치자가 상세히 작성한 도면

 

- 제작물 ( fabricated item ):부품 또는 제작 후 건축구조물에 설치하기 이전에 절단·천공·용접·이음·접합·냉간작업·교정과정을 거친 재료들로 구성된 조립품

 

- 워킹포인트 ( working point ):제작·설치작업의 기준점

- 오프셋 ( offset ):기준이 되는 선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것

 

○ 공사시방서(구조분야) ( construction specification for structural work ) 작성:구조분야 공사에 관한 시방서

 

□ 구조안전확인

 

○ 구조검토 ( structural review ):구조체가 구조안전성을 확보하였는지에 대하여 책임구조기술자의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하여 그 타당성 여부를 판단하는 일. 구조설계도서와 시공상세도서, 증축, 용도변경, 구조변경, 시공상태, 유지·관리상태에 대한 구조안전성 검토를 포함한다.

 

○ 구조안전 ( structural safety ):건축구조물이 외력이나 주변조건에 대하여 단기적으로나 장기적으로 충분한 저항력을 지니고 있는 것

 

○ 안전진단 ( structural safety evaluation ):건축구조물에 대하여 물리적·기능적 결함을 발견하고 그에 대한 신속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 위하여 구조적 안전성 및 결함의 원인 등을 조사·측정·평가하여 보수·보강 등의 방법을 제시하는 행위

 

○ 구조감리 ( supervision for structural work ) :구조체에 대한 공사감리

 

□ 기타용어

 

○ 건설가치공학 ( value engineering ):건축공사의 기획·설계·시공·유지관리·해체 등 일련의 과정에서 최저 비용으로 최대의 가치를 창출하기 위하여 여러 기능을 분석하여 개선해 가는 조직적 활동(“밸류엔지니어링” 또는 “V.E.(브이이)”라고 약칭)

 

○ 리모델링 ( remodeling ):건축물의 노후화 억제 또는 기능 향상 등을 위하여 대수선 또는 일부 증축하는 행위

 

○ 책임구조기술자 ( structural engineer in responsible charge ):건축구조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 풍부한 경험과 식견을 가진 전문가로서 이 기준에 따라 건축구조물의 구조에 대한 구조설계 및 구조검토, 구조검사 및 실험, 시공, 구조감리, 안전진단 등 관련업무를 책임지고 수행하는 기술자

 

○ 치올림 ( camber ):보나 트러스 등 수평부재에서 하중재하시 생길 처짐을 고려하여 미리 중앙부를 들어올리는 것 또는 들어올린 거리

 

○ 강성 ( rigidity, stiffness ):구조물이나 구조부재의 변형에 대한 저항능력을 말하며, 발생한 변위 또는 회전에 대한 적용된 힘 또는 모멘트의 비율

 

○ 인성 ( toughness ):높은 강도와 큰 변형을 발휘하여 충격에 잘 견디는 성질. 재료에 계속해서 힘을 가할 때 탄성적으로 변형하다가 소성변형 후 마침내 파괴될 때까지 소비한 에너지가 크면 인성이 크다고 말한다.

 

○ 감쇠 ( damping ):구조물이 진동할 때 진동에너지가 다른 형태로 변환되어 소산됨으로써 진폭이 작아지는 현상

 

제2장 구조검사 및 실험

 

○ 경골구조 ( Balloon frame construction ):큰 경간의 구조를 간략하게 비교적 단면이 작은 부재 여럿을 사용하여 구성한 구조

 

○ 공인시험 검사기관 ( Authorized test inspection agency ):정기적으로 성능실험과 검사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전문학술단체 및 국가인정시험 검사기관

 

○ 기준지정 외 재료 ( Materials not specified in code ):한국산업표준(KS)에 규격이 제정되어 있으나 이 기준에서 지정하지 않은 재료로서 구조재료로서의 성능 확인이 필요한 재료

 

○ 기준지정재료 ( Code specified materials ):한국산업표준(KS)에 규격이 제정되어 있고, 이 기준에서 지정한 재료

 

○ 성능증명표 ( Capacity proving table ):제조사가 생산품에 표기한 증명서로서 제조사명, 제품 또는 재료의 기능과 성능 특성, 그리고 그 제품이나 재료의 대표적인 표본에 대한 공인된 기관의 실험과 평가임을 나타내는 공인시험 검사기관의 증명 등을 표기한 것

 

○ 신재료 ( New material ):한국산업표준(KS)에 규격이 제정되어 있지 않은 재료

 

○ 인증접합부 ( Prequalified connections ):적정 지진력저항시스템의 접합부로서 성능이 적합하다고 인증한 접합부

 

○ 일반검사 ( General inspection ):건축구조물의 기초나 주요구조부 등 안전상, 방화상, 위생상의 주요 부위에 사용하는 구조재료에 대하여 그 성능을 확인하는 검사

 

○ 정기적인 특별검사 ( Regular special inspection ):자격이 부여된 자가 현장에서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검사

 

○ 접합부 성능인증실험 ( Connections capacity prequalified test ):적정 지진력저항시스템의 인증접합부로 성능인증을 받기 위해 수행하는 실험

 

○ 제작물 ( Facture ):부품 또는 제작해서 건축물에 설치하기 위하여 절단, 천공, 용접, 이음, 접합, 냉간작업, 교정과정을 거친 재료들로 구성된 조립품

 

○ 지속적인 특별검사 ( Continuous special inspection ):자격이 부여된 자가 현장에 상주하며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검사

 

○ 특별검사 ( Special inspection ):부품이나 연결 부위의 제작·가설·설치시 적절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문가의 확인이 필요한 검사

 

○ 담당원:다음 각목에 규정한 자

   (1) 발주자가 지정한 감독자 및 감독보조원

   (2)건설기술관리 법령에 따라 책임감리할 경우에는 그 법령에 따른 감리원

 

제3장 설계하중

 

○ 가새골조 ( braced frame ):횡력에 저항하기 위하여 건물골조방식 또는 이중골조방식에서 중심형 또는 편심형의 수직트러스 또는 이와 동등한 구성체

 

○ 가스트영향계수 ( Gust effect factor ):바람의 난류로 인해 발생되는 구조물의 동적 거동 성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평균변위에 대한 최대변위의 비를 통계적인 값으로 나타낸 계수

 

○ 감쇠시스템 ( Damping system ):개별 감쇠장치로부터 구조물의 기초와 지진력저항시스템에 하중을 전달하는 구조요소 또는 가새 등을 모두 포함하는 구조체.

 

○ 감쇠장치 ( Damping device ):감쇠시스템의 일부로서 장치 양 단부의 상대적 움직임에 따라 에너지를 소산시키는 유연한 구조요소. 감쇠장치를 다른 구조요소에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핀, 볼트, 거싯플레이트, 가새연장재 등의 구성요소들을 모두 포함. 감쇠장치는 변위의존형이나 속도의존형 또는 이들의 조합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선형 또는 비선형으로 거동.

 

○ 강체구조물 ( Rigid structure ):바람과 구조물의 동적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부가적인 하중효과를 무시할 수 있는 안정된 구조물(공진효과를 고려하지 않은 가스트영향계수를 사용하며 건축물의 형상비에 따라 구분)

 

○ 강한격막 ( Rigid diaphragm ):유연한 격막으로 분류되지 않는 격막

 

○ 개방형 건축물 ( Opened building ):정압을 받는 벽에 위치한 개구부 면적의 합이 그 벽면적의 80% 이상되는 건축물 또는 각 벽체가 80% 이상 개방되어 있는 건축물

 

○ 거주성 ( Serviceability ): 강풍으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하여 거주자가 느끼는 불안, 불쾌감 등 삶의 질과 관련된 사항을 말함 

 

○ 건물골조방식 ( Building frame system ):수직하중은 입체골조가 저항하고, 지진하중은 전단벽이나 가새골조가 저항하는 구조방식

 

○ 건물외구조물 ( Nonbuilding structure ):연직하중을 받는 구조물 중에서 건물, 차량 또는 철도용 교량, 원자력발전소, 해양선착장 또는 댐으로 분류되지 않는 자립 구조물

 

○ 경계요소 ( Boundary element ):격막이나 전단벽의 가장자리, 내부 개구부, 불연속면과 요각부에서의 인장 혹은 압축요소와 수집재

 

○ 경량칸막이벽 ( Light partition ):지중이 1kN/m2 이하인 가동식 벽체

 

○ 고정하중 ( Dead load ):구조체와 이에 부착된 비내력 부분 및 각종 설비 등의 중량에 의하여 구조물의 존치기간 중 지속적으로 작용하는 연직하중

 

○ 골바람효과 ( Convergence effect ):산과 산 사이의 골짜기를 따라 평행하게 바람이 불어가면서 유선이 수평방향으로 수렴하여 풍속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현상

 

○ 공기력불안정진동 ( Aerodynamic instability vibration ):건축물 자신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부가적인 공기력이 건축물의 감쇠력을 감소시키도록 작용함으로써 진동이 증대되거나 발산하는 현상

 

○ 공진계수 ( Resonance factor ):건축물 변동 변위의 고유진동수 부근의 진동수 성분의 분산을 나타내는 계수

 

○ 구조감쇠 ( Structural damping ):구조체에 진동이 가해지면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진동이 감소되다가 마침내는 진동이 멈춘다. 이처럼 진동이 감소되다가 멈추는 것은 구조체를 구성하는 재료가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인데 이 성질을 말함  

 

○ 규모계수 ( Size reduction factor ):건물의 크기에 따라 발생하는 난류영향의 저하를 나타내는 계수

 

○ 기본풍속 ( Basic wind speed ):지표면조도 구분 C인 지역의 지표면으로부터 10m 높이에서 측정한 10분간 평균풍속에 대한 100년 재현기대풍속으로 대지형의 영향을 고려하여 정한 풍속

 

○ 기준경도풍 높이 ( Gradient height ):지표면의 거칠기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의 영향을 받지 않아 풍속이 거의 일정하게 되는 지상으로부터의 높이

 

○ 난류강도 ( Turbulence intensity ):바람의 흐트러짐을 정량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무차원량으로 변동풍속의 표준편차를 평균풍속으로 나눈 비율

 

○ 내력벽방식 ( Bearing wall system ):수직하중과 횡력을 전단벽이 부담하는 구조방식

 

○ 내압가스트영향계수 ( Gust effect factor for internal pressure ):건축물 개구부의 크기에 따라 내부에서 발생하는 내압의 변동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서 평균실내압에 대한 최대실내압의 비

 

○ 내압계수 ( Internal pressure coefficient ):건축물 외벽의 틈새나 개구부를 통하여 공기가 건축물 내부로 유입되어 발생하는 내부압력의 정도를 나타내는 계수

 

○ 내진중요도 그룹 ( Seismic use group ):<표 0306.4.1>에 따른 건물용도 및 내진중요도의 분류

 

○ 대기경계층 ( Atmospheric boundary layer ):지표면의 영향을 받아 마찰력이 작용함으로써 지상의 높이에 따라 풍속이 변하는 영역

 

○ 대기경계층 시작 높이 ( Height above ground surface starting of atmospheric boundary layer ):지표면의 영향을 받아 연직방향의 풍속이 변화하는 대기층의 시작이 되는 높이(대기경계층 시작 높이 이하에서는 지표면조도 구분에 따라 일정풍속으로 한다)

 

○ 독립편지붕 ( Monoslope free roof ):벽면이 없이 기둥 부재에 편지붕만 있는 지붕구조물

 

○ 면진시스템 ( Isolation system ):모든 개별 면진장치 사이에 힘을 전달하는 구조요소 및 모든 연결부의 집합체.

 

○ 레벨크로싱수 ( Level crossing number ):구조물이 진동하는 경우 단위시간에 주어진 임의 레벨을 정의구배로 교차할 횟수로 단위는 Hz임.

 

○ 면진장치 ( Isolator unit ):설계지진시 큰 횡변위가 발생되도록 수평적으로 유연하고 수직적으로 강한 면진시스템의 구조요소.

 

○ 면진층 ( Isolation interface ):면진시스템과 상부·하부구조의 경계에 위치한 연결요소를 포함하는 부분.

 

○ 모멘트골조방식 ( Moment-resisting frame system )::수직하중과 횡력을 보와 기둥으로 구성된 라멘골조가 저항하는 구조방식

 

○ 밀폐형 건축물 ( Enclosed buildings )::탁월한 개구부가 없고 바람의 유통이 없도록 창호가 밀폐되어 있으며, 출입문도 강풍이 불 때에는 폐쇄장치가 있는 건축물로서 개구부 및 틈새의 면적이 전벽면적의 0.1% 이하인 경우

 

○ 밑면 ( Base )::지반운동에 의한 수평지진력이 작용하는 기준면

 

○ 밑면전단력 ( base shear force ):구조물의 밑면에 작용하는 설계용 총 전단력

 

○ 버펫팅 ( Buffeting ): 시시각각 변하는 바람의 난류성분이 물체에 닫아 물체를 풍방향으로 불규칙하게 진동시키는 현상 

 

○ 변장비 ( Side ratio, Ratio of breadth-to-depth ):건축물의 폭 B를 깊이 D로 나눈 비율. 즉 B/D

 

○ 변위의존형 감쇠장치 ( Displacement-dependent damping device):하중응답이 주로 장치 양 단부 사이의 상대변위에 의해 결정되는 감쇠장치로서, 근본적으로 장치 양단부의 상대속도와 진동수에는 독립적.

 

○ 보통모멘트골조 ( Ordinary moment frame ):연성거동을 확보하기 위한 특별한 상세를 사용하지 않은 모멘트골조

 

○ 부골조 ( Wind force resisting sub-frame ):창호와 외벽패널 등에 가해지는 풍하중을 주골조에 전달하기 위하여 설치된 2차구조부재(파스너, 퍼린, 거트, 스터드 등)

 

○ 부분개방형 건축물 ( Partially opened buildings ):개구부가 벽면적의 1% 이하로서 개구부가 벽체에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지 않는 경우

 

○ 부착물 ( Attachment ):구성요소나 그 지지물을 구조물의 내진시스템에 연결하거나 견고하게 하는 장치(앵커볼트나 용접연결부, 기계적 고정장치를 포함)

 

○ 부하면적 ( Tributar area ):연직하중전달 구조부재가 분담하는 하중의 크기를 바닥면적으로 나타낸 것

 

○ 비공진계수 ( Background response factor ):건축물 변동변위의 고유진동수 부근 이외의 진동수 성분의 분산을 나타내는 계수

 

○ 비구조부재 ( Appendage ):차양·장식탑·비내력벽, 기타 이와 유사한 것으로서 구조해석에서 제외되는 건축물의 구성부재

 

○ 비구조요소 ( Nonstructural elements ):1보다 더 큰 중요도계수 를 갖도록 설계되는 건축, 전기, 기계시스템과 그들의 구성요소

 

○ 비틀림진동 ( Torsional vibration ):난류의 비정상적 운동 및 박리로 인해 건축물에 불안정하게 비틀림이 유발되는 진동형태

 

○ 설계변위 ( Design displacement ):면진시스템의 강성 중심에서 구한 설계지진시 횡변위.

 

○ 설계속도압 ( Design velocity pressure ):건축물설계용 풍하중을 결정하기 위한 평균풍속의 등가정적 속도압

 

○ 설계스펙트럼가속도 ( Design spectral acceleration ):설계지진에 대한 단주기와 주기 1초에서의 응답스펙트럼가속도(, )

 

○ 설계지진 ( Design earthquake ):이 기준에 따라 건축구조물이 저항해야 하는 지진효과

 

○ 설계풍속 ( Design wind speed ):기본풍속에 대하여 건설지점의 지표면상태에 따른 풍속의 고도분포와 지형조건에 따른 풍속의 할증 및 건축물의 중요도에 따른 설계재현기간을 고려한 풍속으로 설계속도압 산정의 기본이 되는 풍속

 

○ 설계하중 ( Design load ):이 기준에 따라 건축구조물이 저항해야 하는 하중

 

○ 속도의존형 감쇠장치 ( Velocity-dependent damping device ):하중응답이 주로 장치 양 단부 사이의 상대속도에 의해 결정되는 감쇠장치로서, 추가로 상대변위의 함수에 종속될 수도 있음.

 

○ 수집재 ( Collector ):구조물의 일부분으로부터 횡력저항시스템의 수직요소로 횡력을 전달하기 위해 설치된 부재 혹은 요소

 

○ 순압력계수 ( Net pressure coefficient ): 지붕이나 막 등의 경우 상부와 하부에 동시에 작용하는 풍압력의 차를 기준높이에서의 속도압으로 무차원화한 것.

 

○ 연성모멘트골조방식 ( Moment-resisting frame system ):횡력에 대한 저항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부재와 접합부의 연성을 증가시킨 모멘트골조방식

 

○ 영향면적 ( Influence area ):연직하중전달 구조부재에 미치는 하중영향을 바닥면적으로 나타낸 것(기둥 또는 기초의 경우에는 부하면적의 4배, 큰보 또는 작은보의 경우에는 부하면적의 2배를 각각 적용한다)

 

○ 와류방출 ( Vortex shedding ): 물체의 양측에서 박리한 흐름이 후류에 말려들어가 물체의 후면에서 교대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정형적인 2열의 와가되어 후류로 방출되는 현상. 원주의 경우에는 레이놀즈수가 30~5,000 범위, 각주의 경우에는 1,000 전후의 범위에서 발생하며, 이 와류방출로 인하여 물체는 풍직각방향으로 진동함. 

 

○ 와류진동 ( Vortex shedding ):건축물 배후면에서 좌우 상호 규칙적으로 발생하는 와류의 영향에 의해 발생하는 건축물의 진동

 

○ 외압가스트영향계수 ( Gust effect factor for external pressure ):외압의 변동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서 평균외압에 대한 최대외압의 비

 

○ 외압계수 ( External pressure coefficient ):건축물 외피의 임의 수압면에 가해지는 평균풍압과 기준높이에서 속도압의 비

 

○ 외장재설계용 풍하중 ( Wind load on cladding ):창호, 외벽패널 등 풍하중을 직접 받는 건축물의 외장재와 이를 지지하는 파스너, 퍼린, 거트, 스터드 등 풍하중을 직접 또는 외장재를 통하여 받아 하중을 주골조로 전달하는 2차구조부재 및 그 접합부를 설계하기 위한 풍하중

 

○ 유연구조물 ( Flexible structures ):바람과 구조물의 동적 상호작용에 의하여 부가적인 하중이 발생하는 바람에 민감한 구조물(동적 효과가 고려된 가스트영향계수를 사용해야 하며, 건축물의 형상비에 따라 구분된다.)

 

○ 유연한 격막 ( Flexible diaphragm ):격막의 횡변위가 그 층에서 평균 층간변위의 두 배를 초과하는 격막, 층전단력과 비틀림의 분포를 위하여 유연한 격막으로 분류

 

○ 유효감쇠 ( Effective damping ):면진시스템의 이력거동에 의해 소산되는 에너지로부터 산정되는 등가점성감쇠.

 

○ 유효강성 ( Effective stiffness ):면진시스템의 수평력을 그에 상응하는 수평변위로 나눈 값.

 

○ 유효수압면적 ( Projected area ):풍하중을 산정하는데 기본이 되는 유효면적으로 풍방향 직각에 대한 투영면적. 다만, 외장재의 경우에는 외장재 하중분담 표면적

 

○ 위험물 ( Hazardous contents ):유해화학물질관리법 또는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건강장해물질, 환경유해성 물질 또는 물리적 위험물로 분류되어 일반 대중의 안전에 위협을 미칠 수 있는 물질

 

○ 이중골조방식 ( Dual system ):횡력의 25% 이상을 부담하는 연성모멘트골조가 전단벽이나 가새골조와 조합되어 있는 구조방식

 

○ 인접효과 ( Interference effect ): 건축물의 일정거리 풍상측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건축물은 장애물의 영향을 받아 진동이 증가하고 이로 인하여 건축물 전체에 가해지는 풍응답이 증가하며, 외장재에 작용하는 국부풍압도 크게 증가하는 현상 

 

○ 장비요소 ( Component ):건물 내·외부의 기계적 요소, 전기적 요소 또는 기계시스템의 한 부분이나 전기시스템의 한 부분

 

○ 재현기간 ( Return period ):일정 규모의 바람이 다시 내습할 때까지의 통계적 기간년수

 

○ 저감계수 ( Reduction factor ):영향면적에 따른 저감효과를 고려하기 위해 활하중에 곱하는 계수

 

○ 적설하중 ( Snow load ):쌓인 눈의 중량에 의하여 건축물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

 

○ 전단벽 ( Shear wall ):벽면에 평행한 횡력을 지지하도록 설계된 벽

 

○ 전단벽-골조상호작용시스템 ( Shear wall-frame interactive system ):전단벽과 골조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강성에 비례하여 횡력을 저항하도록 설계되는 전단벽과 골조의 조합구조시스템

 

○ 주골조 ( Wind force resisting main-frames ):풍하중에 저항하여 전체구조물을 지지하거나 안정시키기 위하여 배치된 구조골조 또는 구조부재들의 집합으로서 구조물 전체에 작용하는 풍하중을 지반에 전달하는 역할을 함. 기둥, 보, 지붕보, 도리 등을 말함. 또한, 구조부재인 브레이스, 전단벽, 지붕트러스, 지붕막 등이 전체하중을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면 주골조로 봄

 

○ 주골조설계용 풍하중 ( Design wind load for wind force resisting main-frames ):구조물 전체에 가해지는 풍하중에 저항하는 구조부재들을 설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풍하중

 

○ 중심가새골조 ( Concentrically braced frame ):부재들에 주로 축력이 작용하는 가새골조 

 

○ 중요도계수  ( Importance factor  ):건축물의 중요도에 따라 적설하중의 크기를 증감하는 계수<표 0304.3.4>

 

○ 중요도계수  ( Importance factor  ):건축물의 중요도에 따라 설계풍속을 증감하는 계수<표 0305.5.6>

 

○ 중요도계수  ( Importance factor  ):건축물의 중요도에 따라 지진응답계수를 증감하는 계수<표 0306.4.1>

 

○ 지반종류 ( Site class ):공학적 특성에 근거하여 지반을 분류하는 등급<표 0306.3.2>

 

○ 지붕골조설계용 풍하중 ( Wind load on roof frames ):건축물의 지붕골조설계에 사용되는 풍하중

 

○ 지붕활하중 ( Roof live load ):유지·보수 작업시 작업자, 장비 및 자재에 의한 작업하중 또는 점유·사용과는 무관한 화분 또는 이와 유사한 소형 장식물 등 이동 가능한 물체에 의하여 지붕에 작용하는 하중

 

○ 지역계수 ( Site coefficients ):표<0306.3.3>과 표<0306.3.4>에 따라 결정된 계수,, 

 

○ 지진구역 ( Seismic zone ):동일한 지진위험도에 따라 분류한 지역

 

○ 지진력 ( Seismic-force ):지진운동에 의한 구조물의 응답에 대하여 구조물과 그 구성요소를 설계하기 위하여 결정된 힘

 

○ 지진력저항시스템 ( Seismic-force-resisting system ):정해진 지진력에 저항하도록 구성된 구조시스템

 

○ 지진응답계수 ( Seismic response coefficient ):식(0306.5.2)~식(0306.5.4)에 따라 결정된 계수, 

 

○ 지진하중 ( Seismic load ):지진에 의한 지반운동으로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

 

○ 지표면조도 구분 ( Surface roughness category ):지표면의 거칠기 상태로 일정지역의 지표면 거칠기에 해당하는 장애물이 바람에 노출된 정도의 구분

 

○ 지하수압 ( Underground water pressure ):지하수위에 의하여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

 

○ 지형계수 ( Topographic factor ):언덕 및 산 경사지의 정점 부근에서 풍속이 증가하므로 이에 따른 정점 부근의 풍속을 증가시키는 계수

 

○ 책임구조기술자 ( Setructural engineer in responsible charge ):0306.12에서는 면진시스템을 적용한 구조물, 0306.13에서는 감쇠시스템을 적용한 구조물의 설계에 책임이 있는 등록된 설계전문가.

 

○ 총설계변위 ( Total design displacement ):비틀림에 의한 추가변위를 포함한 면진시스템의 설계지진시 횡변위.

 

○ 총최대변위 ( Total maximum displacement ):비틀림에 의한 추가변위를 포함한 면진시스템의 최대예상지진시 횡변위.

 

○ 최대변위 ( Maximum displacement ):면진시스템의 강성중심에서 구한 최대예상지진시 횡변위.

 

○ 층간변위 ( Story drift ):인접층 사이의 상대수평변위

 

○ 층간변위각 ( Story drift ratio ):층간변위를 층 높이로 나눈 값

 

○ 층지진하중 ( Story seismic force ):밑면 전단력을 건축물의 각 층별로 분포시킨 하중

 

○ 탁월개구부 ( Dominant opening ):환기구 및 개방형 문이 있는 공장건축물, 한쪽이 트인 임시건축물 등과 같이 한쪽 벽의 개구부 면적이 나머지 모든 벽의 개구부 및 틈새 면적의 2배가 넘는 경우

 

○ 특별풍하중 ( Wind load for reflecting special consideration ):바람의 직접적인 작용 또는 간접적인 작용을 받는 대상건축물 및 공작물에서 발생하는 현상이 매우 불규칙하고 복잡하여 풍하중을 평가하는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풍동실험을 통하여 풍하중을 평가해야만 하는 경우

 

○ 편심가새골조 ( Eccentrically braced frame ):경사가새가 설치되어 가새부재 양단부의 한쪽 이상이 보-기둥 접합부로부터 약간의 거리만큼 떨어져 보에 연결되어 있는 가새골조

 

○ 풍력계수 ( Wind force coefficient ):구조체와 지붕골조 또는 기타 구조물 등의 설계풍압을 산정하기 위한 계수로서 기타구조물이나 독립편지붕 등의 경우에는 풍력계수를 직접 사용하고, 주골조용의 풍력계수는 풍상측 외압계수와 풍하측 외압계수를 함께 고려한 로 산정하며, 지붕골조용 풍력계수는 외압계수 와 내압계수를 함께 고려한 로 산정함. 

 

○ 풍력스펙트럼계수 ( Wind force spectrum factor ):건축물 풍방향의 1차고유진동수에 있어서 풍속변동의 파워를 나타내는 계수

 

○ 풍방향진동가속도 ( Along-wind vibration acceleration ):바람의 난동작용으로 건축물이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 진동하여 발생하는 가속도

 

○ 풍상측 ( Windward face ):바람이 불어와서 맞닿는 쪽

 

○ 풍속고도분포계수 ( Wind speed profile factor ):지표면의 고도에 따라 기준경도풍 높이까지의 풍속의 증가분포를 지수법칙에 의해 표현했을 때의 수직방향 분포계수

 

○ 풍속변동계수 ( Turbulence factor ):가스트영향계수를 평가할 때 지표면의 상태에 따라 변하는 난류강도의 영향을 반영하기 위한 계수

 

○ 풍압계수 ( Wind pressure coefficient ):주골조의 설계풍압을 산정할 때는 외압계수 와 내압계수 로 구성되며, 외장재의 설계풍압을 산정할 때에는 피크외압계수 와 피크내압계수 로 구성 

 

○ 풍직각방향진동 ( Across-wind vibration ):난류의 비정상적인 운동 및 건축물 배후면의 양측에서 규칙적으로 발생하는 와류에 의해 바람부는 직각방향으로 유발되는 건축물의 진동형태

 

○ 풍직각방향진동가속도 ( Across-wind acceleration ):건축물 양쪽 모서리부에서 배후면의 좌우쪽으로 상호 규칙적으로 발생되는 와류에 의하여 건축물이 바람부는 직각방향으로 진동하여 발생하는 가속도

 

○ 풍하측 ( Leeward face ):바람이 불어와 맞닿는 측의 반대쪽으로 바람이 빠져나가는 측

 

○ 피크내압계수 ( Peak internal pressure coefficient including gust effect ):외장재 설계용 풍하중 산정에 필요한 가스트영향계수와 내압계수를 함께 고려한 순간 최대에 상응하는 값

 

○ 피크외압계수 ( Peak external pressure coefficient including gust effect ):외장재 설계용 풍하중 산정에 필요한 가스트영향계수와 외압계수를 함께 고려한 순간 최대에 상응하는 값

 

○ 하중조합 ( Load combination ):동시에 작용하는 각각의 설계하중에 하중계수를 곱하여 합한 것

 

○ 형상비 ( Aspect ratio ):건축물 높이 H를 바닥면의 평균길이 로 나눈 비율(을 말하는 것으로 B는 건물폭, D는 건물 깊이)

 

○ 활성단층 ( Active fault ):지난 11,000년(충적세) 동안 지진활동의 지질학적 증거나 역사적으로 연평균 1mm 이상의 미끄러짐이 있는 단층

 

○ 활하중 ( Live load ):건축물 및 공작물을 점유·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하중

 

○ 후류버펫팅 ( Wake buffeting ): 풍상측에 놓인 물체에 의해 생성된 변동기류가 풍하측 물체에 작용하여 발생하는 불규칙한 진동.

 

제4장 기초구조

 

○ 강재말뚝 ( Steel pile ):강관말뚝 또는 H형강말뚝

 

○ 기성말뚝 ( Precast pile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콘크리트말뚝

 

○ 기초 ( Foundation ):기초판과 지정 등을 뜻하며, 상부구조에 대응하여 부를 때는 기초구조라고 하기도 함

 

○ 나무말뚝 ( Wooden pile ):생나무로 다듬어 만든 말뚝

 

○ 독립기초 ( Isolated shallow footing ):기둥으로부터의 축력을 독립으로 지반 또는 지정에 전달토록 하는 기초

 

○ 마찰말뚝 ( Friction pile ):지지력의 대부분을 주면의 마찰로 지지하는 말뚝

 

○ 말뚝 ( Pile ):기초판으로부터의 하중을 지반에 전달하도록 하기 위하여 기초판 아래의 지반 중에 만들어진 기둥 모양의 지정지반에 전달하도록 하는 형식의 기초

 

○ 말뚝전면복합기초 ( Piled-Raft Foundation ):병용기초 중 직접기초와 말뚝기초가 복합적으로 상부구조를 지지하는 기초형식

 

○ 말뚝의 극한지지력 ( Ultimate bearing capacity of pile ):말뚝이 지지할 수 있는 최대의 수직방향 하중

 

○ 말뚝의 허용지내력 ( Allowable bearing pressure of pile ):말뚝의 허용지지력 내에서 침하 또는 부등침하가 허용한도 내로 될 수 있게 하는 하중

 

○ 말뚝의 허용지지력:말뚝의 극한지지력을 안전율로 나눈 값

 

○ 매입말뚝 ( Pre-drilled and driven pile ):기성말뚝의 전장을 굴착한 지반 속에 매입한 말뚝

 

○ 병용기초 ( Foundation used in combination ) : 서로 다른 기초를 병용한 기초형식의 총칭

 

○ 복합기초 ( Combined footing ):2개 또는 그 이상의 기둥으로부터의 응력을 하나의 기초판을 통해 지반 또는 지정에 전달토록 하는 기초

 

○ 부마찰력 ( Negative skin friction ):지지층에 근입된 말뚝의 주위 지반이 침하하는 경우 말뚝 주면에 하향으로 작용하는 마찰력

 

○ 분사현상 ( Boiling):모래층에서 수압차로 인하여 모래입자가 부풀어 오르는 현상. 보일링

 

○ 사운딩 ( Sounding ):로드에 연결한 저항체를 지반 중에 삽입하여 관입, 회전 및 인발 등에 대한 저항으로부터 지반의 성상을 조사하는 방법 

 

○ 성능설계법 ( Performance based on design ):건축구조물 등을 설정한 외력에 대해 사용한계상태, 손상한계상태, 극한한계상태에서의 소요성능을 만족하도록 설계하는 방법

 

○ 슬라임 ( Slime ):지반을 천공할 때 공벽 또는 공저에 모인 흙의 찌꺼기

 

○ 액상화현상 ( Liquefaction ):물에 포화된 느슨한 모래가 진동, 충격 등에 의하여 간극수압이 급격히 상승하기 때문에 전단저항을 잃어버리는 현상

 

○ 연성(軟性)옹벽 ( Flexible Retaining Wall ) : 옹벽 전면이 여러 개의 콘크리트 판, 블록, 돌망태, 자연석등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배면에는 인장력이 강한 보강재(Geogrid, Strap 등)로 저항하거나 자중에 의하여 토압에 저항하며 각각의 구성 요소가 횡 토압에 대하여 독립된 변형 거동을 하는 옹벽구조

 

○ 온통기초 ( Mat foundation ):상부구조의 광범위한 면적 내의 응력을 단일 기초판으로 연결하여 지반 또는 지정에 전달하도록 하는 기초

 

○ 원위치시험 ( In-situ test ):대상 현장의 위치에서 지표 또는 보링공 등을 이용하여 지반의 특성을 직접 조사하는 시험

 

○ 융기현상 ( Heaving ):연약한 점성토 지반에서 땅파기 외측의 흙의 중량으로 인하여 땅파기 된 저면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 히빙

 

○ 이음말뚝 ( Connected pile ):2개 이상의 동종말뚝을 이음한 말뚝

 

○ 접지압 ( Contact pressure ):직접기초에 따른 기초판 또는 말뚝기초에서 선단과 지반간에 작용하는 압력

 

○ 줄기초, 연속기초 ( Continuous footing ):벽 또는 일련의 기둥으로부터의 응력을 띠모양으로 하여 지반 또는 지정에 전달토록 하는 기초

 

○ 지반의 개량 ( Ground improvement ):지반의 지지력 증대 또는 침하의 억제에 필요한 토질의 개선을 목적으로 흙다짐, 탈수 및 환토 등으로 공학적 능력을 개선시키는 것

 

○ 지반의 극한지지력 ( Ultimate bearing capacity of ground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는 지반의 최대저항력

 

○ 지반의 허용지지력 ( Allowable bearing capacity of ground ):지반의 극한지지력을 안전율로 나눈 값

 

○ 지정 ( Base ):기초판을 지지하기 위하여 그보다 하부에 제공되는 자갈, 잡석 및 말뚝 등의 부분

 

○ 지지말뚝 ( End bearing pile ):연약한 지층을 관통하여 굳은 지반이나 암층까지 도달시켜 지지력의 대부분을 말뚝 선단의 저항으로 지지하는 말뚝

 

○ 직접기초 ( Shallow foundation ):기둥이나 벽체의 밑면을 기초판으로 확대하여 상부구조의 하중을 지반에 직접 전달하는 기초형식으로서 기초판 저면지반의 전단저항력으로 하중을 지지한다. 일반적으로 기초판의 두께가 기초판의 폭보다 크지 않으며 독립기초, 줄기초, 복합기초, 온통기초 등이 있다.

 

○ 측압 ( Lateral Pressure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토압과 수압

 

○ 케이슨 ( Caisson ):지반을 굴삭하면서 중공대형의 구조물을 지지층까지 침하시켜 만든 기초형식구조물의 지하부분을 지상에서 구축한 다음 이것을 지지층까지 침하시켰을 경우의 지하부분

 

○ 타입말뚝 ( Driven pile ):기성말뚝의 전장을 지반 중에 타입 또는 압입한 말뚝

 

○ 허용지내력 ( Allowable bearing pressure of ground ):지반의 허용지지력 내에서 침하 또는 부등침하가 허용한도 내로 될 수 있게 하는 하중

 

○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 ( Drilled cast-in-situ concrete pile ):지반에 구멍을 미리 뚫어놓고 콘크리트를 현장에서 타설하여 조성하는 말뚝

 

○ 흙막이구조물 ( Earth retaining structure ):땅파기에 있어 지반의 붕괴 및 주변의 침하, 위험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구조물

 

○ 흙파기 ( Earth work ):구조물의 기초 또는 지하 부분을 구축하기 위하여 행하는 지반의 굴삭

 

제5장 콘크리트구조

 

□ 하중/강도

 

○ 강도감소계수 ( Strength reduction factor ):재료의 설계기준강도와 실제 강도와의 차이, 부재를 제작 또는 시공할 때 설계도와의 차이, 그리고 부재강도의 추정과 해석에 관련된 불확실성을 고려하기 위한 안전계수

 

○ 계수하중 ( Factored load ):강도설계법으로 부재를 설계할 때 사용하중에 하중계수를 곱한 하중

 

○ 고정하중 ( Dead load ):구조물의 수명기간 중 상시 작용하는 하중으로서 자중은 물론 벽, 바닥, 지붕, 천장, 계단 및 고정된 사용 장비 등을 포함한 하중

 

○ 공칭강도 ( Nominal strength ):강도설계법의 규정과 가정에 따라 계산된 부재 또는 단면의 강도를 말하며, 강도감소계수를 적용하기 이전의 강도

 

○ 사용하중 ( Service load ):고정하중 및 활하중과 같이 이 기준에서 규정하는 각종 하중으로서 하중계수를 곱하지 않은 하중

 

○ 설계강도 ( Design strength ):구조체 또는 부재의 공칭강도에 강도감소계수 를 곱한 강도

 

○ 설계하중 ( Design load ):부재를 설계할 때 적용되는 계수하중

 

○ 설계하중조합 ( Design load combination ):0503.3.2에서 규정한 계수하중의 조합

 

○ 소요강도 ( Required strength ):철근콘크리트 부재가 사용성과 안전성을 만족할 수 있도록 요구되는 단면의 단면력

 

○ 연직하중 ( Gravity load ):고정하중이나 활하중과 같이 구조물에 중력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중력하중이라고도 한다)

 

○ 응력 ( Stress ):부재의 단면에서 단위면적에 발생하는 내력의 크기

 

○ 하중 ( Load ):구조물 또는 부재에 응력 및 변형을 발생시키는 일체의 작용

 

○ 하중계수 ( Load factor ):하중의 공칭값과 실제 하중 사이의 불가피한 차이 및 하중을 작용 외력으로 변환시키는 해석상의 불확실성, 환경작용 등의 변동을 고려하기 위한 안전계수

 

○ 하중조합 ( Load combination ):구조물 또는 부재에 동시에 작용할 수 있는 각종 하중의 조합

 

○ 지속하중 ( Sustained load ):장기간에 걸쳐서 지속적으로 작용하는 하중

 

○ 지압강도 ( Bearing strength ):하중이 가해지는 면적에 대한 지지면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 지진하중 ( Earthquake load ):지각변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지진에 의해 구조물에 작용하는 힘

 

○ 풍하중 ( Wind load ):바람에 의하여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

 

○ 활하중 ( Live load ):풍하중, 지진하중과 같은 환경하중이나 고정하중을 포함하지 않고, 건물이나 다른 구조물의 사용 및 점용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으로서 사람, 가구, 이동칸막이, 창고의 저장물, 설비기계 등의 하중과 적설하중 또는 교량 등에서 차량에 의한 하중

 

○ 횡하중 ( Lateral load ):풍하중, 지진하중, 횡방향 토압 또는 유체압과 같이 수직방향 구조물에 수평으로 작용하는 하중

 

□ 재료 : 철근

 

○ 갈고리 ( Hook ):철근의 정착 또는 겹침이음을 위해 철근 끝을 구부린 부분 철근의 끝부분을 180°, 135°, 90° 등의 각도로 구부려 만듦

 

○ 기계적 정착 ( Mechanical Anchorage ):철근 또는 긴장재의 끝부분에 여러 형태의 정착장치를 설치하여 콘크리트에 정착하는 것

 

○ 굽힘철근 ( Bent bar ):구부려 올리거나 또는 구부려 내린 부재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철근

 

○ 균형철근비 ( Balanced Reinforcement ratio ):인장철근이 설계기준항복강도에 도달함과 동시에 압축연단 콘크리트의 변형률이 그 극한변형률에 도달하는 단면의 인장철근비

 

○ 나선철근 ( Spiral reinforcement ):기둥에서 종방향 철근을 나선형으로 둘러싼 철근 또는 철선

 

○ 내진갈고리 ( Seismic hook ):철근 지름의 6배 이상(또한 75mm 이상)의 연장길이를 가진(최소) 135°갈고리로 된 스터럽, 후프철근, 연결철근의 갈고리(다만 원형후프철근의 경우에는 단부에 최소 90°의 절곡부를 가진다)

 

○ 등가묻힘길이 ( Equivalent embedment length ):갈고리 또는 기계적 정착장치가 전달하는 응력과 동등한 응력을 전달할 수 있는 철근의 묻힘길이

 

○ 띠철근 ( The reinforcement, The bar ):기둥에서 종방향 철근의 위치를 확보하고 전단력에 저항하도록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된 횡방향의 보강철근 또는 철선

 

○ 묻힘길이 ( Embedment length ):철근이 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위험단면으로부터 연장된 철근의 연장길이

 

○ 배력철근 ( Distributing bar ):하중을 분포시키거나 균열을 제어할 목적으로 주철근과 직각에 가까운 방향으로 배치한 보조철근

 

○ 비틀림철근 ( Torsional reinforcement ):비틀림모멘트가 크게 일어나는 부재에서 이에 저항하도록 배치하는 철근

 

○ 연결철근 ( cross-tie ):기둥단면에서 외곽타이 안에 외배치되는 띠철근으로서 한쪽 끝에서는 적어도 지름의 6배 이상의 연장길이(또한 75mm 이상)를 갖는 135°갈고리가 다른 끝에서는 적어도 지름의 6배 이상의 연장길이를 갖는 90°갈고리가 있는 철근(갈고리는 주위의 종방향 철근을 감싸야 하고, 동일한 종방향 철근에 고정된 2개의 연속철근의 90°갈고리는 그 끝이 반대 방향으로 되도록 엇갈려 배치하여야 한다)

 

○ 옵셋굽힘철근 ( Offset bent bar ):상하 기둥 연결부에서 단면치수가 변하는 경우에 배치되는 구부린 주철근

 

○ 원형철근 ( Plain reinforcement ):표면에 리브 또는 마디 등의 돌기가 없는 원형단면의 봉강으로서 KS D 3504(철근콘크리트용 봉강)에 규정되어 있는 철근

 

○ 수축·온도철근 ( Shringkage and temperature reinforcement ):건조수축 또는 온도변화에 의하여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배치되는 철근

 

○ 스터럽 ( Stirrup ):보의 주철근을 둘러싸고 이에 직각이 되게 또는 경사지게 배치한 복부 보강근으로서 전단력 및 비틀림모멘트에 저항하도록 배치한 보강철근

 

○ 이형철근 ( Deformed reinforcement ):표면에 리브와 마디 등의 돌기가 있는 봉강으로서 KS D 3504(철근콘크리트용 봉강)에 규정되어 있는 철근 또는 이와 동등한 품질과 형상을 가지는 철근

 

○ 정착길이 ( Development length ):위험단면에서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를 발휘하는데 필요한 최소묻힘길이

 

○ 조립용철근 ( Erection bar ):철근을 조립할 때 철근의 위치를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보조철근

 

○ 종방향 철근 ( Longitudinal reinforcement ):부재에 길이방향으로 배치한 철근

 

○ 주철근 ( Main reinforcement ):주된 단면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휨모멘트와 축력에 저항하기 위하여 배치하는 철근

 

○ 표준갈고리를 갖는 철근의 정착길이 ( Development length for a bar with a standard hook ):위험단면(철근의 항복강도가 도달되어야 할 단면)과 90°갈고리의 외단 간의 최단길이

 

○ 표피철근 ( Skin reinforcement, surface reinforcement ):전체 깊이가 900mm를 초과하는 휨부재 복부의 양 측면에 부재 축방향으로 배치하는 철근

 

○ 후프철근 ( Hoop ):폐쇄띠철근 또는 연속적으로 감은 띠철근(폐쇄띠철근은 양단에 내진갈고리를 가진 여러 개의 철근으로 만들 수 있음. 연속적으로 감은 띠철근은 그 양단에 반드시 내진갈고리를 가져야 함.)

 

○ 휨철근 ( Flexural reinforcement ):휨모멘트에 저항하도록 배치하는 부재축방향의 철근

 

○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 ( Specified yeild strength of reinforing bar ):외력에 대해 철근과 콘크리트가 일체로 거동하게 하고, 규정된 최소 철근량 이상으로 철근을 배치한 콘크리트:철근콘크리트 부재를 설계할 때 기준이 되는 철근의 항복강도

 

□ 재료 : 콘크리트

 

○ 경량콘크리트 (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 : 0502.2.1의 규정을 따르는 경량골재로 만든 경량콘크리트 또는 모래경량콘크리트(구조용 경량콘크리트)

 

○ 고성능 감수제 ( Super plasticizer ):감수제의 일종으로 소요의 작업성을 얻기 위해 필요한 단위수량을 감소시키고, 유동성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사용하는 혼화재료

 

○ 구조용 경량콘크리트 ( Structural lightweight concrete ):골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인공경량골재를 사용하여 만든 콘크리트로서 재령 28일의 설계기준강도가 15MPa 이상이며, 기건 단위질량이 2,000kg/m3 미만인 콘크리트

 

○ 구조용 콘크리트 ( Structural concrete ):재령 28일의 설계기준강도가 18MPa 이상인 콘크리트

 

○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 Ready mixed concrete ):정비된 콘크리트 제조설비를 갖춘 공장에서 생산되어 굳지 않은 상태로 운반차에 의하여 구입자에게 공급되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

 

○ 모래경량콘크리트 ( Sand lightweight concrete ):잔골재로 자연산 모래를 사용하고, 굵은골재로는 경량골재를 사용하여 만든 콘크리트

 

○ 무근콘크리트 ( Plain concrete ):철근이 배치되지 않았거나 이 구조기준에서 규정하고 있는 최소 철근비 미만으로 배근된 구조용 콘크리트

 

○ 전경량콘크리트 ( All-lighweight concrete ):잔골재와 굵은골재 전부를 경량골재로 대체하여 만든 콘크리트

 

○ 철근콘크리트 ( Reinforced concrete ):외력에 대해 철근과 콘크리트가 일체로 거동하게 하고, 규정된 최소 철근량 이상으로 철근을 배치한 콘크리트

 

○ 건조수축 ( Drying shrinkage ):콘크리트는 습기를 흡수하면 팽창하고 건조하면 수축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습기가 증발함에 따라 콘크리트가 수축하는 현상

 

○ 배합강도 ( Required average concrete strength ):콘크리트의 배합을 정할 때 목표로 하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 Recycled aggregate for concrete ):폐콘크리트의 파쇄·처리를 거쳐 생산된 재생골재 중에서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한 콘크리트용 품질기준을 만족하는 골재 

 

○ 콘크리트 설계기준압축강도 ( Specified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콘크리트 부재를 설계할 때 기준이 되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 크리프 ( Creep ):지속하중으로 인하여 콘크리트에 일어나는 장기변형(기본크리프(basic creep)와 건조크리프(drying creep)로 분류함)

 

○ 탄성계수 ( Modulus of elasticity ):재료의 비례한도 이하의 변형률에 대응하는 인장 또는 압축응력의 비(0503.4.3.1 참조),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는 크게 할선탄성계수 (식(0503.4.1.))과 초기접선탄성계수 (식(0502.2. 18))로 구분되며, 할선탄성계수를 간단히 탄성계수라고도 함. 강재의 경우 철근의 탄성계수 (식(0503.4.5))와 프리스트레싱강재 (식(0503.4.6)) 및 형강 (식(0503.4.7.))로 구분함 

 

○ 피복두께 ( Cover thickness ):콘크리트 표면과 그에 가장 가까이 배치된 철근 표면 사이의 콘크리트 두께

 

□ 골조

 

○ 강성역 ( Rigid zone ):구조체 내부에서 다른 부분에 비해 변형을 무시할 수 있는 부분으로 강체로 볼 수 있는 범위

 

○ 구조트러스 ( Structural trusses ):주로 축력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조립체

 

○ 라멘 ( Rahmen ):여러 개의 직선부재를 강절로 연결한 구조

 

○ 면외좌굴 ( Buckling of outer space ):트러스나 비교적 높이가 큰 보 등의 구조물이 구조물을 포함하는 평면 내의 하중을 받는 경우에 그 변위가 구조물을 포함하는 평면 밖으로(트러스의 복부 부재나 보의 복부판을 포함하는 면에 수직한 방향) 생기는 좌굴

 

○ 모멘트골조 ( Moment Frame ):부재와 접합부가 휨모멘트, 전단력, 축력에 저항하는 골조. 다음과 같이 분류함.

(1) 보통모멘트골조:0501에서 0516의 요구사항들을 만족시키는 현장치기 철근콘크리트 모멘트골조나 프리캐스트콘크리트 모멘트골조

(2) 중간모멘트골조:보통모멘트골조에 대한 요구사항뿐만 아니라 0520.3의 요구사항들을 만족하는 모멘트골조

(3) 특수모멘트골조:보통모멘트골조에 대한 요구사항들과 0520.4, 0520.5, 0520.6까지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현장치기 철근콘크리트 모멘트골조

 

○ 박벽관 ( Thin-walled tube ):비틀림에 대하여 설계할 때 단면의 속이 빈 것으로 가정한 가상의 관

 

○ 버팀재 ( Strut ):격막의 개구부 주위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쓰이는 구조격막의 일부분

 

○ 현부재 ( Chord ):트러스 상하 현부재와 유사하게 구조격막의 가장자리에서 압축 및 인장부재 역할을 담당하는 구조요소

 

□ 부재 : 슬래브

 

○ 구조격막 ( Structural diaphragms ):바닥이나 지붕 슬래브와 같은 관성력을 수평력 저항부재에 전달하는 구조부재

 

○ 리브 쉘 ( Ribbed shells ):리브선을 따라 리브를 배치하고, 그 사이를 얇은 슬래브로 채우거나 또는 비워둔 쉘 구조물

 

○ 리프트 슬래브 구조 ( Lift-slab construction ):지표면에서 슬래브를 시공한 후 슬래브 콘크리트가 굳은 후에 기둥을 따라 제자리에 들어 올려 조립하여 만드는 슬래브 구조

 

○ 비틀림단면 ( Section of torsion ):비틀림에 저항하는 유효단면의 보가 슬래브와 일체로 되거나 완전한 합성구조로 되어 있을 때, 보가 슬래브의 위 또는 아래로 내민 깊이 중 큰 깊이만큼을 보의 양측으로 연장한 슬래브 부분을 포함한 단면으로서 보의 한 측으로 연장되는 거리를 슬래브 두께의 4배 이하로 한 단면 0510.3.1(4) 참조

 

○ 설계변위 ( Design displacement ):내진설계에서 설계지진에 대하여 예상되는 전체 횡변위

 

○ 설계대 ( Strip ):2차원 면 부재인 슬래브의 설계를 단순화하기 위하여 슬래브를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구획한 슬래브, 0510.3.1(2),(3) 참조

 

○ 쉘의 보조부재 ( auxiliary members in shell structures ):쉘을 보강하거나 지지하기 위한 리브 또는 테두리보. 일반적으로 보조부재는 쉘과 결합하여 거동함

 

○ 슬래브 판 ( Slab panel ):모든 변에서 기둥, 보 또는 벽체 중심선에 의해 구획되는 판으로서 설계할 때 축력의 영향을 무시할 수 있는 부재

 

○ 얇은 쉘 ( Thin shells ):두께가 다른 치수에 비해 작은 곡면 슬래브나 절판으로 이루어진 3차원 구조물(얇은 쉘은 기하학적인 형태, 지지 방법 및 작용응력의 성질에 의해 3차원 응력전달 거동이 결정되는 특성을 갖고 있다)

 

○ 2방향슬래브 ( ETwo-way slab ):직교하는 두 방향 휨모멘트를 전달하기 위하여 주철근이 배치된 슬래브

 

○ 1방향슬래브 ( One-way slab ):한 방향으로만 주철근이 배치된 슬래브

 

○ 장선구조 ( Joist construction ):슬래브를 지지하는 작은 보 구조시스템으로서, 장선의 폭은 100mm 이상, 깊이는 장선 최소 폭의 3.5배 이하이고, 장선사이의 순간격은 750mm 이하이며 2방향으로 장선이 배치된 경우를 2방향 장선구조 또는 와플(waffle)구조라고 함

 

○ 전단머리 ( Shear head ):보가 없는 2방향슬래브 시스템에서 전단보강을 위하여 기둥 상부의 슬래브 내에 배치하는 보강재

 

○ 절판 ( Folded plate ):얇은 평면 슬래브들을 굽혀 긴 경간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만든 판 구조

 

○ 주열대 ( Column strip ):2방향 슬래브에서 기둥과 기둥을 잇는 슬래브의 중심선에서 양측으로 각각 0.25과 0.25 중에서 작은 값과 같은 폭을 갖는 설계대. 보가 있는 경우 주열대는 그 보를 포함함

 

○ 중간대 ( Middle strip ):2방향 슬래브에서 2개의 주열대 사이에 구획된 설계대

 

○ 플랫슬래브 ( Flat slab ):보 없이 지판에 의해 하중이 기둥으로 전달되며, 2방향으로 철근이 배치된 콘크리트 슬래브

 

○ 플랫플레이트 ( Flat plate ):보나 지판이 없이 기둥으로 하중을 전달하는 2방향으로 철근이 배치된 콘크리트 슬래브

 

□ 부재 : 보

 

○ 깊은보 ( Deep beam ):순경간 이 부재깊이의 4배 이하이거나 하중이 받침부로부터 부재깊이의 2배 거리 이내에 작용하는 보, 0506.3.4와 0507.8.1 참조

 

○ 브래킷과 내민받침 ( Bracket and corbel ):유효깊이에 대한 전단경간의 비가 1보다 크지 않은 내민보 또는 내민받침 부재

 

○ 압축대 ( Compression strut ):주압축응력이 작용하는 콘크리트 부재 내부의 경로로서 폭이 일정한 스트럿이나 중앙부에 폭이 넓은 병모양으로 이루어진 스트럿-타이 모델의 압축부재

 

○ 압축지배단면 ( Compression-controlled section ):공칭강도에서 최외단 인장철근의 순인장변형률이 압축지배변형률 한계 이하인 단면. 0506.2.2 참조

 

○ 압축철근비 ( Compressive reinforcement ratio ):콘크리트의 유효단면적에 대한 압축철근 단면적의 비

 

○ 유효깊이 ( Effective depth of section ):콘크리트 압축연단부터 모든 인장철근군의 도심까지의 거리

 

○ 유효단면적 ( Effective section area ):유효깊이에 유효폭을 곱한 면적

 

○ 인장지배단면 ( Tension-controlled section ):공칭강도에서 최외단 인장철근의 순인장변형률이 인장지배 변형률 한계 이상인 단면. 0506.2.2 참조

 

○ 인장철근비 ( Tensil reinforcement ratio ):콘크리트의 유효단면적에 대한 인장철근 단면적의 비

 

○ 인장타이 ( Tension tie ):스트럿-타이 모델에서 주인장력 경로로 선택되어 철근이나 긴장재가 배치되는 인장부재

 

○ 전단면 ( Shear plane ):전단력이 작용하는 면으로서 균열면 또는 전단력에 의해 균열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면

 

○ 전단보강근 ( Shear reinforcement ):전단력에 저항하도록 배치한 철근

 

○ 휨부재 ( Flexural member ):축력을 받지 않거나 축력의 영향을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축력을 받는 부재로서 주로 휨모멘트와 전단력을 저항하는 부재

 

○ 적합비틀림 ( Compatibility torsion ):균열의 발생 후 비틀림모멘트의 재분배가 일어날 수 있는 비틀림(재분배된 비틀림모멘트가 다른 하중 전달 경로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는 경우를 가리킨다.):비틀림거동에 대한 부정정구조물에서 비틀림모멘트가 다른 위치로 재분배될 수 있어서 비틀림모멘트를 일정한 값만 고려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비틀림 작용

 

○ T형단면 ( T-beam ):보와 슬래브가 일체로 타설된 경우 슬래브가 양쪽 플랜지를 이루는 보의 단면(한쪽으로만 플랜지를 이루는 보는 반 T형 단면(half T-beam)이라 함.)

 

○ 평형비틀림 ( Equilibrium torsion ):비틀림모멘트의 재분배가 일어날 수 없는 비틀림

 

○ 수평전단 ( horizontal shear ):부재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발생하는 전단

 

□ 부재 : 기둥

 

○ 기둥 ( Column ):지붕, 바닥 등의 상부 하중을 받아서 토대 및 기초에 전달하고 벽체의 골격을 이루는 수직 구조체

 

○ 기둥머리 ( Capital ):2방향 슬래브인 플랫 슬래브나 플랫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기둥의 상단에서 단면적이 증가된 부분

 

○ 기둥밑판 ( Base plate ):기둥 아랫부분에 붙이는 강재판

 

○ 장주효과 ( Slenderness effect ):기둥의 횡방향 변위와 축력으로 인한 2차 휨모멘트가 무시할 수 없는 크기로 발생하여 선형탄성 구조해석에 의한 휨모멘트보다 더 큰 휨모멘트가 기둥에 작용하는 효과. 장주효과가 과도한 경우 좌굴이 발생함. 장주효과의 해석을 수행할 때에는 재료 비선형성, 균열, 부재곡률, 횡이동, 재하기간, 건조수축과 크리프, 지지부재와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야 함

 

○ 좌굴 ( Buckling ):압축력을 받는 기둥 또는 판부재가 안정성에 의해 파괴되는 현상

 

○ 주각 ( Pedestal ):기초 위에 돌출된 압축부재로서 단면의 평균 최소치수에 대한 높이의 비율이 3 이하인 부재

 

○ 확대휨모멘트 ( Magnified moment ):세장한 부재에서 변형을 고려하여 계산한 증가된 휨모멘트

 

□ 부재 : 벽체

 

○ 구조벽 ( Structural walls ):외력에 의한 축력, 전단력, 휨모멘트, 비틀림모멘트 등의 조합력을 받을 수 있는 벽. 전단벽은 구조벽의 하나로서 다음과 같이 분류함.

(1) 보통철근콘크리트구조벽:0501에서 0516의 요구사항들을 만족시키는 벽

(2) 보통무보강콘크리트구조벽:0518의 요구사항들을 만족시키는 벽

(3) 특수철근콘크리트구조벽:0503, 0507 및 0520.1 과 0520.7의 요구사항들을 만족하고 또한 보통철근콘크리트구조벽에 대한 요건들을 만족하는 현장치기 콘크리트구조벽

 

○ 내력벽 ( Bearing Wall ):공간을 구획하기 위하여 쓰이는 수직방향의 부재로서 기둥 대신 중력방향의 힘에 견디거나 힘을 전달하기 위한 벽체

 

○ 비내력벽 ( Nonbearing wall ):자중 이외의 다른 하중을 받지 않는 벽체

 

□ 부재 : 기초

 

○ 앵커 ( Anchor ):기초 또는 콘크리트 구조체에 주각, 기둥 등 다른 부재를 정착하기 위하여 묻어두는 볼트 등을 말하며, 또는 그를 묻어 두는 일

 

○ 온통기초 ( Mat foundation ):건축물 또는 구조물의 밑바닥 전부를 기초판으로 구성한 기초

 

○ 지반지지력 ( Bearing capacity ):지반이 지지할 수 있는 힘의 크기

 

○ 침하 ( Sattlement ):지반, 말뚝 등이 내려앉는 현상

 

○ 확대기초판 ( Spread footing ):상부 수직하중을 하부 지반에 분산시키기 위해 밑면을 확대시킨 철근콘크리트판

 

□ 부재 : 옹벽/지하외벽

 

○ 뒷부벽식 옹벽 ( Counter retaining wall ):옹벽의 안정 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옹벽의 토압을 받는 쪽에 지지벽을 갖는 철근콘크리트 옹벽

 

○ 앞부벽식 옹벽 ( Buttressed retaining wall ):흙과 접하지 않는 쪽에 옹벽의 안정 또는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지지벽을 갖는 철근콘크리트 옹벽

 

○ 전도 ( Overturning ):저판 끝단을 기준으로 작용하는 수평력에 의한 휨모멘트(전도휨모멘트)가 연직력에 의한 휨모멘트(저항휨모멘트)를 초과하여 옹벽 및 벽체 등이 넘어지려는 현상

 

○ 캔틸레버식 옹벽 ( Cantilever wall ):벽체에 널말뚝이나 부벽이 연결되어 있지 않고 저판 및 벽체만으로 토압을 받도록 설계된 철근콘크리트 옹벽

 

○ 활동 ( Sliding ):흙에서 전단파괴가 일어나서 어떤 연결된 면을 따라서 엇갈림이 생기는 경우

 

○ 활동방지턱 ( Base shear key ):옹벽의 활동을 일으키는 수평하중에 충분히 저항할 만큼 큰 수동토압을 일으키기 위해 저판 아래에 만드는 턱 

 

□ 부재 : 아치

 

○ 스프링잉 ( Springing ):아치 부재의 양단부

 

○ 아치리브 ( Arch rib ):아치구조물에서 아치를 보강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뼈대

 

○ 아치의 세장비 ( Slenderness ratio of arch ):아치의 유효경간을 단면의 최소 회전반지름으로 나눈 값

 

○ 아치의 축선 ( Arch axis line ):아치 단면의 도심을 연결한 축선

 

□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

 

○ 곡률마찰 ( Curvature friction ):긴장재를 곡선 배치한 경우 그 곡률에 의해 생기는 마찰

 

○ 긴장재 ( Tendon ):단독 또는 몇 개의 다발로 사용되는 프리스트레싱 강선, 강봉, 강연선

 

○ 긴장재의 릴랙세이션 ( Relexation of tendon ):긴장재에 인장력을 주어 변형률을 일정하게 하였을 때 시간의 경과와 함께 일어나는 응력의 감소

 

○ 덕트 ( Duct ):포스트텐션공법의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를 시공할 때 긴장재를 배치하기 위한 원형의 관

 

○ 부착긴장재 ( Bonded tendon ):직접 또는 그라우팅을 통하여 콘크리트에 부착된 긴장재

 

○ 유효인장력 ( Effective tensile force ):프리스트레스를 준 후 긴장재 응력의 릴랙세이션, 콘크리트의 크리프와 건조수축 등의 영향으로 프리스트레스 손실이 완전히 끝난 후 긴장재에 작용하고 있는 인장력

 

○ 유효 프리스트레스 ( Effective prestress ):모든 응력 손실이 끝난 후의 긴장재에 남는 응력(다만 고정하중과 활하중의 영향은 제외)

 

○ 재킹력 ( Jacking force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에 있어서 긴장재에 인장력을 도입할 때 잭에 의해 콘크리트에 가해지는 일시적인 힘

 

○ 접속장치 ( Coupler ):긴장재와 긴장재 또는 정착장치와 정착장치를 접속시키는 장치

 

○ 정착장치 ( Anchorage device ):긴장재의 끝부분을 콘크리트에 정착시켜 프리스트레스를 부재에 전달하기 위한 장치

 

○ 파상마찰 ( Wobble friction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에 있어서 덕트관이 소정의 위치로부터 약간 어긋남으로써 일으키는 마찰

 

○ 포스트텐셔닝 ( Post-tensioning ):콘크리트가 굳은 후에 긴장재를 인장하고 그 끝부분을 콘크리트에 정착시켜서 프리스트레스를 부재에 도입시키는 방법

 

○ 프리스트레스 ( Prestress ):외력에 의하여 일어나는 인장응력을 소정의 한도로 상쇄할 수 있도록 미리 콘크리트에 도입된 응력

 

○ 프리스트레스 도입 ( Prestress transfer ):긴장재의 인장력을 콘크리트에 전달하기 위한 조작

 

○ 프리스트레스 압축인장역 ( Precompressed tensile zone ):프리스트레싱을 하는 동안에 압축응력을 받았던 단면이 그 후 외부에서 작용한 하중에 의해 인장응력을 받게 되는 부분

 

○ 프리스트레스 힘 ( Prestressed force ):프리스트레싱에 의하여 부재의 단면에 작용하고 있는 힘

 

○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 ( Prestressed concrete : PSC ):외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응력을 소정의 한도까지 상쇄할 수 있도록 미리 계획적으로 압축력을 작용시킨 콘크리트. PS콘크리트 또는 PSC라고 약칭하기도 함

 

○ 프리스트레싱 ( Prestressing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일

 

○ 프리스트레싱 강재 ( Prestressing steel ):프리스트레스를 주기 위하여 쓰이는 강재

 

○ 프리텐셔닝 ( Pre-tensioning ):긴장재를 먼저 긴장한 후에 콘크리트를 치고 콘크리트가 굳은 다음 긴장재에 가해 두었던 인장력을 긴장재와 콘크리트의 부착에 의해서 콘크리트에 전달시켜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방법

 

□ 프리캐스트콘크리트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 Precast concrete : PC ):콘크리트가 굳은 후에 제자리에 옮겨 놓거나 또는 조립하는 콘크리트 부재

 

□ 합성콘크리트

 

○ 강재심부 ( Steel core ):합성기둥의 단면 중앙부에 배치된 구조강재

 

○ 합성구조 ( Composite Structure ) : 하나의 구조부재에 서로 다른 단일 재료를 두 가지 이상 합성하여 사용한 구조형식

 

○ 합성콘크리트 압축부재 ( Composite compressive member ):구조용 강재, 강관 또는 튜브로 축방향을 보강한 압축부재(종방향 철근은 사용할 수도 있고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 합성콘크리트 휨부재 ( Composite concrete flexural members ):현장이 아닌 곳에서 만들어진 프리캐스트 부재와 현장치기 콘크리트 요소로 구성되는 휨부재로서 그 요소가 하중에 대해서 일체가 되어 움직이도록 결합된 부재

 

□ 내진

 

○ 경계부재 ( Boundary element ):축방향 철근과 횡방향 철근으로 보강된 벽이나 격막의 가장자리 부분(경계부재의 두께를 벽이나 격막의 두께보다 반드시 크게 할 필요는 없으며, 0520.6.6 또는 0520.7.8의 조건에 해당할 경우 벽과 격막의 개구부 가장자리 부분에 경계부재를 두어야 한다)

 

○ 구조물의 밑면 ( Base of structure ):지진이 구조물에 직접 가력된다고 보는 수평면(지표면과 반드시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 비탄성해석 ( Inelastic analysis ):평형조건, 콘크리트와 철근의 비선형 응력-변형률 관계, 균열과 시간이력에 따른 영향, 변형 적합성 등을 근거로 한 변형과 내력의 해석법

 

○ 비횡구속골조 ( Sway frame ):횡방향의 층 변위가 구속되지 않은 골조, 0506. 5.2(4) 참조

 

○ 수집재 ( Collector elements ):격막 내의 관성력을 수평력 저항시스템 부재에 전달하는 부재

 

○ 수평력저항시스템 ( Lateral-force resisting system ):풍하중 또는 지진하중 등 수평하중에 저항하도록 배치된 부재 또는 시스템

 

○ 연결재 ( Tie element ):관성력을 전달하거나 또는 기초나 벽 등 건물을 구성하고 있는 부분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재

 

○ 특수경계요소 ( Special boundary elements ):0520.6.6에 따르는 경계요소

 

○ 횡구속골조 ( Non-sway frame ):횡방향으로의 층변위가 구속된 골조(0506.5.2.4 참조)

 

□ 균열

 

○ 부분균열등급 ( Transition between uncracked and cracked section : class T ):프리스트레스된 휨부재의 균열 발생 가능성을 나타내는 등급의 하나로서 사용하중에 의한 인장측 연단응력 가 보다 크고  이하로서 비균열단면과 균열단면의 중간수준으로 거동하는 단면에 해당하는 등급

 

○ 비균열등급 ( Uncracked section : class U ):프리스트레스된 휨부재에서 사용하중에 의한 인장측 연단응력 가  이하로서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단면

 

○ 완전균열등급 ( Cracked section : class C ):프리스트레스된 휨부재의 균열 발생 가능성을 나타내는 등급의 하나로서 사용하중에 의한 인장측 연단응력 가 를 초과하여 균열이 발생하는 단면에 해당하는 등급

 

□ 기타

 

○ 발주자 ( Building official ):구조물의 설계나 시공을 의뢰하는 개인 또는 단체로서, 민간 구조물의 경우에는 건축주, 공공 구조물의 경우에는 발주기관의 장

 

○ 책임구조기술자 ( Qualified structural engineer ):구조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 풍부한 경험과 식견을 가진 구조기술사 또는 동등 이상의 자격을 갖춘 전문가로서, 이 구조기준에 따라 구조물의 구조 설계 및 구조 검토, 구조 감리, 안전진단 등 관련 업무를 책임지고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기술자(0106 참고)

 

제6장 조적식 구조

 

○ 가로줄눈 ( Bed joint ):조적단위가 놓인 수평적인 모르타르 접합부

 

○ 가로줄눈면적 ( Bedded area ):가로줄눈에서 모르타르와 접한 조적단위의 표면적

 

○ 겹 ( Wythe ):두께방향으로 단위 조적개체로 구성된 벽체

 

○ 공칭치수 ( Nominal dimensions ):규정된 부재의 치수에 부재가 놓이는 접합부의 두께를 더한 치수

 

○ 그라우트 ( Grout ):시멘트 성분을 가진 재료와 골재의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적개체의 사이 혹은 속빈 조적개체의 채움용으로 쓰이는 모르타르 혹은 콘크리트

 

○ 기준치수 ( Specified dimensions ):조적조, 조적단위, 접합부와 다른 구조요소의 시공과 제작을 위해 규정된 치수

 

○ 대린벽 ( return wall ):한 내력벽에 직각으로 교차하는 벽

 

○ 면살 또는 살 ( shell ):조적을 쌓기 위한 속빈 블록 개체의 바깥살 부분

 

○ 보강기둥 ( Column, reinforced ):보강재와 조적체가 모두 압축력을 받는 수직부재

 

○ 보강조적 ( Reinforced masonry):보강근이 조적체와 결합하여 외력에 저항하는 조적시공형태

 

○ 블록의 공동 ( Hollow of block ):전체 공동단면적이 967mm2보다 큰 빈 공간

 

○ 블록전단면적 ( Gross area of block ):블록의 수평면의 외곽 4변 안에 있는 면적, 즉 속이 빈 공간 등을 포함한 전체면적

 

○ 비보강기둥 ( Column, unreinforced ):두께에 수직이 되는 수평치수가 두께의 3배를 넘지 않는 수직구조부재

 

○ 세로줄눈 ( Head joint ):수직으로 평면을 교차하는 모르타르 접합부

 

○ 속빈단위조적개체 ( Hollow-masonry unit ):중심공간, 미세공간 또는 깊은 홈을 가진 공간에 평행한 평면의 순단면적이 같은 평면에서 측정한 전단면적의 75%보다 적은 조적단위

 

○ 속찬단위조적개체 ( Solid-masonry unit ):중심공간, 미세공간 또는 깊은 홈을 가진 공간에 평행한 평면의 순단면적이 같은 평면에서 측정한 전단면적의 75% 이상인 조적단위

 

○ 순단면적 ( Net area ):전단면적에서 채워지지 않은 빈 공간을 뺀 면적

 

○ 실제치수 ( Actual dimensions ):규정된 부재의 실측치수

 

○ 유효보강면적 ( Effective area of reinforcement ):보강면적에 유효면적방향과 보강면과의 사이각의 코사인값을 곱한 값

 

○ 조적개체 ( Masonry unit ):규정한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벽돌, 타일, 석재, 유리블록 또는 콘크리트블록

 

○ 테두리보 ( Bond beam ):조적조에 보강근으로 보강된 수평부재

 

○ 프리즘 ( Prism ):그라우트 또는 모르타르가 포함된 단위조적의 개체로 조적조의 성질을 규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시험체

 

○ 환산단면적 ( Transformed area ):기준 물질과의 탄성비의 비례에 근거한 등가면적

 

제7장 강구조

 

○ 1점 집중하중 ( Single-concentrated force ):부재의 플랜지에 직교방향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이나 압축력

 

○ 2점 집중하중 ( Double-concentrated force ):부재의 한쪽 면에 1쌍으로 작용하는 동일한 힘

 

○ 가새 ( Brace ):골조에서 기둥과 기둥 간에 대각선상으로 설치한 사재로 수평력에 대한 저항부재의 하나

 

○ 가새골조 ( Braced frame ):횡력에 저항하기 위하여 건물골조시스템 또는 이중골조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중심형 또는 편심형의 수직트러스 또는 이와 동등한 구성체

 

○ 가새실험체 ( Brace test specimen ):프로토타입의 가새를 모형화하기 위하여 실험에 사용하는 단일의 좌굴방지가새

 

○ 가우징 ( Gouging ):금속판의 뒷면깎기로 용접결함부의 제거 등을 위해 금속표면에 골을 파는 것

 

○ 강도저항계수 ( Resistance factor ):공칭강도와 설계강도 사이의 불가피한 오차 또는 파괴모드 및 파괴결과가 부차적으로 유발하는 위험도를 반영하기 위한 계수, 

 

○ 강도한계상태 ( Strength limit state ):항복, 소성힌지의 형성, 골조 또는 부재의 안정성, 인장파괴, 피로파괴 등 안정성과 최대하중지지력에 대한 한계상태

 

○ 강성 ( Stiffness ):구조부재나 구조물의 변형에 대한 저항성으로써 적용된 하중(혹은 모멘트)에 대한 변위(혹은 회전)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음

 

○ 강재코어 ( Steel core ):좌굴방지가새골조에서 가새의 축력저항요소. 강재코어는 에너지소산을 위한 항복부와 인접요소로 축력을 전달하는 접합부를 포함

 

○ 갭이음 ( Gap connection ):교차하는 지강관 사이에 주강관의 면에서 간격 또는 공간이 존재하는 강관트러스이음

 

○ 거셋플레이트 ( Gusset plate ):트러스의 부재, 스트럿 또는 가새재를 보 또는 기둥에 연결하는 판요소

 

○ 건물사용그룹 ( Building usage ):제3장에 규정된 건축물 및 공작물의 점유 용도에 따른 분류

 

○ 게이지 ( Gage ):파스너 게이지선 사이의 응력 수직방향 중심간격

 

○ 겹침이음 ( Lap joint ):서로 평행하게 겹쳐진 두 접합부재간의 접합부

 

○ 겹침판 ( Doubler ):집중하중에 대하여 내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나 기둥에 웨브와 평행하도록 부착하는 판재

 

○ 경계부재 ( Boundary members ):강재단면과(또는) 수직과 수평보강근으로 보강되어 벽과 다이아프램 가장자리에 배치된 부재

 

○ 계측휨강도 ( Measured flexural strength ):0722의 규정에 따라 수행된 보-기둥 실험시편에서 기둥 외주면에서 계측된 보의 휨모멘트

 

○ 고성능강 ( High performance steel ):일반강에 비하여 강도, 내진성능, 내후성능 등에 있어서 1개 이상의 성능이 향상된 강을 통칭

 

○ 고정용 철근 ( Restraining bar ):합성부재 내의 철근으로 소요하중을 전달하도록 설계되지는 않았지만 다른 철근의 조립을 쉽게 하고 전단보강근을 고정시키는 앵커로 작용하는 철근. 일반적으로 이러한 고정용 철근은 연속되지 않음

 

○ 공칭강도 ( Moniral strength ):하중효과에 저항하기 위한 구조체 혹은 구조부재의 강도(저항계수가 적용되지 않은 값)

 

○ 공칭치수 ( Moniral dimension ):단면의 특성을 산정하는데 적용되도록 인정된 치수

 

○ 공칭하중 ( Moniral load ):건축구조설계기준에서 규정한 하중값

 

○ 공칭휨강도 ( Moniral flexural strength ):구조체나 구조부재의 하중에 대한 휨저항능력으로서, 규정된 재료강도 및 부재치수를 사용하여 계산된 값

 

○ 구속판요소 ( Stiffned element ):하중의 방향과 평행하게 양면이 직각방향의 판요소에 의해 연속된 압축을 받는 평판요소

 

○ 구조요소 ( Structural component ):구조부재, 접합재, 피접합재 또는 집합체

 

○ 구조용강재 ( Structural steel ):건축, 토목, 선박 등의 구조재로서 이용되는 강재. 탄소함유량이 0.6% 이하의 탄소강

 

○ 구조적합시간:합리적이고 공학적인 해석방법에 의하여 화재발생으로부터 건축물의 주요구조부가 단속 및 연속적인 붕괴에 도달하는 시간

 

○ 구조해석 ( Structural analysis )::구조역학의 원리에 근거하여 구조부재 또는 접합부에 작용하는 하중효과를 산정하는 것

 

○ 국부좌굴 ( Local buckling )::부재 전체의 파괴를 유발할 수도 있는 압축판 요소의 좌굴

 

○ 국부크리플링 ( Local crippling )::집중하중이나 반력에 바로 인접한 부분에서 웨브 판의 국부파괴의 한계상태

 

○ 국부항복 ( Local yielding ):부재의 국부적인 영역에서 발생하는 항복

 

○ 국부휨 ( Local bending ):집중인장하중에 의한 플랜지변형의 한계상태

 

○ 그루브용접 ( Groove weld ):접합부재면에 을 만들어(개선하여) 이루어지는 용접

 

○ 극저항복점강 ( Ultra low yield strength steel ):보통의 구조용강재에 비해 항복점이 매우 낮은 강재

 

○ 극한강도 ( Ultimate strength ):부재가 붕괴 또는 파괴에 달할 때의 최대하중 또는 최대응력

 

○ 금속아크용접 ( Metal arc welding ):아크의 고온을 이용하여 모재의 용접부를 가열하고 용가재 또는 용접봉을 용융시켜서 접합하는 방법

 

○ 기둥 ( Column ):주로 축력을 저항하는 구조부재

 

○ 기둥곡선 ( Column curve ):압축력을 받는 기둥의 좌굴강도와 세장비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

 

○ 기둥주각부 ( Column base ):철골 상부구조와 기초 사이에 힘을 전달하는데 동원되는 기둥 하부의 판재, 접합재, 볼트 및 로드 등의 어셈블리를 지칭

 

○ 끼움재, 끼움판 ( Filler ):부재의 두께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판재

 

○ 내진구조 ( Earthquake resistant structure ):지진하중에 대한 안전성, 사용성, 내구성 확보를 목적으로 설계, 시공된 구조물 또는 그 구조형식

 

○ 내진기준 ( Seismic provisions ):0713과 0714 및 0722를 지칭

 

○ 내진설계범주 ( Seismic design category ):0306에 규정된 건물의 내진등급 및 설계응답스펙트럼가속도값에 의해 결정되는 내진설계상의 구분

 

○ 내풍구조 ( Wind resistant structure ):강풍에 견디도록 설계된 구조

 

○ 내화구조 ( Fire safe structure ):화재에 견딜 수 있는 성능을 가진 구조로서 국토교통부령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구조

 

○ 내화시간 ( Fire endurance time ):내화구조성능의 기준이 되며, 화재 시의 가열에 견딜 수 있는 시간. 3시간, 1시간, 30분 등으로 나누어져 있음

 

○ 내후성강 ( Weathering steel ):적절히 조치된 고강도, 저합금강으로써 부식방지를 위한 도막 없이 대기에 노출되어 사용되는 강재

 

○ 냉간성형 ( Cold forming ):강판 또는 대강을 냉간으로 성형하여 제조하는 것

 

○ 네킹 ( Necking ):재료의 인장시험 시 극한하중에 도달하여 시험체가 잘록해지는 부분

 

○ 노출형합성보 ( Unencased composite beam ):강재단면이 철근콘크리트에 완전히 매입되지 않으며 기계적 연결재에 의해 철근콘크리트슬래브나 합성슬래브와 합성적으로 거동하는 합성보

 

○ 다이아프램플레이트 ( Diaphragm plate ):지지요소에 힘을 전달하도록 이용된 면내 전단강성과 전단강도를 갖고 있는 플레이트

 

○ 단곡률 ( Single curvature ):곡률에 반곡이 있는 복곡률에 반대되는 것으로서 1방향의 연속적인 원호를 그리는 변형상태

 

○ 단부돌림 ( End return ):동일 평면상의 모서리 주변까지 연결되는 필릿용접의 길이

 

○ 단부패널 ( End panel ):한 쪽 면에만 인접하는 패널을 갖는 웨브패널

 

○ 단순접합부 ( Simple connection ):접합된 부재 간에 무시해도 좋을 정도로 약한 휨 모멘트를 전달하는 접합부

 

○ 대각가새 ( Diagonal bracing ):골조가 수평하중에 대해 트러스거동을 통해서 저항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배치된(주로 축력이 지배적인) 구조부재

 

○ 대각스티프너 ( Diagonal stiffener ):기둥의 패널존의 한쪽 혹은 양쪽 웨브에서 플랜지를 향해 대각방향으로 설치된 웨브스티프너

 

○ 대주축휨 ( Flexure about the largest principle axis ):비대칭단면의 주축(principle axis) 중에서 큰 값을 갖는 주축에 대한 휨

 

○ 도급업자 ( Contractor ):강구조제작자 또는 강구조설치자를 지칭

 

○ 뒤틀림 ( Warping torsion ):비틀림에 대한 전체저항 중 단면의 뒤틀림에 저항하는 부분

 

○ 뒤틀림파단 ( Distortional failure ):각형 주강관의 사다리꼴형 뒤틀림에 근거한 강관트러스이음의 한계상태

 

○ 뒷댐판 ( Backing plate ):용접에서 부재의 밑에 대는 금속판으로 모재와 함께 용접됨

 

○ 뚫림하중 ( Punching load ):주강관에 수직인 지강관의 하중성분

 

○ 링크 ( Link ):편심가새골조에서, 두 대각가새단부 사이 또는 가새단부와 기둥 사이에 위치한 보의 부분을 칭함. 링크의 길이는 2가새단부 사이 또는 가새와 기둥외주면 사이의 안목거리로서 정의

 

○ 링크전단설계강도 ( Link design strength for shear ):링크의 전단강도 또는 링크의 모멘트강도에 의해 발현 가능한 링크의 전단강도 중 작은 값

 

○ 링크중간웨브스티프너 ( Link intermediate web stiffener ):편심가새골조 링크 내에 설치된 수직 웨브스티프너

 

○ 링크회전각 ( Link rotation angle ):전체 층간변위가 설계층간변위에 도달했을 때, 링크와 링크 외측보 사이의 비탄성 회전각

 

○ 마찰접합부 ( Slip-critical connection ):접합부의 밀착된 면에서 볼트의 조임력이 유발하는 마찰력에 의해 접합된 부재의 저항하도록 설계된 볼트접합부

 

○ 맞댐용접 ( Butt weld ):2개의 판 끝면을 거의 동일한 평면 내에서 맞대어 하는 용접

 

○ 맞춤지압스티프너 ( Fitted bearing stiffener ):지점이나 집중하중점에 사용되는 스티프너로써 지압을 통하여 하중을 전달하기 위하여 보의 한쪽 혹은 양쪽 플랜지에 꼭 맞도록 만든 스티프너

 

○ 매입된 강재 ( Encased steel ):철근콘크리트에 매입된 강재단면

 

○ 매입형 합성기둥 ( Encased composite column ):콘크리트기둥과 하나 이상의 매입된 강재단면으로 이루어진 합성기둥

 

○ 매입형 합성보 ( Encased composite beam ):슬래브와 일체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완전히 매입되는 보 

 

○ 메탈터치이음 ( Metal touch joint ):강재와 강재를 빈틈없이 밀착시키는 것의 총칭. 밀피니시이음(mill finished joint)이라고도 함

 

○ 면내불안정한계상태 ( in-plane instability ):횡좌굴(휨-비틀림좌굴)이 구속된 보가 압축력과 강축휨을 받는 경우에,  영향으로 강축휨모멘트가 확대되어 불안정해지는 한계상태

 

○ 면외좌굴(또는 휨-비틀림좌굴)한계상태 ( out-of-plane buckling ):횡좌굴(휨-비틀림좌굴)이 구속되지 않는 보가 압축력과 강축휨을 받는 경우에 횡좌굴이 발생하는 한계상태

 

○ 면제기둥:특수모멘트골조에 요구되는 요건을 만족하지 않는 기둥

 

○ 면진 ( Base isolation ):건축물의 기초부분 등에 적층고무 또는 미끄럼받이 등을 넣어서 지진에 의한 건축물의 흔들림을 감소시키는 것

 

○ 모멘트골조 ( Moment resisting frame ):부재와 접합부가 휨모멘트, 전단력, 축력에 저항하는 골조로서 보통모멘트골조, 중간모멘트골조, 특수모멘트골조 등으로 분류

 

○ 모멘트연성골조 ( Moment ductile frame ):수평력에 대한 저항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부재와 접합부의 연성을 크게 한 입체골조를 말함

 

○ 필릿용접:용접되는 부재의 교차되는 면 사이에 일반적으로 삼각형의 단면이 만들어지는 용접

 

○ 필릿용접보강:그루브용접을 보강하기 위해 추가된 필릿용접

 

○ 목두께 ( Throat ):용접부가 그 면에서 파단된다고 예상한 단면의 두께

 

○ 물고임 ( Ponding ):평지붕골조의 처짐을 유발하는 물의 고임현상

 

○ 미끄러짐 ( Slip ):볼트접합부에서 접합부가 설계강도에 도달하기 전에 피접합재간에 상대운동이 발생하는 한계상태

 

○ 밀스케일 ( Mill scale ):열간압연과정에서 생성되는 강재의 산화피막

 

○ 밀착조임볼트 ( Snug-tighted bolt ):0710에서 기술된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조임한 볼트

 

○ 밀착조임접합부 ( Snug-tightened connection ):0710에 명시된 바와 같이 견고하게 밀착된 겹으로 연결된 접합부

 

○ 반강접합성접합부 ( Partially restrained composite connection ):상부는 슬래브철근으로 하부플랜지는 시트앵글이나 유사한 방법으로 우력을 제공하여 기둥에 반강접이나 완전합성보로 휨저항하는 접합부

 

○ 반응수정계수 ( Response modification factor ):한계상태설계법(혹은 강도설계법) 수준으로 지진하중을 저감시키는데 사용되는 계수, . 0306 지진하중에 규정된 값 사용

 

○ 변단면재 ( Member of tapered section ):부재의 단면의 형상이나 치수가 길이방향에 따라 변하는 부재

 

○ 변형도경화 ( Strain hardening ):응력을 가해 변형도를 증가시켰을 때 그 인장력이나 강성이 증가하는 현상

 

○ 변형도적합법 ( Strain compatibility method ):각 재료의 응력-변형도 관계와 단면의 중립축에 대한 위치를 고려하여 합성부재의 응력을 결정하는 방법

 

○ 보 ( Beam ):주로 휨모멘트에 저항하는 기능을 갖는 구조부재

 

○ 보단면감소부 ( Reduced beam section ):부재의 특정 부위에 비탄성거동을 유도하기 위해 보단면 일부를 감소시킨 부분

 

○ 보통내진시스템 ( Ordinary seismic system ):설계지진에 대하여 몇몇 부재가 제한된 비탄성거동을 일으킨다는 가정 하에 설계된 내진시스템

 

○ 보통모멘트골조 ( Ordinary moment frame, OMF ):0713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모멘트골조시스템 

 

○ 보통중심가새골조 ( Ordinary concentrically braced frame, OCBF ):가새시스템의 모든 부재가 주로 축력을 받으며, 0713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대각가새골조

 

○ 보통합성전단벽 ( Ordinary RC shear wall with structural steel elements, C-ORCW ):0714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합성전단벽

 

○ 보호영역 ( Protected zone ):제작이나 부대물의 부착 시에 제한을 받아야 하는 부재의 특정영역, 0713참조

 

○ 복곡률 ( Double curvature ):단부모멘트에 의해 부재가 S형태로 변형되는 휨상태

 

○ 부분강접합성접합부 ( Partially reinforced composite connection ):강재기둥과 부분합성보 또는 완전합성보를 접합하며, 상부슬래브의 철근과 하부플랜지의 시트앵글(또는 다른 유사한 접합요소)에 의해 발휘되는 우력으로 휨에 저항하는 접합부

 

○ 부분골조시험체 ( Subassemblage test specimen ):프로토타입 가새의 축변형 및 휨변형을 가장 근접하게 모형화하기 위한 가새, 접합부 및 실험장비의 조합체

 

○ 부분용입그루브용접 ( Partial joint penetration groove weld, PJP ):연결부재의 전체두께보다 적게 내부용입된 그루브용접

 

○ 부분합성보 ( Partial composite beam ):매입되지 않은 합성보로서 그 공칭휨강도가 스터드의 강도에 의해 결정되는 보

 

○ 불완전강접합 ( Partial restrained moment connection ):접합되는 부재 사이에 어느 정도 상대적 회전변형이 발생하면서 모멘트를 전달하는 접합

 

○ 블로홀 ( Blow hole ):용접금속 중에 가스에 의해 생긴 구형의 공동

 

○ 블록전단파단 ( Block shear rupture ):접합부에서 인장파단-전단항복 혹은 인장항복-전단파단이 발생하는 한계상태

 

○ 비가새골조 ( Unbraced frame ):부재 및 접합부의 휨저항으로 수평하중에 저항하는 골조

 

○ 비골조단부 ( Unframed end ):스티프너나 접합부 부재에 의한 회전에 대하여 구속되지 않은 부재의 단부

 

○ 비구속판요소 ( Unstiffened element ):하중의 방향과 평행하게 한쪽 끝단이 직각방향의 판요소에 의해 연접된 평판요소(예:H형강의 플랜지)

 

○ 비균일분포하중 ( Uneven load distibution ):강관접합에서, 피접합재의 단면에 분포하는 응력을 용이하게 산정할 수 없는 하중조건

 

○ 비선형해석 ( Nonlinear analysis ):구조물에 큰 변형이 예상되거나 변형도의 변화가 큰 경우 또는 사용재료의 응력-변형도관계가 비선형인 경우에 이를 고려하여 실제거동에 가장 가깝게 부재력과 변위가 산출되도록 하는 해석

 

○ 비지지길이 ( Unbraced length ):한 부재의 횡지지가새 사이의 간격으로서, 가새부재의 도심 간의 거리로 측정

 

○ 비콤팩트(비조밀)단면 ( Noncompact section ):국부좌굴이 발생하기 전에 압축요소에 항복응력이 발생할 수 있으나 회전능력이 3을 갖지 못하는 단면

 

○ 비탄성해석 ( Inelastic analysis ):소성해석을 포함한 재료의 비탄성거동을 고려한 구조해석

 

○ 비탄성회전 ( Inelastic angle ):실험체의 보와 기둥 또는 링크와 기둥 사이의 영구 또는 소성회전각. 비탄성회전은 실험체변형을 이용하여 산정한다. 비탄성회전은 부재의 항복, 접합부요소와 접합재의 항복 그리고 접합요소와 부재 사이의 미끄러짐 등에 의해 발생한다. 특수 및 중간모멘트골조의 보-기둥접합부에서 비탄성회전은 보중심선과 기둥중심선이 교차하는 한 점에 비탄성작용이 집중한다는 가정을 기초로 산정한다. 편심가새골조의 링크-기둥접합부에서 비탄성회전은 링크의 중심선과 기둥면이 교차하는 한 점에 비탄성작용이 집중한다는 가정을 기초로 산정

 

○ 비틀림좌굴 ( Torsional buckling ):압축부재가 전단중심축에 대해 비틀리는 좌굴모드

 

○ 사양적 내화설계 ( Prescriptive structural design for fire ):건축법규에 명시된 사양적 규정에 의거하여 건축물의 용도, 구조, 층수, 규모에 따라 요구내화시간 및 부재의 선정이 이루어지는 내화설계방법

 

○ 사용성 한계상태 ( Serviceability limit state ):구조물의 외형, 유지 및 관리, 내구성, 사용자의 안락감 또는 기계류의 정상적인 기능 등을 유지하기 위한 구조물의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한계상태

 

○ 사용하중 ( Service load ):사용성 한계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하중

 

○ 상향용접 ( Overhead welding ):머리 위에 있는 부재를 위로 향해서 용접하는 것. 용접선이 거의 수평인 이음에 대하여 밑에서 위로 향하는 자세로 하는 용접

 

○ 샤르피V노치충격시험 ( Charpy V-notch impact test ):시험편을 40mm 간격으로 벌어진 2개의 지지대에 올려놓고 V노치부분을 지지대 사이의 중간에 놓고 노치부의 배면을 해머로 1회 타격을 주어 시험편을 파단시켜 그 때의 흡수에너지, 충격치, 파면율, 천이온도 등을 측정하는 시험

 

○ 서브머지드아크용접 ( Submerged arc welding ):두 모재의 접합부에 입상의 용제, 즉 플럭스를 놓고 그 플럭스 속에서 용접봉과 모재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그 열로 용접하는 방법

 

○ 설계강도 ( Design strength ):공칭강도와 저항계수의 곱, 

 

○ 설계응력 ( Design stress ):설계강도를 적용되는 단면의 특성으로 나눈 값

 

○ 설계지진 ( Design earthquake ):0306에서 규정한 설계응답스펙트럼으로 표현되는 지진

 

○ 설계층간변위 ( Design story drift ):0306에서 규정한 방식에 따라 산정되는 증폭 층간변위(설계지진 내습시 비탄성거동을 감안하여 산정된 변위)

 

○ 설계판두께 ( Design wall thickness ):단면의 특성을 산정하는데 가정되는 각형 강관의 판두께

 

○ 설계하중 ( Design load ):한계상태설계법의 하중조합에 따라 결정되는 적용하중

 

○ 설계화재 ( Design-basis fire ):건축물에 실제로 발행하는 내화설계의 대상이 되는 화재의 크기

 

○ 설계휨강도 ( Design flexural strength ):부재의 휨에 대한 저항력으로, 공칭강도와 저항계수의 곱

 

○ 성능적 내화설계 ( Performance-based structural design for fire ):건축물에 실제로 발생되는 화재를 대상으로 합리적이고 공학적인 해석방법을 사용하여 화재크기, 부재의 온도상승, 고온환경에서 부재의 내력 및 변형 등을 예측하여 건축물의 내화성능을 평가하는 내화설계방법

 

○ 세장비 ( Slenderness ratio ):휨축과 동일한 축의 단면2차반경에 대한 유효길이의 비

 

○ 세장판단면 ( Slender element section ):탄성범위 내에서 국부좌굴이 발생할 수 있는 세장판요소가 있는 단면

 

○ 소성단면계수 ( Plastic modulus ):휨에 저항하는 완전항복단면의 단면계수로서, 소성중립축 상하의 단면적의 중립축에 대한 1차모멘트

 

○ 소성모멘트 ( Plastic moment ):부재에 작용하는 휨모멘트가 완전소성에 도달하여 단면이 전체적으로 항복하는 것

 

○ 소성해석 ( Plastic analysis ):평형조건은 만족하고 응력은 항복응력이하인 완전소성거동의 가정에 근거한 구조해석

 

○ 소요강도 ( Required strength ):한계상태설계 하중조합에 대한 구조해석 또는 0701 내지 0712 및 이 장의 규정에 의해 산정된 구조부재에 작용하는 힘, 응력 또는 변형을 지칭

 

○ 소주축휨 ( Flexure about the smallest principal axis ):비대칭단면의 주축 중에서 작은 값을 갖는 주축에 대한 휨

 

○ 수직스티프너 ( Transverse stiffener ):웨브에 부착하는 플랜지와 직각을 이루는 웨브스티프너

 

○ 순단면적 ( Net area ):볼트구멍 등에 의한 단면손실을 고려한 총단면적

 

○ 스캘럽 ( Scallop ):용접접합부에 있어서 용접이음새나 받침쇠의 관통을 위해 또한 용접이음새끼리의 교차를 피하기 위해 설치하는 원호상의 구멍. 용접접근공이라고도 함

 

○ 스티프너 ( Stiffener ):하중을 분배하거나, 전단력을 전달하거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부재에 부착하는 ㄱ형강이나 판재 같은 구조요소

 

○ 슬롯용접 ( Slot weld ):부재를 다른 부재에 부착시키기 위해 긴 을 뚫어서 하는 용접

 

○ 시방서 ( Specification ):강구조물의 일반설계에 적용되어야 하는 0701에서 0712를 지칭

 

○ 시스템초과강도계수 ( System overstrength factor ):이 절에서 요구하는 증폭지진하중을 산정할 경우 사용되는 계수, . 0306에서 규정된 값을 사용

 

○ 시험접합부 ( Tested connection ):0722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접합부

 

○ 신축롤러 ( Expansion roller ):둥근 강재봉 형태로, 부재의 신축을 수용할 수 있는 지지부

 

○ 실험구성체 ( Test subassemblage ):실험체와 관련실험장치의 조합

 

○ 실험장치 ( Test setup ):실험체를 지지하고 가력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지장치, 재하장비, 횡지지구조 등

 

○ 실험체 ( Test specimen ):프로토 타입을 모형화하기 위하여 실험에 사용하는 골조의 한 부분

 

○ 심 ( Shim ):접촉면이나 지압면 사이에 두께 차이시 공간을 메우기 위해 사용되는 얇은 판재

 

○ 아이바 ( Eyebar ):균일한 두께를 가진 특수한 형태의 핀접합부재로서 핀구멍이 있는 머리와 구멍이 없는 몸체에 거의 동일한 강도를 부여하도록 몸체의 폭보다 크게 단조되거나 산소절단된 머리 폭을 가진 인장부재

 

○ 아크용접 ( Arc welding ):모재와 전극 또는 2개의 전극 간에 생기는 아크열을 이용하는 용접법

 

○ 안전계수 ( Safety factor ):공칭강도와 실제강도 사이의 오차, 공칭하중과 실제하중 사이의 오차, 하중을 하중효과로 변환하는 해석 과정의 불확실성 또는 파괴모드 및 파괴 결과에 따른 위험도를 반영하기 위한 계수, 

 

○ 안정성 ( Stability ):구조부재, 골조 또는 구조체가 하중의 작은 변화 또는 기학적인 변화에도 큰 변위를 발생하지 않고 안정한 평형상태에 있는 경우

 

○ 압연강재 ( Rolled steel ):강을 압연해서 마무리 롤에 의해 막대나 판 등의 각종 형상으로 가공한 강재

 

○ 압축강도 ( Compressive strength ):단순압축력을 받았을 때 최대응력도를 압축강도 또는 압축파괴강도라 함

 

○ 앵커볼트 ( Anchor bolt ):주각이나 토대를 콘크리트기초에 긴결하기 위하여 매입하는 볼트

 

○ 언더컷 ( Undercut ):용접부의 끝부분에서 모재가 패어져 도랑처럼 된 부분

 

○ 에너지흡수능력 ( Energy absorption capacity ):구조물에 소성변형이 생겨 진동에너지의 일부를 열에너지로 해서 구조물이 흡수하는 능력 또는 그 크기

 

○ 엔드탭 ( End tab ):용접선의 단부에 붙인 보조판으로 아크의 시작부나 종단부의 크레이터 등의 결함 방지를 위하여 사용하고 그 판은 제거함

 

○ 역V형가새골조 ( Inverted-V-braced frame ):V형가새골조 참조

 

○ 연강 ( Mild steel ):탄소함유량 0.3% 이하의 탄소강. 구조용강재로 이용됨. 경강에 비해서 신축률이 큼

 

○ 연결보 ( Coupling beam ):인접한 철근콘크리트벽 부재를 연결하여 함께 횡력에 저항하게 하는 강재보 혹은 합성보

 

○ 연단거리 ( Edge distance ):리벳이나 볼트 등의 구멍중심으로부터 피접합재의 연단까지의 거리

 

○ 연마면 ( Miled surface ):기계를 사용하여 평평하고 매끄러운 상태로 만든 면

 

○ 연성 ( Ductility ):항복점 이상의 응력을 받는 금속재료가 소성변형을 일으켜 파괴되지 않고 변형을 계속하는 성질

 

○ 연성모멘트골조 ( Ductile moment resisting frame ):횡력에 대한 저항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부재와 접합부의 연성을 증가시킨 모멘트골조

 

○ 연성한계상태 ( Ductile limit state ):연성한계상태에는 부재와 접합부의 항복, 볼트구멍의 지압변형, 그리고 0713의 폭-두께비 제한을 만족하는 부재의 좌굴이 포함됨. 부재 및 접합부의 취성파괴 또는 접합요소의 좌굴은 연성한계상태에 포함되지 않음

 

○ 연속판 ( Continuity plate ):패널존의 위와 아래에 설치되는 기둥스티프너, 수평스티프너로도 불림

 

○ 열절단 ( Thermally cut ):가스, 플라즈마 및 레이저를 이용한 절단

 

○ 예상인장강도 ( Expected tensile strength ):공칭인장강도 에 를 곱하여 산정되는 부재의 인장강도

 

○ 예상항복강도 ( Expected yield strength ):예상항복응력에 단면적 를 곱하여 산정되는 부재의 인장강도

 

○ 예상항복응력 ( Expected yield stress ):공칭항복강도 에 를 곱하여 산정되는 재료의 항복응력

 

○ 예열 ( Preheating ):균열발생이나 열영향부의 경화를 막기 위해서 용접 또는 가스절단하기 전에 모재에 미리 열을 가하는 것을 말함

 

○ 오버랩이음 ( Overlap connection ):교차하는 지강관이 겹치는 강관트러스이음

 

○ 오일러좌굴하중 ( Euler'sbuckling load ):압축하중을 받는 장주의 탄성좌굴하중

 

○ 완전강접합 ( Fully restrained moment connection ):접합되는 부재 사이에 무시할 정도의 상대회전변형이 발생하면서 모멘트를 전달할 수 있는 접합

 

○ 완전용입그루브용접 ( Complete-joint-penetration groove weld, CJP ):용접재가 조인트두께를 넘어 완전히 용접되는 그루브용접(강관구조 접합부에서는 예외로 한다)

 

○ 완전재하주기 ( Complete loading cycle ):하중 0으로부터 다시 하중이 0이 되는 하나의 사이클로 각각 하나의 양과 음의 최대치가 포함

 

○ 완전합성보 ( Fully composite beam ):충분한 개수의 전단연결재를 사용하여 합성단면의 공칭소성휨강도를 발휘하는 합성보

 

○ 외피 ( Casing ):가새축에 직각방향의 힘에 저항함으로써 강재코어의 좌굴을 방지하는 케이싱. 외피는 이러한 힘을 좌굴방지시스템의 나머지 부분으로 전달하는 수단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외피는 가새의 축방향의 힘에는 전혀 또는 거의 저항하지 않음

 

○ 용입재 ( Filler metal ):용접접합을 구성하는데 첨가되는 금속 또는 합금재

 

○ 용접선 ( Weld line ):긴 용접부를 하나의 선으로 나타낼 때의 가정선을 말한다. 필릿용접 및 맞댐용접의 비드방향을 나타내는 선

 

○ 용접접근공 ( Weld access hole ):뒷받침판 등의 설치를 위한 구멍

 

○ 용착금속 ( Deposited metal ):용접과정에서 완전히 용융된 부분. 용착금속은 용접과정에서 열에 의해 녹은 용입재와 모재로 구성

 

○ 우각부 ( Reentrant ):따내기나 용접접근공에서 오목한 노출면의 방향이 급변하는 절단면

 

○ 웨브좌굴 ( Web buckling ):웨브의 횡방향 불안정한계상태

 

○ 웨브크리플링 ( Web crippling ):보에서 집중하중이나 반력이 작용하는 위치의 웨브재에 발생하는 국부적인 파괴

 

○ 웨브횡좌굴 ( Web sideway buckling ):집중압축력작용점 반대편의 인장플랜지의 횡방향좌굴한계상태

 

○ 윙플레이트 ( Wing plate ):철골주각부에 부착하는 강판으로서 사이드앵글을 거쳐서 또는 직접 용접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에 기둥으로부터의 응력을 전함

 

○ 유공보 ( Perforated beam ):웨브에 관통구멍이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있는 보

 

○ 유효목두께 ( Effective throat thickness ):보강용접을 포함하지 않는 목두께로서 강도상 유효한 부분

 

○ 유효순단면 ( Effective net area ):전단지연의 영향을 고려하여 보정된 순단면적

 

○ 유효좌굴길이 ( Effective length ):압축재 좌굴공식에 사용되는 등가좌굴길이 로서 분기좌굴해석으로부터 결정

 

○ 유효좌굴길이계수 ( Effective length factor ):유효좌굴길이와 부재의 비지지길이의 비

 

○ 응답스펙트럼 ( Response spectrum ):어떤 지진동이 일정한 감쇠정수를 갖는 임의주기의 한 절점계에 작용해서 생기는 최대응답값을 질점계의 주기에 대하여 구성한 것

 

○ 응력 ( Stress ):축방향력, 모멘트, 전단력이나 비틀림 등이 유발한 단위면적당 힘

 

○ 응력집중 ( Stress concentration ):단면의 급변부위, 구멍, 결손부위 등의 주변에서 현저하게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말함

 

○ 이음 ( Splice ):두 부재를 접합하여 단일의 긴 부재를 형성하도록 두 부재의 단부를 연결하는 접합

 

○ 이음부 ( Joint ):2개 이상의 단부, 표면, 가장자리가 접합되는 영역. 사용되는 파스너 또는 용접의 형태와 하중전달방법에 의해 분류됨

 

○ 이중골조시스템 ( Dual system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 구조시스템을 지칭함

    (1) 중력하중에 대해서는 거의 완전한 입체골조가 지지

    (2)최소한 25%의 밑면전단력을 지지할 수 있는 모멘트골조가 콘크리트전단벽, 강판전단벽, 또는 철골가새골조와 함께 횡력을 저항

    (3)전체 횡력을 각 상대강성에 비례하게 배분하여 각각의 시스템을 설계

 

○ 인장강도 ( Tensile strength of material ):재료가 견딜 수 있는 최대인장응력도

 

○ 인장역작용 ( Tension field action ):플랫트러스와 유사하게 전단력이 작용할 때 웨브의 대각방향으로 인장력이 발생하고 수직스티프너에 압축력이 발생하는 패널의 거동

 

○ 인장파단 ( Tensile rupture ):인장력에 의한 파단한계상태

 

○ 인장항복 ( Tensile yielding ):인장에 의한 항복

 

○ 인증접합부 ( Prequalified connection ):0722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접합부

 

○ 임계세장비 ( Critical slenderness ratio ):탄성좌굴과 비탄성좌굴과의 영역의 분계가 되는 세장비를 말함

 

○ 임계용접부 ( Demand critical weld ):0713과 0714의 내진기준에서 별도의 요구조건이 부과된 용접부

 

○ 잔류응력 ( Residual stress ):하중을 제거한 후에도 남아 있는 응력

 

○ 저항계수 ( Resistance factor ):공칭강도와 실제강도 사이의 불가피한 오차 또는 파괴모드 및 파괴결과가 부차적으로 유발하는 위험도를 반영하기 위한 계수, 

 

○ 적용건축기준 ( Applicable building code ):구조물의 설계시 적용되는 상위기준으로서 건교부고시 건축구조설계기준(KBC, Korean Building Code, 이하 이 기준)을 지칭

 

○ 전단연결재 ( Shear connector ):합성부재의 두 가지 다른 재료사이의 전단력을 전달하도록 강재에 용접되고 콘크리트 속에 매입된 스터드, ㄷ형강, 플레이트 또는 다른 형태의 강재

 

○ 전단좌굴 ( Shear buckling ):면내에 순수전단력에 의해 보의 웨브와 같은 판요소가 변형하는 좌굴모드

 

○ 전단중심 ( Shear center ):단면에서 비틀림을 발생시키지 않는 점

 

○ 전단파단 ( Shear rupture ):전단력에 의한 파단한계상태

 

○ 전단항복(뚫림) ( Shear yielding(punching) ):강관접합에서, 지강관이 붙어 있는 주강관의 면외전단강도에 기반한 한계상태

 

○ 전소성모멘트 ( Fully plastic moment ):완전히 항복한 단면의 저항모멘트

 

○ 전이보 ( Transfer girder ):건물 상층부의 골조를 어떤 층의 하부에서 별개의 구조형식으로 전이하는 형식의 큰보

 

○ 전체링크회전각 ( Total link rotation ):링크 한쪽 단부의 상대쪽 단부에 대한 상대 변위(변형되지 않은 링크의 재축의 횡방향으로 측정함)를 링크길이로 나눈 값. 전체링크회전각은 링크 및 링크단부에 접합된 부재의 탄성 및 비탄성변형요소를 모두 포함

 

○ 접촉면 ( Faying surface ):전단력을 전달하는 접합부요소의 접촉된 면

 

○ 접합 ( Joint ):2개 이상의 단부, 표면 혹은 모서리가 접착된 영역. 파스너 혹은 용접의 사용 여부와 하중전달방법에 따라 종류를 나눌 수 있음

 

○ 접합부 ( Connection ):2개 이상의 부재 사이에 힘을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구조요소 또는 조인트의 집합체

 

○ 접합부인증위원회 ( Connection prequalification review panel, CPRP ):내진강구조접합부의 인증을 위하여 책임기관에서 권한을 위임받은 전문가위원회

 

○ 정적항복강도 ( Static yield strength ):변형률효과 또는 관성력효과가 발생치 않게 느린 속도로 진행된 단조가력파괴실험을 기초로 산정된 구조부재 또는 접합부의 강도

 

○ 정적해석 ( Static analysis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정적하중을 받는 구조물에 발생하는 응력의 크기 및 변형상태를 규명하기 위한 해석

 

○ 제진구조 ( Seismic-response controlled structure ):제진구조 중 특히 지진에 대한 흔들림을 억제하는 메커니즘을 설치한 구조

 

○ 조립부재 ( Built-up member ):용접, 볼트접합, 리벳접합으로 제작된 부재

 

○ 조정가새강도 ( Adjusted brace strength ):설계층간변위의 2.0배에 상당하는 변위에서의 좌굴방지가새골조의 가새강도

 

○ 조합응력 ( Combined stress ):휨모멘트와 축력 등 응력이 조합되어 부재내부에 생기는 응력을 말함. 합성응력이라고도 함

 

○ 좌굴 ( Buckling ):임계하중상태에서 구조물이나 구조요소가 기하학적으로 갑자기 변화하는 한계상태

 

○ 좌굴방지가새골조 ( Buckling-restrained braced frame, BRBF ):0713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대각선가새골조로서, 가새시스템의 모든 부재가 주로 축력을 받고, 설계층간변위의 2.0배에 상당하는 힘과 변형에 대해서도 가새의 압축좌굴이 발생하지 않는 골조

 

○ 좌굴방지시스템 ( Buckling-restraining system ):좌굴방지가새골조에서 강재코어의 좌굴을 구속하는 시스템. 좌굴방지시스템에는 강재코어의 케이싱과 접합부를 연결하는 구조요소 모두가 포함된다. 좌굴방지시스템은 설계층간변위의 2.0배에 상당하는 변위에 대해서 강재코어의 횡방향 팽창과 길이방향 수축이 가능하도록 거동하여야 함

 

○ 주강관 ( Chord member ):강관트러스접합의 주강관부재

 

○ 주강관소성화 ( Chord plastification ):강관접합에서, 지강관이 접합된 주강관에서 면외 휨항복선기구에 기반한 한계상태

 

○ 중간내진시스템 ( Intermediate seismic system ):설계지진에 대하여 몇몇 부재가 중간정도의 비탄성거동을 일으킨다는 가정하에 설계된 내진시스템

 

○ 중간모멘트골조( Intermediate moment frame ):0713의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모멘트골조시스템

 

○ 중심가새골조( Concentrically braced frame ):부재에 주로 축력이 작용하는 가새골조. 동심가새골조라고도 함

 

○ 증폭지진하중( Amplified seismic load ):지진하중의 수평성분 에 시스템초과강도계수 를 곱한 것. 지진하중과 지진하중의 수평성분은 0306을 참조

 

○ 지강관( Branch member):강관접합에서 주강관 또는 주요부재에 붙어 있는 부재

 

○ 지레작용( Prying action ):하중점과 볼트, 접합된 부재의 반력 사이에서 지렛대와 같은 거동에 의해 볼트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증폭되는 작용

 

○ 지압( Bearing ):볼트접합부에서 볼트가 접합요소에 전달하는 전달력에 의한 한계상태

 

○ 지압형식볼트접합부( Bearing-type bolt connection ):접합부재에 대한 볼트의 지압으로써 전단력이 전달되는 볼트접합부

 

○ 지진반응수정계수( Seismic response modification coefficient ):지지하중효과를 강도수준으로 감소하는 계수

 

○ 지진하중저항시스템( Seismic load resisting system, SLRS ):스트럿, 컬렉터, 현재, 다이아프램과 트러스 등을 포함한 건물 내의 지진하중저항구조요소의 집합체

 

○ 직접부착작용( Direct bond interaction ):합성단면의 강재와 콘크리트 사이에서 힘이 부착응력에 의해 전달되는 메커니즘

 

○ 집합부재( Collector element ):바닥 다이아프램과 지진하중저항시스템의 부재 사이에 힘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재

 

○ 최소기대사용온도( Lowest anticipated service temperature, LAST ):100년의 평균 재현기간을 기준으로 1시간 평균 최저온도

 

○ 충전형 합성기둥( Filled composite column ):콘크리트로 충전된 사각 또는 원형강관으로 이루어진 합성기둥

 

○ 취성파괴( Brittle failure ):물체가 갖고 있는 강도 이상의 힘을 가할 경우, 변형이 어느 정도 진행이 되다가 급격히 내력이 저하되어 파괴에 이르는 현상

 

○ 층간변위각( Interstory drift angle ):층간변위를 층고로 나눈 값

 

○ 치올림( Camber ):보나 트러스 등 수평부재에서 하중재하 시 생길 처짐을 고려하여 미리 중앙부를 들어 올리는 것

 

○ 커버플레이트( Cover plate ):단면적, 단면계수, 단면2차모멘트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부재의 플랜지에 용접이나 볼트로 연결된 플레이트

 

○ 커튼월( Curtain wall ):비내력벽의 총칭. 일반적으로 칸막이용으로 설치하는 금속패널, 유리, 블록, 콘크리트 기성판 등을 말함

 

○ 콘크리트압괴( Concrete crushing ):콘크리트가 극한변형률에 도달함으로써 압축파괴를 일으키는 한계상태

 

○ 콘크리트충전강관( Concrete filled tube, CFT ):원형강관 또는 각형강관 속에 콘크리트를 충전한 것으로 주로 기둥부재에 쓰임

 

○ 콘크리트헌치( Concrete haunch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하는 합성바닥구조에서 데크플레이트를 절단한 후 간격을 벌림으로써 형성되는 거더 위의 콘크리트단면

 

○ 콤팩트(조밀)단면( Compact section ):완전소성 응력분포가 발생할 수 있고 국부좌굴이 발생하기 전에 약 3의 곡률연성비(회전능력)를 발휘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단면

 

○ 크리플링( Crippling ):집중하중이나 반력이 작용하는 위치에서 발생하는 국부적인 파괴

 

○ 타이플레이트( Tie plate ):조립기둥, 조립보, 조립스트럿의 두 개의 나란한 요소를 결집하기 위한 판재. 두 나란한 요소에 타이플레이트는 강접되어야 하고 두 요소 사이의 전단력을 전달하도록 설계되어야 함

 

○ 탄성해석( Elastic analysis ):구조체가 하중을 제거한 후에 원 위치로 돌아온다는 가정에 근거한 구조해석

 

○ 턴버클( Turn buckle ):와이어로프 등 선재의 긴장용 조임구

 

○ 특수강판전단벽( Special plate shear wall, SPSW ):0713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강판전단벽시스템

 

○ 특수내진시스템( Special seismic system ):설계지진 하에서 몇몇 부재가 상당한 비탄성거동을 일으킨다는 가정 하에서 설계된 내진시스템

 

○ 특수모멘트골조( Special moment frame, SMF ):0713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모멘트골조시스템

 

○ 특수중심가새골조( Special concentrically braced frame, SCBF ):가새시스템의 모든 부재들이 주로 축력을 받고 0713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대각가새골조

 

○ 파괴강도( Fracture strength ):재료가 외력에 의해 파괴할 때의 최대강도를 말한다. 파단강도라고도 함

 

○ 파스너( Fastener ):볼트, 리벳 또는 다른 연결기구 등을 총괄해서 지칭하는 용어

 

○ 패널존( Panel zone ):접합부를 관통하는 보와 기둥의 플랜지의 연장에 의해 구성되는 보-기둥접합부의 웨브영역으로, 전단패널을 통하여 모멘트를 전달하는 영역

 

○ 편심가새골조( Eccentrically braced frame ):0713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대각가새골조로서, 각 가새부재에서 최소한 한쪽 끝이 보-기둥접합부나 다른 쪽 보-가새접합부에서 짧은 거리로 떨어져 편심접합된 골조

 

○ 표면지압판( Face bearing plates ):철근콘크리트벽이나 기둥 안에 묻히는 강재에 접합되는 스티프너로 철근콘크리트의 표면에 위치하여 구속력을 제공하고 하중을 직접 지압에 의해 콘크리트에 전달하는 판

 

○ 표준최소인장강도( Specified minimum tensile strength ):KS에 명시된 재료의 인장강도의 하한선

 

○ 표준최소항복응력( Specified minimum yield stress ):KS에 규정된 재료에 따른 최소항복응력의 하한선

 

○ 품질관리( Quality control ):계약 및 제작·설치 요구사항을 만족시켰음을 입증하기 위해 철골제작자와 설치자가 수행하는 철골공장과 현장의 관리절차

 

○ 품질보증( Quality assurance ):건물주나 그 대리인에게 신뢰를 주기 위해 철골공장과 현장의 행위절차 및 건물주 또는 관리감독자가 수행하는 관리절차

 

○ 품질확보계획( Quality assurance plan ):품질요구사항, 시방서, 계약서류에 구조물이 부합토록 하기 위한 조건, 절차, 품질검사, 재료, 기록 등을 서면으로 기술한 문건. 프로토타입 특수 및 중간모멘트골조, 편심 및 좌굴방지가새골조 등의 건물에 실제로 사용될 접합부 또는 가새의 설계물

 

○ 프로토타입( Prototype ):실제건물의 골조에서 사용되는 접합부, 부재크기 및 강재특성과 그 밖의 설계, 상세와 공사특성

 

○ 프리텐션접합부( Pretensioned joint ):규정된 최소의 프리텐션으로 조여진 고장력볼트접합부

 

○ 플러그용접( Plug weld ):겹치기한 2매의 판재에 한쪽에만 구멍을 뚫고 그 구멍에 살붙이하여 용접하는 방법. 주요한 부재에는 사용하지 않음

 

○ 플레이트거더( Plate girder ):강판과 ㄱ형강 등을 리벳 또는 용접으로 I형의 큰 단면으로 만든 조립보 또는 강판만으로 용접한 용접보

 

○ 피로( Fatigue ):활하중의 반복작용에 따른 균열생성 및 성장한계상태

 

○ 피복아크용접( Shielded metal arc welding, SMAW ):피복아크용접봉을 전극으로 하는 아크용접

 

○ 필러( Filler ):요소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데 사용하는 플레이트

 

○ 하중저항철근( Restraining bar ):소요하중에 저항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배근한 합성부재 내의 철근

 

○ 하향용접( Flat welding ):아래보기 용접

 

○ 한계상태( Limit state ):구조체 또는 구조요소가 사용하기에 부적당하게 되고 의도된 기능을 더 이상 발휘하지 못하는 상태(사용성한계상태) 또는 극한하중지지능력에 도달한 상태(강도한계상태)

 

○ 한계상태설계법( Limit state design method, LSD ):한계상태설계법 하중조합 하에서 부재의 설계강도가 소요강도 이상이 되도록 구조요소를 설계하는 방법

 

○ 한계상태설계법 하중조합( LSD load combination ):한계상태설계법에 적용되는 하중의 조합

 

○ 합성( Composite ):내부힘의 분산에 있어 강재요소와 콘크리트요소가 일체로서 거동하는 조건

 

○ 합성가새( Composite brace ):철근콘크리트에 매입된 강재단면(압연 또는 용접단면) 또는 콘크리트가 충전된 강재단면으로써 가새로 사용되는 부재

 

○ 합성강판전단벽( Composite steel plate shear wall, C-SPW ):면외강성을 제공함으로써 강판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면 혹은 한 면에 철근콘크리트가 부착된 강판으로 이루어지며 0714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벽

 

○ 합성기둥( Composite column ):철근콘크리트가 피복된 강재단면이나 철근콘크리트가 충전된 강재단면을 사용한 기둥

 

○ 합성보( Composite beam ):강재보가 슬래브와 연결되어 하나의 구조물로서 구조적 거동을 할 수 있는 보로서, 노출형합성보와 매입형합성보가 있음

 

○ 합성보통가새골조( Composite ordinary braced frame, C-OBF ):0714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합성가새골조

 

○ 합성부분구속모멘트골조( Composite partially restrained moment frame, C-PRMF ):0714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합성모멘트골조

 

○ 합성슬래브( Composite slab ):데크플레이트에 부착되고 지지된 콘크리트슬래브로, 지진하중저항시스템의 부재 사이에 하중을 전달하는 다이아프램으로 거동하는 것

 

○ 합성전단벽( Composite shear wall ):매입되지 않은 강재단면이나 철근콘크리트에 매입된 강재단면을 경계부재로 갖는 철근콘크리트벽

 

○ 합성중간모멘트골조( Composite intermediate moment frame, C-IMF ):0714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합성모멘트골조

 

○ 합성특수모멘트골조( Composite special moment frame, C-SMF ):0714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합성모멘트골조

 

○ 합성특수전단벽( Special reinforced concrete shear walls composite with structural steel elements, C-SRCW ):0716의 소요조건을 충족하는 합성전단벽

 

○ 합성특수중심가새골조( Composite special concentrically braced frame, C-CBF ):0714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합성가새골조

 

○ 합성편심가새골조( Composite eccentrically braced frame, C-EBF ):0714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합성가새골조

 

○ 항복강도( Yield strength ):응력과 변형의 비례상태의 규정된 변형한계를 벗어날 때의 응력

 

○ 항복모멘트( Yield moment ):부재에 작용하는 휨모멘트가 항복모멘트에 도달하여 단면의 최연단부가 항복하는 것

 

○ 항복응력( Yield stress ):항복점, 항복강도 또는 항복응력 레벨

 

○ 허용강도( Allowable strength ):공칭강도를 안전계수로 나눈 값

 

○ 허용강도설계법( Allowable strength design, ASD ):허용강도설계법 하중조합을 받는 구조요소의 소요강도보다 구조요소의 허용강도가 동일하거나 초과되도록 구조요소를 설계하는 설계법 

 

○ 허용응력( Allowable stress ):허용강도를 단면특성으로 나눈 값

 

○ 현재:각형강관에서 트러스접합부를 통해 연결되는 주요부재

 

○ 형상계수( Shape factor ):단면의 차이에 따른 변화를 고려하기 위한 계수. 부재의 소성모멘트의 항복모멘트에 대한 비로써 부재단면의 형상과 치수에 의하여 결정되는 계수

 

○ 확장록커( expansion rocker ):확장하면서 부재가 지압을 받는 곡면을 가진 지지대

 

○ 확장롤러( expansion roller ):확장하면서 부재가 지압을 받는 롤러

 

○ 회전능력( rotation capacity ):초기항복에서 탄성회전에 대한 비탄성회전의 비

 

○ 횡가새( Lateral bracing ):대각가새, 전단벽 또는 이에 상응하는 방법으로 면내횡방향 안정을 제공하는 부재

 

○ 횡방향스티프너( Transverse stiffener ):웨브에 부착되고 플랜지와 수직을 이루는 웨브스티프너

 

○ 횡방향철근( Transverse reinforcement ):매입형 합성기둥에서 강재코어 주위의 콘크리트를 구속하는 역할을 하는 폐쇄형타이나 용접철망과 같은 철근 

 

○ 횡비틀림좌굴( Lateral-torsional buckling ):휨모멘트가 어떤 값에 달해서 부재가 가로방향으로 처지고 비틀림을 수반하면서 좌굴하는 현상

 

○ 횡좌굴( Lateral buckling ):휨모멘트를 받는 보가 면외하중면에 대해 횡방향으로 좌굴하는 현상

 

○ 횡지지부재( Lateral bracing ):주 골조부재의 횡좌굴 또는 횡비틀림좌굴이 방지되도록 설계된 부재

 

○ 횡하중( Lateral load ):풍하중 또는 지진하중과 같이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

 

○ 휨-비틀림좌굴( Flexural-torsional buckling ):단면형상의 변화 없이 압축부재에 휨과 비틀림변형이 발생하는 좌굴모드

 

○ 휨좌굴( Flexural buckling ):단면의 비틀림이나 형상의 변화 없이 압축부재가 휨에 의해 발생하는 좌굴모드

 

○ 힘( force ):일정 면적에 분포된 응력도의 합

 

○ k영역( k-area ):k영역은 웨브와 플랜지-웨브필렛의 접점으로부터 38mm 만큼 ʻʻkʼʼ 치수를 넘어선 웨브를 포함하는 부분

 

○ K-이음( K-connection ):주강관을 횡단하는 지강관 또는 접합요소의 하중이 주강관의 같은 측면에서 다른 지강관 또는 접합요소의 하중에 의해 평형을 이루는 강관이음

 

○ K형가새골조( K-braced frame ):다이아프램이나 면외지지가 없는 위치에서 기둥과 접합된 가새로 구성된 골조

 

○ SN강재( SN steel ):용접성, 냉간가공성, 인장강도, 연성 등이 우수한 강재

 

○ T-이음( T-connection ):지강관 또는 접합요소가 주강관에 수직이고 주강관의 황방향 하중을 주강관에서 전단에 의해 평형을 이루는 강관이음

 

○ V형가새골조( V-braced frame ):보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한 한 쌍의 대각선가새가 보의 경간 내의 한 점에 연결되어 있는 중심가새골조. 대각선가새가 보 아래에 있는 경우는 역V형가새골조라고도 함

 

○ X-이음( Cross-connection ):주강관을 횡단하는 지강관 또는 접합요소의 하중이 주강관의 반대편 다른 지강관 또는 접합요소의 하중에 의하여 평형을 이루는 강관이음

 

○ X형가새골조( X-braced frame ):한 쌍의 대각가새들이 가새의 중간 근처에서 교차하는 중심가새골조

 

○ Y-이음( Y-connection ):지강관 또는 접합요소가 주강관에 수직이 아니며 주강관을 횡단하는 하중이 주강관에서 전단에 의해 평형을 이루는 강관이음

 

○ Y형가새골조( Y-braced frame ):Y자형의 스템 부분이 링크 역할을 하는 편심가새골조

 

8장 목구조

 

○ 건조사용조건( Dry service condition ):목구조물의 사용중에 평형함수율이 19% 이하로 유지될 수 있는 온도 및 습도 조건

 

○ 경간( Span ):지점의 중심으로부터 다른 지점의 중심까지의 거리

 

○ 경간등급( Span rate ):구조용 목질판재를 목조건축의 덮개재료로 사용할 때에 적용할 수 있는 골조부재의 최대간격으로서 관례적으로 인치 단위로 표시

 

○ 경골목구조( Light-frame wood construction ):주요구조부가 공칭두께 50mm(실제두께 38mm)의 규격재로 건축된 목구조

 

○ 경사면( Slope ):목재의 섬유방향과 0° 또는 90° 이외의 경사각으로 절단된 재면

 

○ 공칭치수( Nominal size ):목재의 치수를 실제치수보다 큰 25의 배수로 올려서 부르기 편하게 사용하는 치수

 

○ 구조용집성재( Structural glued laminated timber ):규정된 강도등급에 따라 선정된 제재목 또는 목재 층재를 섬유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집성·접착하여 공학적으로 특정 응력을 견딜 수 있도록 생산된 제품

 

○ 구조용목질판재( Structural wood-based panel ):합판이나 OSB 등과 같이 구조용으로 사용되며, 목재를 원자재로 하여 제조된 목질판재

 

○ 규격재 또는 1종구조재( Dimension lumber ):공칭두께가 50mm 이상, 125mm 미만(실제두께 38mm 이상, 114mm 미만)이고, 공칭나비가 50mm(실제나비 38mm) 이상인 구조용목재

 

○ 기계등급구조재( Machine stress rated lumber, MSR lumber ):기계적으로 목재의 강도 및 강성을 측정하여 등급을 구분한 목재

 

○ 기둥재 또는 3종구조재( Post and timber ):두께와 나비가 공칭 125mm(실제 114mm) 이상이고, 두께와 나비의 치수 차이가 52mm 미만인 구조용목재

 

○ 끝면나뭇결( End grain ):목재부재의 길이방향(일반적으로 섬유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나뭇결

 

○ 내력벽( Bearing wall ):목구조의 벽체 중에서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지지하는 벽체

 

○ 다락공간( Attic space ):천장과 지붕의 서까래 사이에 확보하여 주거용 또는 저장용으로 사용되는 공간

 

○ 단일부재( Single member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가 인접하여 있지 않고 하나의 부재만을 사용하여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부재

 

○ 단판적층재( Laminated veneer lumber, LVL ):단판의 섬유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배열하여 접착된 구조용목질재료

 

○ 대형목구조( Heavy timber construction ):주요구조부가 공칭치수 125mm×125mm(실체치수 114mm×114mm) 이상의 부재로 건축되는 목구조

 

○ 덮개( Sheathing ):장선, 서까래 또는 스터드 위에 설치하여 이들 부재와 못으로 접합됨으로써 수평 또는 수직 격막구조를 이루고, 그 위에 마감재료가 설치되는 구조용목질판재

 

○ 따냄( Notch ):목재의 표면에 배관, 배선 또는 철물의 설치를 위하여 홈을 판 것

 

○ 바닥격막구조( Floor diaphragm ):횡하중을 골조 또는 벽체 등의 수직재에 전달하기 위한 바닥 또는 지붕틀 구조

 

○ 바닥밑공간( Crawl space ):지하층이 없이 목구조로 1층의 바닥을 시공하는 경우에 목구조바닥의 썩음 방지를 위한 환기와 내부수리 등의 목적을 위하여 바닥 밑에 확보하는 공간

 

○ 박스못( Box nail ):목구조에서 판재와 구조용재 사이의 접합에 많이 사용하며, 동일한 길이의 일반철못보다 지름이 가는 못

 

○ 반복부재( Repetitive member ):3개 이상의 부재가 중심간격 600mm 이하의 간격으로 배치되고, 그 위에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구조체로 덮어져 있음으로써 작용하는 하중을 서로 분담할 수 있는 구조부재

 

○ 방청못( Rustproof nail ):목구조에서 외기에 노출되는 부위에 사용할 수 있도록 표면에 아연도금처리 등을 하여 녹스는 것을 방지한 못

 

○ 방화재료( Fire-protection material ):화재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불연재료, 준불연재료 및 난연재료로 제조된 건축재료

 

○ 배향성 스트랜드보드( Oriented strand board, OSB ) : 강도와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배향성을 부여한 스트랜드형 플레이크로 구성되는 일종의 파티클목질판재제품

 

○ 보재 또는 2종구조재( Beam and stringer ):두께와 나비가 공칭 125mm(실제 114mm) 이상이고, 두께와 나비의 치수 차이가 52mm 이상인 구조용목재

 

○ 보통못( Common nail ):일반적으로 목구조에 많이 사용되고, 철선으로 제조되며, 동일한 길이의 박스못보다 지름이 더 굵은 못

 

○ 섬유주행경사( Slope of grain ):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한 섬유방향의 경사

 

○ 순단면적( Net section area ):목재의 단면에서 볼트 등의 철물을 위한 구멍이나 홈의 면적을 제외한 나머지 단면적

 

○ 스터드( Stud ):경골목구조에서 벽체의 뼈대를 구성하는 수직부재

 

○ 습윤사용조건( Wet service condition ):목구조물의 사용중에 평형함수율이 19%를 초과하게 되는 온도 및 습도 조건

 

○ 실제치수( Actual size ):목재를 제재한 후 건조 및 대패가공하여 최종제품으로 생산된 치수

 

○ I형 장선( I-joist ):플랜지부재와 웨브부재로 구성된 I형 단면으로 제조된 구조용목질재료

 

○ 육안등급구조재( Visually graded lumber ):육안으로 목재의 표면결점(옹이, 갈라짐, 섬유경사, 뒤틀림 등)을 검사하여 등급을 구분한 목재

 

○ 인사이징( Incising ):구조재에 방부제를 깊고 균일하게 침투시키기 위하여 약제처리가 어려운 목재의 재면에 칼자국 모양의 상처를 섬유방향으로 낸 후 방부제를 처리하는 방법

 

○ 재하기간( Load duration ):구조물의 수명기간 중에 특정하중의 최대치(설계하중)가 연속하여 작용하는 것으로 가정되는 기간

 

○ 전통목구조( Traditional wood structures ):주요구조재 사이의 접합부에서 철물을 사용하지 않고 전통공법에 따라 목재끼리의 맞춤에 의해서만 연결하는 목구조

 

○ 절삭축( Cut axis ):목재의 섬유방향과 상대적인 경사면의 방향

 

○ 제재치수( Sawn lumber size ):원목을 제재하여 건조 및 대패가공이 되지 않은 치수

 

○ 직각절삭면( Cross cut section ):목재의 끝면과 같이 섬유방향과 직각으로 절삭된 재면

 

○ 측면나뭇결( Edge grain ):목재부재의 길이방향(일반적으로 섬유방향)에 평행한 측면의 나뭇결

 

○ 층전단( Rolling shear ):합판의 표면에 수직한 면내에 전단력이 작용하는 경우, 전단력의 방향에 직각으로 섬유방향이 배열된 가장 약한 단판 내에서 섬유가 전단파괴되는 현상

 

○ 파스너( Fastener ):목구조에서 목재부재 사이의 접합을 보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못, 볼트, 래그나사못 등의 조임용 철물

 

○ 표면( Surface ):긴 수평보의 윗면, 밑면 및 측면과 같이 목재의 섬유방향과 평행한 재면

 

○ 플랫폼구조( Platform construction ):경골목구조에서 벽체의 스터드가 각 층마다 별도로 구조체로 건축되고 벽체 위에 윗층의 바닥이 올려지고 그 위에 다시 윗층의 벽체가 시공되는 공법

 

○ 피에스엘( Parallel strand lumber, PSL ):목재단판 스트랜드를 평행한 방향으로 접착한 고강도 구조용복합목재로서, 일명 패럴램이라 한다.

 

○ 헤더( Header ):목구조에서 평행하게 배치된 구조부재를 가로질러서 개구부(창, 문, 계단 등)가 설치되는 경우에 개구부에 의하여 끊어지는 구조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좌우측의 부재에 전달하기 위하여 개구부의 양 끝에 평행부재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구조부재

 

○ 홀드다운( Hold down ) : 전단벽체의 상부에 작용하는 수평하중에 따른 상승 모멘트에 저항하기 위해 벽체 하부에 설치하는 철물 또는 장치

 

○ 화염막이( Fire stop ):구조체의 내부공간을 타고 화염이 인접한 구역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조체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부재

 

9장 기타구조

 

0901 막구조

 

○ 막구조 : 자중을 포함하는 외력이 쉘구조물의 기본원리인 막응력에 따라서 저항되는 구조물로서, 휨 또는 비틀림에 대한 저항이 작거나 또는 전혀 없는 구조

 

○ 케이블구조 : 휨에 저항이 작은 구조로 인장응력만을 받을 목적으로 제작 및 시공되는 부재

 

○ 초기 인장력 : 연성 막재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도입하는 초기하중

 

○ 공기막구조 :  공기막 내외부의 압력 차에 따라 막면에 강성을 주어 형태를 안정시켜 구성되는 구조물

 

○ 내압 : 공기막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내부압력

 

○ 막재 : 직포, 코팅재에 따라 구성된 재료. (고무시트 등 구성재가 다른 재료는 고려하지 않음)

 

○ 직포 : 섬유실에 따른 직물 또는 망목상 직물

 

○ 코팅재 : 직포의 마찰방지 등을 위하여 직포에 도포하는 재료

 

○ 인장크리프 : 지속하중으로 인하여 막재에 일어나는 장기변형

 

○ 인장강도 : 재료가 견딜 수 있는 최대 인장응력

 

○ 인열강도 : 재료가 접힘 또는 굽힘을 받은 후 견딜 수 있는 최대 인장응력

 

○ 열판용착접합 : 판을 눌러 막재의 겹치는 부분을 코팅제 또는 해당 부분에 삽입한 용착필름을 용융하여 막재를 압착하는 접합방식

 

○ 봉제접합 : 접합하고자 하는 막재료의 겹친부분을 다른 막재의 단부와 평행하게 봉제하는 접합방식

 

○ 열풍용착접합 : 열풍에 따라 접합하고자 하는 막재의 겹친 부분의 코팅재를 용융하고 압착하여 접합하는 방식

 

○ 고주파용착접합 : 고주파를 이용하여 막재의 겹친부분의 코팅재를 용융하여 막재를 압착하여 접합하는 방식

 

○ 형상해석 : 설계자의 의도와 역학적인 평형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형상을 찾는 일련의 해석과정이며, 막 구조물 및 케이블 구조물과 같은 연성구조물에 적용되는 해석방법

 

0902 부유식 구조

 

○ 건현( freeboard ):부유식 구조물의 중앙에서 수면부터 부유식 함체의 상부 슬래브 위까지 수직으로 잰 거리. 

 

○ 계류시설( mooring facility ):부유구조물이 바람, 유속에 따라 흘러가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시키는 시설

 

○ 밸러스트( ballast ):함체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함체의 바닥에 싣는 물이나 모래 따위의 중량물

 

○ 부유식 건축물( floating building ):대지 대신에 물 위에 뜨는 함체 위에 지어진 건축물

 

○ 부유식 함체( floating pontoon ):자체 부력에 따라 물 위에 뜨는 구조로 된 함체

 

○ 부유식 구조물( floating structure ):부유식 함체 위에 설치되는 부유식 건축물을 포함한 구조물의 총칭

 

○ 저면바닥( bottom slab of floating pontoon ):물과 접촉하는 부유식 함체의 바닥면

 

○ 정온수역( calm waters ):내수면 또는 해수면에서 항시 파고가 1m 이하인 곳을 의미한다.

 

○ 정주형( residential ):거주용도의 건물을 의미하며, 장기 또는 단기 거주로 구분할 수 있다.

 

○ 파랑하중( wave load ):파도에 의해 구조물에 가해지는 하중

 

○ 파압( wave pressure ):파랑에 따라 함체가 물과 접하는 면에 발생하는 압력

 

○ 측벽( side wall of pontoon ):함체에서 물과 접촉하는 외측벽

 

○ 항주파( ship wave ):선박이 항해하면서 생기는 파도

 

○ 흘수( draft ):함체가 떠 있을 때 수면에서 물에 잠긴 함체의 가장 밑 부분까지의 수직 거리

 

.  끝.

출처: https://bmtars.tistory.com/61 [지진:티스토리]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장 공사 용어  (0) 2024.06.22
주식 관련 용어  (0) 2024.05.10
정보통신용어 ㄱ  (0) 2024.04.22
미장 공사 용어  (1) 2024.04.18
공동주택관리법 시행령 제25조(관리비등의 집행을 위한 사업자 선정)  (0) 2024.04.01


       1)덧먹임:   바르기의 접합부 또는 균열의 틈새, 구멍 등에 반죽된 재료를 밀어 넣어 때워 주는 것

       2)라스 먹임:         메탈 라스, 와이어 라스 등의 바탕에 모르타르 등을 최초로 발라 붙이는 것

       3)눈먹임:      인조석 갈기 또는 테라조 현장갈기의 갈아내기 공정에 있어서 작업면의 종석이 빠져나간 구멍 부분 및 기포를 메우기 위해 그 배합에서 종석을 제외하고 반죽한 것을 작업면에 발라 밀어 넣기 채우는 것 

       4)미장두께 :           각 미장층별로 발라 붙인 면적의 평균 바름두께

       5)마감두께 :       바름층 전체의 두께를 말하며, 라스 또는 졸대 바탕일 때는 바탕 먹임의 두께 및 손질바름은 제외 

       6)초벌, 재벌, 정벌바름 :           바름벽은 여러 층으로 나뉘어 바름이 이루어지고 이 바름층을 바탕에 가까운 것부터 초벌바름, 재벌바름,      정벌바름이라 한다. 

       7)고름질:       바름두께 또는 마감두께가 두꺼울 때 혹은 요철이 심할 때 초벌바름 위에 발라 붙여 주는 것 또는 그 바름층

       8)바탕처리 :  요철 또는 변형이 심한 개소를 고르게 손질바름하여 마감두께가 균등하게 되도록 조정하고 균열 등을 보수     하는 것

          - 바탕면이 지나치게 평활할 때에는 거칠게 처리하고, 바탕면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미장바름의 부착이 양호하도록 표면을 처리하는 것

       9)규준대  :          고르기 평탄한 바름면을 만들기 위하여 규준대로 밀어 고르거나 미리 붙여 둔 규준대면에 따라 발라서 요철이    없는 바름면을 형성하는 작업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구조기준 용어  (2) 2024.10.16
주식 관련 용어  (0) 2024.05.10
정보통신용어 ㄱ  (0) 2024.04.22
미장 공사 용어  (1) 2024.04.18
공동주택관리법 시행령 제25조(관리비등의 집행을 위한 사업자 선정)  (0) 2024.04.01

1.초보 주식 용어

-주식

회사 소유권을 여러 개의 종이 쪼가리로 나눈 것.

-주주

주식을 보유한 사람들 각각을 주주라고 함.

-상장

주식 시장에 이름을 올려서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의결권

주주가 해당 회사에 대해 의견을 행사할 수 있는 권리.

-공시

기업이 자신들 기업의 정보를 공식적으로 발표하는 것.

-코스피 시장

삼성전자 같은 대형주 위주 기업들만 모여 있는 주식 시장. 유가증권시장이라고 부르기도 함.

-코스피 200 지수

코스피 주식 중에서도 TOP 1~200위에 속하는 종목으로 구성된 지수.

-코스닥 시장

중소형주 위주 기업들만 모여 있는 주식 시장.

-장외 시장

코스피,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지 않은 주식.

-시가총액

시가총액= 기업의 주식 수 × 주가. 시가총액으로 기업이 얼마나 큰지 알 수 있음. 국내 시가

총액 1위 기업은 삼성전자임.

-불마켓

주식시장 상승장.

-베어마켓

주식시장 하락장.

-어닝 랠리

실적이 예상보다 좋게 나와서 주가가 상승하는 것.

-유동성 랠리

국가가 시중에 돈을 많이 풀어서 주가가 상승하는 것. 코로나 이후 돈을 많이 풀어서 2021

주가가 많이 오른 것이 이에 해당됨.

-박스권

주가 상승 및 하락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만 움직이는 경우 그 범위를 박스권이라고 함.

-펀더멘탈

기업의 기본적인 재무 건전성, 기초 실적 토대 등을 말함.

-조정

하락.

-보통주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보통 주식.

-우선주

보통주보다 배당, 잔여 재산 배분 시 우선권을 가지는 주식.

-공모주

청약을 한 사람들에게 배정하는 새 주식.

-사모주

일반인이 아닌 기업, 법인 등을 모집하는 주식.

-경기방어주

경기 변동과 별 관계 없이 주가가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는 주식.

-경기둔감주

경기 변동에 큰 영향을 받는 주식.

-대형주

시가총액이 큰 주식

-중형주

시가총액이 중간인 주식

-소형주

시가총액이 작은 주식

-가치주

기업의 실제 가치에 비해 주가가 저렴한 주식. 저평가 되어 있음.

-성장주

기업의 미래 가치까지 끌어와서 주가에 반영한 주식. 고평가 된 경우가 많음.

-테마주

정치, 종교, 사회적 이슈에 영향을 받아 주가가 변하는 종목.

-작전주

큰손, 대주주 등이 주가를 인위적으로 조작해서 부당이득을 취하는 종목.

-개인투자자

우리같은 일반 투자자.

-기관투자자

대기업, 회사 등을 말함. 예시로 은행, 보험회사, 증권사 등이 기관투자자에 해당됨.

-외국인 투자자

외국 대기업, 외국 회사 등을 말함. 예시로 전세계 운용사인 블랙록은 외국인 투자자에 해당

.

-어닝 시즌

기업들의 실적이 발표되는 시기.

-어닝 서프라이즈

예상보다 실적이 좋게 나오는 것.

-어닝 쇼크

예상보다 실적이 안 좋게 나오는 것.

2.주식 매매 시 용어

-매매

주식을 사고 파는 행동.

-매수

주식을 사는 것.

-매도

주식을 파는 것.

-배당

주식을 보유할 때 기업이 번 이익을 주주들에게 나눠주는 것. 국내에서는 연 1, 미국에서는

4회 지급하는 경우가 많음.

-HTS

주식을 컴퓨터 상에서 거래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

-MTS

주식을 스마트폰 상에서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상한가

한국에서는 주가가 하루에 30% 이상 못 오르게 하고 있음. 주가가 30% 일 때를 상한가라고

.

-하한가

한국은 주가가 하루에 -30% 이상 하락하지 못하게 하고 있음. 주가가 -30% 일 때를 하한가

라고 함.

-보합세

주가 변화가 거의 없는 상태.

-강보합

주가가 약간 상승했지만 큰 주가 변동은 없는 상태.

-약보합

주가가 약간 하락했지만 큰 주가 변동은 없는 상태.

-액면가

주식 종이 쪼가리에 적혀 있는 회사 정관 상의 1주 당 주가.

-발행가

기업이 실제로 주식을 발행해서 시장에 파는 1주 당 주가.

-시장가

주식 주문을 넣을 때 시장에서 부르는 대로 체결되는 가격.

-지정가

내가 원하는 가격에 주문을 내는 매매 방법.

-시가

당일 주식 시장이 처음 시작될 때의 가격.

-종가

당일 주식 시장이 문을 닫을 때의 가격.

-신고가

오늘 형성한 가장 높았던 주가.

-신저가

오늘 형성한 가장 낮았던 주가.

-52주 신고가

52(=1) 중 새롭게 형성한 가장 높았던 주가.

-전일비

전일에 비해서 주가가 내리거나 오른 정도.

-장중

'주식 시장이 열린 도중' 을 줄인 말. 한국 기준 오전 9~오후 330분이 장중 시간에 해당

.

-위탁매매

우리가 주문증권사 중개코스피, 코스닥에서 주문 이행해줌. , 우리의 주식 주문은

증권사 중개를 통해 체결됨. 따라서 증권사에서 주식을 거래하면 모두 위탁매매에 속하는 것

.

-체결

주식 주문을 넣은 것이 실제로 실행되면 주식이 체결되었다고 함.

-매집

특정 의도를 가지고 주식을 대량으로 사들이는 것.

-투매

손해를 무릅쓰고 주식을 싸게 팔아버리는 것.

-반등

하락하던 주가가 오르는 현상.

-반락

오르던 주식이 일시적으로 하락하는 현상. 급격하게 하락하는 현상을 급락이라고 함.

-오버슈팅

단기간에 급등.

-언더슈팅

단기간에 급락.

-시간외 거래

정규장 전, 후에 주식 거래를 할 수 있는 시간.

-동시호가제도

동시에 호가를 낸 사람들 중 높은 가격을 제시한 사람, 먼저 주문을 한 사람 등 순으로 체결

을 하는 것. 장전 동시호가를 통해 그 날의 시가가 결정됨.

-단일가

투자자들의 주식 주문을 다 모아서 하나의 가격으로 체결하는 것.

-순매수

순매수=매수-매도. 매수가 더 많은 상태를 말함.

-기관화 장세

막대한 돈을 가진 기관들이 업종 대표주를 집중적으로 사들이면서 시장을 주도하는 장세.

-평단가

내가 매입한 주식들의 주식 한 개 당 평균 가격.

-물타기

손실난 주식의 평단가를 낮추기 위해 주식을 추가로 매수하는 것.

-손절매

앞으로 주가가 하락할 것이라 판단해서 손실을 감수하고 주식을 매도하는 것.

-익절

수익을 내면서 주식을 매도하는 것.

-고객예탁금

주식을 사기 위해서 주식 계좌에 넣어 놓은 현금.

-예수금

주식을 사기 위해서 주식 계좌에 넣어 놓은 현금. (=고객예탁금)

-미수금

외상을 낸 돈.

-증거금

주식을 사기 위해서 최소한으로 있어야 하는 돈. 예를들어 주가가 1000원인 경우 증거금률이

80%면 증거금 800원은 있어야 주식을 살 수 있음. 나머지 200원은 미수금이 됨.

-거래량

주식을 거래한 총량.

-거래대금

주식을 거래한 총 금액.

-미수거래(=신용거래)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서 주식을 사는 것.

-반대매매

미수거래를 해서 돈을 기한 내로 못 갚았을 때 내 주식을 증권사가 강제로 처분해서 돈을 갚

아버리는 것.

-평가손익

주식의 손실과 이익 금액. 예를들어 내 계좌에 +10,000원 이라고 빨간색으로 나와 있으면 바

로 팔았을 때 10,000원이 내 이익이 되는 것임.

-평가손익률

평가손익을 비율로 나타낸 것. 예를들어 내 계좌에 +80%라고 되어있다면 내가 80% 수익을

냈다는 의미임.

-매입가액

주식을 사기 위해서 들인 모든 금액의 합. 수수료도 매입가액에 포함됨.

3.주식용어 투자 지표

-PER

주가수익비율. 기업이 번 이익에 비해 주가가 저렴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지표. 고평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음. -EPS

주당 순이익. 기업이 번 총 수익을 주식 개수로 나눈 것.

-PBR

주가순자산비율. 기업의 자산에 비해 주가가 저렴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지표. PER처럼 고평

가 여부를 알 수 있음.

-BPS

주당 순자산가치. 기업의 전체 자산을 주식 개수로 나눈 것.

-ROE

자기자본이익률. 기업이 기업 자신 돈으로 1년 동안 얼마를 벌었는가를 알 수 있는 지표.

-ROIC

투하자본수익률. 기업이 자본()을 투하해서 벌어 들인 수익.

-EV/EBITDA

기업가치가 순수한 영업활동을 통해 번 이익의 몇 배인가를 알 수 있는 지표. EV/EBITDA

2배라면 해당 기업을 시장가격으로 샀을 때 그 기업이 2년간 벌어들인 수익으로 원금을 회수

할 수 있다는 의미임. EV/EBITDA가 낮으면 기업이 저평가 되어 있다는 의미임.

-FCF

잉여현금흐름. 기업이 돈을 벌어서 필요한 곳에 다 투자한 후에도 남아도는 돈.

-NAV

순자산가치. ETF 용어. ETF의 순자산총액을 발행된 ETF 개수로 나누면 순자산가치가 나옴.

-PSR

주가매출비율. 1주 당 차지하는 기업의 매출액과 주가의 비율. PSR이 낮으면 저평가 되어 있

다는 의미. 이익이 잘 안나는 기업에서 PSR로 저평가 여부를 확인함.

4.주식 차트 용어

-캔들 차트

주가를 봉 모양 그래프로 표시해 놓은 것. -양봉

빨간색 캔들 차트. 시가보다 종가가 상승하는 경우 양봉으로 그려짐.

-음봉

파란색 캔들 차트. 시가보다 종가가 하락하는 경우 음봉으로 그려짐.

-갭 상승

전날 종가보다 시가가 높게 형성되어 상승하는 것. -갭 하락

전날 종가보다 시가가 낮게 형성되어 하락하는 것. -추세선

주가 흐름의 방향을 나타내는 선. -지지선

주가가 움직이면서 더 이상 하락하지 않는 지점들을 이어서 그린 선. -저항선

주가가 움직이면서 더 이상 상승하지 않는 지점들을 이어서 그린 선. -이동평균선

예를들어 5일 이동평균선은 5일 간의 주가 평균들을 선으로 이어 그린 것임. 20일 이동평균

, 60일 이동평균선, 120일 이동평균선 등 다양함. -골든크로스

단기이동평균선이 장기이동평균선을 뚫고 올라가는 것. -데드크로스

단기이동평균선이 장기이동평균선을 뚫고 내려가는 것.

5.어려운 주식용어

-공매도

주식을 빌려서 비싼 가격에 팔았다가 주가가 하락하면 사서 주식을 되갚는 것. 여기서 발생하

는 차익은 공매도 투자자가 갖게 됨. 예시로 50,000원에 주식을 팔았다가 30,000원이 될 때

주식을 사서 갚고 나머지 20,000원을 가지는 것임. -환매수

공매도 시 주식을 되사는 것. -숏 커버링

공매도 시 주식을 되사는 것. (=환매수)

-숏 스퀴즈

공매도 시 주가가 추후 더 상승할 것 같아서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 주식을 사서 되갚는 것. -대주거래

증권사를 통해서 주식을 빌리는 것. -대차거래

주식을 빌려주는 사람과 빌리는 사람이 따로 장외에서 별도 계약에 따라 주식 거래를 하는

. -분식회계

기업의 실적이 좋아보이도록 회계 장부를 조작하는 것. -선물

미래 특정된 시점에 주식, 금융상품 등을 거래하자고 지금 현재 약속하는 거래. -현물

그 자리에서 바로 주식, 금융상품 등의 물건을 주고 받는 거래. 참고로 외상으로 물건을 받더

라도 현물 거래가 됨. -마진콜

선물 거래 시 일정 증거금 이상을 충족하도록 함. 근데 증거금이 일정 금액 아래로 떨어지는

경우 돈을 넣어라고 마진콜을 함. -롤오버

선물 거래 만기일을 더 연장하는 것. -옵션

미리 정해 놓은 가격으로 미래 특정 시점에 특정 상품을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 , 매매를

선택할 수 있는 권리. -콜옵션

특정 상품을 살 수 있는 권리. -풋옵션

특정 상품을 팔 수 있는 권리. -네 마녀의 날

주가지수 선물, 주가지수 옵션, 개별주식 선물, 개별주식 옵션 4가지 파생상품의 만기일이 겹

치는 날. 3,6,9,12월 둘째 목요일이 네 마녀의 날에 해당됨.

-프로그램 매매

전산 프로그램으로 수십 종의 주식을 묶어서 매매하는 것. -콘탱고

선물 가격이 현물 가격보다 높은 상태를 말함. 선물 상품은 창고보관비 등 부대비용이 들어

, 따라서 콘탱고 상태가 일반적인 상태라 할 수 있음. -백워데이션

현물 가격이 선물 가격보다 높은 상태를 말함. 일반적이지 않은 상태로 미래 시장이 안 좋아

질 거라 판단한 사람이 많은 경우 백워데이션이 발생함. -서킷 브레이커

주가의 급격한 변동으로 인한 주식 시장 과열 방지를 위해 주식 매매를 강제로 중단하는 것. -사이드카

선물 가격이 급등, 급락할 때 발동되는 제도. -배당락일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 권리가 사라지는 날. -스캘핑

2~3분 정도 만에 매수, 매도를 다 완료하는 초단기 투자법. -데이트레이딩

당일 매수, 매도를 다 하는 단기 투자법. 초 단위, 분 단위 투자를 데이트레이딩이라고 부르기

도 함. -액면분할

주식분할 이라고 말하기도 함. 1개의 주식을 2개 이상의 주식으로 쪼개는 것. -자사주 매입

기업이 자기 자신의 주식을 사는 것. -감자

주식 개수를 줄이는 것. -무상증자

주식을 새로 발행해서 주주들에게 무상으로 주식을 주는 것. -유상증자

주식을 새로 발행해서 돈을 받고 주식을 파는 것.

-턴어라운드

적자를 지속적으로 기록하던 기업의 실적이 좋아지면서 주가도 상승하는 것.

6.주식용어 은어

-개미

우리 같은 일반 개인 투자자. -세력

기관, 외국인 투자자처럼 거대 자금을 가지고 주가를 쥐락펴락하는 존재. -개미털기

기관, 세력이 개인 투자자들이 주식 시장에서 손절하고 떨어져 나가게 유도하는 것. -외계인

외국인 투자자. -어깨

주식을 고점이 아닌 적당히 높은 가격에 파는 것. -떡락

갑작스러운 폭락. -떡상

갑작스러운 폭등. -오버나잇

오늘 주식을 매수하고 밤을 넘겨 다음 날 매도하는 것. -쩜상(=점상)

종가 대비 시초가가 30% 상한가로 시작하는 것. -쩜하(=점하)

종가 대비 시초가가 -30% 하한가로 시작하는 것. -상따

'상한가 따라잡기' 의 약자. 상한가를 기록한 종목에 투자하겠다는 의미임.

-하따

'하한가 따라잡기' 의 약자. 하한가를 기록한 종목에 투자하겠다는 의미임. -따상

상장일에 공모가의 2배로 시초가가 형성된 후 상한가인 30%까지 상승하는 것. -몰빵

자신의 자금을 한 종목에 싹 다 투자하는 것. -총알

현금. -물리다

투자한 종목이 고점일 때 샀는데 주가가 하락해서 팔지 못하고 있는 상태. -홀딩

말 그대로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것. -슈팅

주가가 빠른 폭으로 움직이는 것. -잡주

실적이 안 좋아서 주식 시장에서 나쁘게 평가 받는 종목. -동전주

주가가 1,000원 미만인 주식. -설거지

세력이 고점에 수익실현을 함. → 주가가 약간 하락하면 개미들이 저점이라 판단해서 주식을

매수함. → 개미들의 매수로 주가가 약간 오르면 세력이 나머지 물량을 팔아 치움.(이게 설거

) → 주가가 더 하락하고 개미들은 손실을 입게 됨. -던지다

매도하다. -상투

고점. -우주방어

주가가 하락하지 않도록 기를 쓰고 막는 것.

-무포

종목을 보유하지 않고 현금만 100%로 가지고 있는 경우

-털리다

이미 매도했던 종목이 상승하는 경우

-소화하다

팔려고 내 놓은 주식을 모두 사서 주가 하락을 방어했다는 의미. -매집

낮은 주가에 물량을 모으는 행위

-패닉셀

공포심에 의해서 주식을 팔아버리는 것. -

주식을 매수 및 매도했던 가격대. 예를들어 삼성전자 5층에 매수했다는 말은 5만 원대에 매수

했다는 의미. -인간지표

살 때 고점이고 팔 때 저점인 경우를 지칭하는 말. -정찰병

투자하려는 주식에 소액 투자를 함으로서 간을 보는 것. -관종

관심종목

-대놓기

현재 호가보다 훨씬 더 낮은 가격에 매수 및 매도 주문을 걸어 놓는 것. -재료

주가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 -모멘텀

주가가 상승하기 위한 원동력. -추매

추가매수의 줄임말로 추가로 주식을 산다는 말. -뇌동매매

아무 근거 없이 충동적으로 주식을 매매하는 것.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구조기준 용어  (2) 2024.10.16
미장 공사 용어  (0) 2024.06.22
정보통신용어 ㄱ  (0) 2024.04.22
미장 공사 용어  (1) 2024.04.18
공동주택관리법 시행령 제25조(관리비등의 집행을 위한 사업자 선정)  (0) 2024.04.01

가상 메모리: "virtual memory" 참조.
 
가상 워크그룹: 스위칭 허브에서 사용하는 필터링 기술. 주로 그룹의 시큐리티와 대역 확보에 사용하며, 워크그룹을 초월하는 프레임을 폐기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보통 워크그룹을 초월하는 통신을 실행하고자 할 때에는 라우터로 워크그룹 간을 접속한다. 버추얼 LAN과 유사하나, 버추얼 LAN은 콜리전 도메인을 논리화할 때의 호칭으로도 사용하는데 반해 가상 워크그룹은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의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가입자선의 전송 로스: 메털 케이블이 지닌 인피턴스로 인해 발생하는 로스. 가입자선이 길수록 증가한다. 가입자선의 길이는 대도시에서는 500m~1km정도, 교외에서는 1km~2km 정도이다.
 
간선계의 전송 로스: 단말국 교환기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므로, 중계부분의 영향은 받지 않는다. 주로 교환기가 신호처리하는 단계에서 발생한다.
 
경쟁적 액세스 사업자: CAP;Compatitive Access Providers의 약자. 바이패스업자라고도 한다. 도시 등 일정 지역내에서 한정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들의 속칭. 전화교환서비스는 제공하지 못하고 단지 전용서비스만 제공한다. 장거리 통신사업자의 우회회선(변동회선)을 RBOC(벨계 지역전화회사)를 대신해서 제공하면서 바이패스업자라고도 부른다. CAP(경쟁적 우회회선 제공자)라는 호칭은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가 부여했다.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파이버 시스템즈, 텔레포트 커뮤니케이션즈 그룹 등이 유명하다.
 
경합서비스: 미국 LQSS사의 글로벌 스타, TRW사의 오디세이 , 인말샛의 프로젝트21 등 저궤도 주회위성을 복수(각각 48개, 12개, 약 40개) 사용한 이동통신서비스가 계획되고 있다. 서비스 개시는 98년으로 예상.
 
고속·광대역 광파이버 네트워크 정비: 미국의 앨고어 부통령은 1991년 12월 학술연구용 네트워크 축을 위한 법률 'HPC 법(High Performance Computing Act)'을 성립시켜 이 법률에 따라 광파이버를 이용한 고속·광대역 네트워크의 구축을 추진해왔다. 이것이 'HPCC(High Performance Computing and Communication) 계획'이다. 동 계획에는 초고성능 컴퓨터 개발, 그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알고리즘 개발(ASTA), 컴퓨터 분야의 연구지원(BRHR), 전미국연구자교육 네트워크 구축(NREN) 등 4개 프로그램이 있다. 그 중 NREN은 45Mbps의 광파이버 네트워크(94년까지는 Gbps 급의 고속.광대역화 추진)를 기간망으로 미국 전역의 슈퍼컴퓨터를 대학이나 도서관 등과 연결하는 계획이다.
 
공전공: 공중망-전용선-공중망의 형태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 장거리전화시 사내의 전용 네트워크를 사용하면 양방의 시내요금만으로 가능하다.
 
관문국: 관할지역내 단말기의 속성(특성)기록, 호의 설정, 요금부과를 위한 통화기록, 지상계 전화망(PSTN)과의 접속 등의 기능을 갖는다.
 
광대역 ISDN: B-ISDN;Broadband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의 약자. 고속·광대역의 공중 디지털 네트워크.
 
광파이버 케이블: 광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머리카락 크기의 세밀한 유리섬유. 광을 전파하는 코어가 중심에 있고 그 주위를 크랫도가 동심원 형태로 싸고 있다.
 
구성관리: 네트워크 전체의 구성상황을 일원적으로 파악, 자원의 구성제어나 상태제어 등도 행한다.
 
국가 연구·교육 네트워크: NREN;National Research and Education Network. 미국 정부가 국가 로젝트로 추진하는 고성능 정보통신 시스템인 HPCC(High Performance Computing and Communications)의 핵심이 되는 초고속 네트워크. HPCC의 또 하나의 핵인 고성능 컴퓨터 시스템(HPCS:High Performance Computer System)과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Gbps의 네트워크를 전국 규모로 구축한다. 컴퓨터와 통신시스템 분야에서 미국의 기술적 우위성을 강화하는 것이 최대목표이다.
 
그룹웨어: 여러 유저가 공동으로 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만들어진 소프트웨어. LAN 등의 네트워크로 접속한 PC 등을 이용하는 것이 전제.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장 공사 용어  (0) 2024.06.22
주식 관련 용어  (0) 2024.05.10
미장 공사 용어  (1) 2024.04.18
공동주택관리법 시행령 제25조(관리비등의 집행을 위한 사업자 선정)  (0) 2024.04.01
[민법] 계약의 종류  (0) 2024.03.22

2018년부터  ‘미장ㆍ방수ㆍ조적공사업’ 명칭이  ‘습식ㆍ방수공사업’으로 대체된다.

1.미장공사 용어

       1)덧먹임 :  바르기의 접합부 또는 균열의 틈새, 구멍 등에 반죽된 재료를 밀어 넣어 때워 주는 것

       2)라스 먹임 :  메탈 라스, 와이어 라스 등의 바탕에 모르타르 등을 최초로 발라 붙이는 것

       3)눈먹임 :   인조석 갈기 또는 테라조 현장갈기의 갈아내기 공정에 있어서 작업면의 종석이 빠져나간 구멍 부분 및 기포를 메우기 위해 그 배합에서 종석을 제외하고 반죽한 것을 작업면에 발라 밀어 넣기 채우는 것 

       4)미장두께 :   각 미장층별로 발라 붙인 면적의 평균 바름두께

       5)마감두께 :   바름층 전체의 두께를 말하며, 라스 또는 졸대 바탕일 때는 바탕 먹임의 두께 및 손질바름은 제외 

       6)초벌, 재벌, 정벌바름 :    바름벽은 여러 층으로 나뉘어 바름이 이루어지고 이 바름층을 바탕에 가까운 것부터 초벌바름, 재벌바름,   정벌바름이라 한다. 

       7)고름질:   바름두께 또는 마감두께가 두꺼울 때 혹은 요철이 심할 때 초벌바름 위에 발라 붙여 주는 것 또는 그 바름층

       8)바탕처리 : 
         - 요철 또는 변형이 심한 개소를 고르게 손질바름하여 마감두께가 균등하게 되도록 조정하고 균열 등을 보수  하는 것
         - 바탕면이 지나치게 평활할 때에는 거칠게 처리하고, 바탕면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미장바름의 부착이 양호하도록 표면을 처리하는 것

       9)규준대 : 고르기 평탄한 바름면을 만들기 위하여 규준대로 밀어 고르거나 미리 붙여 둔 규준대면에 따라 발라서 요철이 없는 바름면을 형성하는 작업

    2.미장공사 구성재료

       1)결합재

          시멘트, 플라스터, 소석회, 벽토, 합성수지 등으로서, 잔골재, 종석, 흙, 섬유 증 다른 미장재료를 결합하여  경화시키는 재료를 말한다.

       2)혼화재료

          주재료 이외의 재료로서 반죽할 때 필요에 따라 마장재료의 성분으로서 첨가하는 재료로, 혼화재료에는 혼화제와 혼화재가 있다.

       3)골재

          - 모래: 유해한 양의 먼지, 흙, 유기불순물, 염화물 등을 포함하지 않아야 하고, 내화성 및 내구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모래의 최대크기는 바름두께에 지장이 없는 한 큰 것으로서, 바름두께의 반 이하로 한다.

          - 종석: 인조석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여러가지 종류의 작은 돌로 종석재(대리석, 기타 쇄석) 색상 등을 검토하고, 종석의 크기는 체로 쳐서 정확한 입도인 것을 물씻기하여 사용한다.

        4)물

           비빔용수는 상수도 또는 시방서에 적합한 것으로 한다.

        5)보강재료

           바름성질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여물, 해초풀, 수염, 기타 섬유류 등을 사용한다.

        6)보조재료

           - 줄눈대: 바닥용은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으로 미장재료와 시공되는 위치에 적정한 것으로 하며, 옥상바닥  등 신축에 대응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플라스틱 줄눈대는 콘크리트나 시멘트 모르타르가 경화한 후 제거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것으로 한다. 

           - 흡수조정재: 바탕의 흡수 조정이나 기포발생 방지 등을 주목적으로 이용하는 흡수조정제는 내알칼리성이  있고, 내수성이 좋은 합성수지 에멀션으로 광물질계 충전재 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관련 용어  (0) 2024.05.10
정보통신용어 ㄱ  (0) 2024.04.22
공동주택관리법 시행령 제25조(관리비등의 집행을 위한 사업자 선정)  (0) 2024.04.01
[민법] 계약의 종류  (0) 2024.03.22
자동차 용어  (0) 2024.03.19

공동주택관리법 시행령

[시행 2022. 12. 11.] [대통령령 제33045호, 2022. 12. 9., 일부개정]

제25조(관리비등의 집행을 위한 사업자 선정) ① 법 제25조에 따라 관리주체 또는 입주자대표회의는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라 사업자를 선정(계약의 체결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하고 집행해야 한다.  <개정 2017. 1. 10., 2021. 1. 5., 2021. 3. 30.>

1. 관리주체가 사업자를 선정하고 집행하는 다음 각 목의 사항

가. 청소, 경비, 소독, 승강기유지, 지능형 홈네트워크, 수선ㆍ유지(냉방ㆍ난방시설의 청소를 포함한다)를 위한 용역 및 공사

나. 주민공동시설의 위탁, 물품의 구입과 매각, 잡수입의 취득(제29조의3제1항 각 호의 시설의 임대에 따른 잡수입의 취득은 제외한다), 보험계약 등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사항

2. 입주자대표회의가 사업자를 선정하고 집행하는 다음 각 목의 사항

가. 법 제38조제1항에 따른 하자보수보증금을 사용하여 보수하는 공사

나. 사업주체로부터 지급받은 공동주택 공용부분의 하자보수비용 을 사용하여 보수하는 공사

3. 입주자대표회의가 사업자를 선정하고 관리주체가 집행하는 다음 각 목의 사항

가. 장기수선충당금을 사용하는 공사

나. 전기안전관리(「전기안전관리법」 제22조제2항 및 제3항에 따라 전기설비의 안전관리에 관한 업무를 위탁 또는 대행하게 하는 경우를 말한다)를 위한 용역

② 법 제25조제1호에 따른 전자입찰방식에 대해서는 제5조제1항을 준용한다.

③ 법 제25조제2호에서 "입찰의 방법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방식"이란 다음 각 호에 따른 방식을 말한다.  <개정 2017. 8. 16.>

1.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경우 외에는 경쟁입찰로 할 것. 이 경우 다음 각 목의 사항은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다.

가. 입찰의 절차

나. 입찰 참가자격

다. 입찰의 효력

라. 그 밖에 사업자의 적정한 선정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2. 입주자대표회의의 감사가 입찰과정 참관을 원하는 경우에는 참관할 수 있도록 할 것

④ 입주자등은 기존 사업자(용역 사업자만 해당한다. 이하 이 항에서 같다)의 서비스가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에는 전체 입주자등의 과반수의 서면동의로 새로운 사업자의 선정을 위한 입찰에서 기존 사업자의 참가를 제한하도록 관리주체 또는 입주자대표회의에 요구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주체 또는 입주자대표회의는 그 요구에 따라야 한다.


기출 문제

2016년

주택법령상 입주자대표회의가 사업자를 선정하고 집행하는 사항은?

정답 : 하자보수보증금을 사용하여 직접 보수하는 공사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통신용어 ㄱ  (0) 2024.04.22
미장 공사 용어  (1) 2024.04.18
[민법] 계약의 종류  (0) 2024.03.22
자동차 용어  (0) 2024.03.19
자동차 용어  (0) 2024.03.19

1.쌍무계약:

더보기

당사자 쌍방이 서로 대가적 의미를 가지는 채무를 부담하게 되는 계약
(매매, 교환, 임대차, 고용,
 도급 계약등)  

2.편무계약:

더보기

당사자의 일방만이 채무를 부담하거나, 쌍방이 채무를 부담하더라도 그 채무자가 서로 대가적 의미를  갖지 않는 계약 (증여, 사용대차, 현상광고, 무이자소비대차 등)

3.유상계약:

더보기

계약의 전과정을 통하여 볼 때, 계약당사자가 서로 대가적 의미를 가지는 재산상 출연을 하는 계약
(쌍무계약 전부, 현상광고)
  현상광고(懸賞廣告)는 광고자(廣告者)가 어떠한 지시행위(指示行爲)를 한 자에게 일정한 보수를 지급할 것을 표시하고, 이에 응한 자(응모자)가 그 광고에 정한 행위를 함으로써 성립하는 계약(675조)이다. 예를들면 수배자를 신고하면 돈을 준다 . 현상광고는 유상·편무계약이며, 민법이 인정하는 유일한 요물계약이다. 

4.무상계약:

더보기

계약당사자의 일방만이 급부를 하거나, 당사자 쌍방이 급부를 하더라도 그 급부 사이에 대사적 의미가 없는 계약 (증여, 사용대차, 무이자소비대차, 무상임치 등) 

5.낙성계약:

더보기

당사자의 합의만으로 성립하는 계약 (현상광고를 제외한 모든 전형계약)

6.요물계약:

더보기

당사자의 합의 외에 당사자의 일방이 물건의 인도 기타의 급부를 하여야만 성립하는 계약 (현상광고)

7.계속적 계약:

더보기

계약의 효과로서 발생하는 급부를 계속적으로 이행하여야 하는 계약으로 일정한 기간 동안 반복하여 급부할 것을 내용으로 하는 희귀적 급부계약도 계속적 계약의 일종이다 (사용대차, 소비대차, 임대차, 고용, 위임 등)
사용대차(使用貸借)는 당사자의 일방(貸主)이 상대방(借主)에게 무상으로 사용·수익하게 하기 위하여 목적물을 인도할 것을 약정하고 상대방은 이를 사용·수익한 후 그 물건을 반환할 것을 약정함으로써 성립하는 계약이다.
소비대차: 돈이나 쌀 등을 빌려 소비하고, 나중에 다른 돈이나 쌀로 갚는 경우와 같다. 차주(借主)가 빌린 물건 그 자체를 반환하지 않고 다른 동종·동질·동량의 것으로 반환하는 점에서 사용대차나 임대차와 구별된다.

8.일시적 계약:

더보기

급부를 일회적으로 이향하면 되는 계약 (매매, 증여, 교환)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장 공사 용어  (1) 2024.04.18
공동주택관리법 시행령 제25조(관리비등의 집행을 위한 사업자 선정)  (0) 2024.04.01
자동차 용어  (0) 2024.03.19
자동차 용어  (0) 2024.03.19
창호 용어2  (0) 2024.03.19


  자동차 용어 

■ 4WD(4 Wheel Drive : 4륜구동)
험로주행이나 스포츠주행을 위한 차량의 구동방식으로 네바퀴가 모두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된다. 항시4륜구동(AWD)와 일시4륜구동으로 나뉜다.

■ ABS(Anti-lock Brake System)
브레이크 밀림방지 장치 

■ AQS (air quality system)
공기 오염도가 높은 지역을 지나갈 때, 운전자가 별도의 스위치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외부 공기의 유입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장치.

■ ASR(Acceleration Skid Control)
 우리말로 풀이하면 가속시 미끄러짐 방지장치다. 1987년 최초로 소개된 ASR은 급출발시 구동바퀴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면 즉시 자동으로 엔진을 출력을 저하시킴과 동시에 구동바퀴를 제동한다. ASR은 가속시 모든 속도범위내에서 보다 나은 성능을 발휘하며, 또한 ABS와 결합해 가격 및 중량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ATS (Air Temperature Sensor)
에어클리너 흡기부에 장착되며,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ECU로 하여금 분사되는 연료의 양을 결정하게 한다.

■ AUX단자
오디오에 CDP, MP3등의 외부기기를 연결하여 음악을 들을 수 있도록 해주는 단자. 일반적으로 이어폰단자와 같은 크기이며 연결하기 위해선 양쪽이 모두 숫놈인 케이블을 별도구매해야 한다.

■ AWD(All Wheel Drive : 항시 4륜구동)
상황에 따라 2륜구동으로 동작하는 4WD와 구별하기 위한 용어.

■ BAS(Brake Assist System)
브레이크 보조장치는 비상시에 운전자의 갑작스러운 제동장치 작동을 보정해 준다. 이 장치의 개발은 운전자들이 급제동을 하더라도 브레이크 페달 약하게 밟는 경향이 많다는 것에서 착안, 차의 상태가 비상제동임을 파악하면 브레이크 부스터의 모든 동력을 모아서 즉시 페달 압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실험을 통해 브레이크 보조장치는 100km/h로 주행중 급제동시 제동거리를 73m에서 43m로 줄일 수 있었다고 한다. 현재 벤츠의 모든 승용 모델에는 BAS가 기본으로 장착된다.

■ BCPS(Balanced Canister Purge Solenoid)
캐니스터에 저장되어 있는 증발가스를 Intake Manifold로 유입시키며 차량의 운전 상태에 따라 On/Off 또는 Duty 제어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 BL(Bow Line)
설계분야에서 주로 사용하는 용어로 차량의 횡축을 말함.
통상 차량의 중심을 "0"으로 설정하고 차량의 좌우를 향하는 축을 말한다.
즉, 차량의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가면서 BL+ 수치를 나타내게 된다.
이와 유사한 Line은 TL(Transverse Line), WL(Water Line)이 있다.

■ BOM(Bill of Material)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그 제품의 부품구성표를 말한다.
한 모델의 차량을 차량을 생산하려면 그 차량을 구성하는 각종 부품 및 원부자재를 리스트로 만들게 되는데 이것을 BOM 이라고 한다.
이 BOM에는 엔지니어링 측면의 E-BOM 과 생산/자재 측면의 P-BOM으로 구분하여 사용하기도 하고 통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 Buy-Off
신차 개발을 완료한 후 최고경영자가 신차에 대한 차량 평가를 실시하고 최종 양산/판매 여부를 결정하는 행위를 말한다.

■ C/F (Checking Fixture)
일반계측기로 검사 관리가 어려운 부품의 신속하고 정확한 검사를 위해 제품 도면을 기준으로 제작되어진 검사 치구.
여기에는 공정상에서 JIG와 동시 검사를 수행하는 공정 C/F와 부품의 최종 제작단계에서 사용되는 검사 C/F가 있다.

■ CAD (Computer Aided Design)
도면 작성 지원 시스템으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도면 작업을 하는것.
이것으로 유명한 소프트웨어로는 CATIA(Computer Graphic Aided Tree Dimensional Interactive Application)가 있다.

■ CAE (Computer Aided Engineering)
시험 기간을 줄이기 위해 컴퓨터를 이용, 해석 하는것.

■ CAM (Computer Aided Manufacturing)
CAD Data를 이용하여 금형설계 및 가공을 하고, 시제품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 CHMSL (침슬, Center High Mounted Stop Lamp)
차량의 후위 중앙에 별도로 장착하는 정지등으로 대부분의 차량에서는 뒤쪽 러기지패넬상에 장착한다.

■ CIM (Computer Intergrated Manufacturing)
컴퓨터 통합 생산시스템.
판매, 개발/설계기술, 생산부문의 기업 경영 활동을 통합하는 시스템을 말함.

■ COP (Conformity of Production)
양산검사. 해외 현지 인증기관에서 직접 공장을 방문 인증사항을 사후에 검증하는 실사의 형태를 말한다. (주로 생산공장의 테스트 라인을 중점 검증함)

■ CPS (Crank Position Sensor)
센서에 감겨져 있는 코일에 의해 회전하는 프라이휠의 이빨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자기장의 변화로 유기된 전압을 ECU로 보낸다.

■ CTS (Coolant Tamperature Sensor)
센엔진의 냉각수 온도를 감지하여 웜업동안의 공기와 연료의 혼합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정보 제공 및 과열시 냉각수 순환 유도.

■ DivX
컴퓨터 재생용 영상파일을 별도의 인코딩없이 모니터로 볼 수 있게 해주는 장치

■ DOHC(Double Over Head Camsahft)
밸브작동 캠샤프트가 2개 있는 엔진형태, 4기통인 차량의 경우 16밸브가 있는 셈이다.

■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과 통신이 결합된 차세대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달리는 차량에서 TV를 볼 수 있는 장치.

■ DVD (digital versatile disc)
일반CD와 같은 크기이지만 6~8배 크기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디스크

■ EAT/ECT/전자제어 오토매틱
오토매틱 트랜스미션을 유압식이 아닌 전자제어로 조절하는 타입을 말한다. 컴퓨터로 자동변속하기 때문에 기어 체인지가 엔진과 주행상태에 가장 알맞게 이루어진다.

■ ECM (electronic chromic mirror)
전자식룸미러. 룸미러에 들어오는 뒤쪽 차량의 빛을 광센서를 통해 자동으로 감지해 거울의 반사율을 낮추어 운전자의 눈부심 현상을 없애 주는 장치.

■ ECS (electronic controlled suspension)
노면 상태와 운전 조건에 따라 차체 높이를 변화시켜, 주행 안전성과 승차감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한 장치.

■ EGR (Exhaust Gas Recirculation)
배기가스 재순환장치, Nox를 저감 시키는 수단으로 배기가스의 일부를 흡기계통에 재순환시키는 것으로 인테이크 매니폴드의 진공의 변화와 밸브의 압력차에 의해 재순환이 이루어 진다.
 
■ ESP(Electronic Stability Program)
 지난 95년 초부터 실용화된 ESP는 가속시, 제동시, 코너링시 극도의 불안정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미끄러짐 또는 스키딩으로 인한 위험을 격감시켜주는 전자식 주행안정 프로그램이다. ESP는 제동력이 앞차축 또는 뒷차축에 선택적으로 작동된다. 덧붙여 ESP는 운전자의 실수까지도 보정해준다. 센서들은 휠 스피드, 제동 압력, 스티어링 휠의 각도, 측면 가속도 및 차체의 기울어짐 등을 파악해 그 정보들을 ESP 장치로 보내면 ESP는 이러한 정보들을 검색해 차의 스키딩 또는 미끄러짐 상태를 초기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전자장치들이 적절한 휠에 브레이크를 가해 주행중인 자동차에 안정을 찾을 수 있게 만든다. 만약 차의 뒷부분이 오른쪽으로 쏠리면(오버스티어) ESP는 운전자가 느끼기도 전에 정확한 량의 제동압력을 좌측 앞바퀴에 공급해 차가 바른 위치에서 운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처럼 1개의 휠을 정확하게 제동하는 것은 가장 효과적인 주행안정 제어 방법이며, 4개의 각각 다른 브레이크를 동시에 조작하는 것은 아무리 숙련된 운전자일지라도 불가능할 것이다. 또한 ESP는 리어 액슬 스티어링 장치가 필요 없으며, 이로 인해 전자제어 장치의 설계가 보다 간단해졌다.

■ ETS (Electronic Traction System)
구동바퀴의 미끄러짐 현상을 줄이고 보다 우수한 구동력을 내도록 도와주는 장치다. 예를 들어 미끄러운 노면에서는 구동바퀴들의 속도 차이가 적절한 범위내로 들어올 때까지 한쪽 또는 양쪽 바퀴에 약간의 제동력이 가해진다. 만일 한쪽 바퀴에만 제동력이 가해지면 자동차동잠금장치(Automatic Locking Differential : ASD)와 유사한 효과를 낸다. 그러나 ETS는 ASD보다 정밀하게 작동 및 제어를 한다. 또한 ETS는 ABS의 요소들이 결합되어 하나의 단일체로 만들어 다른 차동장치를 다는 것보다 약 9kg의 무게 감량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 FMVSS (Fedral Motor Vehicle Safety Standard)
미국 연방 자동차 안전기준. 국가도로 교통안전국(NHTSA)이 제정함.

■ GDI (Gasoline Direct Injection)
직접분사식 가솔린엔진. 직접분사방식이란 원래 디젤기관에서 쓰이는 기술로 연료를 흡기포트가 아닌 실린더내로 직접 분사해 연소시키는 엔진형식을 말한다. 즉 GDI엔진는 디젤과 가솔린 엔진의 장점만을 모은 것으로 가솔린을 연료로 사용하면서 이를 직접 연소실에 분사해 초희박 연소를 실현함으로써 연비와 출력을 동시에 향상시킨 엔진을 말한다.

■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항법장치.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정확히 알아내어 안전운전에 도움을 주는 장치.

■ GVW (Gross Vehicle Weight)
차량 총 중량. Curb Weight에 탑승인원등을 감안한 차량의 중량을 말함.
(국내 기준 1인 Weight : 65 Kg/ 인)

■ HID헤드램프 (high intensity discharge headlamp)
투명한 유리처럼 램프 안쪽을 볼 수 있는 클리어 렌즈를 사용해 헤드램프의 조사(照射) 거리와 밝기를 향상시킨 전조등.

■ HLLD (Head Lamp Leveling Device)
운전자가 운전중에 헤드램프의 높낮이를 스위치를 통해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서유럽 수출용 차량에 주로 적용된다.

■ HUD (Head Up Display)
헤드업디스플레이의 약자로 차량 속도나 길 안내 등을 전면 유리창에 보여주는 시스템

■ IACV (Idle Air Control Valve)
트로틀보디에 위치하는 밸브로 아이들 상태에서의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다.

■ LED (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
전압을 가하면 빛을 내는 반도체로 시계, 컴퓨터등의 조명에 많이 쓰이며 일반전구보다 수명이 길다. 자동차에도 계기판, 브레이크등에 사용된다.

■ LSD (limited ship differential)
미끄러운 길 또는 진흙 길 등에서 주행할 때 한쪽 바퀴가 헛돌며 빠져나오지 못할 경우, 쉽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

■ LSPV (Load Sensing Proportioning Valve)
차량 주행중의 Load  상태를 감지하여 적정한 제동압을 유지하는 장치

■ MPI(Multi Point Injection)
연료분사를 할때 각 기통마다 인젝터라는 연료분사 밸브를 설치하여 흡기구에서 따로따로 분사하는 방식. 이 방식은 다른 방식에 비해 엔진성능이 좋다
현재는 대부분이 이 방식이다

■ MPV(Multi Purpose Vehicle)
다목적 차량, 다용도로 사용되는 승객수송과 화물수송의 2중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차량을 말한다.

■ NVH(Noise, Vibration & Harshness)
사람이 느낄 수 없는 경비한 진동에서부터 최소한 들을 수 있는 소리 및 거칠은 소음등 전반적인  소음을 총칭하는 용어.

■ O2 Sensor
배기가스중의 산소농도를 측정(Zr O2-Ceramic 과 백금전극을 이용 산소농도차에 의한 기전력을 발생)하여 ECU로 신호를 보낸다.

■ OBD (On Board Diagnostics)
배기가스 및 연료시스템에 문제 발생시 운전자가 알 수 있도록 해 주는 경보시스템. 2000년부터 유럽에서 판매되는 차량에는 이 시스템이 의무적으로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 RON(Research Otane Number)
C3H8의 함유비율에 따라서 결정되며, RON값이 높을수록 좋다. 대표적으로 83,87,91,95등이 있으며, ECU상에서는 ON/OFF 스위치로서 RON값에 따라 엔진 컨트롤이 이루어진다.

■ RV(Recreational Vehicle)
본래 레져용 차량으로 미국에서 볼 수 있는 버스형태의 이동 가옥의 의미였으나 현재는 그 의미가 확대되어 지프,왜건,미니밴등에 모두 RV라는 이름을 쓰게 되었다.

■ SPI(Single Point Injection)
이 방식은 TBI(throttle body injection) 라고도 부르며 흡기 매니폴드의 에어 크리너 밑에서 연료를 분사한다. 연료를 분사할때 하나의 인젝터가 분사하므로 제어는 용이 하지만 가속시나 급출발시 약간의 출력부족이 있다. 그래서 요즈음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 SUV(Sports Utility Vehicle)
RV중에서도 주행성능에 초점이 맞추어진 지프류의 차량을 뜻함
 
■ TCS (traction control system)
눈길, 빗길 따위의 미끄러지기 쉬운 노면에서 차량을 출발하거나 가속할 때 과잉의 구동력이 발생하여 타이어가 공회전하지 않도록 차량의 구동력을 제어하는 시스템.
 
■ TL(Transverse Line)
설계분야에서 주로 사용하는 용어로 차량의 종축을 말함.
통상 차량의 Front Bumper 끝단을 "0"으로 설정하고 차량의 뒤쪽으로 향하는 축을 말한다.
이와 유사한 Line은 BL(Bow Line), WL(Water Line)이 있다.

■ TPS(Throttle Position Sensor)
흡입공기량을 조절하는 스로틀밸브의 축을 연동하여 움직이는 가변저항기로서 밸브의 회전각도에 따른 출력값의 변화를 ECU로 전달하여 연료의 분사량을 조절한다. 

■ VCD(Video Compact Disk)
비디오 CD

■ VDC (vehicle dynamic control)
차체자세제어라고도 한다. 쉽게 말해 차량을 미끄러짐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차량 안전 시스템이다. 여기에는 구동 중일 때 바퀴가 미끄러지는 것을 적절히 조절하는 TCS, ABS, EBD, 자동감속제어, 요모멘트제어(yaw-moment control: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막는 자세제어) 따위가 모두 포함된다.

■ VIN(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차량인식번호, 차량에 대한 자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리콜 캠페인시 정확성과 능률을 향상시키고 사고방지를 목적으로 FMVSS(미연방 자동차안전규격)에 규정된 사항임.

■ WL(Water Line)
설계분야에서 주로 사용하는 용어로 차량의 고축을 말함.
통상 차량의 타이어 중심점을 "0"으로 설정하고 차량의 위쪽으로 향하는 축을 말한다.
이와 유사한 Line은 TL(Transverse Line), BL(Bow Line)이 있다.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동주택관리법 시행령 제25조(관리비등의 집행을 위한 사업자 선정)  (0) 2024.04.01
[민법] 계약의 종류  (0) 2024.03.22
자동차 용어  (0) 2024.03.19
창호 용어2  (0) 2024.03.19
창호 용어  (0) 2024.03.19

1. 서모스탯(THEMOSTAT)
냉각수 온도 조절기입니다. 실린더 헤드의 냉각수 통로 출구에 설치되어 엔진 내부의 냉각수 온도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통로를 개폐하여 냉각수 온도를 75℃에서 85℃가 되도록 조절해줍니다. 냉각수 온도가 정상 이하면 밸브를 닫아 냉각수가 라디에이터 쪽으로 흐르지 않도록 하고 냉각수는 바이패스 통로를 통하여 순환하도록 합니다. 냉각수 온도가 76℃에서 83℃가 되면 서서히 열리기 시작하여 라디에이터 쪽으로 흐르게 하며 95℃가 되면 완전히 열립니다. 종류로는 벨로즈형과 펠릿형이 있는데 현재는 펠릿형만 주로 사용됩니다.

2. 서스펜션(SUSPENSION)
차체와 바퀴를 연결하는 장치로 노면에서의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 스프링의 작동을 조정하는 쇽업소버, 바퀴의 작동을 제어하는 암이나 링크로 구성 현가장치입니다. 크게 분류하면 좌우의 바퀴를 차축으로 연결한 리지드 액슬 서스펜션과 좌우 바퀴가 각각 작동하는 인디펜던트 서스펜션이 있습니다. 리지드 액슬 서스펜션에는 평행 리프 스프링식, 드디옹식, 링크식, 토크 튜브 드라이브식 등이 있습니다. 인디펜던트 서스펜션에서는 스윙 암식, 더블 위시본식, 맥퍼슨 스트릿식 등이 있습니다. 특수 서스펜션으로는 유체에 의하여 힘을 전달하는 공기 스프링식이나 유채 스프링식도 있습니다.


3. 아이들링 진동(IDLING VIBRATION)
아이들링 시에 플로, 시트, 핸들 등이 엔진의 진동과 공진하여 흔들리는 현상입니다. 엔진의 팽창 행정마다 일어나는 4기통 차량의 20~35Hz 진동, 6기통 차량의 30~35Hz 진동, 실린더 사이 또는 사이클 사이의 연소가 일정치 않을 때 일어나는 진동이 있습니다. 엔진의 토크 변동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엔진의 연소가 일정하지 않을 때 혹은 엔진이나 변속기의 회전 부분의 언밸런스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4. 자동차 공기저항계수
공기저항계수를 줄이는 것은 연비 향상에 직결됩니다. 단순히 최고 속도를 향상하기 위해서가 아닙니다. 차에 부딪히는 공기 중에서 중요한 것은 차체의 상하로 흐르는 기류입니다. 이런 기류를 자연스럽게 전후방으로 흐르게 해주지 않으면 공기의 힘으로 제동력이 생깁니다. 차체 후방의 기류에 회오리가 일어나면 자동차를 뒤쪽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5. 카울(COWL)
프런트 윈도우와 연결되는 앞부분의 패널을 말합니다. 단 경주용 차량 등의 경우 바디를 형성하고 있는 FRP제가 탈착이 가능하 되어 있으며 이것들을 총칭한 말입니다. 카울링이라고도 부릅니다. 오토바이나 프로펠러용 비행기 엔진 부분을 덮고 있는 것도 카울입니다. 카울의 형태는 공기의 흐름, 특히 공기 저항을 적게 하기 위해서 만들어졌습니다.

6. 헌팅(HUNTING)
엔진의 아이들링 중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을 의미합니다. 아이들 회전이 수십 회전 주기로 증감하는 주기적인 진동으로 특히 디젤 엔진에서 조속기 작용이 둔하여 회전수가 파상으로 변동하는 것입니다. 엔진 회전의 자동제어 시스템에서 피드백 조정 기능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것이 그 원인입니다.

7. 팽창 밸브(EXPANSION VALVE)

리시버 드라이어에서 보내진 고압의 냉매를 증발기에 보내기 전에 증발하기 쉬운 상태의 저압으로 감압하는 작용과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팽창 밸브의 열림 정도는 증발기에 설치되어 있는 감온부가 열을 감지하여 조절합니다.

8. 페일 세이프(FAIL SAFE)
시스템 일부의 고장이나 오조작이 있어도 안전하게 가동될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하는 사고방식을 일컫습니다. 센서, 엑추에이터 등이 고장 나더라도 시스템 자체는 안전하게 작동하도록 하는 기구를 갖추어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자동 조정 브레이크, 2 계통 브레이크 등이 있습니다.

9. 촉매 변환기(CATALYTIC CONVERTER)
촉매기는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질소산화물 같은 유해 성분을 물, 질소, 산소 등 인체에 무해한 성분으로 전환 줍니다. 촉매기는 알루미나에 백금과 로듐, 또는 팔라듐을 입힌 벌집 모양입니다. 5천개 이상의 벌집 모양 통로에 배기가스를 통과시켜주면 산화와 환원 작용을 통해 공해 물질을 줄여줍니다. 기존 촉매기는 배기가스의 온도 320℃ 이상에서 제 성능을 발휘합니다. 반면 유해 배기가스는 온도가 높지 않은 엔진 시동 후 3분 이내에 가장 많이 배출됩니다.


10. 타임 래그(TIME LAG)
엔진에서 연료가 점화되고 난 후부터 최고 압력이 될 때까지의 시간의 지연 현상을 말합니다.

11. 오일 쿨러(OIL COOLER)
오일은 엔진 가동 부분을 윤활함과 동시에 냉각시키는 역할도 합니다. 경주용 차량의 고출력 엔진이나 디젤 엔진에서는 오일 팬에 의한 냉각 효과만으로는 오일의 온도를 적당하게 유지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파이프나 팬으로 만들어진 오일 쿨러에 오일을 통과시켜 냉각합니다. 오일 쿨러는 대부분 엔진오일을 냉각시키는 장치를 말하지만 이외에도 토크 컨버터나 동력 전달 계통의 오일을 냉각시키는 것도 있습니다. 라디에이터를 사용하는 공랭식과 엔진의 냉각수로 식히는 수냉식이 있습니다.

12. 인터 쿨러(INTER COOLER)

과급기가 부착된 엔진으로 컴프레서와 흡기 매니폴드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장치입니다. 가솔린 엔진은 공기를 압축하면 온도가 상승함과 동시에 노킹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이것을 냉각하여 온도를 낮추면 노킹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디젤 엔진에서는 공기 밀도의 저하로 인한 출력 감소를 막기 위해 냉각을 통해 밀도를 회복시킵니다. 냉각 방법에 따라 공랭식과 수냉식이 있습니다.

13. 사이드 도어 빔(SIDE DOOR BEAM)
측면 충돌에 대한 도어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도어 내부에 설치된 보강재를 말합니다. 줄여서 사이드 빔이라고도 합니다.

14. 브레이크 패드(BRAKE PAD)
편평한 배킹 플레이트에 마찰재로서의 브레이크 라이닝을 첨부한 것으로 디스크 브레이크의 캘리퍼 내에 내장되어 있습니다. 드럼 브레이크의 브레이크슈와 같은 역할을 하지만 그 면적은 브레이크슈보다는 훨씬 작고 역으로 디스크를 누르는 힘은 몇 배 큽니다. 브레이크슈보다 가혹한 일을 하므로 수명은 브레이크슈보다 짧습니다.


15. 방청 작용
슬라이딩 면에 유막을 형성하여 수분 및 부식성 가스의 침투를 방지하고 침투한 것을 치환하는 작용을 합니다. 방청 작용이 불량하면 슬라이딩 면에 녹이 슬고 부식이 발생니다.

16. 부동액(ANTIFREEZE)
물은 얼면 체적이 불어나 엔진이나 냉각 계통을 파괴하므로 겨울철에는 냉각수가 얼지 않도록 빙점을 낮추는 약품을 혼입합니다. 부동액에는 퍼머넌트형과 여기에 알코올을 섞은 세미퍼머넌트 형이 있으며 냉각액에는 30% 정도 혼입하여 사용합니다.

17. 냉각수(COOLING WATER)
냉각수는 순도가 높은 증류수, 수돗물, 빗물 등을 사용합니다. 물은 열을 잘 흡수하고 쉽게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100℃ 에서 비등하고 0℃에서 동결하며 스케일 등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18. 엔진 회전수(RPM)
크랭크샤프트의 1분간 회전수를 말합니다. RPM으로 나타내는데 이것은 “revolution per minute”의 약자입니다. 엔진 회전수가 높으면 그만큼 고성능이라는 것입니다. 그 열쇠를 쥐고 있는 것이 엔진의 동력 밸브 계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9. 라디에이터(RADIATOR)
수냉식 엔진에서 열을 공기 중에 방출하기 위한 장치로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의 냉각수 통로에서 열을 흡수한 냉각수를 냉각합니다. 엔진에서 뜨거워진 냉각수를 방열판에 통과시켜 공기와 접촉하게 하여 냉각시킵니다. 단위 면적당 방열량이 많고 공기 및 냉각수의 흐름 저항이 적고 가벼우며 견고해야 합니다. 보통 자동차 앞쪽에 설치되어 있으며 바람에 의하여 열을 식히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열전도가 좋은 금속판에 틈새를 두어 겹치게 하고 물이 통하는 튜브를 설치하여 크기 비율로 냉각 효과를 높입니다. 금속판을 상하에 배치하여 냉각수를 옆으로 흐르게 하는 크로스 플로식도 있습니다. 크로스 플로식은 라디에이터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물의 흐름 저항이 큽니다. 차실 내 난방에 엔진의 냉각수를 이용하는 장치로서 열원이 되는 부분을 말합니다.


20. 킥 다운(KICK DOWN)
자동 변속기가 달린 자동차에서 일정한 속도를 다릴 때나 급가속하고 싶을 때 가속 페달을 힘껏 밟고 (킥) 기어를 한단 밑으로 내리는(down) 것을 말합니다. 추월을 위하여 기어를 넣는다고 해서 패싱 기어라고도 부릅니다.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법] 계약의 종류  (0) 2024.03.22
자동차 용어  (0) 2024.03.19
창호 용어2  (0) 2024.03.19
창호 용어  (0) 2024.03.19
콘크리트 용어  (0) 2024.03.19


가스켓 공기나 수분등의 유체가 새지 않도록 이음매에 끼워넣는 부품. 창호에서는 유리 및 프로파일의 결합부위에 부착하여 단열성 및 기밀성,방음성능을 향상시킴.
강화유리 표면의 LPL(Low Pressure Laminates)은 멜라민수지가 함침된 함침sheet로서 나무 무늬가 인쇄된 모양지와 투명한 오버레이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층은 HDF(고밀도 MDF)로 구성되어 있는 바닥재. 수분에 약하여 바닥에 방수지를 깔고 현가식으로 시공함.
거푸집 콘크리트를 타설할때 일시적으로 설치하여 콘크리트가 굳을때까지 형태를 잡아주는 틀로 치수가 정확하고 견고해야 해야하며,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해야 함. 목재 및 철재가 있음.
건폐율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면적의 비율 예를들면 대지 200평에 주택40평 창고10평이 건축되었다면 건폐율은 (주택40평+창고10평)/대지200평*100=25%임
걸레받이 바닥과 벽의 경계부분(벽의 밑면)을 따라서 붙이는 몰딩류로, 바닥재와 벽면의 틈새를 가려주고 외관을 좋게 하며 벽지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해 줌
결로 건축물 내부 마감면에 수증기가 물방울로 맺히는 현상. 실내공기가 고온다습하여 더 이상 수분을 증기상태로 유지할 수 없는 상황에서 발생.
경첩 창호나 가구의 문짝을 달기위해 쓰이는 철물
공칭 대패질 하기전의 목재의 개략적인 치수
구조재 건축물의 뼈대를 구성하는 건축재료. 구조용 목재,강재,콘크리트,석재 등이 있으며 주로 기둥,보,내력벽 등 하중이 집중되는 부위에 사용됨.
규격목재 두께 2∼5인치,넓이 12인치까지의 목재. 바닥장선, 서까래, 샛기둥, 플랭크, 대들보,기둥을 포함
나사 철물의 접합부에 요철부분이 나선형으로 돌려있어 틀어 조이면 빠지지 않게 된 못.
나왕 재질이 가볍고 연한 열대산 목재로 수장재, 가구재, 구조재 등 용도가 다양함.
내력벽 수직하중, 수평하중을 기초에 전달하면서 수직하중을 지지하는 벽체
내마모성 같거나 다른 물체를 서로 비비거나 문질러 접촉시킬 때 생기는 마멸에 잘 견디는 성질
내용연한 재료나 부재 또는 건물 등을 보수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연한.
내진구조 지진과 진동에 견디도록 한 구조.
너와집 널쪽 또는 돌기와, 천연슬레이트로 이은 집.
발코니 건축물의 방 밖에 따로 붙여 내밀어 위를 덮지 않고 드러난 공간. 2층 부분이나 창 앞에 넓게 내밀어 꾸민 바닥
다다미 볏짚을 두껍게 엮어서 바탕을 만들고 표면은 돗자리를 입힌 일본식 자리의 한가지
단열 건물의 실내와 외부사이의 열이동을 차단하는것. 단열이 잘 된 건물은 냉방 및 난방 효율이 높아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특히 외벽과,지붕,창호 부위 등 열이동이 많은 부분에 단열성능이 우수한 자재를 사용하면 단열 효과가 큼.
단열재료 벽이나 열을 차단할 수 있는 성능을 가진 재료. 열 전도율이 0.06∼0.07kcal/mh℃ 이하의 것이며 보통 다공질의 재료가 많음.
단청 전통가옥,사찰,궁궐 등의 벽, 기둥, 천장 따위에 여러 가지 빛깔로 그린 그림이나 무늬.
더블 스킨 파사드 기존의 벽체 또는 Curtain wall 외장에 별도의 외피추가한 이중 벽체.
"외부의 기후로 인한 냉,난방 부하의 최소화를 실현하여 에너지 절약의 효과가 큼. "
데크 건축물에 딸린 지붕이 없는 외부공간으로 조경계획의 일부가 되기도 함. 바닥은 주로 배의 갑판에 많이 이용되는 긴 목재를 사용함.
도로사선제한 사선제한(사선제한)의 한 가지로서, 전면도로(전면도로) 등에 의한 높이 제한 중 도로폭에 의한 높이제한이라고도 하는 것으로, 전면도로에 의한 건축물의 높이제한은 일조·채광·통풍 등 위생적인 목적 이외에 도시내에서 건축물로 인한 압박감·폐쇄감· 등을 주지 않기 위한 것으로, 건축물의 각 부분의 높이는 그 부분으로부터 전면도로(전면도로)의 반대측 경계선까지의 수평거리(수평거리)의 1.5배의 높이를 초과할 수 없도록 원칙적인 규정을 말한다. 즉, 건물 당해 부분에서 전면도로반대측경계선(전면도로반대측경계선)까지의 수평거리에 의한 제한을 말함.
독일공업규격 "독일공업국가규격(Deutsche Industrie Normen).
DIN(독일국가규격)은 1917년에 설립된 독일표준원에서 제정되는 국가규격으로 약 36,300종의 규격을 발행하고 있으며, 영문판은 17,600여종이 있음. 이 규격은 KS와 같은 부문별 규격분류는 없고 전 규격에 일련번호를 부여함."
동바리 툇마루나 좌판 따위의 밑에 괴는 짧은 기둥.
디딤판 계단재 중 발을 디디는 부분
랜드마크 도시의 이미지를 대표하는 특징이 되는 시설이나 건물로 시각적인 특징뿐만 아니라, 역사적인 상징성을 공간 등도 포함. 서울의 랜드마크는 남산타워나 남대문, 뉴욕의 랜드마크는 자유의 여신상,파리는 에펠탑 등으로 표현 됨.
러그 재질 및 기능은 카펫과 유사하나 바닥전체를 덮는 카펫과 달리 바닥을 부분적으로 덮는 것.
레이턴스 콘크리트를 타설 후 수분의 상승에 따라 그 표면에 나오는 미세한 물질. 콘크리트를 이어 부어 넣을 때에는 이 레이턴스 때문에 밀착이 잘 안되고, 아래위로 분리되기 때문에 중단하였다가 콘크리트를 이어 부어 넣을 때에는 기존 콘크리트의 표면을 쪼아내지 않으면 안됨. 그러므로 이의 노력을 줄이기 위하여서 콘크리트 치기는 중단함이 없이 계속적으로 쳐야 하며, 건축물을 수리할 때에도 이 점 특히 주의하여야 함.
루버 실내에 직사광선이 들어오는 것을 막으면서 통풍 및 프라이버시는 지켜지도록 가늘고 긴 막대가 경사지게 비늘 모양으로 겹쳐져 배열된 창살.
리놀륨 건성유를 산화 중합시켜 만든 리녹신에 수지, 안료 등을 섞어 압착한 바닥재. 내수성, 내구성이 좋으며 다양한 색과 무늬를 넣을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모노륨, 골드륨 등의 이름으로 생산됨.
마감 재료를 보호하고 돋보이게 하는 표면 처리. 예를 들면 직물에서 원하는 표면 효과를 얻기 위한 처리나, 가구제작에서 표면을 보호하고, 얼룩을 방지하고, 나무결을 강조하거나 색을 칠하는 등의 처리
멀리온 문틀 또는 창틀 등 개구부재를 지지하는 수직의 샛기둥으로, 특히 커튼월 구조의 경우 금속 판이나 유리 등을 지지함으로써 건물 외피 형성 기능을 담당하는 부재. 입면상에 수직적 요소를 강조하는 역할과 세련되고 현대적인 느낌을 주는 의장 요소의 역할도 지니고 있는 것이 특징. 창면적이 클 경우, 스틸 바만으로는 창문 개폐시에 발생하는 진동 등의 외력에 저항하기 곤란하므로, 장식적 목적을 함께 충족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강판을 여러번 접어 만든 것을 가로 세로로 고정시켜 멀리온을 보강해 주는 경우도 있음.
모르타르 건축재료의 하나. 시멘트·모래·물을 함께 혼합한 것을 시멘트모르타르 또는 모르타르라고 함.
몰딩 건물이나 가구의 모서리부분이나 끝부분에 붙여 길게 잇는 테두리. 장식적인 기능이 강하지만 접합부위를 보호하는 기능도 있음.
문선 문틀 주위에 설치하여 설치 마감을 깨끗이 하게 Door를 돋보이게 하는데 사용.
바니스 니스라고 흔히 부르며, 목재, 금속 등의 표면에 발라 건조시키면 투명하고 광택있는 피막을 형성. 수지류를 알콜이나 아마유, 기름 등의 용제에 녹인 연노랑색의 도료로 용제의 성분과 건조 속도에 따라 유성 바니시와 휘발성 바니시로 나뉨. 고대 이집트 가구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 고, 중국과 일본 등 동양에서는 목공작업에 꾸준히 사용되었으나, 유럽에서는 사용되지 않다가 18세기부터 사용됨.
바우하우스 1919년 독일의 바이마르에서 설립된, 20세기에 가장 실험적이었던 미술, 디자인, 건축 학교. 건축 가인 그로피우스(Walter Gropius)에 의해 세워지고 이끌어진 이 학교의 목표는 예술, 산업, 기술, 산업생산의 결합이라 불림. "기능이 모든 디자인의 기초요 목적이다"라는 철학과,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라는 신조에 의거하여 예술가, 건축가, 실내 및 산업 디자이너와 장인들이 결탁해서 작업함. 1930년 미스 반 데 로에(Mies van der Rohe)에게 후계되었고 1933년 나치에 의해 베를린 에서 해체된 후 미국으로 옮겨가 모호리 나기(Moholy-Nagy)를 필두로 르 꼬르뷔제(Le Corbusire), 마르셀 브로이어(Marcel Breuer)가 함께 시카고 디자인 대학에서 바우하우스의 이념을 발전시켜 미술, 건축 디자인에 있어서 모더니즘의 발전과 실행에 깊은 영향줌. 특히 바우하우스는 가구 디자인에서 금속, 크롬, 강관의 혁신적인 사용으로 잘 알려짐.
박공 경사진 지붕의 양끝쪽에 경사면으로 인해서 생기는 삼각형 모양. 고전 건축에서는 이 부분을 단 순한 삼각형의 박공장식(pediment)으로 장식하였지만, 시대에 따라 이러한 경사지붕의 끝면이 곡 선적인 형태나 계단 모양의 형태로 장식되기도 함. 넓은 뜻으로는 지붕이 아닌 출입구나 창문 등 의 경사진 형태의 장식 윗부분도 의미함.
방부목 목재가 곰팡이와 수분으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약품처리과정을 거쳐 생산된 목재 대개의 수입 방부목은 CCA Pressure Treated Lumber이며, CCA Pressure Treated Lumber이란 수용성 방부제(CCA)를 일정비율로 혼합한 물에 목재를 넣고 적절한 압력을 가해 약품이 목재속으로 침투하게 만든 가압식 방부목. 방부목은 주로 데크, 조경 용품, 외부 몰딩 등 외부 노출용 목재로 주로사용됨.
배연창 화재발생시 센서에 의해 열이나 연기를 감지, 창이 자동으로 개방되어 유독가스를 배출함으로서 질식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창. 평상시에는 환기창으로 사용하기도 함.
베니어(단판) 합판이나 단판적층재(單板積層材)를 구성하는 단판. <베니어>에는 붙이다, 씌우다, 겉면을 장식하다 등의 뜻이 포함. 베니어는 제조법에 따라 로터리베니어·슬라이스트베니어·소드베니어·반로터리베니어로 구분. 로터리베니어는 원목의 원주를 따라 연속적으로 절삭한 것으로, 합판·단판적층재로 주로 이용됨. 슬라이스트 베니어는 슬라이서(상하 또는 수평으로 이동하는 나비가 넓은 대팻날)로 평삭한 것으로서, 아름다운 나뭇결 등이 있는 표면화장재(表面化粧材)에 쓰이며 화장 베니어라고도 함. 소드베니어는 베니어톱으로 절단한 것으로서 슬라이스트베니어와 같은 목적으로 만들어진다. 반로터리베니어는 로터리베니어·슬라이스트베니어의 중간적인 것.
베란다 방이나 거실 등에 붙여서 건물 바깥쪽에 설치한 부분. 측면은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보통 지붕이 달려 있음.
벤트 시스템 창호의 문짝부분
복층유리 2장의 유리 사이에 공기층를 두어 창문으로 빠져나가는 열에너지의 양을 현저하게 줄여 단열 및 소음차단 특성이 우수한 제품
상인방 문.창등 개구부위에 하중을 지지하는 수평 구조부재. 바닥 장선, 샛기둥, 서까래의 연결되지 않은 끝을 지지하기 위해 개구부 부근에서 사용되는 한 개 이상의 틀짜기 목재 조각. 문지방과 대칭되는 부분.
석고보드 소석고에 톱밥이나 펄라이트(흑요석이나 진주암을 분쇄하여 소성한 것) 등의 혼화재를 섞어 적당량의 물을 가해 잘 반죽한 것을 심으로 하여 표면을 두꺼운 종이로 피복하여 판모양으로 성형한 것. 두꺼운 것은 불연재, 얇은 것은 준불연재이며 못을 박거나 칼로 절단이 가능하여 시공성이 좋고 내부 벽재나 천장재로도 이용됨.
스케일 실물에 대한 크기의 비율, 척도, 도면 작성시 축척, 배척, 현척 등. 2) 디자인 원리의 하나로, 실물과 규모가 다른 물체나 공간이 갖게 되는 상관관계.
스킨도어 기본 판위에 문양을 찍은 판을 덧대어 2장을 붙여 구성된 문으로 구성 판재 자체에 문양을 찍음으로써 디자인과 컬러가 다양함.
스테인드글라스 다양한 색채의 유리를 연결시키는 디자인 기법. B.C.1000년경부터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비잔틴 시대와 중세 예술의 대표적 기법으로 고딕양식의 성당에 많이 사용됨. 채색 유리는 용해된 유리에 금속성분을 첨가하거나, 판유리에 착색된 유리를 용해시켜 제작.
스둘 팔걸이와 등받이 없이, 수평 좌판과 다리로만 이루어진 1인용 소형 의자로 주로 간편한 보조의자나 장식용으로 사용. 고대 이집트와 메소 포타미아 시대에 네 개의 곧은 다리나 X자형 다리를 가진 형태로 제작되기 시작하여 발전되었으며, 중세에는 좌판이 양 끝 측판으로 지지되거 나 다리가 세 개인 스툴 등 다양한 형태로 개발됨.
시스템창호 "일반적으로 슬라이딩식으로 열리는 문에 비해 창을 여는 방법 등의 기능이 다양하고
밀폐가 완벽하여 방음이나 단열 효과가 탁월하기 때문에.
이중으로 설치하지 않아도 이중창 이상의 효과를 내는 고급창호"
아라베스크 중세에 사라센과 스페인의 무어족에 의해 사용되었던 사방연속의 장식문양. 꽃, 식물, 과일 등의 모티브에서 전개된 복잡한 문양은 덩쿨손과 줄기들이 뒤얽혀진 형태와 기하학적인 패턴을 기초로 하여 그림, 조각, 모자이크, 상감 등의 장식에 사용.
아르누보 1890년대 벨기에, 프랑스가 중심이 되어 20여년간 유행된 신미술운동. 전통적인 모티프들을 삼가 고, 자연적인 형태에 기초를 둔 식물의 형태, 물결 또는 불꽃 모양의 곡선들을 자유분방한 새로 운 감각으로 표현하였다. 이 양식은 독일에서는 ``유겐트 스틸``, 오스트리아에서는 ``시세션``, 이 탈리아에서는 ``레 스틸레 리베르트``로 알려져 있다. 벨기에의 반 데 벨데(Van De Velde), 스코틀 랜드의 찰스 레니에 맥킨토시(C.R.Mackintosh), 프랑스의 엑토르 기마르(Hector Guimard), 그리고 스페인의 안톤 가우디(Auton Gaudi) 등은 이 양식의 뛰어난 작품들을 남겼다
아르데코 Les Arts Decoratifs``라 불리던 1925년 파리의 전람회에서 유래된 1930년대의 양식적 발전을 칭 하는 유행어 또는 유행하던 양식. 조형적 특성은 지그재그형(zig zag modern), 유선형(stream modern), 고전형(classic modern) 등등의 대중이 추구하는 우아하고 화려한 색채와 검정, 적색 등 아프리카 예술의 영향을 받은 색채가 사용되었다.
액세스 플로어 바닥 밑 혹은 천장 위로 접근할 수 있는 빈 공간을 두어 그 내부에 전선, 파이프, 덕트 등을 설치한 이중바닥으로 필요시 개폐 가능하며, 보통 정방향의 플로어 패널을 받침대로 지지한 것
양생 콘크리트 타설 후 굳어질때까지 적절한 온도와 습도 등을 유지하며 외부의 충격이나 하중 기타 파손의 요인으로 부터 보호하는 것으로 보양이라고도 함.
애칭유리 유리의 표면에 화학적인 방법을 사용해 모양, 문자 등을 조각한 것.
열관류 "벽과 같은 고체를 통하여 공기에서 공기로 열이 전달되는 현상을 열관류(heat transmission)
라고 함. 여러층의 서로 다른 재료로 구성된 벽체를 통한 열의 전달은 여러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며 여러 재료로 구성된 구조체를 통한 열전달을 모든 요인들을 혼합한 하나의 값으로 나타낸 것을 열관류율이라고 함.
단위는 W/㎡℃(Kcal/㎡ h ℃)로 표면적이 1㎡인 구조체를 사이에 두고 온도차가 1℃일때 구조체를 통한 열류율을 와트로 측정한 것이다. 열관류율이 낮을수록 단열성능은 좋음."
완충제 충격시 유리절단면과 새시의 직접적이 접촉을 막기위해 새시의 좌우측면에 끼우는 고무블럭
용마루 2개의 경사지붕면의 상단모서리가 만나는 수평의 선
우물마루 한국에서만 볼 수 있는 고유의 마루깔기 유형으로 깔린 마루의 모습이 한자의 우물 정(井)자와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우물마루는 사계절이 뚜렷하여 건조,수축이 우려되는 한국기후에 적합한 시공법임.
자기타일 점토에서 규석, 장석, 도석 등의 분말을 혼합하여 물로 반죽하고 1,250℃ 이상의 고온에서 소성한 타일. 특히 내수성이 뛰어나며 내구성과 내마모성도 좋음.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생산된다. 가로, 세로가 각각 5.5cm 이하의 것들을 모자이크 타일이라 하며 두께는 5mm 이상이 요구된다. 외장용 과 주방, 욕실 등의 바닥이나 벽에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다
접이식문 여러짝의 창이 한쪽면으로 접혀 열리는 방식으로 필요에 따라 공간을 나누거나, 확장하는데 활용하며 거실 분합문으로 많이 이용됨 .
제혀쪽매 한쪽 측면에 홈을 파고 다른쪽 측면에 내밈(혀)을 만들어 끼워 맞춰서 여러개의 판재나 널판을 접합하는 방법.
집성재 목재 집성재란 제재판재 또는 소각재 등을 그의 섬유방향을 서로 평행시켜 길이, 너비 및 두께방향으로 집성 및 접착시킨 재료. 집성재는 세로방향으로 강한 소재의 특성을 강조시킨 재료. 목재의 결점을 분산시켜 소재보다 좋은 품질의 목재를 얻을 수 있으며, 큰 규격을 목재를 만들수 있는 장점.
챌판 계단재 중 디딤판과 수직으로 설치되어 계단 정면을 향하는 부재
천장 천정의 일부에 빛이 투과하는 재료(대부분 유리)를 끼워 실내를 밝게 하기 위한 설비. 즉 천정(지붕)에 낸 창으로서, 벽면에 만든 창에 비해 채광효율이 좋음. 천창은 인접건물과의 거리나 기타 요인으로 벽면에 창을 내기 어려운 상황이거나 ,바닥면적이 지나치게 넓어 벽면창의 채광효과가 방 중앙부까지 미치기 어려울 때 설치됨.
친환경인증제도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이 정부로부터 인증기관으로 지정을 받아 공동주택단지의 환경요소들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환경친화성이 높은 주택단지에 대하여 인증을 부여함으로써, 건강하고 쾌적한 주거단지의 건설을 유도.촉진하고 주거환경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기 위해 시행하는 제도
현재 실시되고 있는 평가대상은 공동주택단지이며 ① 토지이용 및 교통 ② 에너지 및 자원 ③ 생태환경 ④실내환경 등 4개 부문의 44개 평가지표에 따라 평가를 하게되며 평가결과에 따라 2개의 등급을 부여
즉, 평가점수가 85점이상인 경우는 ``최우수 친환경건축물`` 로, 65점이상∼85점미만인 경우 ``우수 친환경건축물``로 등급이 정해짐

① 인증 신청 : 건축주 신청접수
② 예비심사/심의 : 서류 및 도면
③ 예비인증 : 예비심사 및 인증은 신청인의 요청이 있을 경우 시행
④ 사용검사후 심사/심의
⑤ 인증 부여(명판제공) "
카펫 중후하고 내구성 및 보온성이 있는 부드러운 표면의 바닥 장식재. 16-17세기에는 테이블 덮개로 짜여졌으나 17세기 이후 중후한 벽장식 및 바닥 장식재가 되었다. 원래는 바닥 전체를 까는 것을 말하나 바닥의 일부를 까는 러그(rug)도 포함된다. 소재로는 양모, 실크, 면, 나이론,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등을 사용하며 기본적으로 컷 파일(cut pile)과 고리형 파일(loop pile)로 마감된다. 직조 방 법에 따라 윌턴(wilton), 액스민스터(axminster), 터프트(tuft), 니들 포인트(needle point) 등으로 구 분되며 택커나 스태플 또는 접착제로 시공.
카펫타일 300×300mm, 500×500mm 등으로 타일과 같이 한정된 4각형으로 잘려져 있어 단단한 바닥에 직 접 설치할 수 있는 카펫. 안락함과 탄력성을 주기 위해서 스폰지나 고무 같은 재질을 뒷면에 붙 여 생산한다. 내구성과 견고성이 좋아 특별히 통행량이 많은 장소나 상업공간에서 주로 사용되며, 교체시에도 전체를 걷어내지 않고 오염되거나 닳아진 부위만을 떼어내고 새 것으로 교체할 수 있는 장점.
캔틸레버 지점에서 내민 수평구조 부재로 1층 벽에서 내민 2층바닥이 한 예이다.
코킹 물과 공기가 새지 않도록 접합부를 실러로 채우거나 막는 것. 접합부를 밀봉하는 재료
크리센트 창호의 측면에 부착되어 열쇠없이 고리를 돌려 잠그는 장치.
타일 점토나 암석 가루를 판형으로 성형한 후 1200℃ 정도에서 구워낸 도기, 석기, 자기 등의 건축 마감재. 초기 그리스와 로마 시대에는 지붕재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내마모성과 내수성이 강해 벽재, 바닥재로도 사용.
트랜섬 커튼월에 사용되는 수평부재로 멀리온과는 수직을 이룸.
파빌리온 "공원이나 박람장 등의 정자, 휴게소, 관람석, 전시장 등으로 쓰이는 간편하고 장식적인 건물.큰 건물의 좌우에 붙어 날개모양으로 돌출된 부속 건물."
파사드 건물의 주출입구를 포함한 정면의 벽면 전체의 입면. 가구에 있어서도 건축적 외관과 유사한 장이나 궤의 정면
파켓 나무의 작은 널조각을 기하학적 패턴이나 체크 패턴 등으로 다양하게 모아 붙인것. 각각 다른 종류 및 다른 색의 나무를 사용하기도 하며 문양이 다양함.
파티클보드 목재나 대나무,사탕수수 등의 목섬유 성분을 기계적으로 분쇄한 뒤 작은 조각을 접착제와 혼합해서 만든 것. 가격이 저렴하며 가구용 부자재로 많이 쓰임.
판유리 가열되어 있을 때 압연기에 걸어 평판을 만들고, 표면을 연마하여 광택을 낸 유리. 19세기 중반부 터 판유리의 제작이 가능하였고 큰 창문이나 거울 등에 사용.
프레임 시스템 창호의 창틀 부분
플러시 도어 표면이 평평한 도어로 심재의 간격을 25cm이내로 배치하여 양면에 합판을 부착하여 제작.
피봇 힌지 경첩이 창이나 문의 옆에 붙어 있는 일반적인 형식이 아니라, 각각 위, 아래에 구멍을 내고 그 속 에 끼워 넣어져 있어 회전하여 열리도록 된 경첩.
필로티 대지에서 한 층혹은 그 이상의 일정높이 정도 떠 있는 건물을 받치는 철근 콘크리트 등의 기둥. 특히 르 꼬르뷔제의 건축 작품에 많이 나타나며 필로티가 있는 층은 놀이터나 주차장으로 사용되는 것이 보통.
하드웨어 창호,가구 및 건축에 사용되는 모든 철물의 총칭. 자물쇠, 열쇠 구멍판, 손잡이, 경첩 등이 포함
함수율 "함수율의 의미는보통 수분함량과 다르게 건조목재 100 g 중에 들어있는 수분량.
즉 50% 의 함수율을 갖는 목재는 100g 의 건조목재에 50g 의 수분이 들어 있는것."
합판 목재를 얇은 판(Veneer)으로 만들어서 여러장을 압력을 가해 접착. 갈라지거나 휘는 등의 목재의 단점을 보완하여 건축자재나 가구의 부자재로 많이 사용됨.
합판마루 합판마루의 표면의 무늬목과 바탕재인 합판으로 구성되어 수축,팽창을 최소화한 제품으로, 접착식으로 시공되므로 하지의 수분변화에 대해 덜 민감함. 천연원목의 뛰어난 질감으로 인해 많이 선호도가 높음.
핸들 시스템창호의 손잡이 부분. 시스템창호는 핸들의 회전이나 누르는 방법에 따라 잠금이나 Tilt기능이 작동됨.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용어  (0) 2024.03.19
자동차 용어  (0) 2024.03.19
창호 용어  (0) 2024.03.19
콘크리트 용어  (0) 2024.03.19
철근 용어  (0) 2024.03.19

✼ 창호 및 유리공사
1. 박배
 창문을 창문틀에 다는 일
2. 여밈대
 미서기 또는 오르내리기창이 서로 여며지는 선대
3. 마중대
 미닫이 또는 여닫이 문짝이 서로 맞닿는 선대
4. 풍소란
 창호가 닫아졌을 때 각종 선대 등 접하는 부분의 틈새를 댄 바람막이
5. 주름문
 문을 닫았을 때 창살처럼 되는 문으로 방법용으로 쓰임
6. 플러쉬문
 올거미를 짜고 중간 살간격 25㎝ 정도 배치하여 양면에 합판을 교착한 문
7. 징두리 양판문
 상부에 유리, 높이 1m정도 하부에만 양판을 댄 문
8. 양판문
 올거미 중심에 넓은 널을 댄 문
9. 레버토리 힌지((lavatory hinge)
 공중전화 출입문, 화장실, 경량칸막이문 등에 사용하며 저절로 닫혀지나 15㎝ 정도 열려지는 문에 사용
10. 도어 클로저, 도어체크(door closer, door check)
 문 윗틀과 문짝에 설치하여 자동으로 문을 닫히게 하는 장치
11. 피봇 힌지, 지도리(pivot hinge)
 용수철을 쓰지 않고 문장부식으로 된 창호철물로 중량문(일반방화문 등) 에 사용
12. 플로어 힌지(floor hunge)
 정첩으로 지탱할 수 없는 중량이 큰 자재여닫이문(현관철문 등)에 사용
13. 망입유리
 방도용 또는 화재 기타 파손시에 산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철망을 삽입한 유리
14. 접합유리
 2장 이상의 판유리를 투명한 합성수지로 겹붙여 댄 것
15. 가스켓(gasket)
 섀시의 홈에 끼워 유리를 고정시키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제품
16. 서스펜션(suspension)공법
 대형 판유리를 수직 멀리온 없이 유리만으로 세우는 공법
17. 크레센트(cresent)
 미서기창이나 오르내리창의 잠금장치로 180°회전시켜 잠근다.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용어  (0) 2024.03.19
창호 용어2  (0) 2024.03.19
콘크리트 용어  (0) 2024.03.19
철근 용어  (0) 2024.03.19
포괄손익계산서 용어  (0) 2024.03.18

1. 콘크리트
용어 정의 참고
대응영어
AE 콘크리트 AE제 등을 사용하여 계획적으로 미소한 기포를 함유시킨콘크리트. air entraned concrete
경량 골재 큰크리트 경량 골재를 사용해서 무게를 가볍게 한 콘크리트.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경량 콘크리트 경량 골재를 사용하거나 많은 기포를 함유시켜서 무게를 가볍게 한 콘크리트. lightweight concrete
굳지 않은 콘크리트 젖어 있는 상태의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 fresh concrete
모르타르 시멘트, 물 및 잔 골재, 경우에 따라서는 이들에 혼화재료를 가하여 반죽 혼합한 것. mortar
무근 콘크리트 강재로 보강하지 않은 콘크리트. plain concrete, unreinforced concrete
시멘트 풀 시멘트와 물의 혼합물. 여기에 혼화 재료를 더 넣은 것도 시멘트 풀이라고 한다. cement paste
중량 콘크리트 중량 골재를 사용해서 무게를 무겁게 한 콘크리트. heavy weight concrete
철골 철근 콘크리트 철골과 철근으로 보강한 콘크리트. steel framed reinforced concrete
철근 콘크리트 철근을 사용한 콘크리트. 외력에 대해 양자가 일체로 작용하는 것. reinforced concrete
콘크리트 시멘트, 물, 잔골재 및 굵은 골재를 혼합하여 만든 것으로, 혼화 재료를 더 넣은 것도 콘크리트라고 한다. concrete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PC강재에 의해 프리스트레스가 주어진 콘크리트. prestressed concrete
2. 재료
>>>> 시멘트.......................................................................................................................................
용어 정의 참고
대응영어
고로 슬래그 시멘트 급랭한 고로 슬래그를 사용한 흡한 시멘트(KS L 5210 참조). portland blast-furnace slag cement
내황산염 포틀랜드 시멘트 특히 황산염의 침식작용에 대한 저항성이 크도록 알루민산 칼슘을 적게 조정한 포틀랜드 시멘트(KS L 5201 참조). sold portland cement
백색 포틀랜드 시멘트 시멘트풀 색이 경화 후에도 백색이 되도록 철분을 적게 한 백색 포틀랜드 시멘트(KS L 5204 참조). white protland cement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포틀랜드 시멘트 (KS L 5201 참조). ordinary portland cement
시멘트 물과 반응하여 경화하는 광물질의 분말. cement
포틀랜드 포졸란 시멘트 플라이 애시 이외의 포졸란을 사용한 혼합 시멘트 (KS L 5401 참조). portland pozzolan cement
알루미나 시멘트 수경성의 칼슘알루미네이트를 주성분으로 한 클링커를 미세하게 분쇄하여 제조하는 시멘트(KS L 5205 참조). alumina cement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특히 강도의 발현이 빨리 되도록 조정한 포틀랜드 시멘트(KS L 5201 참조). high-early-strength portland cement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특히 수화열이 적어지도록 조정한 포톨랜드 시멘트(KS L 5201 참조). moderate-heat portland cement
초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강도의 발현이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보다도 빨리 되도록 조정한 포틀랜드 시멘트. ultra high-early-strength portland cement
포틀랜드 시멘트 수경성의 칼슘실리케이트를 주성분으로 한 클링커에 적당량의 석고를 가하고 미세하게 분쇄하여 제조된 시멘트(KS l 5201 참조) portland cement
프라이 애시 시멘트 플라이 애시를 사용한 혼합 시멘트(KS L 5211 참조) portland fly-ash cement
혼합 시멘트 포틀랜드 시멘트를 주체로 하여 이것에 포졸란, 급랭한 고로 슬래그 등 실리카질, 석회질을 주성분으로 한 재료를 혼합한 시멘트. blended cement
>>>> 혼화재.......................................................................................................................................
용어 정의 참고
대응 영어
AE제 콘크리트 등의 속에 많은 미소한 기포를 일정하게 분포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혼화제(KS F 2560 참조). air entraining agent
AE 감수제 AE제와 감수제의 양쪽의 효과를 겸비한 혼화제
(KS F 2560 참조).

air entraining and
water reducing agent
감수제 콘크리트 등의 단위 수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워커빌리티를 좋게하거나, 워커빌리티를 변화시키지 않고 단위 수량을 감소하기 위해 사용하는 혼화제
(KS F 2560 참조).

water reducing agent
경화 촉진제 시멘트의 수화반응을 빠르게 하고 초기 재령의 강도를 크게 하기위해 사용하는 혼화제. accelerator, accelerating agent
고로 슬래그 고로 중에서 용융된 철강석과 석회석에서 생긴 실리카, 알루미나, 석회 등의 화합물로 된 광물질 재료. blast furnace slag
고로 슬래그 미분말 급랭한 고로 슬래그를 분쇄한 미분말. 실리카, 알루미나, 석회 등의 화합물.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고성능 AE 감수제 공기 연행성을 가지고 AE 감수제보다도 높은 감수성능 및 양호한 슬럼프 유지성능을 가진 혼화제. air entraining and
highrange water reducing agent
급 결 제 시멘트의 수화반응을 빠르게 하고 응결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하기 위해 사용하는 혼화제. set accelerating agent
방 청 제 콘크리트 중의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혼화제(KS F 2561 참조). corrosion inhibitor
유동화제 미리 혼합되어진 콘크리트에 첨가하여,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혼화제. plasticizer, super plasticizing agent
응결 지연제 시멘트의 수화반응을 지연시켜, 응결에 필요한 시간을 길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혼화제. retarding agent,
retarder

포 졸 란 그 자체에 수경성은 거의 없으나 물의 존재하에서 수산화칼슘과 상온에서 서서히 반응하여 불용성의 화합물을 만들어서 경화하는 미분말상의 실리카질 재료. pozzolan
표면 활성제 표면 활성 작용에 의하여 콘크리트 등의 성질을 변화시키는 혼화제. surface active agent
플라이 애시 포졸란의 일종으로 미분탄 연소 보일러의 페가스에서 채집한 것(KS L 5405 참조). fly ash
팽 창 재 시멘트 및 물과 함께 혼합되는 경우, 수화반응에 따라 에트린가이트, 수산화칼슘 등을 생성하여 모트타르 또는 콘크리트 등을 팽창시키는 혼화제(KS F 2562 참조). expansive additive
혼 화 재 혼화재료 중에서 그 자체의 용적이 보통 콘크리트 등의 반죽된 용적에 산입되는 것. admixture, mineral
admixture, additive

혼화 재료 콘크리트 등에 특별한 성질을 주기 위해 반죽 혼합 전 또는 반죽 혼합 중에 가해지는 시멘트, 물, 골재 이외의 재료. admixture
혼 화 제 혼화재료 중에서 그 자체의 용적이 보통의 경우, 콘크리트 등의 반죽된 용적에 산입되지 않는 것 또는 반죽물과 치환할 수 있는 것. chemical adimixture,
chemical agent

>>>> 골  재.......................................................................................................................................
용어 정의 참고
대응영어
경량 골재 콘크리트의 무게를 경감시킬 목적으로 사용하는 보통의 암석보다도 비중이 작은 골재. light-weight aggregate
골 재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 시멘트 및 물과 반죽 혼합하는 모래, 자갈, 부순돌 기타 이와 유사한 입상의 재료. aggregate
굵은 골재 No.4체에 거의 다 담는 골재 coarse aggregate
모래 자연 작용에 의하여 암석에서 생긴 잔 골재 sand
바순 모래 암석을 크러셔 등으로 분쇄하여 인공적으로 만든 잔 골재. crushed sand
부 순 돌 암석을 크러셔 등으로 분쇄하여 인공적을으로 만든 굵은 골재. crushed stone
인공 경량 골재 혈암, 신더, 고로 슬래그, 플라이 애시 등을 주원료로 하여 인공적으로 제조한 경량 골재(KS F 2534 참조).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
자 갈 자연작용에 의해서 암석에서 생긴 굵은 골재. gravel
잔 골 재 10㎜체를 전부 통과하고 No.4체를 거의 다 통과하여 No.200체에 모두 담는 골재. fine aggregate
중량 골재 차폐용 콘크리트 등에 사용하는 보통 암석보다도 비중이 큰 골재. heavy-weight aggregate
천연 경량 골재 화산작용 등에 의하여 천연적으로 생산되는 경량골재. natural light-weight
aggregate

표 준 사 시멘트의 강도 시험용 모르타르에 사용하는 규정된 모래(KS L 5100 참조). standard sand
호 박 돌 지름 10∼30㎝ 정도의 둥근 돌. cobble stone boulder
>>>> 철 근.......................................................................................................................................
용어
정의

참고
대응 영어
P C  강재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긴장용 강재(KS D 3505, KS D 7002 참조). prestressing tendon
이형 철근 콘크리트와 부착이 잘 되도록 표면에 돌기와 같은 것이 나와 있는 천근(KS D 3504, KS D 3527 참조). defrmed reinforcing bar
원형 철근 표면에 리브 또는 마다 등의 돌기가 없는 원형 단면의 봉강. round reinforcing bar
철        근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콘크리트를 보강하기 위해 사용하는 봉상의 강재(KS D 3504, KS D 3527 참조). rainforcing bar, rebar
3. 콘크리트및 재료의 성질
용어 정의 참고
대응 영어
가 응 결 시멘트에 물을 가하고 있을 때 또는 그 직후에 정상적으로 수화작용에 따르지 않고 일시적으로 응결한 것 같은 상태를 나타내는 현상. false set
강열 감량 시료를 어떤 일정의 온도에 강열한 경우, 무게의 감소량, 시멘트의 경우는 풍화의 정도를 인공 경량골재인 경우는 소성의 완전함을 확인하는 지료(KS L 5120 참조). ignition loss,
loss on ignition

강열 감량 시험 시멘트의 경우는 풍화의 정도를, 인공 경량 고재의 경우는 소성의 완전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료를 어느 일정한 온도로 강열하고 무게의 감소량을 구한 시험(KS L 5120 참조). ignition loss test
갇힌 공기 인위적으로 콘크리트 속에 연행시킨 것이 아니고 본래 콘크리트 속에 함유된 기포. entrapped air
건조 수축 균열 건조 수축함에 따라 콘크리트에 생긴 균열. shrinkage crack
건조 수축 경화한 콘크리트가 건조에 의해 수축하는 현상. drying shirnkage
경 화 시멘트가 응결한 다음,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경도와 강도가 증진하는 현상. hardening
공 기 량 큰크리트 속의 시멘트 페이스트 또는 모르타르 부분에 함유된 기포용적의 콘크리트 전 용적에 대한 백분율. air content
공 시 체 각종 시험을 하기 위하여 만든 콘크리트 시료. test piece,
specimen

내 구 성 기상작용, 화학약품에 의한 침식, 기계적 손상 등 에 견디는 콘크리트의 성질. durability
단 위 량 콘크리트 1㎥를 만들 때 사용하는 재료의 사용량.
단위 시멘트량, 단위 수량, 단위 굵은 골재량 등.

quantity of material per unit volume of concrete
단위 중량 시험
(골재의) 골재의 단위 부피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시험(KS F 2505 참조). test for unit weight
(aggregate)

단위 중량 시험
(콘크리트의) 콘크리트의 단위 부피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시험(KS F 2409 참조). test for unit weight
(concrete)

동결 융해 시험 콘크리트에 인공적으로 동결 융해 조작을 반복하여 이것에 대한 저항성을 조사하는 시험. freezing and thawing test
레이턴스 콘크리트를 쳐서 넣은 다음 블리딩에 따라 내부의 미세한 입자가 부유물과 함께 부상하여 콘크리트 표면에 형성하는 불경성 물질의 층. laitance
릴랙세이션 재료에 힘을 가하여 어느 일정한 변형을 유지하면서 시간과 함께 그 응력이 감소하는 현상. relaxation
마모 시험
(굵은 골재의) 회전하는 드럼 속에서 골재에 마찰을 주고 소정의 회전수에서 골재의 마모 손실량을 측정하여 골재의 내마모성을 판정하는 시험(KS F 2508 참조) abrasion test
(coarse aggregate)

물-시멘트 비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속에 함유된 페이스트 속의 반죽 혼합 직후, 물과 시멘트의 무게비. water cement ratio
반죽 질기 주로 단위 수량의 다소에 의하여 부드러운 정도로 나타낸다.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 consistency
배 합 비 콘크리트를 만들 때, 각 재료의 사용 비율 또는 사용량. proportion,
mix

배합 강도 콘크리트 배합(조합)을 결정할 때, 목표로 하는 강도. proportioning strength
백 화 경화한 콘크리트의 표면에 나온 백색의 물질. efflorescence
부착 강도 철근과 콘크리트, 모르타르와 콘크리트 등의 2개 재료의 접합면에서 저항할 수 있는 힘을 접합면의 면적으로 나눈 값. bond strength
재료 분리 굳지 않은 콘크리트가 운반 중, 쳐서 넣는 동안 또 쳐서 넣은 후에 여러 재료의 분포가 불균등해지는 현상. segregation
분 말 도 시멘트, 플라이 애시 등의 입자가늘기를 나타내는 지표. fineness
분말도 시험 시멘트, 플라이 애시 등의 입자의 크기를 조사하는 시험. fineness test
블 리 딩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에서 고체 재료의 침강 또는 분리에 의하여 반죽 혼합한 물의 일부가 유리하여 상승하는 현상. bleeding
비파괴 시험 파괴하지 않고 콘크리트의 모든 성질을 판정하는 시험. non-destructive test
설계 강도 설계 계산에서 기준으로 한 콘크리트의 강도. design strength
수 밀 성 콘크리트 내부로 물의 침입 또는 투과에 대한 저항성. water-tightness
수 화 열 시멘트의 수화작용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열(KS L 5121 참조). heat of hydration
슬 럼 프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 등의 연한 정도에서 슬럼프콘을 끌어올린 직후에 측정한 꼭대기 부분에서 밑으로 처진 정도(㎝)로 나타낸다(KS F 2402 참조). slump
시멘트-물 비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속에 함유된 페이스트 속의 반죽 혼합 직후의 시멘트량과 물량의 무게비. cement water ratio
시방 배합 소정 품질의 콘크리트가 얻어지는 배합(조건)으로 시방서 또는 책임 기술자에 의하여 지시된 것. 콘크리트의 반죽이 된 1㎥의 재료 사용량으로 나나탠다. specifind mix
실적률
(골재의) 용기에 채워진 골재의 절대 용적의 그 용기의 용적에 대한 백분율(KS F 2505 참조). percentage of absolute
volume(aggregate)

씻기 분석 시험
(콘크리트의)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체를 통해서 물로 씻으므로서 각 재료의 배합비를 구하는 시험(KS F 2411 참조). washing analysis
(concrete)

씻기 시험
(골재의) 골재에 함유된 미분말의 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체위에서 물을 흐르게 하면서 체가름하는 시험 방법(KS F 2511 참조). testof amount of mate- rial passing standard sieve 74㎛ in aggre-gates
씻기 시험 손실량
(골재의) 골재에 함유된 74㎛의 망체를 통과하는 미분말의 양(KS F 2511 참조). content of materials passing 74㎛ standard sieve in aggregate
안정성
(골재의) 골재의 주로 동결 융해에 대한 물리적인 안정성(KS F 2507 참조). soundness (aggregate)
안정성
(시멘트의) 시멘트가 이상한 용적 변화 등을 일으키지 않고 안정되게 수화하는 성질. soundness (cement)
안정성 시험
(골재의) 황산나트륨의 포화용액에 골재를 담근 다음, 건조로에서 건조시키는 조작을 규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골재의 파손상태에서 골재의 내구성을 판정하는 시험(KS F 2507 참조). soundness test (aggregate)
안정성 시험
(시멘트의) 시멘트가 다른 모양의 용적 변화 등을 일으키지 않고 수화작용을 하는지의 여부를 시험하는 것. soundness test (cement)
알칼리 골재 반응 어떤 종류의 골재가 시멘트 기타 알칼리분과 오랜 기간에 걸쳐 반응하고 콘크리트가 팽창하여 균열을 생기게 하거나 붕괴하는 현상. alkali-aggregate reaction
압축 강도 공시체가 견디는 최대 압축 하중을 공시체의 압축 하중에 수직인 단면적으로 나눈 값(KS F 2405 참조) compressive strength
연 석 량
(굵은 골재의) 황동봉으로 긁어 연석을 판정하는 골재입자의 무게 안정성으로 골재 무게에 대한 비율. content of soft particles (coarse aggregate)
연석량 시험
(굵은 골재의) 골재 중에 함유되어 있는 연석의 양을 판정하기 위한 시험(KS F 2516 참조) test for percentage of sofr particles   (coarse aggregate)
연행 공기 AE제 또는 공기 연행 작용을 가진 혼화제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속에 생긴 독립된 미세한 기포. entrained air
염 해 콘크리트 중의 염화물 이온으로 강재가 부식해 콘크리트에 갈라짐, 박리, 탈락 등의 손상을 가져오는 것. injury from salt, damage by salt attack
염화물이온(CI-)량
(콘크리트의)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 함유되어 있는 염화물이온(CI-)량(KS F 4009의 부속서 참조). chloride content (concrete)
염화물 시험
(모래의) 모래 속에 함유되어 있는 염화물을 시약을 사용하여 정량 분석하는 시험(KS F 2515 참조). test for chloride content (sand)
워커빌리티 반죽질기에 의한 작업의 난이한 정도와 균일한 질의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하여 필요한 재료의 분리에 저항하는 정도로 나타내는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 workability
원주형 공시체 콘크리트 등의 강도 시험 등에 사용하는 원주형의 공시체. cylindrical test piece cylindrcal specimen
유기 불순물 시험
(모래의)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모래 속에 함유된 유기 불순물의 해로운 양을 개략적으로 결정하는 시험. organic impurities test (sand)
응 결 시멘트에 물을 가하여 반죽 혼합하고 나서 어느 일정한 시간을 지난 다음, 수화작용으로 인하여 유동성을 잃어 단단해지는 것. set
인장 강도 공시체가 견디는 최대 인장 하중을 공시체의 인장하중에 수직인 단면적으로 나눈 값 또는 KS F 2423에 따라 구한 값. tensile strength
입 도
(골재의) 골재 대·소립의 분포상태(KS F 2502 참조). grading (aggregate)
잔골재율 콘크리트 속에 전 골재량에 대한 잔 골재량의 절대 용적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값. sand percentage
절대 건조 비중
(골재의) 골재의 절대 건조 상태의 무게를 같은 용적의 물의 무게로 나눈 값. specific gravity in absolute dry condition (aggregate)
절대 건조 상태
(골재의) 100∼110℃의 온도에서 정질량으로 될 때까지 건조하여 골재립의 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물이 제거된 상태. absolutely dry condition (aggregate)
점토 덩어리 시험
(골재 중의) 공재 중에 함유되어있는 점토 덩어리량을 구하는 시험. test for clay lumps (in aggregate)
굵은 입자율
(골재의) 80, 40, 20, 10, 5, 2.5, 1.2, 0.6, 0.3㎜ 및 0.15㎜ 그물체의 1조를 사용하여 체가름 시험을 했을 때, 각 체를 통과하지 않은 모든 시료의 무게 백분율의 합을 100으로 나눈 값. fineness modulus (aggregate)
중 성 화 경화한 콘크리트가 공기 중의 탄산가스의 작용을 받아서 점차로 알칼리성을 잃어가는 현상. neutralization
지압 강도 부분적으로 압축 하중을 받았을 때, 견디는 최대 압축하중을 하중 작용면적으로 나눈 값. bearing strength
체가름 시험 골재의 입도 분포를 구하기 위하여 1조의 표준체를 사용하여 체가름하여 각 체를 통과하는 것 또는 각 체에 머문 것의 무게 백분율을 구하는 시험 (KS F 2502 참조). sieve analysis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 무게로 90% 이상이 통과한 그물체 중 최소치수의 그물체 치수로 나타낸 굵은 골재의 치수. maximum size (coarse aggregate)
캐 핑 압축강도 시험용 공시체의 표면을 적당한 재료를 사용하여 평활하게 마무리 하는 것(KS F 2403 참조). capping
크 리 프 응력을 작용시킨 상태에서 탄성 변형 및 건조 수축 변형을 뺀 변형이 시간과 함께 증대하는 현상. creep
투수 시험 콘크리트 내부를 압력차에 의하여 물이 이동하는 속도를 구하는 시험. permeability test
표면 건조 비중
(골재의) 표면 건조 포화수 상태의 골재의 무게를 같은 용적의 물의 무게로 나눈 값(KS F 2504 및 KS F 2503 참조). specific gravity in satu- rated surface-dry condition (aggregate)
표면 건조 포화 상태
(골재의) 골재의 표면수가 없고 골재 입자 내부의 틈이 물로 채워진 상태. saturated surface-dried condition(aggregate)
표 면 수
(골재의) 골재의 표면에 묻어 있는 물이며, 골재에 함유된 전체의 물에서 골재 입자 내부의 물을 뺀 것. surface moisture (aggregate)
표면수율
(골재의) 골재의 표면에 묻어 있는 물이며, 골재에 함유된 전체의 물에서 골재입자 내부의 물을 뺀 표면 건조상태의 골재 무게에 대한 백분율. percentage of surface moisture, surface moisture (aggregate)
표 준 체 KS A 5101에 규정한 그물체. stadard(test) sieve
프리웨팅 경량 골재를 사용할 때 미리 살수 또는 침수시켜서 충분히 흡수시키는 것. prewetting
프리쿨링 콘크리트를 반죽하면서 올라간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콘크리트 재료를 냉각시키는 것. precooling
피니셔빌리티 마무리하기 쉬운 정도를 나타내는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 finishability
함 수 율
(골재의) 골재 입자 내부의 공극에 함유되어 있는 물과 표면수의 합의 전량의 절대 건조 상태의 골재 무게에 대한 무게 백분율. percentage of water content (aggregate)
현장 배합 시방 배합(계획 조합)의 콘크리트가 얻어지도록 현장에 재료의 상태 및 계량 방법에 따라서 정한 배합. field mix, job mix
호칭 강도 KS F 4009에 규정된 콘크리트의 강도 구분. nominal strength
휨 강 도 공시체가 견디는 최대 휨 모멘트를 공시체의 단면 계수로 나눈 값(KS F 2407 및 KS F 2408 참조). flexural strength, modulus of rupture
흐름 시험 아직 굳지 않은 모르타르, 시멘트, 페이스트, 콘크리트 등을 강판의 테이블 위에 놓고 소정의 콘에 규정된 횟수만큼, 다져 채운 다음, 콘을 위쪽으로 제거하고, 테이블에 소정의 횟수 만큼 충격을 주었을 때, 콘크리트 등의 지름이 넓어짐에 따라 유동성을 잰 척도. flow
튓 수 율
(골재의) 표면 건조 포화 상태의 골재에 함유되어 있는 전체 수량의 절대 건조 상태의 골재 무게에 대한 백분율. percentage of water absorption (aggregate)
4.설비 및 시공
용어 정의 참고
대응 영어
가경식 믹서 목이 긴 형의 혼합통의 회전에 따라 콘크리트를 반죽 혼합하고 혼합통을 기울여서 배출하는 방식의 믹서, 중력식 믹서의 일종(KS F 8008 참조) tilting mixer
강제 혼합 믹서 블레이드를 동력으로 회전시켜, 콘크리트를 강제적으로 반죽 혼합하는 방식의 믹서(KS F 8009 참조) forced mixing type mixer
거듭 비비기 콘크리트가 아직 굳기 사작하지 않으나 반죽 혼합한 다음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났을 때 또는 재료가 분리됐을 때 다시 반죽 혼합하는 것. remixing
거 푸 집 쳐서 넣은 콘크리트를 소정의 모양, 치수로 유지하여 콘크리트가 적당한 강도에 이를 때까지 지지하는 가설 구조물의 총칭. formwork shuttering
고압 증기 양생 고압조 내에서 1기압 이상의 고압증기를 사용하여 한 증기 양생. high pressure steam curing autoclave curing
신축 줄눈 건조 수축, 온도 응력 기타 원인에 의해 발생되는 콘크리트 부재의 균열을 미리 정한 위치에 발생시킬 목적으로 소정의 위치에 단면 솔실을 계산해 둔 이음. crack-inducing joint
그라우트 아주 좁은 틈에 충전하기 위하여 혼합 재료를 가하여 충전성을 좋게 한 시멘트 페이스트 또는 모르타르. grout
그라우팅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작업. grouting
다 지 기 쳐서 넣은 콘크리트를 찧거나 두드리거나 진동시 켜서 틈새를 적게 하여 빈틈이 없게 하는 것. compaction
다 짐 바닥 또는 포장용 콘크리트를 쳐서 넣은 다음 굳어질 때까지 사이에 콘크리트 표면을 두드려서 꽉 채운 것. tamping
덮 개(철근의) 철근 표면과 그 바깥쪽 콘크리트 표면의 최단 거리. cover (reinforcement)
드럼믹서 원통형 혼합통의 회전에 따라 콘크리트를 반죽 혼합하고 혼합통을 기울이지 않고 배출하는 방식의 믹서. 중력식 믹서의 일종(KS F 8007 참조). drum mixer
되비비기 콘크리트가 굳어지기 사작할 때, 다시 반죽 혼합하는 작업. retempering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정비된 콘크리트 제조 설비를 가진 공장에서 수시로 구입할 수 있는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KS F 4009 참조). ready-mixed concrete
막 음 판 거푸집의 일부로서 콘크리트에 직접 접하는 나무 또는 금속 등의 판종류. sheathing
받 침 대 거푸집의 일부로서 막음판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가설 구조물. support
배치 믹서 한번 배합시마다 재료를 계량 혼합하는 믹서. batch mixer
벌 집 판 경화한 콘크리트의 일부에 굵은 골재만이 모여서 만들어진 공극이 많은 불균질한 부분. honeycomb
봉함 양생 콘크리트 표면에서 수분의 출입이 없는 상태를 유지하여 한 공시체의 양생. sealed curing
뿜어 붙이기 콘크리트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호스 내를 압송하여 소정의 장소에 분무하여 만든 콘크리트. shotcrete
비 비 기 콘크리트 재료를 혼합하여 균일하게 되도록 반죽하는 것. mixing
수중 양생 콘크리트를 수중에 침지시킨 양생. water curing
수축 줄눈 수축에 따른 인장 응력에 대비하기 위한 콘크리트의 이음매. concrete joint
슈 트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흘려 보내기 위한 통모양 또는 관모양의 기구. chute
습윤 양생 콘크리트 표면 및 내부를 습윤 상태로 23℃ 전후로 유지한 양생. wet-curing
시공 줄눈 경화한 콘크리트 또는 경화하기 시작한 콘크리트에 접하여 새로운 콘크리트를 칠 때 생기는 신구 콘크리트의 이음매. construction joint
시험 비비기 계획한 배합(조합)으로 소정의 콘크리트가 얻어지는가의 여부를 조사하기 위한 반죽 혼합. trial mixing
애지테이터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다지기 전에 분리되지 않도록 잘 혼합하는 기계. agitator
연속 혼합 믹서 콘크리트 재료를 축차적으로 투입하여 연속적으로 반죽 혼합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믹서. continuous mixer
양 생 콘크리트의 경화 작용을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하여 적당한 온도와 습도를 확보하여 외력을 주지않도록 보호하여 두는 것. curing
이어치기 경화한 상태에 잇는 콘크리트에 접해, 새로운 콘크리트를 타설. placing chncrete in con- tact with hardened concrete
증기 양생 고온도의 수증기를 사용한 촉진 양생. steam curing
진공 콘크리트 콘크리트를 쳐서 넣은 다음, 표면에 진공 매트 등을 설치하여 내부의 압력을 내리고, 잉여수를 빨아들임과 동시에 대기압에 의하여 압력이 가해지도록 하여 만드는 콘크리트. vacuum concrete
진 동 기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 진동을 주어서 단단하게 하기 위한 기계(KS F 8004 및 KS F 8005 참조). vibrator
촉진 양생 온도를 높게 하거나 압력을 가하거나 하여 콘크리트의 경화나 강도의 발현을 빠르게 하는 양생. accelerated curing
치기 줄눈 콘크리트의 표면에 단순한 흠을 만든 이음매. dummy joint
콘크리트 펌프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기계적으로 압출하여 수송관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송출하는 장치. concrete pump
콘크리트 플레이서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압축 공기에 따라 수송관을 통하여 송출하는 장치. concrete placer
콜드 조인트 먼저 타설한 콘크리트와 나중에 타설한 콘크리트 사이의 완전히 일체화되지 않은 이음. cold joint
치 기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소정의 위치에 투입하여 채워 넣은 것. placing
피막 양생 콘크리트를 다져서 표면에 피막을 만들어 수분의증발을 막도록 한 양생. membrane curing
파이프 쿨링 콘크리트에 매립한 파이프에 냉각수를 통하여 콘크리트를 냉각하는 것. pipe cooling
팽창 줄눈 팽창에 따른 압축응력에 대비하기 위한 콘크리트의 이음매. expansion joint
표준 양생 모르타르나 콘크리트를 20℃ 전후의 수증 또는 습도 100%에 가까운 공기 중에 유지한 양생. standard curing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장이나 작업 현장 내에서 만들어, 부재로 하여 사용하도록 한 콘크리트. precast concrete
프리팩트 콘크리트 거푸집 내에 미리 굵은 골재를 충정하고 굵은 존재 사이에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만드는 콘크리트. prepacked concrete
현장 수증 양생 현장에서 수온이 기온의 변화함에 따라 수중에서 한 공시체의 양생. under water curing at job site
현장 봉함 양생 현장에서 콘크리트 온도가 기온의 변화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표면에서 물의 출입이 없는 상태를 유지한 공시체의 양생. sealed curing at job site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호 용어2  (0) 2024.03.19
창호 용어  (0) 2024.03.19
철근 용어  (0) 2024.03.19
포괄손익계산서 용어  (0) 2024.03.18
재무제표 용어  (0) 2024.03.18

철근피복 - 철근 표면과 이것을 덮는 콘크리트 표면까지의 최단거리를 말한다.

 

겹침이음 - 보통 사용하고 있는 결속선을 사용해서 끈나는 부위와 새로 잇고자하는 부위를

               정해진 길이만큼 겹쳐서 결속하는 방법이다.

 

이음길이 - 철근을 이을 때 겹치는 부분의 길이를 말한다.

 

정착길이 - 철근을 콘크리트에 정착할 때 정착되는 부분의 길이를 말한다.

 

인장철근 - 철근은 콘크리트의 약한 인장력을 보완하기 위한 보강재이므로 인장철근이 주된 사용목적이다.

 

압축철근 - 콘크리트 부재의 압축내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추가 배근되는 철근으로서 주로 순수 앞축을

               부담하는 고층건물 기둥에 적용된다.

                

마게다이 - 재래식 가공작업 공구 중 철근 구부림판

한도루    - 철근 접을 때 사용하는 굽힘기

함마       - 철근가공 사용례로는 절단용으로 쓰인다.

LOSS     - 쓰고 남아 버려지는 철근

 

띠철근(Tie Hoop)

 - 철근 콘크리트조에서 기둥의 주근을 보강하며, 좌굴을 방지하고 간격유지 등을 위하여 주근을 직각으로 둘러 싼 수평방향의 철근으로서 기둥의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한다.

 

주근

 - 철근 콘크리트조의 보, 기둥 등에 압축력이나 인장력을 부담하는 철근

 - 일반적으로 인장력용 철근은 굵고, 전단력용 보강근은 가는 철근을 사용하낟. 또한 인장력용 굵은 철근을 주근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는데, 정확하게는 구조계산의 대상이 되는 모든 철근을 주근이라고 부른다. 인장용 철근을 주근이라고 부르는 것이 관례이다.

 

 복근

 - 옹벽에서는 수직근, 수평근 모두 2중으로 배근하는 것을 뜻하며, 슬래브 상판배근에서 상하로 배근하는 것을 말한다.

 

 단근

 - 옹벽에 있어서 수직근, 수평근 모두 한 겹의 배근인 것을 말한다.(즉, 싱글배근이라고도 함)

 

 보조근 (후리도메)

 - 구조계산으로 요구되는 철근 이외에 보조를 위해 또는 위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보조근이다.

 

 상단근 (우아낑)

 - 보, 슬래브 등에서 위쪽으로 배치되는 주근을 말한다.

 

 하단근 (시다낑)

 - 보, 슬래브 등에서 아래쪽으로 배치되는 철근을 말한다.

 

 헌치 (Hunch)

 - 라멘 구조의 보, 기둥접합부 등으로 보의 내력을 증가하고, 접합부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보의 하부를 비스듬히 내려서 기둥에 부착하는 부분을 말하지만, 벽 구조인 경우에는 경미한 구조로 바닥을 RC로 하지 않을 경우에 벽보, 연결보 등의 수평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그들을 교차부 내각에 비스듬히 보 폭을 증가하는 부분을 말한다.

 

 전단보강근

 - 띠근, 늑근 등 전단력에 대처하기 위해 사용되는 철근, 주근에 대해 직각방향근이라고도 한다.

 

 늑근

 - 보에 있어 인장 및 압축철근 즉 주근을 둘러싸고 내부 콘크리트를 충분히 구속하도록 둘러싼 철근이며 스트랍의 훅크는 135도 이상 구부려야 한다.

 

내력벽

 - 벽 구조에 있어서, 설계규준에서 정한 소정치수, 배근, 강도를 지니고, 건물에 걸리는 연직하중과 수평하중의 양쪽을 부담하는 벽을 말한다. 벽구조는 내벽력으로 외력에 저항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보강근

 - 기둥에 사용하는 후프(Hoop)나 보에 사용하는 스트랍(Stirrup)등으로서 수평력이나 전단력을 보강하는 철근으로서 콘크리트의 균열 및 피복을 유지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철근이다.

 

배력근

 - 주근을 바로 배치하고 주근에 균등한 응력을 전달하는 즉, 응력분산의 기능을 하는 철근.

 

밴다근(Bent bar)

 - 절곡근 또는 사인장 철근이라고 한다. 보에 사용하는 철근으로서 인장응력에 유효하게 적용키위해 일반적으로는 보의 단부(1/4지점)에 헌치를 만들어 보강하는 철근이나 요즘에는 밴다를 하지 않고 끊어 치는 경우도 많다.

 

 이형철근(dejormed bar)

 - 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철근표면에 마디 모양의 돌기를 붙인 철근을 말한다.

 

 인장철근(tension bar)

 -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장 측에 배근되어 인장력을 받는 철근을 말한다.

 

 고강도철근 (high tinsile bar)

 - 도면 철근 치수에 HD일 경우 일반적으로 항복점 강도가 3500kg/cm2 이상의 철근 탄소강에 소량의 규소, 망간, 니켈을 첨가한 강도가 큰 철근을 뜻한다.

 

 

늑근(스트럽-STIRRUP)

훅크(쓰메)

 

 20-HD 25@200

20개의 고강도 이형철근을 넣는데 직경 25mm 철근을 250간격으로 넣으라는 뜻이다.

 

L - 길이

B - 아래(Bottom)

T - 위(Top)

N.F - 가까운면

F.F - 먼 면

E.F. - 양쪽면

E.W. - 양쪽방향

B.O.F - 기초하부

T.O.C - 콘크리트 상부

T.O.F - 기초상부

E.J. - 신축줄눈

Ab - 철근 한 개의 단면적(cm2)

C.J. - 시공줄눈

fck -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

fy - 철근의 설계기준 항복강도

fcu(t) - 재령t일의 콘크리트 압축강도

fe - 지반의 설계 허용 지내력

D(db) - 이형철근의 공칭지름 (mm)

H - 높이

@ - 간격

THK - 두께

W - 폭

CONC. 콘크리트

 

D - 일반 이형철근

HD - 고강도 이형철근

 

우마 - 상부지지근

다대낑 - 옹벽, 기둥수직근

후낑 - 옹벽수평근

요꼬낑 - 계단 경사부분 부근(수평근)

하리 - 보

기리바리 - 기둥이나 옹벽을 넘어지지 않게 잡아주는 철근

하바도메 - 기둥이나 옹벽의 폭을 잡는 철근

하시라 - 기둥

방석 - 기둥 푸팅 보강근

밴다 - 슬래브의 상부근과 하부근을 철근을 구부려서 연결하는 용어

탑바 -  보나, 슬래브의 상부 단부의 보강근

앙카 -  보, 슬래브의 철근을 90도 각도로 구부리는 것

더블 -  2단으로 철근을 배근하는 것

싱글 -  1단으로 철근을 배근하는 것

사시낑 - 이음 철근(삽입근) - 콘크리트 타설면에서 철근의 이음길이 만큼 나와 있는 철근

덴바 - 콘크리트 타설 상부라인

데스리 -  난간대, 파라펫

시사시 - 처마 (시다지 라고도 함)

단도리 - 철근 배근전 준비 단계

마지기리 - 세대별 칸막이 벽

야기리 - 세대측벽

유바 - 수평근 U자형상을 가짐

시바 - 수평근에서 단부보강근을 감싸는 철근

족낑 - ㅡ 자 철근

장대 - 원철근

기리빠시 - 철근가공후 남은 철근

벤딩우리 - 슬라브 밴다를 구부리는 철근(주로 25mm이상을 사용하며, 효율울 위해 한도리 대용으로 쓴다.)

나라시 - 철근 고르는 것

히로시 - 철근을 배근하기 전 철근 간격을 슬래브 형틀 위 표기(크레파스 및 분필)

오도리방 - 계단 참(1층에서 2층으로 올라가는 중간에 방향 꺽는 부분)

[출처] 철근에 대한 표준용어 및 현장 용어 정리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호 용어  (0) 2024.03.19
콘크리트 용어  (0) 2024.03.19
포괄손익계산서 용어  (0) 2024.03.18
재무제표 용어  (0) 2024.03.18
회계 기본 용어  (0) 2024.03.18

포괄손익계산서는 기타포괄손익 및 총포괄손익이 있다는 것이 손익계산서와의 차이점이다.


포괄손익계산서 = 수익, 비용

수익 : 이자수익, 보험금, FVPL금융자산평가이익,유형자산처분이익, 손상차손환입, 외환차익, 사채상환이익, 잡이익

비용: 매출원가 (Cost of Goods Sold), 재고자산평가손실, 재고자산감모손실


  • 매출총이익 = 매출액 - 매출원가
  • 영업이익 = 매출총이익 - 판매비와 관리비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영업이익 + 영업외수익 - 영업외비용
  • 당기순이익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법인세비용
  • 총포괄이익 = 당기순이익 + 기타포괄손익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콘크리트 용어  (0) 2024.03.19
철근 용어  (0) 2024.03.19
재무제표 용어  (0) 2024.03.18
회계 기본 용어  (0) 2024.03.18
민법 용어  (1) 2024.03.18

자산

기업 회계상의 자산은 자본의 구체적인 존재형태(存在形態)를 말하는 것으로, 이연자산(移延資産)까지도 포함하고 있는 점에서 일반적인 재산개념보다도 넓다.
종류는 유동자산, 비유동자산(고정자산), 이연자산

유동자산
비유동자산에 대응되는 개념으로 1년 이내에 환금할 수 있는 자산 또는 전매할 목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자산
현금, 현금성 자산 등이 여기에 속함

비유동자산
1년 이상의 장기간에 걸쳐 기업 내에 체류하는 자산
비유동자산은 크게 투자자산, 유형자산, 무형자산, 기타비유동자산으로 구분됨. 고정자산이라고도 함

당좌자산
판매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1년 이내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으로 현금 및 1년 이내에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
예금·받을 어음, 외상매출금, 미수금, 유가증권 등

현금 및 현금성 자산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현금 + 언제든 인출가능한 일반 예금

단기금융상품
금융기관에 불입하는 금융상품 중 만기가 불입일로부터 1년 이내인 것

매출채권
재화 판매 또는 용역 제공 이후에 그 대가를 특정시점 기준으로 받지 못한 금액. 외상매출금, 받을 어음으로 구분

단기대여금
금융기관이 아닌 제 3자에게 빌려주고 1년 이내에 회수하지 못한 금액
회수 예정일이 1년 초과 시 장기 대여금

미수금
주된 사업과 관련 없이 재화 판매 또는 용역 제공 이후에 그 대가를 특정시점 기준으로 받지 못한 금액
주된 사업과 관련 있을 경우는 매출채권

미수수익
금융기관에 불입하는 상품에서 발생한 이자 수익

선급금
주된 사업을 위해 필요한 재화, 상품, 용역 등을 구매하고 아직 구입한 것을 받지 못한 금액. 일반적으로는 선금이라 부름

선급비용
지출한 비용의 귀속이 차기 이후에 이뤄지는 것.

재고자산
판매 또는 제조할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상품 또는 재료

상품
제 3자가 제조한 재화를 판매목적으로 구매했으나 판매되지 않고 보유하고 있는 재고

제품
판매할 목적으로 제조한 판매용 자산

재공품
원재료에 가공작업을 진행 중인 상태의 것
원재료 ==> 재공품 ==> 제품

비유동자산
1년 이상의 장기간에 걸쳐 기업 내에 체류하는 자산으로 고정자산이라고도 함
비유동자산은 크게 투자자산, 유형자산, 무형자산, 기타비유동자산으로 구분됨

투자자산
기업의 판매활동을 제외한, 장기간동안 투자 이익을 목적으로 보유하는 자산

장기금융상품
금융자산에 불입하는 금융 상품 중 만기가 불입일로부터 1년을 초과하는 것.
1년을 초과하지 않으면 단기금융상품

유가증권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나 채권

유형자산
기업의 영업활동 과정에서 장기간동안 사용되며 미래에 경제적 이익을 기대할 수 있는 유형의 자산

감가상각누계액
유형 자산에 대한 감가상각비를 직접 공제하지 않고 다른 계정에 누적해 계상하는 것

무형자산
기업의 영업활동 과정에서 장기간동안 사용되며 미래에 경제적 이익을 기대할 수 있는 무형의 자산

산업재산권
특허권 또는 상표권처럼 물리적 실체가 없지만 법적으로 보호받는 권리와 관련한 금액

개발비
기업의 R&D에 대한 지출
신제품, 신기술 개발로 기업의 수익이 증진된다고 보고 일정 기간동안 감소하게 됨

기타비유동자산
비유동자산에서 투자자산, 유형자산, 무형자산에 포함되지 않는 자산

부채
재화(財貨)나 용역(用役)의 차입(借入)을 전제로 부담한 금전상의 상환의무. 일반적으로 갚아야 할 돈
부채 = 자산 - 자본

유동부채
상환기일이 1년 이내인 부채

비유동부채
상환기일이 1년 이상인 부채

상환
일반적으로 현금을 지급하고 부채를 청산하는 것

단기차입금
금융기관 또는 제 3자에게 자금을 빌리고 1년 이내에 아직 상환하지 못한 금액

매입채무
주된 사업목적과 관련해 재화를 구입하거나 용역을 제공받았지만 대가를 지급하지 못한 금액
외상매입과 지급어음으로 구분

미지급금
주된 사업목적과 달리 재화를 구입하거나 용역을 제공받았지만 대가를 지급하지 못한 금액

미지급비용
금융기관 또는 제 3자에게 자금을 빌리고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생하는 이자

예수금
회사가 직원들의 급여, 퇴직금과 관련한 세금을 국세청에 납부하기 위해 미리 공제한 금액

선수금
회사의 주된 사업과 관련해 대금은 받았지만 대금에 대한 재화나 용역을 공급하지 않은 경우

당기법인세부채
회사의 소득에 대한 법인세. 미지급법인세라고도 함

장기차입금
회사가 자금을 빌리고 아직 상환하지 못한 금액 중 상환하기로 한 날이 1년을 초과하는 경우

임대보증금
임차인으로부터 받은 보증금

퇴직급여충당부채
일정 요건이 되는 임직원이 퇴사할 경우 지급해야 하는 퇴직금
※ 퇴직급여 종류
– 확정기여형 퇴직급여제도 : 매년 퇴직금을 정산해 퇴직급여충당부채가 쌓이지 않음
– 확정급여형 퇴직급여제도 : 매년 퇴직급여충당부채가 누적돼 쌓임

자본
재화와 용역의 생산에 사용되는 자산. 갚지 않아도 되는 금액

등기
일정한 법률관계를 널리 사회에 공시하기 위하여 일정한 공부(公簿), 즉 등기부에 기재하는 것

자본금
주식의 총수 X 1주 당 액면금액 = 자본금

주식발행초과금(premium on capital stock)
주식발행시 그 액면을 초과한 금액으로서 주식을 발행하는 경우에 그 차액을 말함
감자차익, 합병차익, 기타자본잉여금과 함께 자본준비금의 구성항목이며, 이는 반드시 회사 내에 적립해야 함

이익
수익(수입) – 비용(지출)= 이익

충당금
장래의 특정한 지불에 대한 준비액으로 상여충당금, 퇴직충당금 등이 있음

자기자본
기업이 그 소유주로부터 밑천으로 받아들인 화폐자본과 전체로서의 화폐자본이 축적된 부분
자본금, 적립금, 준비금 등이 있음

타인자본
기업이 차입한 화폐자본이며, 차입금·외상매입금·지급어음·사채(社債) 등을 의미함

등기
각종 법에 대한 권리와 의무를 받기 위해 회사 설립을 증명하는 것. 법인등기부등본

구주거래
기존 주주와 주식 거래

신주발행
주식을 신규 발행, 증자

주식발행초과금
회사가 주식을 발행하면서 자본금을 초과해서 입금된 금액

미처분이익잉여금(unappropriated earned surplus)
회사 설립 후 누적된 이익에서 누적된 배당지급액을 차감한 금액

미처분잉여금
무언가를 처분하고도 남아있는 금액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근 용어  (0) 2024.03.19
포괄손익계산서 용어  (0) 2024.03.18
회계 기본 용어  (0) 2024.03.18
민법 용어  (1) 2024.03.18
민법 용어  (0) 2024.03.18

회계
특정의 경제적 실체에 이해관계를 가진 사람들에게 합리적인 경제적 의사결정을 하는 데 유용한 재무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 또는 체계

부기
기업이나 정부 등 특정의 경제조직체가 관리하는 자본·재산의 가치변동을 일정한 표현기법을 표본으로 기록·계산하여 결과를 전달하는 행위


재화
돈이나 값나가는 물건으로, 대가를 주고 얻을 수 있는 물질

용역
생산과 소비에 필요한 노동력을 제공하는 일

재정
국가 또는 지방 자치 단체가 행정 활동이나 공공 정책을 시행하기 위하여 자금을 만들어 관리하고 이용하는 경제 활동

중앙관서
헌법 또는 정부조직법 기타 법률에 의하여 설치된 중앙 국가기관으로 예산과정의 집행에 있어서 최고의 단위 조직

기금
국가가 특정한 목적을 위해 특정한 자금을 신축적으로 운용할 필요가 있을 때에 한해 법률로써 설치되는 특정 자금

결산
일정한 기간 안에 일어났던 수입과 지출을 계산하여 재산상태를 알 수 있도록 서류로 작성하는 일

회계연도
세입·세출을 구분하기 위하여 설정되는 일정한 기간으로 우리나라의 예산회계법은 회계연도를 매년 1월 1일에 시작하여 12월 31일에종료한다고 규정


회계거래
재무상태표의 자산·부채·자본에 변동을 가져오는 모든 거래


원장
회계상 거래발생의 내용을 계정과목별로 정리해 놓은 장부

자원
인간에게 유용하게 쓰이는 각종 재화와 용역

자산
유형, 무형의 가치가 있는 물품이나 재화, 권리 등

부채
재화나 용역을 빌린 것을 전제로 부담한 금전상의 상환의무

자본
장사나 사업의 기본이 되는 돈을 의미하며 재무상태표에서 자산에서 부채를 제외한 나머지를 의미

채무
특정인이 다른 특정인에게 어떠한 행위를 하여야 할 의무


재무상태표
일정시점 현재 기업의 재무상태 즉, 기업의 자산, 부채, 자본의 상태를 보여주는 재무보고서로, 포괄손익계산서등과 함께 재무제표의 일부를 구성

지분
기업에 자금, 재물, 노동, 서비스 등의 경제가치를 제공한 자가 기업의 재산에 대해 갖고 있는 청구권

차입
돈·물건 등을 빌리는 것

충당
모자라는 것을 채워 메우는 것
급부
채권의 내용이 되는 채무자의 특정한 행위
원가
어떤 것을 습득하기 위해서 지불해야 하는 구입가 또는 비용
판매비와 관리비
상품의 판매활동과 사업체의 관리 · 유지에 지출된 비용
인건비
피고용자의 노무에 대한 대가 또는 노무와 관련하여 지급되는 일체의 경비
소모품비
소모품이란 영구적으로 사용이 불가능한 물품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 시에
닳아 없어지거나 일정 기간 사용하면 더 이상 못쓰게 되는 물품의 경비
미수
일상적 판매대상인 상품 ·제품 이외의 자산을 매각하였을 경우 그 대금 중
받지 못한 금액
유입·유출
돈, 물품 따위의 재화가 들어오고 나가는 것
대여금
금전을 대여한 경우에 하는 회계처리 계정으로 유동성 여부에 따라 만기가
1년 이내인 단기대여금과 만기가 1년 이후인 장기대여금으로 구분
적립금
기업활동 결과 발생된 이익은 사외로 유출되거나 사내에 유보하게 되는데,
회계처리과정을 통해 사내에 유보되는 이익
잉여금
기업회계상 자기자본(순자산액) 중 자본금을 초과하는 금액
부담금
공익사업경비를 그 사업에 이해관계를 가진 사람에게 부담시키기 위하여
과하는 공법상의 금전급여의무
제재금
법이나 규칙, 관습 따위의 위반을 제한하거나 금지하기 위해 부과하는 금액
질권설정
자기 또는 제삼자의 채무를 담보하기 위하여 담보의 목적물을 채권자에게
제공하여 질권(채무자가 빚을 갚을 때까지 채권자가 담보물을 간직하고
채무자가 빚을 갚지 않으면 그것으로 우선하여 변제 받을 수 있는 권리)을
설정하는 일
유가증권
일반적으로 재산적인 권리를 표시한 증서로서 화폐, 상품증권, 어음, 수표,
주식, 채권 등
국채
정부가 공공목적에 필요한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
공채
국가 또는 지방공공단체가 경비를 조달하기 위하여 부담하는 채권
공공서비스
대중의 복리 증진을 위한 공공 기관의 서비스. 교통· 의료·통신 등을 가리킴
융자
자금을 융통하는 일. 자금 대출과 거의 같은 뜻이나 대출보다 조금 넓은 개념
건설중인자산
유형자산(건물 신축, 기계설비 등)의 건설 또는 매입을 위하여 지출된
경비로서, 완성되거나 도착할 때까지 잠정적으로 처리하는 계정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괄손익계산서 용어  (0) 2024.03.18
재무제표 용어  (0) 2024.03.18
민법 용어  (1) 2024.03.18
민법 용어  (0) 2024.03.18
[민법][물권법] 용어  (0) 2024.03.18

민법 용어해설


1. 민법(民法)
사인간의 생활관계(재산, 가족)를 규율하는 일반사법을 말한다. 상법은 특별사
법에 해당한다. 민법은 사법,일반법,실체법이다.

2. 공법(公法)
국가 기타의 공공단체 상호간의 관계 또는 이들과 個人과의 관계를 규율하는 법을 말한다.

3. 사법(私法)
개인 상호간의 관계를 규율하는 법을 말한다.
민법은 일반사법이고 상법은 특별사법이다.

4. 법원(法源)
법의 존재형식 또는 법의 연원, 재판의 기준이 되는 법을 말한다. 즉 민사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적용되는 법규를 말한다. 민법 제1조의 규정

5. 관습법(慣習法)
사회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한 관행이 일반적으로 인정된 法的 확신에 의하여 법규범으로 승격된 것으로 법원의 判決로 확인된 것을 말한다. 법률에 대해 보충적 효력설이 다수설이다. 법원직권조사사항

6. 사실인 관습(慣習)
사회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한 관행이 법적 확신을 구비하지 못한 것을 말한다. 사실인 관습은 법률행위의 해석의 기준이 된다.

7. 조리(條理)
사물의 본성, 본질적 법칙, 사람의 理性에 기해 생각되는 규범을 말한다.

8. 사적자치의 原則
자기의 일은 自己決定에 의하여, 自己責任으로, 自己支配한다는 원칙을 말한다. 법률행위는 사적자치 원칙의 수단이 된다.

9. 법률행위 자유의 원칙
법률행위에 대하여 체결의 자유, 상대방 선택의 자유, 내용결정의 자유, 방식의 자유는 법률행위를 하는 자가 자유로이 결정할 수 있다는 원칙을 말한다. 법률행위는 일정한 법률효과의 발생을 목적으로 하는 하나 또는 수 개의 의사표시를 필요불가결의 요소로 하는 법률요건이다.

10. 소유권절대의 원칙
소유자는 그의 소유물을 자유로이 사용,수익,처분할 수 있다는 원칙을 말한다.

11. 과실책임의 원칙
불법행위나 채무불이행 시에 개인은 자기의 행위에 대해서만 책임질 뿐이고 타인의 행위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지 않으며, 나아가 자기의 행위에 대해서도 고의, 과실(過失)이 있는 때에 한하여 책임을 진다는 원칙을 말한다.

12. 준용
기존의 법규와 유사한 사항을 규정할 때에 법률을 간결하게 할 목적으로 그 문언을 중복해서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존의 법규를 수정을 가하여 적용시키는 것을 말한다.
13. 추정, 간주
입증의 곤란을 구제하기 위한 제도로서 추정은 불명확한 사실을 일단 존재하는 것으로 정하여 법률효과를 발생시키되, 추후 反證이 있을 때에는 그 효과를 발생시키지 않는 제도를 말하며 간주는 추후 반증만으로는 발생된 효과를 전복시키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14. 선의, 악의
선의는 어떤 사실을 알지 못하는 것이고, 악의는 어떤 사실을 알고 있는 것을 말한다. 선의취득,~선의의 제3자에게 대항치 못한다.

15. 「대항하지 못한다」
주로 善意의 제 3 자를 보호하여 去來의 安全을 꾀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용어로서 당사자간에 발생한 法律關係를 제 3 자에 대하여 주장하지 못한다는 것을 말한다.

16. 법률불소급의 원칙
법률은 그 效力이 생긴 때로부터 그 이후에 발생한 사실에 대해서만 적용된다는 원칙을 말한다.

17. 신의성실의 原則
법률관계에 참여한 모든 자는 상대방의 정당한 利益을 고려하여 행위할 의무를 부담한다는 원칙을 말한다.
신의성실의 원칙은 채권법에서, 권리남용이론은 물권법에서 발전하였다.

18. 사정변경의 原則
法律行爲 특히 계약이 체결된 후에, 계약의 기초가 된 사정이 그 후 당사자 쌍방이 예견할 수 없고 또 당사자의 책임에도 돌아갈 수 없는 사유로 인하여 변경되고, 그 결과 당초의 계약내용으로 당사자를 구속하는 것이 신의, 형평의 관념상 가혹하게 된 경우에 그 계약의 변경 또는 해제가 인정되어야 한다는 원칙을 말한다.

19. 권리의 남용
외형상으로는 적법한 권리의 행사인 것처럼 보이나 구체적인 경우에 실질적으로 검토해 볼 때, 권리 본래의 사회적 목적을 벗어난 것이어서 정당한 권리의 행사로서 시인할 수 없는 것을 말한다.

20. 정당방위
타인의 불법행위에 대하여 자기 또는 제 3 자의 이익을 방위하기 위하여 부득이 타인(제3자 포함)에게 加害行爲를 한 경우, 위법성이 조각되어 불법행위책임을 지지 않는 것을 말한다.

21. 긴급피난
급박한 위난을 피하기 위하여 부득이 타인에게 加害行爲를 한 경우, 위법성이 조각되어 불법행위책임을 지지 않는 것을 말한다.

22. 자력구제
권리자의 권리가 침해된 경우, 권리자 스스로가 자기의 청구권을 실현하는 것을 말한다.

23. 권리능력
권리 또는 의무의 주체가 될 수 있는 추상적, 잠재적인 법률상의 지위 또는 자격을 말한다. 자연인은 출생에 의해 법인은 법인설립등기에 의해 취득한다.

24. 의사능력
의사표시를 하는 자가 이성적으로 의사를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책임능력과 유사

25. 행위능력
단독으로 완전, 유효한 법률행위를 할 수 있는 지위 또는 자격을 말한다. 무능력자는 미성년자, 한정치산자, 금치산자를 말한다.

26. 미성년자
성년(만20세)에 달하지 않은 자를 말한다.

27. 한정치산자
심신이 박약하거나 재산의 낭비로 자기나 가족의 생활을 궁박하게 할 염려가 있는 자로서, 가정법원에 의하여 한정치산의 선고를 받은 자를 말한다. 

28. 금치산자
심실상태에 있는 자로서 가정법원에 의하여 금치산의 선고를 받은 자를 말한다.

29. 실종선고
부재자의 생사불명의 상태가 일정기간(5년 또는 1년) 계속된 경우에 가정법원의 선고에 의하여 사망으로 간주하는 제도를 말한다.

2

1. 법인
법률에 의하여 권리능력이 인정된 사단 또는 재단을 말한다.

2. 사단법인
일정한 목적을 위하여 바쳐진 사람의 단체, 즉 사단을 그 실체로 하는 법인을 말한다. 사원권, 사원총회

3. 재단법인
일정한 목적을 위하여 바쳐진 재산, 즉 재단을 그 실체로 하는 법인을 말한다.

4. 권리능력 없는 사단
단체의 실질은 사단임에도 불구하고 법인격을 취득하지 못한 것을 말한다.

5. 권리능력 없는 재단
실체는 재단이며서도 법인격을 취득 하지 못한 것을 말한다.

6. 권리의 객체(客體)
권리에 의해 보호되는 이익(권리의 내용 또는 목적), 또는 권리가 발생하기 위하여 필요한 일정한 대상을 말한다.

7. 물건(物件)
유체물 및 전기 기타 관리할 수 있는 자연력을 말한다.

8. 부동산(不動産)
토지와 그 정착물(건물, 수목, 미분리과실, 농작물, 교량, 터널, 담장, 제방 등)을 말한다.
※ 토지의 정착물 중 별개의 부동산이 되는 것
① 건물
② 입목법에 의한 등기된 수목의 집단
③ 명인방법을 갖춘 수목
④ 명인방법을 갖춘 미분리과실
⑤ 농작물

9. 동산(動産)
부동산 이외의 물건을 말한다.
※ 금전
① 가치(○) 개성(×) ② 점유=소유
③ 물권적청구권(×), 선의취득(×)

10. 종물(從物)
물건의 소유자가 그 물건(주물)의 상용에 공하기 위하여 자기 소유인 다른 물건을 이에 부속하게 한때에, 그 다른 물건을 말한다.
※ 권리에도 유추적용
① 건물양도→대지의 임차권
② 원본채권→이자채권
③ 저당권의 효력→그 부동산에 부합된 물건과 주물
④ 건물 이외의 저당권→그 소유의 지상권

11. 원물(元物)
그것으로부터 수익(과실)을 생기게 하는 물건을 말한다.
천연과실(天然果實)
물건의 용법에 의하여 수취하는 출산물을 말한다.
법정과실(法定果實)
물건의 사용대가로 받는 금전 기타의 물건을 말한다.
※ 주식배당금, 권리사용의 대가, 노동의 대가(×)

12. 법률관계(法律關係)
사람의 사회생활관계 가운데에서 법에 의해 규율되는 生活關係를 말한다.
※ 물권관계, 채권관계, 가족권관계

13. 권리(權利)
일정한 이익을 향수하게 하기 위하여 법이 인정한 힘을 말한다.
※ 내용에 따른 분류
① 인격권
② 가족권
③ 재산권
④ 사원권

※ 작용에 따른 분류
① 지배권
② 청구권
③ 형성권
④ 항변권

14. 권한(權限)
他人을 위하여, 그에 대하여 일정한 법률효과를 발생하게 하는 행위를 할 수 있는 법률상의 자격을 말한다.
※ 대리권, 대표권

15. 권능(權能)
권리의 내용을 구성하는 개개의 법률상의 힘을 말한다. 소유권의 권능은 사용권&#8228;수익권&#8228;처분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16. 권원(權原)
법률상 또는 사실상의 행위를 하는 것을 正當化시키는 원인을 말한다.

17. 의무(義務)
의무자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반드시 따라야 하는 것으로 법에 의해 강요되는 것을 말한다.

18. 지배권(支配權)
他人의 협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일정한 客體를 직접 지배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물권, 무채재산권, 인격권, 친권, 배우자권 등

19. 물권(物權)
권리자가 특정의 물건을 직접 支配하여 利益을 얻는 배타적인 권리를 말한다. 물권법정주의 원칙

20. 청구권(請求權)
채권의 본질적 내용을 이루는 것으로서 特定人이 다른 特定人에 대하여 일정한 行爲를 요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채권적청구권, 물권적청구권, 가족권적청구권

21. 채권(債權)
특정인(채권자)이 타인(채무자)에 대하여 일정한 행위(급부)를 요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22. 형성권(形成權)
권리자의 일방적인 의사표시에 의하여 법률관계의 형성, 변경, 소멸 등을 생기게 하는 권리를 말한다.
※청구권의 형식으로 되어 있으나 형성권인 것
증감, 소멸, 매수청구권

23. 항변권(抗辯權)
타인의 청구권의 행사를 저지할 수 있는 효력을 갖는 권리를 말한다. 동시이행항변권, 최고검색항변권

24. 기대권(期待權)
권리발생요건 중의 일부만이 발생하고 있을 뿐이기는 하지만 남은 요건이 실현되면 장차 권리를 취득할 수 있는 경우에 현재의 그러한 기대상태를 권리로서 보호한 것을 말한다.

25. 권리의 경합(競合)
하나의 생활사실이 수 개의 법규가 정하는 요건을 충족하여, 그 결과 수 개의 권리가 생기는 경우를 말한다. 채무불이행 책임과 불법행위책임의 선택적 행사

26. 법규의 경합(競合)
하나의 생활사실이 수 개의 법규가 정하는 요건을 충족하지만 그 중의 한 법규가 다른 법규를 배제하는 것을 말한다.

27. 원시취득(原始取得)
타인의 권리에 기초함이 없이 원시적으로 권리를 취득하는 것을 말한다. 신축, 취득시효, 선의취득, 선점, 습득, 발견,

28. 승계취득(承繼取得)
타인의 권리에 기초하여 권리를 취득하는 것을 말한다.

29. 이전적승계(移轉的承繼)
전주에게 속하고 있던 권리가 그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종주에게 이전하는 것을 말한다.

30. 특정승계(特定承繼)
개개의 권리가 개개의 취득원인에 의하여 취득되는 것을 말한다. 매매, 증여, 교환

31. 포괄승계(包括承繼)
하나의 취득원인에 의하여 다수의 권리가 일괄적으로 취득되는 것을 말한다. 상속, 포괄적유증, 회사의 합병

32. 설정적승계(設定的承繼)
소유권이 가지는 사용, 수익, 처분의 권능 중 일부를 제한 받는 것을 말한다. 제한물권의 설정(전세권)

33. 권리의 변경(變更)
권리가 그 내용의 동일성을 잃지 않으면서 그 주체, 내용, 작용에 변경을 받는 것을 말한다.

3

법률요건
일정한 법률효과를 발생하게 하는 원인의 총체를 말한다. 당사자가 표시한대로 법률효과가 발생하는 법률행위와 준법률행위, 사무관리, 부당이득, 불법행위, 시효 등과 같은 법률의 규정에 따라 법률효과가 발생하는 경우로 구분된다. 

법률사실
법률요건을 이루는 개개의 사실을 말한다. 법률요건은 하나 또는 수 개의 법률사실로 구성된다.

용태
사람의 정신작용에 기하는 법률사실을 말한다. 이에 반해 정신작용에 기인하지 않는 법률사실을 사건이라 한다.

적법행위
법률이 가치있는 것으로서 허용하는 행위로서, 의사표시와 준법률행위로 나누어진다.

법률행위
의사표시를 요소로 하는 법률요건을 말한다.

준법률행위
불법행위와 법률행위를 제외한 나머지 인간의 모든 행위를 말한다.

의사의 통지
각종의 최고와 거절과 같이 자기의 의사를 타인에게 통지하는 행위로서 법이 일정한 법률효과를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

관념의 통지
법률관계의 당사자 일방이 상대방에 대하여 과거 또는 현재의 사실을 알리는 것을 말한다. ‘~통지’로 끝나지만 그렇지 않는 경우를 받드시 암기하여야 한다. 대리권수여의 표시, (소멸시효 완성전의)채무의 승인, 채권양도의 통지&#8228;승낙, 인지, 사무처리상황보고 등

사실행위
그 행위에 의하여 표시되는 의식의 내용이 무엇이냐를 묻지 않고서, 다만 행위가 행하여져 있다는 것 또는 그 행위에 의하여 생긴 결과만이 법률에 의하여 법률상 의미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행위를 말한다.
암기:순수사실행위(매,주,가), 혼합사실행위(부,사,선,물,변,유)

법률행위의 성립요건, 효력요건
법률행위가 법률요건으로서 완전히 그 법률효과를 발생하려면 먼저 법률행위로서 성립하고, 이어서 유효하다는 평가를 받아야 한다.

단독행위
한 개의 의사표시만으로 성립하는 법률행위를 말한다. 상대방 있는 단독행위와 상대방 없는 단독행위(재,유,포)로 구분된다.

계약
두개의 대립되는 의사표시(청약과 승낙)의 합치에 의하여 성립하는 법률행위를 말한다. 민법상 전형계약은 14종이다.

합동행위
방향을 같이하는 두 개의 의사표시의 합치에 의하여 성립하는 법률행위를 말한다. 사단법인 설립행위

요식행위
일정한 방식(서면, 공증, 신고 등)에 따라 행해져야 그 효력이 인정되는 법률행위를 말한다. 민법상의 원칙은 불요식행위이다.

사후행위
행위자의 사망으로 그 효력이 생기는 법률행위를 말한다.

유상행위
자기의 출연에 대하여 상대방으로부터 대등한 출연을 받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행위를 말한다. 그렇지 않는 경우를 무상행위라 한다. 구별실익은 매매에 관한 규정의 준용유무에 있다.

유인행위
원인된 법률행위의 효력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법률행위를 말한다. 그렇지 않는 경우를 무인행위(어음수표행위)라 한다.

물권행위
물권변동(발생, 변경, 소멸)을 목적으로 하는 법률행위로서 장차 이행의 문제를 남기지 않는 것을 말한다. 처분권이 존재하여야 한다.

채권행위
채권의 발생을 목적으로 하는 법률행위로서 장차 이로 발생한 채권, 채무에 관하여 이행의 문제를 남기는 것을 말한다. 의무부담행위 

준물권행위
물권 이외의 권리의 발생, 변경, 소멸을 직접 가져오게 하고 후에 이행의 문제를 남기지 않는 것을 말한다. 채권양도, 무체재산권의 양도, 채무면제 등

민법상의 신탁행위
신탁자가 수탁자에게 일정한 경제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권리를 이전하면서, 수탁자는 신탁자에 대하여 그 목적의 범위 내에서 권리를 행사하여야 하는 구속을 받는 법률행위를 말한다.
양도담보, 추심을 위한 채권의 양도 등

원시적 불능
법률행위의 성립 당시에 이미 그 법률행위의 내용이 실현 불가능하게 된 경우를 말한다. 원시적불능이 있으면 법률행위는 무효로 된다.

후발적 불능
법률행위가 성립한 뒤에 그 법률행위의 내용이 실현 불가능하게 된 경우로 법률행위는 유효하나, 채무자에게 고의 과실에 의해 발생한 경우는 이행불능에 의한 손해배상청구권과 계약해제권, 반면에 채무자의 고의 과실에 의한 것이 아니면 반대급부에 대한 위험부담의 문제가 발생한다.

전부불능
법률행위의 내용의 전부가 불능인 경우를 말한다.

일부불능
법률행위의 내용의 일부가 불능인 경우를 말한다. 법률행위의 일부불능은 그 전부를 무효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다만 그 무효부분이 없더라도 법률행위를 하였을 것이라고 인정될 때에는 나머지 부분은 그대로 유효한 것으로 인정한다.

강행규정
법령 중 선량한 풍속 기타 사회질서에 관계있는 규정을 말한다.
강행규정에서는 사적자치가 허용되지 않으며, 그에 위반하는 내용의 법률행위는 무효이다.

임의규정
법령 중 선량한 풍속 기타 사회질서와 관계없는 규정으로서, 사적자치가 허용되어 당사자의 의사로 그 적용을 배제할 수 있는 규정을 말한다.

효력규정
그 규정에 위반하는 행위의 사법상의 효과가 부정되는 규정을 말한다. 엄격한 표준을 정하여 일정한 자격을 갖춘 자에 대해서만 일정한 기업을 허용하는 경우에 그 법규는 효력규정이라고 보아야 한다. 이 경우 명의대여행위는 효력규정의 위반으로 무효이다.

단속규정
그 규정에 위반하여도 벌칙의 적용이 있을 뿐, 행위 자체의 사법상의 효과에는 영향이 없는 규정을 말한다. 무허가음식점영업행위, 공무원의 영리행위, 부동산등기특별조치법의 중간생략등기금지

탈법행위
강행법규의 조문에 직접 정면으로는 위반하지 않는 형식을 갖추었으나, 실질적으로는 그 법규가 금지하고 있는 내용을 실현하는 행위를 말한다. 연금청구권의 담보금지



의사표시
일정한 법률효과를 발생시키고자 하는 내적의사를 외부에 나타내는 행위를 말한다.

의사와 표시의 불일치
내심적 효과의사와 표시상의 효과의사가 일치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비진의표시
표의자가 의사와 표시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 즉 진의 아님을 알면서하는 의사표시를 말한다.

허위표시
상대방과 통정하여 하는 진의 아닌 허위의 의사표시를 말한다.

착오
표시의 내용과 내심의 의사가 일치하지 않는 것을 표의자 자신이 알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하자 있는 의사표시
타인의 위법한 간섭(사기, 강박)으로 말미암아 방해된 상태에서 자유롭지 못하게 행하여진 의사표시를 말한다.

사기에 의한 의사표시
표의자가 타인의 기망행위로 인해 착오에 빠지고, 그러한 상태에서 한 의사표시를 말한다.

강박에 의한 의사표시
표의자가 타인의 강박행위로 인해 공포심을 가지게 되고 그 해학을 피하기 위하여 마음 없이 행한 진의 아닌 의사표시를 말한다.

의사표시의 수령능력
수령한 의사표시를 요지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공시송달
표의자가 과실 없이 상대방을 모르거나 또는 상대방의 주소를 알지 못하는 경우에 민사소송법의 규정에 의하여 의사표시를 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을 말한다.

대리
타인(대리인)이 본인의 이름으로 법률행위(의사표시)를 하거나 또는 의사표시를 수령함으로써 그 법률효과가 직접본인에 관하여 생기는 제도를 말한다.

임의대리
본인의 의사에 의해 대리권이 주어지는 대리를 말한다.

법정대리
본인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법률의 규정에 의하여 일정한 자에게 주어지는 대리를 말한다.

대리권(한)
타인(대리인)이 본인의 이름으로 의사표시를 하거나 또는 의사표시를 받음으로써 직접 본인에게 법률효과를 귀속시킬 수 있는, 법률상의 지위 또는 자격을 말한다.

현명주의
대리인이 대리행위를 할 때 본인을 위하여 한다는 의사를 표시 하는 것을 말한다.

복대리인
대리인이 그의 권한 내의 행위를 하기 위하여, 대리인의 권한으로, 즉 그의 이름으로 선임한 본인의 대리인을 말한다.

복임권
대리인이 복대리인을 선임할 수 있는 권한을 말한다.

무권대리
대리권 없이 행한 대리행위를 말한다.

표현대리
대리인에게 대리권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마치 그것이 있는 것과 같은 외관이 있고 또한 그러한 외관의 발생에 관하여 본인이 어느 정도 원인을 주고 있는 경우에, 그 무권대리행위에 대해 본인으로 하여금 책임을 지게 함으로써 선의, 무과실의 제 3 자를 보호하려는 것을 말한다.

법률행위의 무효
법률행위가 성립한 당초부터 법률상 당연히 그 효력이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무효행위의 전환
어떤 법률행위가 무효이기는 하지만 그것이 다른 법률행위로서 요건을 갖추고 양자의 법률효과가 사회, 경제적 목적에 있어서 유사한 것이며 당사자도 구체적 사정에 비추어 그 다른 법률행위로서의 법률효과를 원하였을 것이라고 인정하는 때에는 그 다른 법률행위가 행해진 것으로 인정하는 것을 말한다.

무효행위의 추인
어떤 법률행위가 무효인 경우에 그 무효의 원인이 없어진 것을 전제로 하여 그 추인한 때로부터 새로운 법률행위로 보는 것을 말한다.

법률행위의 취소
일단 유효하게 성립된 법률행위에 무능력 또는 의사표시에 결함이 있는 경우, 취소권자가 그 법률행위를 취소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이 경우 그 취소를 하게 되면 소급해서 무효로 처리되는 것을 말한다.

법률행위의 철회
아직 법률행위의 효력이 발생하지 않은 것에 대하여 그 효력을 장래를 향하여 저지 시키는 것을 말한다.

법률행위(계약)의 해제
유효하게 성립된 계약에 있어서 당사자 일방의 채무불이행이 있는 경우, 그의 상대방이 일방적으로 계약을 소급적으로 소멸시키는 것을 말한다.

법정추인
취소할 수 있는 행위에 대해 일반적으로 추인이라고 인정할 수 있는 일정한 사실이 존재할 때 취소권자의 추인 의사를 묻지 않고 법률상 당연히 추인이 있었던 것으로 간주하는 것을 말한다.

조건
법률행위의 효력의 발생 또는 소멸을 장래 발생할것인가의 여부가 불확실한 사실에 의존케 하는 법률행위의 부관을 말한다.

기한
법률행위의 효력의 발생, 소멸 또는 채무의 이행을 장래에 발생하는 것이 확실한 사실에 의존케 하는 법률행위의 부관을 말한다.

기한의 이익
기한이 도래하지 않음으로써 당사자가 받는 이익을 말한다.

기간
어느 시점에서 어느 시점까지 계속된 시간의 구분을 말한다.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제표 용어  (0) 2024.03.18
회계 기본 용어  (0) 2024.03.18
민법 용어  (0) 2024.03.18
[민법][물권법] 용어  (0) 2024.03.18
정보통신 용어  (5) 2024.03.17

민법 사인간의 생활관계(재산, 가족)를 규율하는 일반사법을 말한다.

공법 국가 기타의 공공단체 상호간의 관계 또는 이들과 개인과의 관계를 규율하는 법을 말한다.

사법 개인 상호간의 관계를 규율하는 법을 말한다.

법원 법의 존재형식 또는 법의 연원, 재판의 기준이 되는 법을 말한다.

관습법 사회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한 관행이 일반적으로 인정된 법적 확신에 의하여 법규범으로 승격된 것으로 법원의 판결로 확인된 것을 말한다.

사실인 관습 사회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한 관행이 법적 확신을 구비하지 못한 것을 말한다.

조리 사물의 본성, 본질적 법칙, 사람의 이성에 기해 생각되는 규범을 말한다.

사적자치의 원칙 자기의 일은 자기결정에 의하여, 자기책임으로, 자기지배한다는 원칙을 말한다.

법률행위 자유의 원칙 법률행위에 대하여 체결의 자유, 상대방 선택의 자유, 내용결정의 자유, 방식의 자유는 법률행위를 하는 자가 자유로이 결정할 수 있다는 원칙을 말한다.

소유권절대의 원칙 소유자는 그의 소유물을 자유로이 사용, 수익, 처분할 수 있다는 원칙을 말한다.

과실책임의 원칙 불법행위나 채무불이행 시에 개인은 자기의 행위에 대해서만 책임질 뿐이고 타인의 행위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지 않으며, 나아가 자기의 행위에 대해서도 고의, 과실이 있는 때에 한하여 책임을 진다는 원칙을 말한다.

민법의 해석 재판규범으로서의 민법의 의미, 내용을 명확히 밝히는 작업을 말한다.

준용 기존의 법규와 유사한 사항을 규정할 때에 법률을 간결하게 할 목적으로 그 문언을 중복해서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존의 법규를 수정을 가하여 적용시키는 것을 말한다.

선의, 악의 선의는 어떤 사실을 알지 못하는 것이고, 악의는 어떤 사실을 알고 있는 것을 말한다.

추정, 간주 입증의 곤란을 구제하기 위한 제도로서 추정은 불명확한 사실을 일단 존재하는 것으로 정하여 법률효과를 발생시키되, 추후 반증이 있을 때에는 그 효과를 발생시키지 않는 제도를 말하며 간주는 추후 반증만으로는 발생된 효과를 전복시키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대항하지 못한다 주로 선의의 제 3 자를 보호하여 거래의 안전을 꾀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용어로서 당사자간에 발생한 법률관계를 제 3 자에 대하여 주장하지 못한다는 것을 말한다.

법률불소급의 원칙 법률은 그 효력이 생긴 때로부터 그 이후에 발생한 사실에 대해서만 적용된다는 원칙을 말한다.

신의성실의 원칙 법률관계에 참여한 모든 자는 상대방의 정당한 이익을 고려하여 행위할 의무를 부담한다는 원칙을 말한다.

사정변경의 원칙 법률행위 특히 계약이 체결된 후에, 계약의 기초가 된 사정이 그 후 당사자 쌍방이 예견할 수 없고 또 당사자의 책임에도 돌아갈 수 없는 사유로 인하여 변경되고, 그 결과 당초의 계약내용 으로 당사자를 구속하는 것이 신의, 형평의 관념상 가혹하게 된 경우에 그 계약의 변경 또는 해제가 인정되어야 한다는 원칙을 말한다.

권리의 남용 외형상으로는 적법한 권리의 행사인 것처럼 보이나 구체적인 경우에 실질적으로 검토해 볼 때, 권리 본래의 사회적 목적을 벗어난 것이어서 정당한 권리의 행사로서 시인할 수 없는 것을 말한다.

정당방위 타인의 불법행위에 대하여 자기 또는 제 3 자의 이익을 방위하기 위하여 부득이 타인(제3자 포함)에게 가해행위를 한 경우, 위법성이 조각되어 불법행위책임을 지지 않는 것을 말한다.

긴급피난 급박한 위난을 피하기 위하여 부득이 타인에게 가해행위를 한 경우, 위법성이 조각되어 불법행위책임을 지지 않는 것을 말한다.

자력구제 권리자의 권리가 침해된 경우, 권리자 스스로가 자기의 청구권을 실현하는 것을 말한다.

권리능력 권리 또는 의무의 주체가 될 수 있는 추상적, 잠재적인 법률상의 지위 또는 자격을 말한다.

태아 모체내에 있는 것으로서 장차 자연인으로 출생할 것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정지조건설 태아로 있는 동안에는 권리능력을 인정받지 못하지만 살아서 출생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권리능력 취득의 효과가 문제의 사실이 발생한 시기까지 소급해서 생긴다고 보는 견해를 말한다.

해제조건설 문제의 사실이 생긴 때로부터 태아는 권리능력을 갖지만 사산인 경우에는 소급하여 권리능력을 잃는다고 보는 견해를 말한다.

동시사망의 추정 2인 이상이 동일한 위난으로 사망한 경우에 동시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하는 것을 말한다.

인정사망 사체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사망한 것이 확실시되는 경우에 그것을 조사한 관공서가 지체없이 사망지의 시, 읍, 면의 장에게 사망의 보고를 하고, 이 보고에 의하여 호적부에 사망의 기재가 되는 것을 말한다.

의사능력 의사표시를 하는 자가 이성적으로 의사를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책임능력 불법해위에서의 판단능력을 말한다.

행위능력 단독으로 완전, 유효한 법률행위를 할 수 있는 지위 또는 자격을 말한다.

미성년자 성년(만20세)에 달하지 않은 자를 말한다.

한정치산자 심신이 박약하거나 재산의 낭비로 자기나 가족의 생활을 궁박하게 할 염려가 있는 자로서, 가정법원에 의하여 한정치산의 선고를 받은 자를 말한다.

금치산자 심실상태에 있는 자로서 가정법원에 의하여 금치산의 선고를 받은 자를 말한다.

주소 생활의 근거가 되는 곳을 말한다.

거소 사람과 장소와의 밀접도가 주소만 못한 곳을 말한다.

가주소 당사자가 거래관계 등에 관하여 선정한 장소를 말한다.

부재자 종래의 주소나 거소를 떠나서 당분간 돌아올 가망이 없는 자로서, 그의 재산이 관리되지 못하고 방치되는 상태에 있는 자를 말한다.

실종선고 부재자의 생사불명의 상태가 일정기간(5년 또는 1년) 계속된 경우에 가정법원의 선고에 의하여 사망으로 간주하는 제도를 말한다.

법인 법률에 의하여 권리능력이 인정된 사단 또는 재단을 말한다.

사단법인 일정한 목적을 위하여 바쳐진 사람의 단체, 즉 사단을 그 실체로 하는 법인을 말한다.

재단법인 일정한 목적을 위하여 바쳐진 재산, 즉 재단을 그 실체로 하는 법인을 말한다.

법인격부인의 법리 법인의 독립성 그 자체는 인정하되, 다만 부당한 목적에 관계된 특정한 사안에 한하여 그 독립된 법인격을 일시 부정하여 법인과 그 실체를 이루는 개인 또는 다른 법인과를 동일시 하는 이론을 말한다.

이사 대외적으로는 법인을 대표하고 대내적으로는 법인의 업무를 집행하는 상설적 필요기관을 말한다.

사원총회 사단법인에만 있는 기관으로서, 사원으로 구성되는 최고의사결정기관이며 또한 필수기관을 말한다.

법인등기 법인은 명확한 외형을 가지는 자연인에 비해 그 존재나 내용을 일반 제 3 자가 알기 어려우므로 거래의 안전을 위하여 법인의 조직이나 내용을 공시하는 것을 말한다.

법인의 소멸 일정한 절차(해산 및 청산)를 거쳐 법인이 권리능력을 상실하는 것을 말한다.

법인의 청산 해산한 법인이 잔무를 처리하고 재산을 정리하여 완전히 소멸할 때 까지의 절차를 말한다.

권리능력 없는 사단 단체의 실질은 사단임에도 불구하고 법인격을 취득하지 못한 것을 말한다.

권리능력 없는 재단 실체는 재단이며서도 법인격을 취득 하지 못한 것을 말한다.

권리의 객체 권리에 의해 보호되는 이익(권리의 내용 또는 목적), 또는 권리가 발생하기 위하여 필요한 일정한 대상을 말한다.

물건 유체물 및 전기 기타 관리할 수 있는 자연력을 말한다.

부동산 토지와 그 정착물(건물, 수목, 미분리과실, 농작물, 교량, 터널, 담장, 제방등)을 말한다.

동산 부동산 이외의 물건을 말한다.

종물 물건의 소유자가 그 물건(주물)의 상용에 공하기 위하여 자기 소유인 다른 물건을 이에 부속하게 한때에, 그 다른 물건을 말한다.

원물 그것으로부터 수익(과실)을 생기게 하는 물건을 말한다.

천연과실 물건의 용법에 의하여 수취하는 출산물을 말한다.

법정과실 물건의 사용대가로 받는 금전 기타의 물건을 말한다.

법률관계 사람의 사회생활관계 가운데에서 법에 의해 규율되는 생활관계를 말한다.

권리 일정한 이익을 향수 하게 하기 위하여 법이 인정한 힘을 말한다.

권한 타인을 위하여, 그에 대하여 일정한 법률효과를 발생하게 하는 행위를 할 수 있는 법률상의 자격을 말한다.

권능 권리의 내용을 구성하는 개개의 법률상의 힘을 말한다.

권원 법률상 또는 사실상의 행위를 하는 것을 정당화시키는 원인을 말한다.

의무 의무자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반드시 따라야 하는 것으로 법에 의해 강요되는 것을 말한다.

지배권 타인의 협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일정한 객체를 직접 지배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물권 권리자가 특정의 물건을 직접 지배하여 이익을 얻는 배타적인 권리를 말한다.

청구권 채권의 본질적 내용을 이루는 것으로서 특정인이 다른 특정인에 대하여 일정한 행위를 요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채권 특정인(채권자)이 타인(채무자)에 대하여 일정한 행위(급부)를 요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인격권 인격적 이익의 향수를 내용으로 하는 권리를 말한다.

사원권 단체의 구성원으로서 가지는 권리를 말한다.

형성권 권리자의 일방적인 의사표시에 의하여 법률관계의 형성, 변경, 소멸 등을 생기게 하는 권리를 말한다.

항변권 타인의 청구권의 행사를 저지할 수 있는 효력을 갖는 권리를 말한다.

기대권 권리발생요건 중의 일부만이 발생하고 있을 뿐이기는 하지만 남은 요건이 실현되면 장차 권리를 취득할 수 있는 경우에 현재의 그러한 기대상태를 권리로서 보호한 것을 말한다.

권리의 경합 하나의 생활사실이 수개의 법규가 정하는 요건을 충족하여, 그 결과 수개의 권리가 생기는 경우를 말한다.

법규의 경합 하나의 생활사실이 수개의 법규가 정하는 요건을 충족하지만 그 중의 한 법규가 다른 법규를 배제하는 것을 말한다.

원시취득 타인의 권리에 기초함이 없이 원시적으로 권리를 취득하는 것을 말한다.

승계취득 타인의 권리에 기초하여 권리를 취득하는 것을 말한다.

이전적 승계 전주에게 속하고 있던 권리가 그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종주에게 이전하는 것을 말한다.

특정승계 개개의 권리가 개개의 취득원인에 의하여 취득되는 것을 말한다.

포괄승계 하나의 취득원인에 의하여 다수의 권리가 일괄적으로 취득되는 것을 말한다.

설정적 승계 소유권이 가지는 사용, 수익, 처분의 권능 중 일부를 제한받는 것을 말한다.

권리의 변경 권리가 그 내용의 동일성을 잃지 않으면서 그 주체, 내용, 작용에 변경을 받는 것을 말한다.

법률요건 법률효과를 발생하게 하는 원인으로서 필요하고도 충분한 사실의 총체를 말한다.

법률사실 법률요건을 이루는 개개의 사실을 말한다.

용태 사람의 정신작용에 기하는 법률사실을 말한다.

적법행위 법률이 가치있는 것으로서 허용하는 행위를 말한다.

법률행위 의사표시를 요소로 하는 법률요건을 말한다.

준법률행위 법률행위와 불법행위를 제외한 나머지 인간의 모든 행위를 말한다.

의사의 통지 각종의 최고와 같이 자기의 의사를 타인에게 통지하는 행위로서 법이 일정한 법률효과를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

관념의 통지 법률관게의 당사자 일방이 상대방에 대하여 과거 또는 현재의 사실을 알리는 것을 말한다.

감정의 표시 표시된 의식내용이 용서와 같은 것을 말한다.

사실행위 그 행위에 의하여 표시되는 의식의 내용이 무엇이냐를 묻지않고서, 다만 행위가 행하여져 있다는 것 또는 그 행위에 의하여 생긴 결과만이 법률에 의하여 법률상 의미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행위를 말한다.

법률행위의 성립요건, 효력요건 법률행위가 성립하기 위한 요건과 성립한 법률행위가 유효하기 위한 요건을 말한다.

단독행위 한 개의 의사표시만으로 성립하는 법률행위를 말한다.

계약 두개의 대립되는 의사표시(청약과 승락)의 합치에 의하여 성립하는 법률행위를 말한다.

합동행위 방향을 같이하는 두 개의 의사표시의 합치에 의하여 성립하는 법률행위를 말한다.

요식행위 일정한 방식(서면, 공증, 신고등)에 따라 행해져야 그 효력이 인정되는 법률행위를 말한다.

사후행위 행위자의 사망으로 그 효력이 생기는 법률행위를 말한다.

물권행위 물권변동(발생, 변경, 소멸)을 목적으로 하는 법률행위로서 장차 이행의 문제를 남기지 않는 것을 말한다.

채권행위 채권의 발생을 목적으로 하는 법률행위로서 장차 이로 발생한 채권, 채무에 관하여 이행의 문제를 남기는 것을 말한다.

준물권행위 물권 이외의 권리의 발생, 변경, 소멸을 직접 가져오게 하고 후에 이행의 문제를 남기지 않는 것을 말한다.

신탁법상의 신탁 어떤 자가 법률행위에 의하여 상대방에게 재산권을 이전하는 동시에, 재산권을 일정한 목적에 따라서 자기 또는 제 3 자를 위하여 관리, 처분케 하는 법률행위를 말한다.

민법상의 신탁행위 신탁자가 수탁자에게 일정한 경제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권리를 이전하면서, 수탁자는 신탁자에 대하여 그 목적의 범위내에서 권리를 행사하여야 하는 구속을 받는 법률행위를 말한다.

원시적 불능 법률행위의 성립 당시에 이미 그 법률행위의 내용이 실현 불가능하게 된 경우를 말한다.

후발적 불능 법률행위가 성립한 뒤에 그 법률행위의 내용이 실현 불가능하게 된 경우를 말한다.

전부불능 법률행위의 내용의 전부가 불능인 경우를 말한다.

일부불능 법률행위의 내용의 일부가 불능인 경우를 말한다.

강행규정 법령 중 선량한 풍속 기타 사회질서에 관계있는 규정을 말한다.

임의규정 법령 중 선량한 풍속 기타 사회질서와 관계없는 규정으로서, 사적자치가 허용되어 당사자의 의사로 그 적용을 배제할 수 있는 규정을 말한다.

효력규정 그 규정에 위반하는 행위의 사법상의 효과가 부정되는 규정을 말한다.

단속규정 그 규정에 위반하여도 벌칙의 적용이 있을 뿐 행위 자체의 사법상의 효과에는 영향이 없는 규정을 말한다.

탈법행위 강행법규의 조문에 직접 정면으로는 위반하지 않는 형식을 갖추었으나, 실질적으로는 그 법규가 금지하고 있는 내용을 실현하는 행위를 말한다.

의사표시 일정한 법률효과를 발생시키고자 하는 내적의사를 외부에 나타내는 행위를말한다.

의사와 표시의 불일치 내심적 효과의사와 표시상의 효과의사가 일치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비진의표시 표의자가 의사와 표시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 즉 진의아님을 알면서하는 의사표시를 말한다.

허위표시 상대방과 통정하여 하는 진의아닌 허위의 의사표시를 말한다.

착오 표시의 내용과 내심의 의사가 일치하지 않는 것을 표의자 자신이 알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하자있는 의사표시 타인의 위법한 간섭(사기, 강박)으로 말미암아 방해된 상태에서 자유롭지 못하게 행하여진 의사표시를 말한다.

사기에 의한 의사표시 표의자가 타인의 기망행위로 인해 착오에 빠지고, 그러한 상태에서 한 의사표시를 말한다.

강박에 의한 의사표시 표의자가 타인의 강박행위로 인해 공포심을 가지게 되고 그 해학을 피하기 위하여 마음없이 행한 진의 아닌 의사표시를 말한다.

의사표시의 수령능력 수령한 의사표시를 요지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공시송달 표의자가 과실없이 상대방을 모르거나 또는 상대방의 주소를 알지 못하는 경우에 민사소송법의 규정에 의하여 의사표시를 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을 말한다.

대리 타인(대리인)이 본인의 이름으로 법률행위(의사표시)를 하거나 또는 의사표시를 수령함으로써 그 법률효과가 직접본인에 관하여 생기는 제도를 말한다.

임의대리 본인의 의사에 의해 대리권이 주어지는 대리를 말한다.

법정대리 본인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법률의 규정에 의하여 일정한 자에게 주어지는 대리를 말한다.

대리권 (한) 타인(대리인)이 본인의 이름으로 의사표시를 하거나 또는 의사표시를 받음으로써 직접 본인에게 법률효과를 귀속시킬 수 있는, 법률상의 지위 또는 자격을 말한다.

현명주의 대리인이 대리행위를 할 때 본인을 위하여 한다는 의사를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복대리인 대리인이 그의 권한내의 행위를 하기 위하여, 대리인의 권한으로, 즉 그의 이름으로 선임한 본인의 대리인을 말한다.

복임권 대리인이 복대리인을 선임할 수 있는 권한을 말한다.

무권대리 대리권 없이 행한 대리행위를 말한다.

표현대리 대리인에게 대리권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마치 그것이 있는 것과 같은 외관이 있고 또한 그러한 외관의 발생에 관하여 본인이 어느 정도 원인을 주고 있는 경우에, 그 무권대리행위에 대해 본인으로 하여금 책임을 지게 함으로써 선의, 무과실의 제 3 자를 보호하려는 것을 말한다.

법률행위의 무효 법률행위가 성립한 당초부터 법률상 당연히 그 효력이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무효행위의 전환 어떤 법률행위가 무효이기는 하지만 그것이 다른 법률행위로서 요건을 갖추고 양자의 법률효과가 사회, 경제적 목적에 있어서 유사한 것이며 당사자도 구체적 사정에 비추어 그 다른 법률행위로서의 법률효과를 원하였을 것이라고 인정하는 때에는 그 다른 법률행위가 행해진 것으로 인정하는 것을 말한다.

무효행위의 추인 어떤 법률행위가 무효인 경우에 그 무효의 원인이없어진 것을 전제로 하여 그 추인한 때로부터 새로운 법률행위로 보는 것을 말한다.

법률행위의 취소 일단 유효하게 성립된 법률행위에 무능력 또는 의사표시에 결함이 있는 경우, 취소권자가 그 법률행위를 취소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이 경우 그 취소를 하게 되면 소급해서 무효로 처리되는 것을 말한다.

법률행위의 철회 아직 법률행위의 효력이 발생하지 않은 것에 대하여 그 효력을 장래를 향하여 저지 시키는 것을 말한다.

법률행위(계약)의 해제 유효하게 성립된 계약에 있어서 당사자 일방의 채무불이행이 있는 경우, 그의 상대방이 일방적으로 계약을 소급적으로 소멸시키는 것을 말한다.

법정추인 취소할 수 있는 행위에 대해 일반적으로 추인이라고 인정할 수 있는 일정한 사실이 존재할 때 취소권자의 추인 의사를 묻지 않고 법률상 당연히 추인이 있었던 것으로 간주하는 것을 말한다.

조건 법률행위의 효력의 발생 또는 소멸을 장래 발생할것인가의 여부가 불확실한 사실에 의존케 하는 법률행위의 부관을 말한다.

기한 법률행위의 효력의 발생, 소멸 또는 채무의 이행을 장래에 발생하는 것이 확실한 사실에 의존케 하는 법률행위의 부관을 말한다.

기한의 이익 기한이 도래하지 않음으로써 당사자가 받는 이익을 말한다.

기간 어느 시점에서 어느 시점까지 계속된 시간의 구분을 말한다.

시효 일정한 사실상태가 일정한 기간 동안 계속된 경우에, 그 사실상태가 진실한 권리관계에 합치하느냐 여부를 묻지 않고서 법률상 일정한 효과를 주는 것을 말한다.

취득시효 시효로서 권리의 취득을 일어나게 하느 것을 말한다.

소멸시효 시효로서 권리의 소멸을 일어나게 하는 것을 말한다.

제척기간 일정한 권리에 대하여 법률이 예정하는 존속기간을 말한다.

소멸시효의 중단 소멸시효가 진행하는 도중에 권리의 불행사라는 소멸시효의 기초가 되는 사실을 깨뜨리는 사정이 발생한 경우에, 이미 진행한 시효기간의 효력을 상실케 하는 것을 말한다.

소멸시효의 정지 소멸시효가 완성할 무렵에 이르러 권리자가 시효를 중단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곤란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 그사정이 소멸한 후 일정한 기간이 경과하는 시점까지 시효의 완성을 연기하는 것을 말한다.

일물일권주의 하나의 물건에 대하여는 동종의 물권은 하나만 성립될 수 있고, 하나의 물건의 일부에 대해서는 물권이 성립될 수 없다는 원칙을 말한다.

물권법정주의 물권에 있어서 그 종류와 내용은 법률에 정해진 것에만 한정되고 임의로 창설할 수 없다는 원칙을 말한다.

물권적 청구권 물권이 제 3 자에 의해 침해되거나 또는 침해될 염려가 있는 경우에 물권자가 제 3 자에 대해 그 침해의 제거 또는 예방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물권의 변동 물권의 발생, 변경, 소멸을 말한다.

공시의 원칙 물권이 배타적인 성격상 물권의 존재를 제 3 자에게 알려주기 위하여 물권의 변동이 있을 때마다 그것이 공시되어야 한다는 원칙을 말한다.

의사주의 대항요건주의라고도 하며 물권행위만으로 물권변동이 새기고 등기나 인도는 그 효력을 제 3 자에게 대항하기 위한 것이라는 견해를 말한다.

형식주의 성립요건주의라고도 하며 물권행위 이외에 일정한 형식(등기나 인도)을 갖춘 때에 당사자 사이에서나 제 3 자에 대한 관계에서나 비로소 물권변동이 발생한다는 견해를 말한다.

공신의 원칙 물권관계와 합치되지 않는 공시가 있는 경우에, 거래의 안전을 위하여 진정한 권리자 보다 등기 또는 점유를 신뢰한 자를 보호하여야 한다는 원칙을 말한다.

물권행위 직접 물권변동을 발생시킬 것을 목적으로 하는 법률행위로서 이행의 문제를 남기지 않는 것을 말한다.

물권행위의 독자성 물권행위가 원인행위인 채권행위로부터 독립되어 있다는 것을 말한다.

물권행위의 무인성 물권행위가 유효하면 그 자체로서 효력을 발생하고, 물권행위의 원인인 채권행위가 불성립, 무효, 취소, 해제 등에 의하여 실효된 경우에도 물권행위는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는 다는 것을 말한다.

등기 등기공무원이라느 국가기관이 법정절차에 따라 등기부라는 공적장부에 부동산에 관한 일정한 권리관계를 기재하는 것을 말한다.

종국등기 물권변동의 효력을 발생케 하는 등기를 말한다.

기입등기 새로운 등기원인에 의하여 등기용지에 새로운 사항을 기입하는 등기를 말한다.

경정등기 등기공무원의 착오로 인하여 등기의 불일치 또는 탈루가 생긴 경우에 지방법원장의 허가를 얻어 이를 시정하는 등기를 말한다.

변경등기 등기와 실체관계간의 후발적 불일치를 시정하기 위하여 행해지는 등기를 말한다.

말소등기 등기된 권리나 객체가 원시적으로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후발적으로 존재하지 않게 된 경우에 이미 행하여진 등기를 말소하는 방법으로 말소하고 그 취지를 기재하는 등기를 말한다.

멸실등기 부동산이 멸실된 경우에 표제부의 기재를 말소하고 그 등기용지를 폐쇄하는 방법으로 행하여지는 등기를 말한다.

회복등기 등기가 부당하게 말소되거나 멸실된 경우에 이를 부활하는 등기를 말한다.

예비등기 물권변동의 효력을 직접 발생하게 하는 것이 아니고 간접적으로 이에 대비하는 등기를 말한다.

가등기 부동산물권 및 그에 준하는 권리의 설정, 이전, 변경, 소멸의 청구권을 보전하기 위하여 미리 예비로 하는 등기를 말한다.

예고등기 등기원인의 무효 또는 취소로 인한 등기의 말소 또는 회복의 소가 제기된 경우에 수소법원의 직권으로서 등기소에 촉탁하여 행하여지는 등기를 말한다.

등기청구권 등기의무자가 등기신청에 협력하지 않는 경우에 등기권리자가 등기의무자에게 그 협력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입목 입목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소유권보존등기를 한 수목의 집단을 말한다.

명인방법 소유자가 누구라고 하는 것을 외부에서 인식하는 데 적합한 방법의 총칭을 말한다.

인도 점유의 이전을 말한다.

현실의 인도 물건에 대한 사실상의 지배를 옮기는 것을 말한다.

간이인도 양수인이 될자가 이미 동산을 점유하고 있는 경우에 점유의 이전에 관한 합의만으로서 인도를 받은 것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점유개정 자신의 소유 동산을 매각하고 그 동산을 일정기간 빌리는 형식으로 점유하는 경우에 그 시점에서 매수인에게 소유권이전을 위한 인도가 있었던 것으로 보는 것을 말한다.

목적물인도청구권의 양도 매도인이 타인에게 맡겨둔 동산을 그대로 맡겨 둔 채로 매수인에게 양도하는 것을 말한다.

선의취득 권리외관을 신뢰하고 거래한 자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로서 평온, 공연하게 동산을 양수한 자가 선의이며 과실없이 그 동산을 점유한 경우에 양도인이 정당한 소유자가 아닌 때에도 즉시 그 동산의 소유권을 취득하는 것을 말한다.

포기 물권을 소멸시킬 것을 목적으로 하는 물권적 단독행위를 말한다.

혼동 양립시킬 만한 가치가 없는 법률상의 지위가 동일인에게 귀속하는 것을 말한다.

점유 물건에 대한 사실상의 지배를 말한다.

점유권 점유라는 사실을 법률요건으로 하여 생기는 권리를 말한다.

직접점유 물건을 직접으로 지배하거나 또는 점유보조자를 통해서 물건을 점유하는 것을 말한다.

점유보조자 가사상 또는 영업상 기타 유사한 관계에 의하여 타인의 지시를 받아 물건에 대한 사실상의 지배를 하는 자를 말한다.

간접점유 자신의 물건을 지상권, 전세권, 질권, 사용대차, 임대차, 임치, 기타의 관계로 인해 타인으로 하여금 물건을 점유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자주점유 소유의 의사를 가지고 하는 점유를 말한다.

타주점유 소유의 의사를 가지지 않고 하는 자주점유 이외의 점유를 말한다.

하자있는 점유 악의, 과실, 강폭, 은비, 불계속 등의 사정이 있는 점유를 말한다.

하자없는 점유 선의, 무과실, 평온, 공연, 계속 등의 사정이 있는 점유를 말한다.

점유보호청구권 본권(점유권)의 유, 무와는 관계없이 점유 그 자체를 보호하기 위한 일종의 물권적 청구권으로서점유에 대한 침해가 있을 경우에 발생하는 청구권을 말한다.

점유물반환청구권 점유자가 점유를 침탈당한 때에 그 물건의 반환 및 손해의 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점유물방해예방청구권 점유자가 점유의 방해를 받을 염려가 있는 때에 그 방해의 예방 또는 손해배상의 담보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점유물방해제거청구권 점유자가 점유의 방해를 받은 때에 그 방해의 제거 및 손해의 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준점유 물건이 아닌 재산권을 사실상 행사하는 경우를 말한다.

소유권 소유자가 법률의 범위내에서 그 소유물을 배타적으로 사용, 수익, 처분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구분소유권 건물의 일부가 경제적으로 독립한 건물과동일한 효용을 가지고, 또한 사회관념상 독립한 건물로 다루어지는 경우에 그 위에 독립한 소유권을 말한다.

상린관계 인접하는 부동산 소유자 상호간의 이용을 조절하기 위한 그들 사이의 권리관계를 말한다.

취득시효 물건 또는 권리를 점유하는 사실상태가 일정한 기간 동안 계속되는 경우에, 그것이 진실한 권리관계와 일치하는가의 여부를 묻지 않고 권리취득의 효과가 생기게하는 시효제도를 말한다.

무주물선점 현재 소유자가 없는 물건을 소유의 의사로 점유한 자가 그 소유권을 취득하는 것을 말한다.

유실물습득 점유자의 의사에 기하지 않고서 그의 점유를 떠난 물건으로서, 도품이 아닌 것을 습득하는 것을 말한다.

매장물발견 토지 또는 그 밖의 물건속에 매장되어 그 소유권이 누구에게 속하는지를 판별할 수 없는 물건을 발견하는 것을 말한다.

첨부 소유자가 각기 다른 두 개의 이상의 물건이 결합하여 사회관념상 분리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 때, 물건에 노력이 결합하여 사회관념상 그 분리가 불가능하게 된 때, 이의 복구를 허용하지 않고서 그것을 어느 한 사람의 소유로 귀속 시키고자 하는 것을 말한다.

부합 소유자를 각각 달리하는 수개의 물건이 결합하여 1 개의 물건으로 되는 것을 말한다.

혼화 소유자를 각각 달리하는 수개의 물건이 혼합이나 융화에 의하여 원물울 식별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말한다.

가공 타인의 동산에 노력을 가하여 새로운 물건을 만들어 내는 것을 말한다.

소유물반환청구권 목적물의 점유를 상실한 소유자가, 그 목적물을 점유함으로써 소유자의 점유를 방해하고 있는 자에 대하여 그 반환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소유물방해예방청구권 방해될 염려가 있는 소유권의 보유자가 장차 소유권을 방해하는 행위를 할 염려가 있는 자에 대하여 방해의 예방 또는 손해배상의 담보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소유물방해제거청구권 소유권의 내용의 실현이 점유의 상실 이외의 방법으로 방해되고 있는 자가 현재 방해하는 사정을 지배하고 있는 자에게 그 방해의 제거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공유 물건이 지분에 의하여 수인의 소유로 되는 공동소유를 말한다.

지분 각 공유자가 목적물에 대하여 가지는 소유의 비율을 말한다.

합유 법률의 규정 또는 계약에 의하여 수인이 조합체로서 물건을 소유하는 공동소유를 말한다.

총유 법인이 아닌 사단의 사원이 집합체로서 물건을 소유하는 공동소유를 말한다.

준공동소유 수인이 공동으로 소유권 이외의 재산권을 소유하는 것을 말한다.

명의신탁 신탁자가 소유권을 보유하여 이를 관리, 수익하면서 공부상의 소유명의만을 수탁자로 하여 두는 것을 말한다.

지상권 타인의 토지에 건물 기타 공작물이나 수목을 소유하기 위하여 그 토지를 사용할 수 있는 물권을 말한다.

구분지상권 토지의 상하 중 일정한 범위를 지정하여 그 범위에서만 지상권의 효력이 미치도록 하여 그 이외의 토지 부분을 이용할 수 있는 지상권을 말한다.

법정지상권 토지와 그 지상건물이 동일 소유자에게 속하고 있던당시에 토지 또는 건물의 어느 하나에만 제한물권을 설정된 뒤, 토지와 건물이 소유자를 달리하게 된 때에 건물소유자를 위하여 법률상 당연히 지상권이 설정되는 것으로 보는 것을 말한다.

관습상의 법정지상권 동일인에게 속하였던 토지와 건물 중 어느 일방의 매매 기타 일정한 원인에 의하여 각각 소유자를 달리하게 된 때에 그 건물을 철거한다는 특약이 없으면 건물소유자가 당연히 취득하게 되는 지상권을 말한다.

분묘기지권 타인의 토지에 분묘를 설치한 자가 그 분묘에 대하여 가지는 지상권에 유사한 일종의 물권을 말한다.

지역권 일정한 토지의 이용가치를 증가 시키기 위하여 다른 토지에 지배를 미치는 권리를 말한다.

요역지 지역권에 있어서 편익을 받는 토지를 말한다.

승역지 지역권에 있어서 편익을 제공하는 토지를 말한다.

전세권 전세금을 지급하고 타인의 부동산을 점유하여 그 부동산의 용도에 좇아 사용, 수익하면서 그 부동산 전부에 대하여 후순위권리자 기타 채권자보다 전세금에 관하여 우선 변제권이 인정되는 특수한 용익물권을 말한다.

우선변제권 담보물에 대한 경매시 자기의 권리순위에 따라 그 배당에 참가하여 변제를 받을 수 있는 권능을 말한다.

전전세 전세권자의 전세권을 기초로 하여 그 전세권을 목적으로 하는 전세권을 다시 설정하는 것을 말한다.

담보 채권의 일반적 효력으로 만족하지 않고 그것을 더 보강해서 채권의 실현을 확보하려는 수단을 말한다.

유치권 타인의 물건 또는 유가증권을 점유한 자가 그 물건이나 유가증권에 관하여 생긴 채권을 가지는 경우에, 그 채권을 변제 받을 때까지 그 물건이나 유가증권을 유치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유치 목적물의 점유를 계속함으로써 그 인도를 거절하는 것을 말한다.

동시이행의 항변권 매매와 같은 쌍무계약에 있어서 당사자 일방이 상대방의 채무이행이 있을 때까지 자기의 채무이행을 거절하는 것을 말한다.

간이변제충당권 유치권자가 경매에 의하지 않고 일정한 요건 아래 유치물로서 직접 채권의 변제에 충당하는 것을 말한다.

질권 채무자가 그 채권의 담보로 채무자 또는 제 3 자(물상보증인)가 제공한 동산 또는 재산권을 점유하고, 변제가 없을 때에 그 동산 또는 재산권으로부터 우선변제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물상보증인 제 3 자가 채무자를 위하여 자신의 동산을 담보로 제공하는 때에 그 제 3 자를 말한다.

유질계약 질권설정자가 채무변제기 전의 계약으로, 질권자에게 변제에 갈음하여 질물의 소유권을 취득하게 하거나, 기타 법률이 정한 방법에 의하지 않고서 질물을 처분할 수 있도록 약정하는 것을 말한다.

권리질권 재산권을 질권의 목적으로 하는 질권을 말한다.

저당권 채무자 또는 제 3 자가 점유를 이전하지 아니하고, 채권자는 채무의 담보로 제공한 부동산에 대하여 다른 채권보다 우선변제를 받는 담보물권을 말한다.

유저당계약 당사자가 저당권의 설정 이외에, 그 설정계약에서 또는 변제기 도래 전의 특약으로, 채무자가 변제기에 변제하지 않을 경우에 저당물로써 직접 변제에 충당하거나 또는 민사소송법사의 경매가 아닌 임의의 방법으로 저당물을 처분하거나 환가하기로 약정하는 것을 말한다.

근저당 계속적인 거래관계로부터 발생하는 불특정 다수의 채권을 장래의 결산기에 일정한 한도액까지 담보하기 위하여 설정하는 담보권을 말한다.

포괄근저당 기본계약이 없이 당사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현재와 장래의 모든 채권을 일정한 한도액까지 담보하기 위하여 설정하는 담보권을 말한다.

공동저당 동일한 채권의 담보로서 수개의 부동산위에 설정된 저당권을 말한다.

가등기담보 채권담보를 위하여 채권자와 채무자(또는 제3자)사이에서 채무자(또는 제3자)소유의 부동산을 목적물로 하는 대물변제예약 또는 매매예약을 하고, 동시에 채무자의 채무불이행이 있는 경우에 발생하게 될 장래의 소유권이전청구권을 보전하기 위하여 가등기를 하는 변칙담보를 말한다.

양도담보 채권담보의 목적으로 물건의 소유권(기타의 재산권)을 채무자가 채권자에게 이전하고, 채무자의 채무불이행이 있는 때에는 채권자가 그 목적물로부터 우선변제를 받고 채무의 이행이 있는 때에는 목적물을 채무자에게 반환하는 변칙담보를 말한다.

매도담보 신용의 수수를 매매의 형식에 의하여 하고 신용을 준 자는 대금의 반환을 청구할 권리를 가지지 않으며, 다만 신용을 받은 자가 신용을 반환하여 목적물을 회수할 수 있능 변칙담보를 말한다.

채권 특정인(채권자)이 타인(채무자)에 대하여 일정한 행위(급부)를 요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채무 채권에 상응하여 채권자에게 일정한 행위(급부)를 부담하는 것을 말한다.

자연채무 채무자가 임의로 급부하지 않는 경우에도 채권자가 그 이행을 소로써 구하지 못하는 채무를 말한다.

특정물채권 특정물의 인도를 목적으로 하는 채권을 말한다.

선관주의의무 평균적, 추상적 채무자가 그의 직업, 지위 등에 비추어 거래상 그 경우에 일반적, 객관적으로 요구되는 정도의 주의를 말한다.

종류채권 일정한 종류에 속하는 물건을 인도할 것을 목적으로 하는 채권을 말한다.

제한종류채권 종류채권에 있어서 그 종류를 특별한 범위로 제한한 것을 말한다.

종류채권의 특정 종류채권의 이행단계에서 그 정해진 종류에 속하는 물건 중에서 이행할 물건을 구체적으로 선정하는 것을 말한다.

지참채무 채무자가 목적물을 채권자의 주소에 가지고 가서 이행하여야 하는 채무를 말한다.

추심채무 채권자가 채무자의 주소에 와서 목적물을 추심하여 변제를 받아야 하는 채무를 말한다.

송부채무 채권자 또는 채무자의 주소 이외의 제 3 지에 목적물을 송부하여야 하는 채무를 말한다.

금전채무 일정액의 금전의 인도를 목적으로 하는 채권을 말한다.

이자채권 이자의 지급을 목적으로 하는 채권을 말한다.

이자 금전 기타 대체물의 사용의 대가로 원본액과 사용기간에 비례하여 지급되는 금전 기타의 대체물을 말한다.

선이자 미리 계산해서 원본액에서 공제되는 이자를 말한다.

복리 변제기가 도래한 이자를 원본에 산입하여 이를 원본의 일부로하여 그에 대한 이자를 다시 붙이는 것을 말한다.

선택채권 수개의 급부 가운데에서 선택에 의하여 결정되는 한 개의 급부를 목적으로 하는 채권을 말한다.

임의채권 채권의 목적이 본래 한 개의 급부에 특정하고 있으나, 채권자 또는 채무자가 확정된 다른 급부로써 본래의 급부에 갈음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는 채권을 말한다.

채무불이행 이행지체, 이행불능, 불완전이행등과 같이 채무자가 채무를 이행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 이행을 하지않는 것을 말한다.

이행지체 채무자가 이행기에 이행을 할 수 있는데도 그 이행을 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이행불능 채권관계가 성립한 후에 채무자의 귀책사유로 그 이행이 불가능하게 된경우를 말한다.

불완전이행 채무자가 채무를 이행하기는 하였지만 그 이행이 채무의 내용에 좇지 않은 것을 말한다.

채무명의 일정한 사법상의 이행의무의 존재를 증명하고 법률이 강제집행에 의하여 실현할 수 있는 집행력을 인정한 공정증서를 말한다.

손해배상 채무자의 귀책사유로 채무불이행이 있고 그로 인해 채권자에게 손해가 발생한 경우에 채무자가 그 손해를 배상하는 것을 말한다.

손해 법익에 관하여 입은 모든 불이익으로서, 채무의 이행이 있었더라면 채권자가 받았을 이익과 불이행으로 채권자가 현재 받고 있는 이익의 차액으 말한다.

이행이익의 손해 채권이 유효하여 채무가 제대로 이행되었을 경우에 채권자가 받게 될 이익에 대한 손해를 말한다.

신뢰이익의 손해 채권이 무효인데도 유효하다고 믿었기 때문에 입은 손해를 말한다.

손익상계 채무불이행으로 인하여 채권자에게 손해가 발생하는 것과 동시에 이익도 있는 경우에, 배상액을 정함에 있어서 그 손해액으로 부터 이익을 공제하는 것을 말한다.

손해배상액의 예정 채권자와 채무자가 장래의 채무불이행에 대비하여 그로 인한 손해배상액을 미리 약정하는 것을 말한다.

채권자대위권 채권자가 자기의 채권을 보전하기 위하여 자기의 이름으로 채무자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채권자취소권 채무자가 채권자를 해함을 알고 제3자와 재산권을 목적으로 한 법률행위를 한 경우, 채권자가 자기의 이름으로 제3자에 대하여 그 법률행위를 취소하고 일탈된 재산의 원상회복을 소송으로 구할 수 있는 채권자의 권리를 말한다.

다수채권관계 1개의 가분급부에 관하여 채권자 또는 채무자가 다수 있는 경우에, 특별한 의사표시가 없으면 각 채권자 또는 채무자가 균등한비율로 채권을 갖고 채무를 지는 것을 말한다.

불가분채권관계 1개의 불가분급부에 관하여 수인의 채권자가 각각 채권을 가지거나 또는 수인의 채무자가 각각 채무를 지는 것을 말한다.

연대채무 채권자가 수인의 채무자 중 그 어느 채무자에 대하여, 또는 동시나 순차적으로 모든 채무자에 대하여 채무의 전부나 일부의 이행을 청구할 수 있는 채무를 말한다.

부진정연대채무 수인의 채무자가 채무 전부를 각자 이행할 의무가 있고 그 중 1인의 이행으로 다른 채무자도 의무를 면하게 되는 점에서 연대 채무와 동일하지만, 각 채무자간에 채무를 공동으로 부담하고자 하는 주관적 공동관계가 없는 연대채무를 말한다.

보증채무 채권자와 보증인 사이에 체결된 보증계약에 의하여 성립하는 채무로서 주채무자가 그 채무를 이행하지 않는 경우에 보증인이 이를 이행하여야 하는 채무룰 말한다.

연대보증 보증인이 보증계약에서 주채무자와 연대하여 채무를 부담하기로 한 보증채무르 말한다.

공동보증 동일한 주채무에 대하여 수인이 보증채무를 부담하는 것을 말한다.

계속적 보증 게속적인 계약관계에서 생기는 불확정한 채무를 보증하는 것을 말한다.

손해담보계약 주채무의 존재를 전재로 하지 않고 그와 독립하여 채권자에게 발생한 손해를 전보할 목적으로 하는 계약을 말한다.

채권양도 채권의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계약에 의하여 채권을 이전하는 것을 말한다.

지명채권 채권자가 특정되어 있고 그 채권의 성립, 양도를 위하여 증서의 작성, 교부를 필요로 하지 않는 채권을 말한다.

증권적 채권 유가증권의 일종으로서 채권이 증권으로 화체되어 채권의 성립, 존속, 행사, 양도등 모든 것이 그 증권에 의하여 행하여 지는 채권을 말한다.

지시채권 특정인 또는 그가 지시하는 자에게 변제하여야 하는 증권적 채권을 말한다.

무기명채권 특정의 채권자의 이름을 기재하지 않고 그 증권의 정당한 소지인에게 변제하여야 하는 증권적 채권을 말한다.

면책증권 채무자가 증서의 소지인에게 선의로 변제하면 소지인이 정당한 권리자가 아닌 경우에도 면책되는 효력을 가지는 증서를 말한다.

채무인수 채무의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제3자가 계약에 의하여 채무를 인수하는 것을 말한다.

병존적 채무인수 종래의 채무자는 채무를 면하지 않고 제3자가 그 채무관계에 가입함으로써 종래의 채무자와 더불어 새로이 동일 내용의 채무를 부담하는 계약을 말한다.

이행인수 인수인이 채무자에 대하여 그 채무를 이행할 것을 약정하는 채무자와 인수인 사이의 계약을 말한다.

계약인수 계약당사자로서의 지위의 승계를 목적으로 하는 계약을 말한다.

채권의 소멸 채권이 객관적으로 존재하지 않게 되는 것을 말한다.

변제 채무의 내용인 급부가 실현됨으로써 채권이 만족을 얻게 되는 것을 말한다.

변제의 제공 채권의 변제에 있어서 채권자의 협력이 있어야 하는 경우에 채무자가 채권자의 협력만 있으면 되는 단계까지 이행하는 것을 말한다.

변제의 충당 채무자가 동일한 채권자에 대하여 같은 종류를 목적으로 한 수개의 채무르 부담한 경우, 변제의 제공이 그 채무 전부를 소멸하게 하지 못하는 경우에 그 급부를 가지고 어느 채무의 변제에 충당할 것인가를 정하는 것을 말한다.

대위변제 제3자 또는 공동채무자등이 채무자를 위하여 변제를 함으로써 구상권을 취득한 경우에, 변제자가 그 구상권의 범위내에서 채권자의 채권 및 그 담보에 관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제도를 말한다.

대물변제 채무자가 채권자의 승낙을 얻어 채무자가 부담하고 있는 본래의 급부에 갈음하여 다른급부를 현실적으로 행함으로써 채권을 소멸시키는 것을 말한다.

대물변제의 예약 현실적인 대물급부 없이 단지 그 약속만을 하는 것을 말한다.

공탁 변제자가 채권자를 위하여 변제의 목적을 공탁하여 그 채무를 면하는 제도를 말한다.

상계 채무자가 채권자에 대하여 자기도 또한 동종의 채권을 갖는 경우에 채무자의 상계의 의사표시만으로 그 채권과 채무를 대등액으로 소멸시키는 것을 말한다.

경개 당사자가 채무의 중요한 부분을 변경함으로써 신채무를 성립시키는 동시에 구채무를 소멸시키는 계약을 말한다.

계약 일정한 법률효과의 발생을 목적으로 하는 당사자의 합의를 말한다.

약관 그 명칭이나 형태 또는 범위를 불문하고 계약의 일방당사자가 다수의 상대방과 게약을 체결하기 위하여 일정한 형식에 의하여 미리 마련한 게약의 내용이 되는 것을 말한다.

청약 이에 응하는 승낙과 결합하여 일정한 계약을 성립시킬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일방적, 확정적 의사표시를 말한다.

승낙 청약의 상대방이 청약에 의하여 계약을 성립시킬 목적으로 청약자에 대하여 행하는 의사표시를 말한다.

계약의 경쟁체결 계약의 내용에 관하여 다수인으로 하여금 서로 경쟁하게 하여 그 가운데에서 가장 유리한 내용을 표시하는 자를 골라 이를 상대방으로 하여 계약으 체결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경매 계약의 경쟁체결 중 각 경쟁자가 다른 경쟁자의 표시내용을 알 수 있는 경우를 말한다.

입찰 계약의 경쟁체결 중 각 경쟁자가 다른 경쟁자의 표시내용을 알 수 없는 경우를 말한다.

교차청약 당사자들이 같은 내용을 가지는 계약의 청약을 서로 행한경우를 말한다.

동시이행의 항변권 쌍무계약의 당사자 일방이 상대방이 그 채무이행을 제공할 때까지 자기의 채무이행을 거절할 수 있는 항변권을 말한다.

위험부담 쌍무게약의당사자 일방의 채무가 당사자 쌍방의 책임없는 사유로 후발적 불능이 되어 소멸한 경우에 그에 대응하는 상대방의 채무도 소멸하는가의 문제를 말한다.

위험 채권의 목적이 양당사자의 책임없는 사유로 이행할 수 없게 된 경우의 그로 인한 불이익을 말한다.

제3자를 위한 계약 계약으로부터 생기는 급부청구권을 계약당사자가 아닌 제3자에게 취득케 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게약을 말한다.

계약의 해제 계약이 성립한 후에 당사자 일방의 채무불이행으로 계약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경우에 그 상대방의 의사표시에 의하여 그 계약을 처음부터 있지 않았던 것과 같은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을 말한다.

해제권 형성권으로서 일방적인 의사표시에 의하여 계약을 소급적으로 소멸시킬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계약의 해지 계속적 계약관계에서 그 효력을 장래를 향하여 소멸시키는 계약당사자의 일방적 의사표시를 말한다.

증여 당사자 일방(증여자)이 무상으로 재산을 상대방(수증자)에게 수여하는 의사표시를 하고 상대방이 이를 승낙함으로써 그 효력이 생기는 무상, 낙성, 편무, 불요식의 계약을 말한다.

조건부증여 수증자가 증여를 받는 동시에 일정한 부담, 즉 일정한 급부를 하여야 할 채무를 부담하는 것을 부관으로 하는 증여를 말한다.

매매 당사자 일방이 재산권을 상대방에게 이전할 것을 약정하고 상대방이 대금을 지급할 것을 약정함은로써 성립하는 낙성, 쌍무, 불요식의 전형적인 유상계약을 말한다.

매매의 예약 당사자 사이에 장래 매매계약을 체결하는 채무를 발생케 하는 계약을 말한다.

예약완결권 매매의 일방예약에 의하여 예약권리자가 상대방에 대하여 매매완결의 의사표시를 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담보책임 매매의 목적인 재산권에 하자가 있어서 이로 말미암아 그 재산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전할 수 없거나 또는 그 재산권의 객체인 물건에 하자가 있는 것을 급부한 경우 매도인이 지는 일정한 책임을 말한다.

환매 매도인이 맴계약과 동시에 특약으로 환매권을 유보한 경우에 그 환매권을 일정한 기간내에 행사하여 매매의 목적물을 다시 사는 것을 말한다.

할부매매 상품의 인도를 미리 받고 대금은 일정기간 동안에 분할하여 지급할 특약이 붙은 매매를 말한다.

교환 당사자 쌍방이 금전 이외의 재산권을 서로 이전할 것을 약정함으로써 성립하는 낙성, 쌍무, 유상, 불요식의 계약을 말한다.

소비대차 당사자 일방(대주)이 금전 기타 대체물의 소유권을 상대방에게 이전할 것을 약정하고 상대방(차주)은 그와 같은 종류, 품질 및 수량으로 반환할 것을 약정함으로써 성립하는 계약을 말한다.

사용대차 당사자 일방이 상대방에게 무상으로 사용, 수익하게 하기 위하여 목적물을 인도할 것을 약정하고 상대방은 이를 사용, 수익한 후 그 물건을 반환할 것을 약정함으로써 성립하는 낙성, 무상, 편무계약을 말한다.

임대차 당사자 일방(임대인)이 상대방에게 목적물을 사용, 수익하게 할 것을 약정하고 상대방(임차인)이 이에 대하여 차임을 지급할 것을 약정함으로써 성립하는 낙성, 유상, 쌍무, 불요식의 계약을 말한다.

임차권의 양도 임차권을 그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이전하는 계약을 말한다.

전대 임차인이 그 임차물을 다시 제3자로 하여금 사용, 수익하게 하는 계약을 말한다.

고용 근로자가 노무를 제공할 것을 약정하고 이에 대하여 사용자가 보수를 지급할 것을 약정함으로써 성립하는 낙성, 쌍무, 유상, 불요식의 계약을 말한다.

도급 당사자 일방(수급인)이 어떤 일을 완성할 것을 약정하고 상대방(도급인)이 그 일의 결과에 대하여 보수를 지급할 것을 약정함으로써 성립하는 낙성, 유상, 쌍무, 불요식의 계약을 말한다.

하도급 수급인이 도급인으로부터 맡은 일을 자기가 스스로 완성시키지 않고 제3자에게 그 일을 맡겨서 완성시키는 것을 말한다.

현상광고 광고자가 어느 행위를 한 자에게 일정한 보수를 지급할 의사를 광고에 의하여 표시하고 이에 응한 자가 그 광고에 정한 행위를 완료함으로써 성립하는 계약을 말한다.

위임 위임인의 위탁에 의하여 수임인이 위임사무를 처리해 주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계약을 말한다.

임치 임치인이 수치인에게 금전, 유가증권, 물건의 보관을 위탁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계약을 말한다.

조합 2인 이상의 특정인이 서로 출자하여 공동사업을 경영할 목적으로 결합한 단체를 말한다.

종신정기금계약 정기금채무자가 자기, 상대방 또는 제3자의 종신(사망)까지 정기로 금전 기타의 물건을 상대방 또는 제3자에게 지급할 것을 약정함으로써 성립하는 계약을 말한다.

화해 당사자가 서로 양보하여 당사자 사이의 분쟁을 종료시킬 것을 약정함으로써 성립하는 계약을 말한다.

사무관리 관리자가 법률상 또는 계약상의 의무없이 타인을 위하여 그의 사무를 처리해 줌으로써 생기는 관리자와 본인 사이의 법정채권관계를 말한다.

부당이득 법률상 원인 없이 타인의 재산이나 노무로 인하여 얻은이득을 말한다.

불법행위 고의 또는 과실로 타인에게 손해를 주는 위법행위를 말한다.

법률기본용어[+/-]

사법 공법 사인[+/-]

공법(公法) 사법(私法) : 공법이란 국가와 국민간의 관계와 같은 불평등한 권력관계를 규율하는 법을 의미하고, 사법은 사인(일반개인)과 사인간의 평등한 이해관계를 조절하는 법이다.

공법의 대표적인 예로는 행정법, 형법등이 있으며, 사법으로는 민법, 상법등이 있다. 상법은 특정의 사인간의 (여기서는 특정의 사인이란 상인을 말함) 특정한 법률 관계를 규율하므로, 민법과는 달리 상법을 특별사법이라고 한다. 참고로, 여기서 사인(私人)이라 함은 일반적인 사람을 말한다.

법률관계[+/-]

법률관계(法律關係) : 법률관계라 함은 일반 사인과 사인간의 관계에서 양자간에 가지는 권리와 의무를 말한다.

법률관계의 예 : 만약 사오돌이 저팔계에게 집을 사기로 계약을 체결하였을 때, 사오돌은 저팔계에게 집값을 지급해야 할 의무를 부담하게 되고, 저팔계는 사오돌에게 집의 소유권을 넘겨줄 의무를 부담하게 되는 데, 이러한 사오돌과 저팔계의 법률관계를 특히 민법에서는 매매(賣買)라고 부른다.

채권 물권[+/-]

채권(債權)이란 특정인이 다른 상대방에게 일정한 행위를 하도록 요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이에 반해 물권(物權)이란 물건을 직접 지배해서 누리는 권리를 말한다.

채권이란 [특정인이 다른 상대방에게 일정한 행위를 하도록]한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즉, 위의 예에서 저팔계가 사오돌에게 집값을 지급하도록 요구할 수 있는 권리가 바로 채권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러나, 만약 당신 소유의 교과서에 낙서를 할 때에는 누구의 도움도 필요하지 않다. 이러한 물건의 소유권(所有權)등이 물권에 대표적인 예이며, 권리행사에 있어 누구의 도움도 필요하지 않다는 데 특징이 있다.

형성권[+/-]

형성권(形成權)이란 권리자의 일방적인 의사표시만으로 권리의 변동을 생기게 하는 권리를 말한다.

형성권의 대표적인 예로 약혼해제권이 있다. 즉, 왕옹녀와 심성우가 약혼을 했으나, 심성우가 음탕한 왕옹녀에게 실망 약혼을 해제할 때, 어떤 제약이 없이 단순히 약혼을 해제하겠다고 하면 약혼을 해제할 수 있다. 이러한, 약혼해제권외에 계약의 해제권 및 해지권, 상속취소권등이 형성권에 해당된다.

법률사실 법률요건 법률효과[+/-]

여러 가지 권리의 변동이 생기게 하는 일정한 요인을 법률요건(法律要件)이라 하고, 이러한 법률요건을 구성하는 요소를 법률사실(法律事實)이라고 한다. 또한, 이러한 법률요건등이 갖추어지면 일정한 효과가 발생하는 데 이를 법률효과(法律效果)라고 한다.

예 : 만약 사오돌이 집을 사겠다는 의사를 표시하고, 저팔계가 집을 팔겠다는 의사표시를 했다면 이는 법률사실이 된다. 이때, 둘이 매매계약을 하게 되면, 이는 법률요건이라고 볼 수 있다. 매매계약으로 인해 저팔계는 대금청구권을 갖게 되고, 사오돌은 집의 인도청구권을 가지게 되는 데, 이러한 권리의 발생등을 법률효과라고 한다. (정리 : 법률사실 → 법률요건 → 법률효과)

계약 단독행위 합동행위[+/-]

계약(契約)이란 일정한 법률효과를 원하는 2인 이상의 당사자들이 내용상 일치하는 의사표시를 교환하여 완성시키는 법률행위를 말한다. 계약은 가장 일반적인 법률행위이다. 단독행위(單獨行爲)란 한 사람의 일방적인 의사표시로 법적효과를 발휘하는 법률행위이다. 이에 반해 합동행위(合同行爲)란 수인의 사람이 일치된 의사표시를 하여 그들 모두에게 공통된 법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을 말한다.

예 : 계약은 너무나 흔하게 일어나지만 거의 의식하지 못한다. 즉, 식사를 사 먹는 행위도 계약으로 볼 수 있으며, 버스를 타는 것도 일종의 계약이라고 볼 수 있다. 즉, 토큰을 내는 것은 버스를 타겠다는 의사표시를 한 것이고, 토큰을 받겠다는 것은 이미 토큰을 받고 버스를 태워준다는 의사표시를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단독행위의 예로는 상속(유언)의 예가 있다. 할아버지께서 돌아가실 때 손자에게 집을 물려준다는 유언을 할 때는 손자의 의사표시와는 관계없이 상속의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합동행위의 예로는 법인을 설립하는 행위등이 있다.

무효 취소[+/-]

법률행위의 일정한 성립요건 또는 효력요건을 갖추지 못해 처음부터 효력을 아예 인정받지 못하는 것을 무효(無效)라고 하며, 효력은 일단 생기지만 일정한 방법으로 그 효력을 소멸시키는 것을 취소(取消)라고 한다.

1. 무효의 예 : 사오정이 죽기전에 자신의 아이큐를 쏙 빼 닮은 사랑하는 아들 사오돌에게 재산을 물려주기 위해 '너에게 나의 모든 재산을 주겠다'라고 유언을 한 경우, 만약 이때 증인을 세우지 않았다든지 혹은 자필로 증서를 만들지 않았다면 이는 법에서 요구하는 유언의 방식을 만족시키지 못했기 때문에 무효가 된다. 따라서, 처음부터 그 유언은 없었던 걸로 된다)

2. 취소의 예 : 만약, 저팔계가 어리숙해 보이는 사오돌에게 유리반지를 다이아몬드반지라고 속여 판 경우, 나중에 유리반지인 것을 알았을 때(자신이 속은 것을 알았을 때) 사오돌은 이 거래를 취소할 수 있다.

3. 취소와 무효의 중요한 차이 : 무효의 경우는 처음부터 그 거래가 아예 없었던 걸로 간주되는 데 반해, 취소의 경우는 취소권자(위의 예에서는 사오돌)가 취소를 해야 효력이 없어진다. 즉, 위의 예에서 저팔계는 사오돌에게 팔기는 했지만, 사오돌이 거래를 언제 취소할 지 몰라 상당히 불안해질 수 있다. 따라서, 법에서는 취소할 수 있는 기간을 두었다. 즉, 취소할 수 있는 날로부터 3년, 법률행위를 한 날로부터 10년 내에 취소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4. 보충설명 : 법률에서는 취소할 수 있는 경우와, 무효로 할 수 있는 경우를 규정하고 있다. 대표적인 무효사유로는 의사무능력의 행위(정신병자와의 거래등), 목적의 불가능(여의주를 물고 있는 살아 있는 청룡을 잡아주겠다는 계약등), 사회적 타당성위반(아내를 빌려주겠다는 계약등)등이 있다. 대표적인 취소사유로는 행위무능력자의 행위(참고로 의사무능력자보다 약간 상태가 나은 사람을 행위무능력자라고 하는 데, 미성년자등이 이에 해당된다), 착오에 의한 의사표시(금반지를 은반지로 잘못 듣고 거래한 경우등), 사기등에 의한 거래등(사기꾼과의 거래)이 있다.

발신주의 도달주의[+/-]

발신주의(發信主義)란 의사표시의 효력이 발송했을 때 인정된다고 보는 것을 말하며, 도달주의(到達主義)란 도착했을 때 인정된다고 보는 것을 말한다.

대구에 사는 저팔계가 부산에 사는 사오정에게 물건을 사기로 결정하고, 사겠다는 뜻의 편지를 우체국에 3월31일에 맡겼다. 그 편지는 4월2일 사오돌에게 도착했다. 이때 발신주의에 의하면, 사겠다는 뜻의 효력은 3월 31일날부터 발생하게 된다. 반면에 도달주의에 의하면 사오정이 편지를 받은 4월2일부터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민법에서는 도달주의를 채택하나, 상법의 경우 거래의 신속을 위해 발신주의를 채택하고 있다. (상법의 목적중의 하나가 거래의 촉진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쉽게 이해 되리라 본다)

대리 대리인 본인[+/-]

대리(代理)란 어떤 사람이 본인(원래 주인을 의미)을 대신하여 스스로 의사 표시를 하거나 또는 제3자로부터 의사 표시를 받아, 이에 의하여 직접 본인에 관해서 법률효과를 발생시키는 일을 말한다. 대리의 일을 맡은 자를 대리인(代理人)이라고 하며, 대리인의 그 행위를 대리행위(代理行爲)라 한다. 또한, 이때 대리인에게 주어지진 권리는 대리권(代理權)이라고 한다.

본인(本人)이란 대리인에게 대리권을 수여하여 자기를 위하여 법률행위를 하게 하는 자를 말한다. (간단하게, 주인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백화점에 물건을 사러 갈 때도 대부분 주인과(법에서는 본인이라 칭함) 직접 상대하기 보다는 그 점원과 상대하는 경우가 많은 데, 이러한 점원들이 바로 대리인인 것이다.

능동대리 수동대리[+/-]

능동대리(能動代理)와 수동대리(受動代理) : 능동대리(能動代理)는 본인을 대신하여 의사표시를 하는 것을 말하며, 수동대리(受動代理)는 본인을 대신하 상대방으로부터 의사표시를 수령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원료를 구매하기 위한 행위는 능동대리에 속하지만, 고객으로부터 구매의사를 받는 것은 수동대리라고 볼 수 있다.

현명주의 비현명주의[+/-]

현명주의(顯名主義)와 비현명주의(非顯名主義) : 현명주의란 본인의 이름을 드러내 놓고 하는 것을 말한다. 즉, 사오정의 대리인인 사오돌이 행위를 할 때, [지금 제가 하는 행위는 사오정을 위해 하는 행위]라고 한다면 이는 현명주의에 해당된다. 이에 반해 본인의 이름을 숨기면서 대리행위를 하는 것을 비현명주의(非顯名主義)라 하는데, 민법에서는 현명주의를, 상법에서는 비현명주의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

사법 공법 사인[+/-]

공법(公法) 사법(私法) : 공법이란 국가와 국민간의 관계와 같은 불평등한 권력관계를 규율하는 법을 의미하고, 사법은 사인(일반개인)과 사인간의 평등한 이해관계를 조절하는 법이다.

공법의 대표적인 예로는 행정법, 형법등이 있으며, 사법으로는 민법, 상법등이 있다. 상법은 특정의 사인간의 (여기서는 특정의 사인이란 상인을 말함) 특정한 법률 관계를 규율하므로, 민법과는 달리 상법을 특별사법이라고 한다. 참고로, 여기서 사인(私人)이라 함은 일반적인 사람을 말한다.

법률관계[+/-]

법률관계(法律關係) : 법률관계라 함은 일반 사인과 사인간의 관계에서 양자간에 가지는 권리와 의무를 말한다.

법률관계의 예 : 만약 사오돌이 저팔계에게 집을 사기로 계약을 체결하였을 때, 사오돌은 저팔계에게 집값을 지급해야 할 의무를 부담하게 되고, 저팔계는 사오돌에게 집의 소유권을 넘겨줄 의무를 부담하게 되는 데, 이러한 사오돌과 저팔계의 법률관계를 특히 민법에서는 매매(賣買)라고 부른다.

채권[+/-]

채권(債權) : 특정인이 다른 특정인에 대하여 일정한 행위를 해줄 것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채권이라고 한다. 만약, 그 특정인이 채권을 행사하면 상대방은 그가 요구하는 일정한 행위를 해줄 의무를 부담하는 데 이것을 채무(債務)라고 한다.

채권관계(債權關係) : 채권과 채무로 연결된 관계를 채권관계라 한다.

급부 이행지체 이행불능[+/-]

급부(給付) : 채권이란 재산권의 하나로 한 특정인이 다른 특정인에게 대해 일정한 행위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하는 데, 이때 일정한 행위를 급부라고 한다. 만약, 채권의 목적이 금전(돈)이라면 이를 금전채권이라 한다. 그러나, 채권 중에는 물건이나 금전이 급부가 아닌 일정한 행위를 요구하는 것등도 있는 데 이러한 채권은 그냥 채권이라고 부른다.

이행지체(履行遲滯)와 이행불능(履行不能) : 이행지체란 이행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이행이 늦어지는 것을 말하고, 이행불능이란 이행이 불가능한 것을 말하는 데, 이러한 것의 판단은 객관적인 기준에 의한다.

금전채무의 경우는 이행불능이 존재할 수 없다. 돈을 구할 수가 없어서 줄 수 없다는 것은 성립되지 않기 때문이다. 즉, 이 세상에 돈이 없어서가 아니라, 자신이 돈이 없어서 갚지 못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채무 분할채무 연대채무[+/-]

채무(債務) : 채권에 대응되는 개념으로 채무자가 채권자에게 어떤 급부를 해야 할 의무를 말한다.

분할채무(分割債務) : 사오정과 서생원이 대한민국에서 가장 현금자산이 많은(4000억대) 저팔계에게 3000억을 빌렸을 때, 이때에는 원칙적으로 각각이 빌린 것에 대해서 책임을 지면 된다. 즉, 사오정이 2000억 서생원이 1000억을 빌렸다면 사오정은 2000억만, 서생원은 1000억만 갚으면 된다. 이러한 것을 분할채무라 한다.

연대채무(連帶債務) : 위의 경우에 사오정과 서생원, 저팔계가 서로 약정하여 연대채무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오정과 서생원은 자신이 실제 빌린 액수에 관계없이 3000억 전부에 대해 각자 책임을 진다. 이때 저팔계는 먼저 사오정에게 3000억을 다 갚으라고 요구할 수도 있고, 또는 서생원에게 먼저 갚으라고 요구할 수 있다(채무부담의 순서는 순전히 채권자 마음임). 만약 사오정이 3000억을 모두 갚으면 사오정은 물론 서생원의 채무부담도 모두 사라지게 된다. 이렇듯 연대채무는 담보를 많이 늘리는 작용을 하므로 채권자에게 상당히 유리한 제도이다. 상법의 경우는 대부분 연대채무로 규정하고 있다.

보증 최고검색의 항변권 연대보증[+/-]

보증(保證)과 최고검색의 항변권 : 채무자가 채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채무자를 대신하여 채무를 이행할 것을 부담하는 것을 보증이라 한다. 따라서, 채권자가 보증인에게 채무이행을 청구한 경우, 보증인은 채무자가 빚을 갚을 만한 충분한 재산이 있다는 사실과 그 재산을 강제로라도 처분해 빚을 갚기가 용이하다는 사실을 증명하면 채권자에게 먼저 주채무자에게 채무이행을 청구하라고 요구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을 최고검색의 항변권이라고 한다.

예 : 사오정은 저팔계에게 100억의 돈을 빌리면서 보증인으로 서생원을 세웠다. 변제일(빚을 갚아야 할 날)이 되자 저팔계는 사오정이 칼국수만 먹고 살정도로 어렵다는 것을 알고, 서생원에게 빚을 대신 갚으라고 청구했다. 이때 서생원은 반드시 갚아야 되는 것이 아니라, 사오정이 사실은 그의 재산을 그의 아들 사오돌에게 주었으며, 이것을 입증할 만한 자료를 제시하며 강제집행을 통해 이들 재산으로 채무를 변제받을 수 있음을 증명하면, 저팔계한테 사오정에게 대신 받으라고 할 수 있다.

연대보증(連帶保證) : 당사자의 약정에 의해 보증인의 최고 검색권을 박탈해 주채무자와 똑같은 순서로 책임을 지는 보증을 할 수도 있는 데, 이러한 보증을 연대보증이라 한다. 따라서, 연대보증의 경우는 주채무자에게 채무이행을 청구함 없이 처음부터 보증인에게 채무이행을 청구할 수 있다.

지명채권 채권양도의 대항요건 지시채권 무기명채권[+/-]

지명채권(指名債權)과 채권양도(債權讓渡)의 대항요건 : 채권자가 특정되어 있는 채권을 지명채권이라고 한다. 즉, 저팔계가 사오정에게 1000억을 빌려주었을 경우 채권자는 저팔계가 되는 데, 이렇듯 채권자가 특정인으로 정해졌을 경우 이를 지명채권이라 한다. 일반적인 보통의 거래에서의 채권은 대부분 지명채권이다. 만약, 채권자인 저팔계가 자신의 권리인 채권을(1000억을 받을 수 있는 권리) 양도하고자 한다면 반드시 사오정에게 알려주어 허락을 받아야 하는 데, 이러한 통지 또는 승낙을 채권양도의 대항요건이라고한다

증권적 채권 : 채권이 증권으로 표시된 것을 증권적 채권이라고 한다. 어음 수표등이 이에 해당된다.

지시채권(指示債權)과 무기명채권(無記名債權) : 증권적 채권중 증권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권리를 행사할 자를 지시할 수 있는 증권을 지시적 증권이라고 한다. 즉, 어음의 경우 배서라는 제도에 의해 권리를 행사할 자를 지정할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어음 수표에서 한다) 만약, 권리를 행사할 자가 지정되어 있지 않다면 이를 무기명채권이라고 한다.

변제 대물변제[+/-]

변제(辨濟) : 채무자가 채권자에게 원래의 내용에 따라 이행하는 것을 말한다. 즉, 돈을 1000억 빌렸다면 1000억을 갚는 것을, 만약 집을 고쳐주기로 했다면 집을 고쳐주는 것을 변제라고 한다. 따라서, 이러한 변제행위로 인해 채권 채무는 소멸하게 된다.

대물변제(代物辨濟) : 본래의 급부 대신에 다른 급부를 주는 것을 말한다. 대물변제로 인해 원래의 채권 채무는 소멸하게 된다. 예를 들어 차비를 빌린 후, 이를 돈 대신에 회수권으로 갚는 경우가 바로 대물변제에 해당한다.

추심채무 지참채무 공탁[+/-]

추심채무(推尋債務)와 지참채무(持參債務) : 변제를 할 때는 원칙적으로 그 채무가 발생했던 곳에서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 외에는 채권자의 주소지에서 하게 된다. 이렇듯, 채무자가 채권자를 찾아가 변제하는 것을 지참채무라 한다. 그러나, 추심채무는 채무자가 채권자를 찾아가 변제하는 것이 아니라, 채권자가 채무자를 찾아가 변제를 받는 것을 말한다.

공탁(供託) : 채권자의 일방적인 사정으로 인해 채무자가 빚을 갚고 싶어도 갚을 수 없는 경우, 빨리 빚을 갚아 개운한 상태로 되고 싶을 때 이용되는 것이 공탁이다. 즉, 채무의 목적물을 공탁소라는 기관에(공탁소는 국가기관임) 맡기면, 채무자의 채무는 소멸하게 된다. 그리고, 채권자는 공탁소에서 나중에 그 목적물을 찾아 가면 된다.

계약 계약자유의 원칙[+/-]

계약(契約) : 법에 의해 강제력이 주어지는 약속을 계약이라고 한다.

친구와 술마시기 위해 만나기로 한 약속을 어긴 경우 법에 의해 처벌을 받지는 않는다. 그러나, 만약 은행에서 돈을 꾸고 갚지 않는다면 법에 의해 강제집행을 당하는 등의 처벌을 받게 된다. 이렇듯 법에 의해 강제력이 부여되는 약속을 계약이라고 한다.

계약자유의 원칙 : 누구나 계약을 체결하거나 또는 체결안하는 것은 자유로이 할 수 있는 체약의 자유와, 계약내용도 자유롭게 정할 수 있는 계약내용결정의 자유, 계약의 방식을 자유롭게 정할 수 있는 계약방식의 자유등을 모두 계약자유의 원칙이라고 한다.

해제 해지[+/-]

해제(解除) : 계약당사자중 한 쪽의 의사표시로 계약이 처음부터 존재하지 않았던 걸로 되는 것을 말한다. 단, 이러한 계약의 해제는 해제를 당하는 상대방의 잘못이 있을 경우에만 가능하다.

예 : 사오정이 자신의 똥차를 저팔계에게 팔기로 계약을 맺었다. 그러나, 저팔계는 계약을 맺은 후 다른 곳에서 똑같은 종류의 똥차를 더 싸게 파는 것을 알고는 똥차도 가져가지 않고, 대금도 지불하지 않고 있을 때 사오정은 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 이러한 계약의 해제로 똥차매매계약은 처음부터 없었던 걸로 된다. 물론, 이때 사오정은 저팔계에게 자동차 매매 계약의 해제에 따른 손해배상청구를 할 수 있다.

해지(解止) : 당사자 일방의 의사 표시에 의해, 계약에 바탕을 둔 법률 관계를 장래에 대하여 소멸시키는 것을 해지라고 한다. 해제가 처음으로 소급하여 없었던 걸로 되는 데 반해, 해지는 미래에 대하여만 소멸되는 차이점이 있다. (많은 수험생들이 해제와 해지를 상당히 혼동하여 알고 있는 경우가 많은 데, 이런 사소한 것들의 오류로도 당락이 결정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하겠다)

예 : 사오정이 자신의 집인 아방궁을 저팔계에게 1년간 하루에 2억씩 받고 빌려주기로 계약(임대차계약)을 맺었는 데, 저팔계는 아방궁에 들어가 살면서 5달간 집세를 밀리고 있다. 이에 격분한 사오정은 계약을 해지하였다. 계약의 해지로 인해 저팔계는 더 이상 아방궁에 살 수 없게 되며, 해지시점부터 임대차계약은 효력을 잃는다. 그러나, 해지는 장래에 대해서만 효력을 잃으므로 해지전 5달간의 임대차는 유효하다. 따라서, 5달간의 집세에 대한 것은 계속 요구할 수 있다.

증여 부담부증여 사인증여[+/-]

증여(贈與) : 당사자중 일방이 아무런 대가를 받지 않고 그 상대방에게 일정한 재산을 주겠다는 의사표시를 하고, 그 상대방이 이를 승낙함으로써 생기는 계약을 말한다. 이때 재산을 주는 사람을 증여자, 받는 사람을 수증자라고 한다.

부담부증여(負擔附贈與) : 수증자가 일정한 의무를 부담하는 형태의 증여를 의미한다. 즉, 수증자가 밀린 자동차세를 내기로 하고 자동차를 증여 받는 경우등이 이에 해당된다.

사인증여(死因贈與) : 증여자의 사망으로 인해 효력이 생기는 증여를 말한다. 즉, 사오정이 자신의 친구 저팔계에게 "내가 죽으면 멸치잡이배는 다 네가 가져라"고 한 경우등이 사인증여에 해당된다.

소비대차 사용대차[+/-]

소비대차(消費貸借) : 소비대차란 일방이 상대방으로 부터 돈이나 물건을 받아 쓰고, 뒷날에 그 양만큼의 똑같은 물건을(동종, 동량, 동질의 물건) 돌려 주기로 하는 계약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보릿고개 때 쌀을 얻어 쓰고, 가을에 추수가 끝나면 쌀을 돌려주는 데 바로 이러한 것을 소비대차라고 한다.

사용대차(使用貸借) : 사용대차란 당사자의 한편이 어떤 물건을 빌려서 그것을 무상으로 사용하거나 이익을 얻은 후에 반환할 것을 약속함으로써 성립되는 계약을 말한다. 소비대차와는 달리 반드시 무상이다(공짜며). 주의할 점은 빌린 바로 그 물건을 돌려준다는 점이다. 즉, 쌀을 빌려서 먹지 않고 그것을 되돌려 주었다면 사용대차가 되지만, 쌀을 빌려서 다 먹은 후 같은 종류의 쌀로 대신 돌려준다면 이는 소비대차가 된다.

임대차 도급[+/-]

임대차(賃貸借) : 일방이 상대방에게 어떤 물건을 사용하게 하고, 상대방이 그것에 대해 사용료를 지급하기로 하는 약정을 임대차라고 한다. 물건을 빌려주는 사람을 임대인, 빌려받는 사람을 임차인이라고 한다. 물건을 빌린 임차인은 빌린 물건을 사용할 권리를 가지는 데 이를 임차권이라고 한다.

도급(都給) : 일방이 어떤 일의 완성을 약정하고 상대방은 그 일의 결과에 대해 보수를 지급할 것을 약정하는 것을 말한다. 일을 맡기고 보수를 주는 사람을 도급인, 보수를 받고 일을 맡은 자를 수급인이라고 한다. 도급의 가장 대표적인 것이 건축인데, 수급인인 건축업자는 정해진 물건을 지어주게 된다. 건물이 완성되면(일이 완성되면) 도급인은 보수를 주어야 한다.

위임 선량한 관리자의 의무[+/-]

위임(委任) : 당사자의 한편이 다른 편에게 사무처리를 맡기는 계약을 말한다. 이때 사무처리를 위탁(일을 맡김)한 자를 위임인(委任人)이라 하고 일을 맡은 사람을 수임인(受任人)이라고 한다.

위임의 예 : 일반인의 경우 법률적인 지식이 부족하므로 보통 변호사를 통해 소송을 진행하게 되는 데, 이러한 변호사를 선임하는 것이 위임의 대표적인 예이다.

선량한 관리자의 의무 : 위임을 할 때는 수임인을 상당히 신뢰한다는 전제하에 이루어진다. (변호사를 못 믿는다면 어떻게 자신의 변호를 맡길 수 있겠는가) 따라서, 수임인은 위임인의 신뢰를 어기지 말아야 한다. 따라서, 수임인은 상당한 정도의 주의를 기울여 맡은 일을 처리해야 하는 데, 이를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 또는 [선관의무]라고 한다.

임치 소비임치 혼합임치 자기재산과 동일한 주의[+/-]

임치(任置) : 임치란 남에게 돈이나 물건을 맡겨두는 것을 말한다. 보관을 위탁하는 자를 임치인, 보관해 주는 자를 수치인이라고 한다.

임치의 예 : 주차장에 차를 맡기는 것이 임치의 가장 대표적인 예이다.

소비임치(消費任置) : 수치인이 맡은 그 물건을 돌려주는 것이 아니라 동종, 동량, 동질의 물건으로 대체해서 돌려주는 것을 소비임치라고 한다. 소비대차와 비슷한 개념이므로 소비대차를 참고하기 바란다.

혼합임치(또는 혼장임치) : 수치인이 같은 종류의 물건을 받아 섞어서 보관하다가 돌려줄때는 맡긴 수량을 돌려주는 임치를 말한다. 대표적인 것이 은행이다. 즉, 은행에 돈을 맡긴 후 찾을 때 내가 맡긴 88년 조폐공사에서 찍은 1000원 짜리 바로 그 지폐로 주는 것이 아니라, 같은 금액만 돌려주게 된다. 즉, 100원짜리 10개로 줄 수도 있고, 10원 짜리 100개로 줄 수도 있는 데, 이를 혼합임치라고 한다.

자기재산과 동일한 주의 : 무상수치인의 경우 자기재산과 동일한 주의의무를 부담한다. 이는 유상수치인이 부담하는 선량한 관리자의 의무보다는 덜한 것이다. 만약, 친구의 카세트를 보관할 것을 부탁받았다면(공짜로), 자기의 카세트와 동일한 주의만 기울이면 된다. 즉, 방안에 쥐가 돌아다녀 카세트가 망가질 우려가 있다고 해도 자신의 카세트도 똑같은 상황에 있다면 그 정도의 주의만 기울여도 무방하다. 그러나, 만약 돈을 받고 보관을 하는 것이라면 쥐덪등을 놓아 쥐를 잡아 카세트가 손상될 가능성을 제거하여야 한다. 이렇듯 무상수치인은 자기재산과 동일한 주의를 유상수치인은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 의무를 부담하게 된다.

부당이득[+/-]

부당이득(不當利得) : 부당이득이란 부당한 방법으로 남에게 손해를 주면서 얻는 이익을 말한다. 예를 들어, 돌머리로 소문난 사오정이 자신이 서생원으로부터 꾼 돈 1000억을 실수로 저팔계에게 갚았다. 이때 저팔계가 얻은 돈 1000억이 바로 부당이득에 해당된다. 저팔계는 사오정으로부터 돈을 받을 정당한 권리가 없는 데 받은 것이기 때문에 부당이득에 속하는 것이다.

부당이득을 얻은 자는 당연히 그가 얻은 이득을 손실을 입은 자에게 반환해야 한다. 즉, 위에서 저팔계는 사오정에게 1000억을 반환해야 한다. 그러나, 반환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있다. 만약 사오정이 저팔계로부터 빌린 돈 4000억을 12년 후에 갚았다. 그러나, 채무의 소멸시효가 10년으로 완성되었으므로 갚지 않아도 되는 것이었다. 이때 사오정이 저팔계로부터 4000억을 다시 반환받을 수는 없다. 비록 소멸시효는 완성되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갚아다면 이는 사회도의상 인정되는 것이므로(원래 저팔계에게 빌린 돈이었으므로) 반환을 청구할 수 없다.

불법행위 위자료 손해배상[+/-]

불법행위(不法行爲) : 불법행위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위법행위로 남에게 손해를 끼치는 행위를 말한다. 이때 피해자는 가해자에 대해 손해배상청구권을 가지게 된다.

불법행위 보충설명 1 : 교통사고등이 불법행위의 대표적인 예이다. 즉, 운전중에 졸음등의 부주의로 인해 타인에게 손해를 입힌 경우 이는 불법행위가 되고, 부주위한 운전으로 인해 손해를 입힌자는 손해를 입은자에게 손해배상을 하여야 한다.

불법행위 보충설명 2 : 불법행위가 되기 위해서는 고의 또는 과실이 있어야 한다. 또한, 고의 또는 과실이 있다 하더라도 위법행위가 아니면 불법행위가 아니다. 만약, 의사가 수술중에 고의로 몸에 칼을 들이대는 것은 불법행위가 아니다. (사람의 몸을 고치기 위한 행위이므로)

위자료와 손해배상 : 정신적인 손해에 대한 배상을 위자료라고 한다. 마약, 어떤 사람이 150만원씩 받고 공장에서 일하다가 양팔이 모두 잘리는 부상을 당하였다고 하면 이 사람에게는 두가지의 손해가 발생한다. 첫 번째 양팔을 모두 사용하지 못하므로 앞으로 평생 일을 하지 못하는 데서 오는 손해와 양팔을 잃고 불구로 살아가야 하는 정신적인 고통으로 오는 손해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정신적 고통에 대한 손해의 배상을 위자료라고 한다. 보통 정신적 고통에 대한 위자료는 객관성 확보의 어려움 때문에 아주 특수한 경우에만 인정해주고 있다.

물권[+/-]

물권(物權) : 물권이란 물건을 직접 지배하여 누리는 권리를 말한다. 이러한 물권에는 소유권, 점유권, 유치권, 질권등 여러 종류가 있다.

소유권 공유 합유[+/-]

소유권(所有權) : 소유권이란 물건을 전면적으로 지배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따라서, 물건의 사용은 물론 교환도 가능하다. 여기서 교환이란 어떠한 물건을 바꾸거나, 팔거나, 전당포에 맡기고 돈을 빌리는 등에 이용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생리대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그것을 원래 용도로 사용하든 아니면 코를 푸는 데 사용하든, 안경 닦는데 사용하든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생리대를 초코우유랑 바꾸어 먹어도 되고, 또는 버려도 되고, 팔아도 된다.

공유(共有) : 공유란 공동으로 소유하는 것을 말한다. 이럴 때 전체소유권에 대해 공동으로 소유하는 자들이 각각 가지는 비례적 권리를 지분이라고 하며, 이 지분에 의해 권리의 양적 크기가 결정된다. 즉, 형이랑 동생이 100만원 짜리 컴퓨터를 살 때 형이 70만원 동생이 30만원을 내서 샀다면 이는 형과 동생의 공동소유로 볼 수 있으며, 형의 지분은 70%가 되고, 동생의 지분은 30%가 된다. 또한 원칙적으로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은 지분에 따라 형이 더 많이 사용하게 된다. (7:3의 비율로)

합유(合有) : 수인이 조합의 형태로 물건을 공유하는 것을 합유라고 하는 데, 대부분이 공유와 유사하나, 합유물의 지분을 처분하는 데 있어 합유자 전원의 동의가 있어야 한다는 등의 차이가 있다.

점유권 지상권 지역권 전세권[+/-]

점유권(占有權) : 물건을 점유함으로써 발생하는 하나의 권리를 말한다. 만약, 사오돌이 이유야 어찌 되었건 간에 70억 짜리 물방울다이아몬드세트를 얻게 되었다고 하자. 이때 사오돌은 그 얻게 된 경위가 불법이든 아니든 간에 물방울다이아몬드세트를 점유(가지고 있음)한다는 사실만으로 일정한 권리를 얻게 되는 데 이를 점유권이라 한다. 추후, 이 점유권때문에 정당한 소유주가 나타나도 사오돌이 점유하고 있는 다이아몬드를 빼앗아 갈 수는 없다. 즉, 정당한 소유주는 자신이 정당한 소유주라는 것을 입증한 후에야 반환을 청구할 수 있을 뿐이다.

지상권(地上權) : 남의 토지에서 건물을 짓거나 나무를 심을 수 있도록 토지를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즉, 남의 토지를 사지 않아도 그 토지의 지상권을 사면 건물을 지을 수 있다.

지역권(地役權) : 자기 땅의 이용 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남의 땅을 일정한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즉, 내 집에 들어오는 도로를 만들기 위해 남의 땅에 도로를 내는 것등이 해당된다. 이때 편익을 제공받는 토지를 요역지(要役地)라 하고, 편익을 제공하는 토지를 승역지(承役地)라 한다.

전세권(傳貰權) : 전세금을 지급한 사람이 남의 부동산을 점유하여 사용, 수익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부동산임차권도 다른 사람의 부동산을 사용할 수 있는 권리이지만 부동산임차권은 채권에 속하는 데 반해, 전세권은 물권에 해당된다.

담보물권 피담보채권[+/-]

담보물권(擔保物權) 피담보채권(被擔保債權) : 채권의 변제를 담보하기 위해 채무자의 물건이나 채무자를 위해 제3자가 제공한 물건의 교환가치를 장악하는 물권이다. 담보가 제공된 채권을 피담보채권(被擔保債權)이라하고 담보권을 가진 채권자를 담보권자라고 한다.

질권 유질계약 저당권[+/-]

질권(質權) : 채권자가 채권의 담보로서 채무자 혹은 제3자가 제공한 동산 또는 재산권을 채무가 변제될 때까지 점유하고, 만약 변제기에 채무자가 갚지 않을 경우 담보물을 팔아 우선적으로 변제를 받을 수 있는 물권을 말한다. 즉, 돈을 빌려주고 그에 대한 담보로 자동차를 잡았다면, 만약 그 돈을 변제기에 받지 못했을 때에는 그 자동차를 팔아 빚을 받을 수 있다.

유질계약(流質契約) : 채무의 변제에 대신하여 채권자로 하여금 그 담보가 질물(채무의 담보로 맡겨진 물건)의 소유권을 취득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민법에서는 유질계약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악덕채권자가 10만원을 빌려주면서 900만원 짜리 자동차를 담보로 잡은 후, 변제일날 갚지 않을 경우 그 자동차를 자신의 소유로 하는 경우등이 있을 것에 대비, 약자를 보호하기 위해 민법에서는 이러한 유질계약을 금지하고 있다.

저당권(抵當權) : 채무자나 제3자가 제공한 부동산을 담보의 목적물로 해서 채무자가 변제기에 변제하지 아니하면(빚을 갚을 날에 갚지 못하면) 채권자가 이 부동산을 환가(값으로 환산)해 채권을 우선변제 받을 수 있은 물권을 말한다.

질권과 저당권의 차이 : 질권의 경우 담보물을 채권자가 점유하지만, 저당권의 경우 담보권자가 목적물을 점유하지 않고 단순히 담보물의 교환가치를 가지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교환가치의 점유를 위해서는 등기부에 저당권 등기를 한다. 대표적인 예가 은행에서 융자를 받을 때 집을 저당잡히는 경우등이 이에 해당된다. 저당권은 부동산외에도 등기나 등록에 의해 공시하는 재산(선박, 비행기등)에 대해서도 설정할 수 있다.

유치권 견련성[+/-]

유치권(留置權) : 타인의 물건 또는 유가증권을 점유하는 자가 그 물건 또는 유가증권에 관하여 생긴 채권의 변제를 받을 때까지 그 물건을 유치(맡아 둠)할 수 있는 권리르 말한다. 즉, 고장난 시계를 맡겼을 경우, 시계방 주인은 수리비를 받을 때까지 시계를 안 돌려주고 가지고 있는 데 이러한 것이 바로 유치권의 예이다.

견련성(牽連性) : 만약, 전에도 한 번 시계를 맡기고 찾아가면서 수리비를 안 준 경우가 있다고 하자. 이때 새로 산 시계가 고장 나 그 시계방에 가서 맡겼는 데, 새로 맡긴 시계의 수리비를 주고 찾으려고 할 때 전에 맡겼던 시계의 수리비를 줄 때까지는 새로 맡긴 시계도 줄 수 없다고 할 수 있는 가 → 없다. 즉, 유치권은 유치대상이 된 물건 자체에 관한 것에만 행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전에 맡긴 시계에 대한 수리비를 받기 위한 유치권 행사는 전에 맡긴 시계에만 할 수 있을 뿐이다. 이를 유치권의 목적물과 피담보채권의 견련성이라고 한다.

공시 점유 등기[+/-]

공시(公示) 점유(占有) 등기(登記) : 공시란 세상사람들에게 권리나 물건의 소유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공시방법은 동산과 부동산에 있어 각각 다르다. 일반적으로, 동산의 경우는 점유의 방법으로, 부동산의 경우에는 등기의 방법으로 행한다. 여기서 점유란 물건을 사실상 소유하는 것을 말하는 데 만약 여러분이 볼펜을 손에 쥐고 있다면 볼펜을 점유한다고 볼 수 있다. 즉, 목적물에 대한 물리적 및 사회통념에 의한 밀착성이 있을 때(손으로 쥐고 있다든지, 자기집 책상서랍에 있다든지) 이를 [점유한다]고 한다. 참고로 등기란 민법상의 권리나 사실의 존재를 공시하기 위해 일정 사항을 등기부에 기재하는 일을 말한다.

기타[+/-]

선의취득(善意取得) : 무권리자로부터 동산을 양수하였으나, 취득자가 선의이며 과실이 없는 한 적법하게 그 물건의 권리를 인정하는 것을 말한다. 만약, 노트북을 주은 사오돌이 이를 모르는(주은 사실을 모르는) 저팔계에게 자기의 것이라고 속여 판매한 경우 저팔계는 사오돌이 주인인지 알고 구입하였고 이에 특별히 잘못이 없었다면 소유권을 취득하게 된다.

악의(惡意) 선의(善意) : 법에서의 악의란 일의 사정을 아는 것을 의미하고, 선의란 일의 사정을 모르는 것을 말한다. 즉, 위의 선의취득의 예에서 저팔계가 사오돌의 노트북이 주은 노트북이라는 것을 알았다면 악의가 되고, 몰랐다면 선의가 되는 것이다.

고의(故意) 과실(過失) 중과실(重過失) : 고의란 일정한 결과가 발생할 것을 알면서 행하는 심리상태를 말한다. 과실이란 일정한 결과가 발생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부주의로 그것을 알지 못한채 어떤 행위를 하는 심리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차를 몰고 가다가 길을 건너던 사람을 일부로 엑셀을 밟았다면 이는 고의에 의한 불법행위에 속한다. 하지만, 잠깐 졸다가 실수로 행인을 친 경우는 과실에 속한다. 또한, 법에서는 고의는 없으나, 과실은 있고 그것이 아주 중대한 실수일 때는 고의로 간주하여 취급하는 데 이것을 중과실이라 한다. 법에서는 고의 과실 중과실의 경우에 각각 달리 취급한다.

준용(準用) : 법조문의 준용이라 함은 그 법조문을 응용하여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청산인의 경우 이사의 제3자에 대한 책임을 규정한 상법401조를 준용하게 되어 있는 데, 준용이란 말은 그 법조문을 응용하여 적용하는 것이므로, 이 경우 청산인도 제3자에 대해 이사처럼 책임을 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상대위(物上代位) : 담보 물권의 효력이 목적물의 법률적, 사실적 변형에 따라 변형한 물건 위에 미치는 일을 말한다. 예를 들어. 담보로 잡고 있던 건물이 국가에 징수되어 보상금청구권이 생긴 경우 담보의 효력은 그 보상청구권에도 계속해서 존속하는 것을 말한다.

담보(擔保) : 빚진 사람이 빚을 못 갚을 경우에 대비해서 그 대신 맡기는 것을 말한다.

무과실책임(無過失責任) : 원칙적으로 법에서는 과실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책임을 묻고 있다. 그러나, 현대로 넘어오면서, 과실이 없어도 책임을 묻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예를 들어 공장의 오염물질 방출로 인해 사람들의 호흡곤란이 생기는 등의 신체에 해를 주는 경우, 비록 그 오염물질 방출이 현대의 과학으로는 어쩔 수 없다고 하더라도 어쨋든 그 공장의 운영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이므로 책임을 지우는 경우가 있는 데 바로 이러한 것들이 무과실책임의 예이다. 이러한 것들의 예로는 공작물의 소유자의 책임등이 있다.

금반언(禁反言)의 원칙 : 자신의 선행행위와 모순되는 행위는 허용하지 않는다는 원칙이다. 간단히 말하면 반대말을 금지하는 원칙이다. 심한 예를 들면, 마치 정숙한 숙녀인 것처럼 행동하던 여자가 신혼 여행가서 "나 사실은 아버지 다른 애가 넷이나 있어"라고 말한다면 이는 금반언의 원칙을 어긴 것이 된다.

외관주의(外觀主義) : 상거래는 불특정다수인간에서 행하여지므로 상대방에 관한 중요한 사실의 판단은 주로 외부에 나타난 사실에 의존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거래의 원활한 유지를 위해서는 외관을 신뢰하고 거래한 자를 보호해야할 필요가 있다. (만약, 백화점 매장에 가서, 백화점 유니폼을 입은 점원을 신뢰하지 못한다면, 물건을 살때마다 백화점매장유니폼을 입은 점원에게 직원임을 증명하는 증명서를 보여달라고 요구하여야 할 것이므로 이 경우 거래 자체가 무척 번거러워져 상거래 자체가 위축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을 막고자 상법에서는 외관을 신뢰하고 거래한 자에 대해서는 보호해 주고 있다. 단, 이 외관신뢰자가 악의일 경우는 보호하지 않는다)

통설(通說) : 세상에 널리 알려진 학설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다수설이 통설이 된다. 하지만, 꼭 그런 것은 아니다. 즉, 판례가 소수설을 따르는 경우는 오히려 소수설이 통설이 되기도 한다.

다수설(多數設) : 소수설(少數設)에 대응하는 개념으로서, 이는 통설이 될 수도 있고, 안될 수도 있는 학설이다. 법을 연구해 보면 통설의 경우는 판례와 일치하는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오히려 판례가 소수설을 따르는 경우도 있다.

소수설(少數設) : 어떤 주제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있을 수 있는 데, 그 의견을 지지하는 학자가 상대적으로 적을 때 이를 소수설이라고 한다. 이에 대응되는 개념으로 다수설이 있다. 참고로, 객관식상법을 대비할 때는 소수설까지는 알 필요가 거의 없다. 본 합격상법은 출제 가능성이 있는 것은 소수설까지도 수록하였으므로 이 책 하나면 충분히 모두 대비할 수 있다.

매매(賣買) : 물건 또는 권리를 금전과 바꾸는 계약을 말한다. 가장 흔한 계약의 일종이다. 집을 산다든가, 자동차를 산다든가 하는 거래 모두가 매매의 일종이다.

담보책임(擔保責任) : 담보책임이란 계약 당사자에게 내어 준 목적물이나 권리에 흠이 있을 경우 부담하는 손해 배상과 그 밖의 책임을 말한다.

낙성계약과 요물계약 : 당사자의 합의만이 있으면 성립되는 계약을 낙성계약이라고 한다. 이에 반해 요물계약은 당사자 합의외에 다른 어떤 법률사실이 있어야 성립하는 계약을 말한다.

최고(催告) : 재촉하는 뜻으로 내는 통지 또는 상대방에게 일정한 행위를 청구하는 일을 말한다.

교부(交付) : 물건을 내어 주거나, 인도해 주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어음을 사오돌에게 교부했다는 것은 어음을 사오돌에게 주었다는 말을 어렵게 표현한 것이라고 보면 된다.

납입(納入) : 돈을 내는 것을 말한다.

공신력(公信力) : 외형을 신뢰한 사람에 대하여, 설사 그 외형에 진실한 권리가 없을 때에도 실제로 있는 경우와 같은 법률상 효력을 주는 것을 말한다.

항변(抗辯) : 민사 소송법 상 방어하는 방법의 하나로, 상대방의 주장이나 신청을 배제하기 위하여 별개의 사항을 주장하는 일을 말한다. 즉, 사오정이 저팔계가 4000억을 횡령했다고 주장하는 것에 대해, 저팔계가 이를 반박하고 자신이 피땀 흘려 모은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등이 바로 항변에 해당된다.

간주(看做) 추정(推定) : 추정은 불명확한 사실을 일단 인정하는 것으로 정하여 법률효과를 발생시키되 나중에 반증이 있을 경우 그 효과를 발생시키지 않는 것을 말한다. 이에 비해 간주는 법에서 [간주한다=본다=의제한다]로 쓰이며, 추정과는 달리 나중에 반증이 나타나도 이미 발생된 효과를 뒤집을 수 없는 것을 말한다. 대부분의 법조문에서는 간주한다는 문장이 추정한다는 문장보다 많이 나오므로, 추정한다라고 되어 있는 부분을 외워두는 것이 시험대비에 효울적이다. 예를 들어 어음법 29조①에서 '말소는 어음의 반환전에 한 것으로 추정한다'라는 규정이 있는 데, 만약, 어음의 반환이후에 말소 했다는 증거가 나오면 어음의 반환전에 했던 것은 없었던 걸로 하고, 어음의 반환이후에 한 것으로 인정한다. 그러나, 만약에 '말소는 어음의 반환전에 한 것으로 본다'라고 했다면 나중에 반환 후에 했다는 증거를 제시해도 그 효력이 뒤집어지지 않는다. (즉, 원래의 판정과 마찬가지로 어음의 반환전에 한 것으로 한다)

대항하지 못한다 : 당사자간에 발생된 법률관계를 제3자에 대하여 주장하지 못한다는 것으로 주로 선의의 제3자를 보호하여 거래의 안전을 꾀하고자는 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단, 제3자가 그 효력을 인정하는 것은 괜찮다. 예를 들어, 사오정이 사오돌에게 백지어음을 주면서 4000억 이내로 쓰라고 약속하였으나, 사오돌은 이러한 사실을 모르는 저팔계에게 금액을 마음대로 써도 된다고 하여 넘겨준 경우, 저팔계가 금액란에 2조라고 쓴 후 사오정에게 지급을 요구했을 경우 사오정은 사오돌과 약속을(4000억 이내로 제한한) 이유로 지급을 거절할 수는 없다. (사오정과 사오돌의 약속은 둘만의 문제이므로)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 기본 용어  (0) 2024.03.18
민법 용어  (1) 2024.03.18
[민법][물권법] 용어  (0) 2024.03.18
정보통신 용어  (5) 2024.03.17
용어 ㄴ  (0) 2024.03.16


1. 일물일권주의
하나의 물건에 대하여는 동종의 물권은 하나만 성립될 수 있고, 하나의 물건의 일부에 대해서는 물권이 성립될 수 없다는 원칙
2. 물권법정주의
물권에 있어서 그 종류와 내용은 법률에 정해진 것에만 한정되고 임의로 창설할 수 없다 는 원칙
3. 물권적 청구권
물권이 제3자에 의해 침해되거나 또는 침해될 염려가 있는 경우에 물권자가 제3자에 대 해 그 침해의 제거 또는 예방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
4. 물권의 변동
물권의 발생, 변경, 소멸
5. 공시의 원칙
물권이 배타적인 성격상 물권의 존재를 제3자에게 알려주기 위하여 물권의 변동이 있을 때마다 그것이 공시되어야 한다는 원칙
6. 의사주의
대항요건주의라고도 하며 물권행위만으로 물권변동이 생기고 등기나 인도는 그 효력을 제3자에게 대항하기 위한 것이라는 견해
7. 형식주의 (=성립요건주의)
물권행위 이외에 일정한 형식(등기나 인도)을 갖춘 때에 당사자 사이에서나 제3자에 대 한 관계에서나 비로소 물권변동이 발생한다는 견해
8. 공신의 원칙
물권관계와 합치되지 않는 공시가 있는 경우에, 거래의 안전을 위하여 진정한 권리자 보 다 등기 또는 점유를 신뢰한 자를 보호하여야 한다는 원칙
9. 물권행위
직접 물권변동을 발생시킬 것을 목적으로 하는 법률행위로서 이행의 문제를 남기지 않는 것
10. 물권행위의 독자성
물권행위가 원인행위인 채권행위로부터 독립되어 있다는 것
11. 물권행위의 무인성
물권행위가 유효하면 그 자체로서 효력을 발생하고, 물권행위의 원인인 채권행위가 불 성립, 무효, 취소, 해제 등에 의하여 실효된 경우에도 물권행위는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는 다는 것
12. 등기
등기관이라는 국가기관이 법정절차에 따라 등기부라는 공적장부에 부동산에 관한 일정 한 권리관계를 기재하는 것
13. 종국등기
물권변동의 효력을 발생케 하는 등기
14. 기입등기
새로운 등기원인에 의하여 등기용지에 새로운 사항을 기입하는 등기
15. 경정등기
 밴드 : 부동산교육센터 카페[부동산교육센터] -2-
등기공무원의 착오로 인하여 등기의 불일치 또는 탈루가 생긴 경우에 지방법원장의 허 가를 얻어 이를 시정하는 등기
16. 변경등기
등기와 실체관계간의 후발적 불일치를 시정하기 위하여 행해지는 등기
17. 말소등기
등기된 권리나 객체가 원시적으로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후발적으로 존재하지 않게 된 경우에 이미 행하여진 등기를 말소하는 방법으로 말소하고 그 취지를 기재하는 등기
18. 멸실등기
부동산이 멸실된 경우에 표제부의 기재를 말소하고 그 등기용지를 폐쇄하는 방법으로 행하여지는 등기
19. 회복등기 : 등기가 부당하게 말소되거나 멸실된 경우에 이를 부할하는 등기
20. 예비등기 : 물권변동의 효력을 직접 발생하게 하는 것이 아니고 간접적으로 이에 대비하는 등기
21. 가등기
부동산물권 및 그에 준하는 권리의 설정, 이전, 변경, 소멸의 청구권을 보전하기 위하여 미리 예비로 하는 등기
22. 예고등기
등기원인의 무효 또는 취소로 인한 등기의 말소 또는 회복의 소가 제기된 경우에 수소 법원(受訴法院)의 직권으로서 등기소에 촉탁하여 행하여지는 등기
23. 등기청구권
등기의무자가 등기신청에 협력하지 않는 경우에 등기권리자가 등기의무자에게 그 협력 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
24. 입목 : 입목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소유권보존등기를 한 수목이 집단
25. 명인방법 : 소유자가 누구라고 하는 것을 외부에서 인식하는데 적합한 방법의 총칭
26. 인도 : 점유의 이전
27. 현실의 인도 : 물건에 대한 사실상의 지배를 옮기는 것
29. 간이인도
양수인이 될 자가 이미 동산을 점유하고 있는 경우에 점유의 이전에 관한 합의만으로서 인도를 받은 것으로 하는 것
30. 점유개정
자신의 소유 동산을 매각하고 그 동산을 일정기간 빌리는 형식으로 점유하는 경우에 그 시점에서 매수인에게 소유권이전을 위한 인도가 있었던 것으로 보는 것
31. 목적물인도청구권의 양도
매도인이 타인에게 맡겨둔 동산을 그대로 맡겨 둔 채로 매수인에게 양도하는 것
32. 선의취득
권리외관을 신뢰하고 거래한 자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로서 평온, 공연하게 동산을 양수 한 자가 선의이며 과실없이 그 동산을 점유한 경우에 양도인이 정당한 소유자가 아닌 때에도 즉시 그 동산의 소유권을 취득하는 것
33. 물권의 포기 : 물권을 소멸시킬 것을 목적으로 하는 물권적 단독행위
34. 혼동 : 양립시킬 만한 가치가 없는 법률상의 지위가 동일인에게 귀속하는 것
35. 점유 : 물건에 대한 사실상의 지배
36. 점유권 : 점유라는 사실을 법률요건으로 하여 생기는 권리
37. 직접점유 : 물건을 직접적으로 지배하거나 또는 점유보조자를 통해서 물건을 점유하는 것
39. 점유보조자
가사상 또는 영업상 기타 유사한 관계에 의하여 타인의 지시를 받아 물건에 대한 사실 상의 지배를 하는
 밴드 : 부동산교육센터 카페[부동산교육센터] -3-

40. 간접점유
자신의 물건을 지상권, 전세권, 질권, 사용대차, 임대차, 임치, 기타의 관계로 인해 타인 으로 하여금 물건을 점유하게 하는 것
41. 자주점유 : 소유의 의사를 가지고 하는 점유
42. 타주점유 : 소유의 의사를 가지지 않고 하는 자주점유 이외의 점유
43. 하자있는 점유 : 악의, 과실, 강폭, 은비, 불계속 등의 사정이 있는 점유
44. 하자없는 점유 : 선의, 무과실, 평온, 공연, 계속 등의 사정이 있는 점유
45. 점유보호청구권
본권(점유권)의 유, 무와는 관계없이 점유 그 자체를 보호하기 위한 일종의 물권적 청 구권으로서 점유에 대한 침해가 있을 경우에 발생하는 청구권
46. 점유물반환청구권
점유자가 점유를 침탈당한 때에 그 물건의 반환 및 손해의 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
47. 점유물방해예방청구권
점유자가 점유의 방해를 받을 염려가 있는 때에 그 방해의 예방 또는 손해배상의 담보 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
48. 점유물방해제거청구권
점유자가 점유의 방해를 받은 때에 그 방해의 제거 및 손해의 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
49. 준점유 : 물건이 아닌 재산권을 사실상 행사하는 경우
50. 소유권 : 소유자가 법률의 범위내에서 그 소유물을 배타적으로 사용, 수익, 처분할 수 있는 권리
51. 구분소유권
건물의 일부가 경제적으로 독립한 건물과 동일한 효용을 가지고, 또한 사회관념상 독립 한 건물로 다루어지는 경우에 그 위에 독립한 소유권
52. 상린관계 : 인접하는 부동산·소유자 상호간의 이용을 조절하기 위한 그들 사이의 권리관계
53. 취득시효
물건 또는 권리를 점유하는 사실상태가 일정한 기간 동안 계속되는 경우에, 그것이 진 실한 권리관계와 일치하는가의 여부를 묻지 않고 권리취득의 효과가 생기게 하는 시효 제도
54. 무주물선점
현재 소유자가 없는 물건을 소유의 의사로 점유한 자가 그 소유권을 취득하는 것
55. 유실물습득
점유자의 의사에 기하지 않고서 그의 점유를 떠난 물건으로서, 도품이 아닌 것을 습득 하는 것
56. 매장물발견
토지 또는 그 밖의 물건 속에 매장되어 그 소유권이 누구에게 속하는지를 판별할 수 없 는 물건을 발견하는 것
57. 첨부
소유자가 각기 다른 두 개의 이상의 물건이 결합하여 사회관념상 분리하는 것이 불가능 하게 된 때, 물건에 노력이 결합하여 사회관념상 그 분리가 불가능하게 된 때, 이의 복 구를 허용하지 않고서 그것을 어느 한 사람의 소유로 귀속시키고자 하는 것
58. 혼화
소유자를 각각 달리하는 수 개의 물건이 결합하여 1개의 물건으로 되는 것
59. 가공 : 타인의 동산에 노력을 가하여 새로운 물건을 만들어 내는 것
60. 소유물반환청구권
목적물의 점유를 상실한 소유자가, 그 목적물을 점유함으로써 소유자의 점유를 방해하 고 있는 자에 대하
 밴드 : 부동산교육센터 카페[부동산교육센터] -4-
여 그 반환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
61. 소유물방해예방청구권
방해될 염려가 있는 소유권의 보유자가 장차 소유권을 방해하는 행위를 할 염려가 있는 자에 대하여 방해의 예방 또는 손해배상의 담보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
62. 소유물방해제거청구권
소유권의 내용의 실현이 점유의 상실 이외의 방법으로 방해되고 있는 자가 현재 방해하 는 사정을 지배하고 있는 자에게 그 방해의 제거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
63. 공유 : 물건이 지분에 의하여 수인의 소유로 되는 공동소유
64. 지분 : 각 공유자가 목적물에 대하여 가지는 소유의 비율
65. 합유 : 법률의 규정 또는 계약에 의하여 수인이 조합체로서 물건을 소유하는 공동소유
66. 총유 : 법인이 아닌 사단의 사원이 집합체로서 물건을 소유하는 공동소유
67. 준공동소유 : 수인이 공동으로 소유권 이외의 재산권을 소유하는 것
68. 명의신탁
신탁자가 소유권을 보유하여 이를 관리, 수익하면서 공부상의 소유명의만을 수탁자로 하여 두는 것
69. 지상권 : 타인의 토지에 건물 기타 공작물이나 수목을 소유하기 위하여 그 토지를 사용할 수 있 는 물권
70. 구분지상권
토지의 상하 중 일정한 범위를 지정하고 그 범위에서만 지상권의 효력이 미치도록 하여 그 토지의 부분을 이용할 수 있는 지상권
71. 법정지상권
토지와 그 지상건물이 동일 소유자에게 속하고 있던 당시에 토지 또는 건물의 어느 하 나에만 제한 물권이 설정된 뒤, 토지와 건물이 소유자를 달리하게 된 때에 건물소유자 를 위하여 법률상 당연히 지상권이 설정되는 것으로 보는 것
72. 관습상의 법정지상권
동일인에게 속하였던 토지와 건물 중 어느 일방의 매매 기타 일정한 원인에 의하여 각 각 소유자를 달리하게 된 때에 그 건물을 철거한다는 특약이 없으면 건물소유자가 당연 히 취득하게 되는 지상권
73. 분묘기지권 : 타인의 토지에 분묘를 설치한 자가 그 분묘에 대하여 가지는 지상권에 유사한 일종의 물권
74. 지역권 : 일정한 토지의 이용가치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다른 토지에 지배를 미치는 권리
75. 요역지 : 지역권에 있어서 편익을 받는 토지
76. 승역지 : 지역권에 있어서 편익을 제공하는 토지
77. 전세권
전세금을 지급하고 타인의 부동산을 점유하여 그 부동산의 용도에 좇아 사용, 수익하면 서 그 부동산 전부에 대하여 후순위권리자 기타 채권자보다 전세금에 관하여 우선 변제 권이 인정되는 특수한 용익물권
78. 우선변제권 : 담보물에 대한 경매시 자기의 권리순위에 따라 그 배당에 참가하여 변제를 받을 수 있 는 권능
79. 전전세 : 전세권자의 전세권을 기초로 하여 그 전세권을 목적으로 하는 전세권을 다시 설정하는 것
80. 담보 : 채권의 일반적 효력으로 만족하지 않고 그것을 더 보강해서 채권의 실현을 확보하려는 수단
81. 유치권
타인의 물건 또는 유가증권을 점유한 자가 그 물건이나 유가증권에 관하여 생긴 채권을 가지는 경우에, 그 채권을 변제받을 때까지 그 물건이나 유가증권을 유치할 수 있는 권 리
82. 유치 : 목적물의 점유를 계속함으로써 그 인도를 거절하는 것
83. 동시이행의 항변권
 밴드 : 부동산교육센터 카페[부동산교육센터] -5-
매매와 같은 쌍무계약에 있어서 당사자 일방이 상대방의 채무이행이 있을 때가지 자기 의 채무이행을 거절하는 것
84. 간이변제충당권
유치권자가 경매에 의하지 않고 일정한 요건 아래 유치물로서 직접 채권의 변제에 충당 하는 것
85. 질권
채무자가 그 채권의 담보로 채무자 또는 제3자(물상보증인)가 제공한 동산 또는 재산권 을 점유하고, 변제가 없을 때에 그 동산 또는 재산권으로부터 우선변제를 받을 수 있는 권리
86. 물상보증인 : 제3자가 채무자를 위하여 자신의 동산을 담보로 제공하는 때에 그 제3자
87. 유질계약
질권설정자가 채무변제기 전의 계약으로, 질권자에게 변제에 갈음하여 질물의 소유권을 취득하게 하거나, 기타 법률이 정한 방법에 의하지 않고서 질물을 처분할 수 있도록 약 정하는 것
88. 권리질권 : 재산권을 질권의 목적으로 하는 질권
89. 저당권
채무자 또는 제3자가 점유를 이전하지 아니하고, 채권자는 채무의 담보로 제공한 부동 산에 대하여 다른 채권보다 우선변제를 받는 담보물권
90. 유저당계약
당사자가 저당권의 설정 이외에, 그 설정계약에서 또는 변제기 도래 전의 특약으로, 채 무자가 변제기에 변제하지 않을 경우에 저당물로써 직접 변제에 충당하거나 또는 민사 소송법상의 경매가 아닌 임의의 방법으로 저당물을 처분하거나 환가하기로 약정하는 것
91. 근저당
계속적인 거래관계로부터 발생하는 불특정 다수의 채권을 장래의 결산기에 일정한 한도 액까지 담보하기 위하여 설정하는 담보권
92. 포괄근저당
기본계약이 없이 당사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현재와 장래의 모든 채권을 일정한 한도 액 까지 담보하기 위하여 설정하는 담보권
93. 공동저당 : 동일한 채권의 담보로서 수 개의 부동산 위에 설정된 저당권
94. 가등기담보
채권담보를 위하여 채권자와 채무자(또는 제3자)사이에서 채무자(또는 제3자)소유의 부 동산을 목적물로 하는 대물변제예약 또는 매매예약을 하고, 동시에 채무자의 채무불이 행이 있는 경우에 발생하게 될 장래의 소유권이 전청구권을 보전하기 위하여 가등기를 하는 변칙담보
95. 양도담보
채권담보의 목적으로 물건의 소유권(기타의 재산권)을 채무자가 채권자에게 이전하고, 채무자의 채무불이행이 있는 때에는 채권자가 그 목적물로부터 우선변제를 받고 채무의 이행이 있는 때에는 목적물을 채무자에게 반환하는 변칙담보
96. 매도담보
신용의 수수를 매매의 형식에 의하여 하고 신용을 준 자는 대금의 반환을 청구할 권리 를 가지지 않으며, 다만 신용을 받은 자가 신용을 반환하여 목적물을 회수할 수 있는 변칙담보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법 용어  (1) 2024.03.18
민법 용어  (0) 2024.03.18
정보통신 용어  (5) 2024.03.17
용어 ㄴ  (0) 2024.03.16
정보통신 용어 ㄱ  (2) 2024.03.15



네트워크 OS: NOS.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서버용과 클라이언트용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노벨의 NetWare 등이 유명.


네트웨어: NetWare. 미국 노벨사의 PC-LAN용 네트워크 OS. 네트워크층의 프로토콜로써 커넥션리스형의 IPX(internetwork packet exchange)를 사용한다.


논리링크: 다중통신을 실행하는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논리적인 통신로. TDM에서는 미디어와 상대편 별로 속도를 고정시켜 설정한다. 프레임 릴레이에서는 사전에 DLCI마다 상대편을 지정해두는 방법이 일반적이며, PVC라고 불리는 것이 많다. ATM 망에서는 VC와 VP의 2레벨의 논리링크가 설정된다. 하나의 VP에 복수의 VC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뉴튼: Newton. 미국 애플사가 내놓은 새로운 개념의 휴대형 정보단말기. 1993년에 상품을 내놓았으며, 애플의 전략상품이다.


다운사이징: 대형 컴퓨터 시스템을 여러대의 소형 컴퓨터 시스템으로 바꾸는 것. 메인프레임으로부터 UNIX 머신 등에 일부 업무 애플리케이션의 이동이 시작되고 있다.


다이렉트 액세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키워드 등의 인덱스로 특정 정보를 액세스하는 것.


다이얼업 IP: 상용 인터넷 서비스의 메뉴 중 가입전화와 ISDN을 경유해 스탠드 얼론의 PC를 접속하는 서비스.


데이터 패킷: 패킷교환에서 데이터 처리단위. 유저정보를 저장하는 정보부와 각종 제어정보를 저장하는 헤더부로 구성된다.


도고모 그룹: 일본의 통신서비스회사. 전국의 9개 영업지역에서 1회사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 중 관동을 영업범위로 하는 NTT도고모(NTT이동통신망)는 나머지 지역 8회사의 주요 주주회사도 겸하고 있어 중앙회사라고도 부른다.


도메인 이름(domain name): 인터넷 호스트(인터넷상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들을 분류하기 위한 이름. 예를 들어 revolist@plaza.snu.ac.kr라는 전자메일 어드레스에서 @ 왼쪽의 revolist는 이용자 ID, plaza는 호스트 이름, snu.ac.kr는 '한국(Korea)의 대학(academy) 중 서울대학교(Seoul National University)'라는 뜻을 가진 도메인 이름이다. plaza.snu.ac.kr의 IP 어드레스는 147.46.80.220이다. IP 어드레스는 기억하기 어려울 수도 있으므로 그것에 대신해서 도메인 이름을 사용한다.


도메인: 어떤 목적을 가지고 분할된 논리적 영역. 인터넷에서는 관리운영의 주체마다 도메인을 나눈다. cf. domain: "영토, 분야, 변역"


동경통신 네트워크: TTNet. 일본의 전력회사가 모체인 지역계 제1종 전기통신사업자. 서비스 지역은 동경, 신간선, 신빠, 시즈오까 등 관동권의 1도 8구. 전용선서비스와 전화서비스를 제공한다. 전용선은 장거리계 NCC(신규제1종전기통신사업자) 3사와도 상호접속. KDD 등 국제통신사업자 3사의 국제전용선을 일본내 국내회선으로 사용가능하다.


동축케이블: 중심은 동선이며, 그 주위를 도체로서 동심원 형태로 싼 케이블. 굵기나 인피던스 등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디렉토리: 파일 구조를 표현하는 경우와 유저, 리소스 관리정보를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파일구조 경우는 트리구조의 가지모양을 가리킨다. UNIX나 DOS파일은 디렉토리에서 계층화돼 있다. 유저와 리소스 관리 정보의 경우는 네트워크 내에서 각종 리소스의 소재를 가리킨다. OSI의 디렉토리 서비스가 X.500이다. PC-LAN의 디렉토리 서비스로는 미국 반얀 네트워크 OS인 VINES에서 사용하는 Street Talk가 있다. NetWare에서는 4.0부터 NDS(NetWare Direcrory Service)가 제공됐다.


디스플레이 폰: 대형 액정 디스플레이를 갖춘 다기능 전화기의 총칭. 본체에 IC메모리 카드를 삽입해 가입전화를 이용해 홈뱅킹이나 홈트레이딩, 각종예약, 수·발주서비스, 정보서비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디지털 휴대/자동차전화 서비스: 휴대전화 등의 단말기와 무선 기지국간의 무선회선을 디지털 신호로 전송하는 휴대/자동차전화 서비스.


디펙트: 디펙트 스탠다드(사실상의 표준). 국가나 정부계열의 국제표준화기관 등이 책정한 표준은 아니고, 마켓에서 인정되어 널리 퍼진 표준을 일컫는다. UNIX와 함께 보급된 통신 프로토콜인 TCP/IP나 미국 헤이즈사의 모뎀 제어순서인 AT커맨드 등이 그 예이다.


라우터: LAN간 접속장치의 일종. OSI모델의 하위 3계층까지를 처리한다. 패킷의 중계경로를 결정하는 것(라우팅)이 가능하다. OSI 7층에서 말하는 네트워크층의 어드레스를 인식해, 어드레스에 따라 상대방까지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여러 경로가 있으면 최적인 경로를 선택한다. 비슷한 LAN간 접속장치로 브리지가 있다. 브리지는 네트워크층의 어드레스를 인식하지 않고 브로드케스트 데이터를 다른 세그먼트에 전송하는 약점이 있다. 이에 비해 라우터는 브로드캐스트를 다른 세그먼트에 전송하지 않으며, 다른 네트워크에 관계없는 데이터 패킷은 통과시키지 않는다.


라우팅: 라우터 등에 의해 실현되는 통신 데이터의 중계경로 선택기능.


레이셔널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하나. 행과 열로 된 2차원의 표에서 데이터를 표현한다. 행은 파일의 레코드, 열은 항목에 대응한다. 검색이나 갱신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릴레이셔널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라고 부른다.


로그인 프로그램: 클라이언트를 Netware 서버에 접속하는 처리를 로그인이라 한다. 로그인을 실행하는 소프트웨어가 로그인 프로그램. 통상은 LOGIN.EXE라는 파일명으로 서버에 있다.


로컬계약: 통상의 요금보다도 월액 기본료는 낮게, 통화료는 높게 설정한 요금계약형태.


리코트 로그인: 자신의 컴퓨터로부터 다른 컴퓨터의 CPU를 네트워크를 경유해 이용하는 것. 가상 단말기로서 이용하는 경우의 프로토콜.


립 싱크로: 리얼타임으로 영상과 음성을 보낼 때, 화면상의 진동과 음성을 동기시키는 것.


링상태 알고리즘: 라우팅 프로토콜에 사용하는 최적경로 선택기술. 네트워크 전체의 링상황을 모니터하는 것으로 어느 경로가 최적인지를 판단하는 방식. IP용 라우팅 프로토콜인 OSPF가 채용되고 있다.


링크 마진: 위성과 지상간에서 전송하는 신호는 반드시 감쇠한다. 이 때문에 여유를 고려해서 보내는 신호강도.


링크 특성: 경유하는 아날로그 교환기 수에 의해 일어나는 회선의 주파수 특성의 악화. 감쇠(다중된 신호를 분할할 때 발생)와 지연(주파수에 따른 신호의 운반속도의 차)이 원인이다. 교환기 수가 증가할수록 악화한다. 디지털 교환기의 경우에는 발생하지 않는다.


마이크로 채널: IBM의 PC PS/2, PS/55의 확장 슬롯용 버스.


멀티모드 광파이버: 가입자계에서 사용하는 저속용 광파이버. 멀티모드에 대해 중계계 등에서 사용하는 파이버는 싱글모드형이라고 부른다.


멀티캐스트: 네트워크상의 특정 그룹에 속하는 유저(LAN 단말기)에 동보(동일한 정보를 보내주는 것)하는 것. 브로드케스트와 유사하다.


멀티프로토콜 라우터: 라우터는 LAN간 접속장치의 일종.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경로를 선택한다. TCP/IP, SNA, IPX 등 복수 프로토콜을 동시에 취급한다.


모듈형 허브: LAN의 종류나 기능에 따른 모듈을 짜넣어 사용하는 허브. 모듈과 그것을 장착하는 샤시로 구성된다. 접속할 컴퓨터가 늘어날 경우에는 모듈을 추가하면 된다. 새로운 LAN 기술이 등장해도 그것에 따른 모듈 개발이 가능하다. 그러나 처음 도입하는 비용이 박스형 허브에 비해 비싸다.


모바일 컴패니온: 386 호환 CPU 셋 'Polar'과 미국 마이크로소프트가 윈도우즈 서브 셋으로 개발한 OS 'At Work Handheld'를 채용하는 휴대형 단말기.


배리어 세그먼트: 메일 서버, DNS 서버, WWW 서버 등 인터넷에서 직접 접속해 운용하는 기기를 수용하는 세그먼트. 사내 LAN과는 게이트웨이나 라우터로 접속한다.


버스트: 예고없이 용량이 큰 데이터가 네트워크상을 흐르는 상태.


벨계 지역전화회사: RBOC;Regional Bell Operating Company. 1984년 1월 미국 AT&T사의 분할에 따라 AT&T로부터 분리된 22개의 지역계 전화회사. 각 지역의 시내전화 서비스를 독점 공급한다. BOC라고도 부른다. RBOC는 7개 지역 지주회사(RHC:Rigional Holding Company)가 총괄한다.


분할이용: 한 개의 트랜스폰더 대역을 분할해 이용하는 것.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상의 모든 유저(LAN 단말기)에 데이터를 동보(동일한 정보를 보내주는 기술)하는 것. LAN 프로토콜에서는 상대방의 MAC 프로토콜을 조사할 때나 초기설정을 자동 기동할 때 사용한다.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브로드케스트 패킷이 도달하는 범위. 브리지나 이더넷 스위치는 원칙적으로 브로드케스트 패킷을 중계한다. 이 때문에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분할할 때는 라우터를 사용한다. 단 필터링 기능을 가진 브리지나 스위칭 허브에서는 특정 포트에 대해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송출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필터링 지정방법으로는 전 브로드케스트 패킷을 지정하는 방법과, MAC 프레임의 상위 프로토콜마다 지정하는 방법이 있다. 후자의 경우는 MAC 프레임에 들어있는 이더타입이라는 상위 프로토콜 식별자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브리지: LAN 간 접속장치의 일종. OSI 모델의 물리층과 MAC(매체억세스제어)층까지의 처리를 담당한다.


비디오 다이얼 톤: VDT;vedio dialtone. 지역전회회사에서 하는 영상전송서비스의 일종.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가 1992년 7월 16일, 지역전화회사에 인가했다. 이 시도는 기존 CATV 사업자에 경쟁상대가 등장하지 않아 계속 올라가는 CATV 이용요금을 억제하고, 광파이버 등 차세대 가입자망의 정비를 촉진하기 위한 것이다.


비디오 서버: 고속 CPU와 영상의 고속 입출력이 가능한 메모리, 고속의 다중/분배장치 등으로 구성. 이 분야에서는 미국의 휴렛팩커드, IBM, 실리콘 그래픽스, 일본의 후지쯔 등 컴퓨터 메이커가 개발 경쟁을 벌이고 있다.


비디오 온 디맨드: 유저가 요구하는대로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나 영화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가정의 단말기로 보고 싶은 프로그램을 호출하면, 영상을 축적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센터에서 영상을 검색해 고속 광대역 전송로를 통해 각 가정의 단말기에 보내준다. 이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고속 광대역의 전송로, 영상을 축적하는 센터설비인 비디오 서버, 그리고 가정에 전용 단말기(셋톱 박스) 등 3개 부분으로 구성된다. 센터설비인 비디오 서버는 고속의 CPU로 영상을 고속 입출력하는 대용량의 기억장치와 또한 고속의 다중/분배장치로 구성된다. 이 서비스는 쌍방향 CATV의 대표적인 메뉴로 등장했다.


비디오 쥬크박스: 음성용 쥬그박스의 비디오판. 비디오테입이나 비디오 디스크 등의 패키지 미디어를 사용한 오토 체인저방식의 센터시스템. 여러 비디오 중에서 이용자가 보고 싶은 비디오를 기계적으로 꺼내어 플레이에 세트하는 장치.


비디오텍스: 호스트 단말기간의 쌍방향 문자·도형 통신시스템. PC나 어댑터를 부착한 텔레비전을 단말기로 해 전화회선으로 접속한다. 화면방식에는 북미표준방식(NAPLPS)과 일본 NTT의 캡틴시스템 서비스인 CAPTAIN방식 등이 있다.


상용 인터넷: TCP/IP를 이용하는 세계적 규모의 컴퓨터 네트워크인 인터넷에 액세스하는 서비스. 원래 전미과학재단(NSF)이 운영하던 NSFnet을 The Internet이라고 부르지만 이것은 연구·개발용이다. 상용 인터넷은 이용목적을 따지지 않는다.


서버: 분산처리시스템에서 네트워크상의 다른 머신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그 역할 때문에 파일 서버 등의 명칭으로 불린다.


선 데이터통신 서비스: 휴대전화 자동차전화 서비스와는 달리, 무선으로 데이터통신을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성능관리: 트래픽이나 레스폰스라는 네트워크 자원의 성능을 파악해 성능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세그먼트: LAN의 범위를 나타내는 단위. LAN에서 여러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충돌(콜리전)을 알리는 신호가 전달되는 범위. 브리지나 라우터 등의 LAN 간 접속장치로 구분짓는 경우는 별도의 세그먼트로 계산하다.


섹터: 하드 디스크나 플로피 디스크 등 자기매체에 있어서 흉절방법의 단위.


셀 릴레이: 송신 데이터를 일정한 길이로 분해해, 통신할 목적지 등의 정보를 표기한 해더를 부가한 셀 을 단위로 다중, 교환해 전송하는 고속 데이터 전송기술. 일반적으로는 53바이트(이 중 5바이트가 헤더) 길이의 ATM 셀에 의한 방법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셀프 히링기술: 장애장소를 통하는 컨넥션을 절단하지 않고 다른 회선에 할당해 앤드유저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기술.


셋톱 박스: 비디오 온 디맨드 등에서 센터 설비로 디지털의 영상 음성신호를 수신, 신장해서 TV 등에 보여주는 어댑터. CATV에 사용한다.


소스 라우팅: 토큰 링 간 브리지에 접속하는 경우 통신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통신에 앞서 상대편까지 도달할 수 있는 모든 루트에서 데이터를 보내 가장 빨리 응답이 돌아온 루트를 선택한다.


순단: 회선이 순간적으로 절단되는 현상. 교환기의 고장이나 보전작업시 장치교환 등에서 발생한다.


슈퍼닉 튜리: 브리지 간의 라우팅 알고리즘. 2개의 LAN을 브리지로 접속할 때 복수 경로가 존재할 경우 사용하는 경로를 하나로 정한다. 이 기능이 없으면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루프형태의 네트워크를 순회해서 정상적으로 운용할 수 없다.


스위칭 허브: 교환기능을 가진 허브. 수신한 MAC 프레임에 들어 있는 상대방 MAC 어드레스를 토대로 출력해야 하는 포트를 선택하는 기능을 갖는다. 내부에 MAC 어드레스와 포트번호의 대응 테이블을 갖고 있다. 대응 테이블은 수신한 프레임에 들어 있는 송출원 MAC 어드레스를 독해해서 자동적으로 생성한다. 이 어드레스 학습기능은 라이닝이라고 불린다. 스위칭 허브의 대부분은 이더넷 프레임의 교환기능을 갖는 이더넷 스위치이지만 FDDI 프레임을 스위치하는 제품도 등장하고 있다.


스크램블: 데이터 계열을 의사(疑似) 랜덤화하는 것. 전자방해 대책으로서 네트워크에 흐르는 데이터에 스크램블을 할 수 있다. FDDI에서는 네트워크상의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때, 아이돌 패턴(1의 연속신호)을 전송하고 있는데, 아이돌 패턴의 기본 주파수에 집중적으로 전자파가 방출되어 주변의 전자회로에 오동작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스타팅 라우팅: 라우터 네트워크에서 유저가 처음부터 경로 정보를 라우터에 고정적으로 설정하는 방식. 이에 반해 라우터 간의 경로정보나 트래픽 정보를 주고 받아 최적경로(최소 박스 수나 지연시간의 경로)를 자동적으로 선택하는 것을 다이나믹 라우팅이라 한다.


스택커블 허브: 쌓아올려서 설치할 수 있도록 설계된 허브. 브리지나 라우터의 스택커블 타입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10BASE-T 허브(멀티포트 리피터)이다. 특징은 SNMP 에이전트 기능의 추가가 용이한 점과 여러 허브를 1대의 리피터로 동작시키는 구성이 갖춰져 있다는 점이다. 최근에는 여러 세그멘트를 설정할 수 있는 제품도 등장하고 있다.


스탠드 얼론: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와 네트워크로 접속되어 있지 않고 독립적으로 가동하는 것을 말한다.


스패닝 트리: 브리지 간의 라우팅 알고리즘. 2개의 LAN을 브리지로 접속했을 때, 여러 경로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 경로을 하나로 정한다. 이 기능이 없으면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루프상태의 네트워크를 순회해 정상적으로 운용할 수 없다.


스포트 빔: 위성에서 지표면에 작은 셀을 투영하기 위해 보내는 전파.


시스템 인티그레이터: 유저의 목적에 적합한 컴퓨터나 네트워크 기기로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축하는서비스를 하는 기업.


시컨셜 검색: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연속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액세스해 목적하는 정보를 검색하는 것.


시큐리티 관리: 네트워크 자원으로의 부정 액세스를 방지하기 위해 기밀보호 대책과 액세스 권리의 제어 등을 행한다.


신호수순: SVC 실행시 ATM 단말기가 실행되는 순서. ATM의 경우는 상대방의 어드레스나 상대방과의 사이에 확립되는 커넥션 대역과 품질을 ATM 스위치에 전달하기 위해 사용한다.


아노니머스 FTP: Anonymous FTP. 서버에 들어있는 파일을 특별한 유저 ID 없이 이용할 수 있는 화일 전송. FTP 서버에 접속해 유저 ID 대신에 anonymous라고 입력하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아웃소싱: 유저 기업이 정보통신시스템의 구축이나 운영을 외부 전문사업자에 전면 또는 일부를 이관하는 것. 사내의 인원이나 경비를 절감할 수 있다.


아이소크러너스 이더넷: IEEE 802.9 위원회가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는 16Mbps 허브형 LAN. 전송케이블은 UTP. 음성과 동화를 LAN 데이터와 동시에 다중전송 가능하도록 전송대역을 고정 할당하는 것이 특징이다. 10Mbps를 LAN 데이터에, 나머지 6Mbps를 음성/동화(제어)에 할당. 음성/동화용 6Mbps는 64kbps 단위의 논리 채널로 구성. 미국의 내셔널 세미컨덕터와 IBM이 추진하고 있다.


아키텍처: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본개념. 건축의 설계도에 해당한다.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그 기능이나 프로토콜 등이 포함되어 있다.


압축률: 원래의 정지화면과 압축한 후 정지화면 데이터량의 비. 압축 정도를 지시하는 것은 Q(양자화) 팩터라고 부르는 파라미터(변수)를 사용한다. Q 팩터는 화면을 양자화하는 경우 기본 양자화에 대해 몇 배로 양자화할 것인가를 지시하는 숫자.


알고리즘: 어떤 목적의 결과를 얻기 위한 산술적 수순.


액세스 포인트: 사업자가 제공하는 네트워크와 유저의 접속점.


어드레스: LAN에서는 사용 프로토콜에 따라 접속 단말기에 어드레스를 배당한다. IP 프로토콜에서는 32비트의 IP 어드레스를 사용하지만 비트 할당에 다라 A,B,C급 등의 체계가 있다.


에이스 텔메일 인터내셔널: 국제 전자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본의 제2종 전기통신사업자. 세계 2개국, 32사업자와 X.400이라는 프로토콜로 접속되어 있다. 출자는 미국 스프린트 인터내셔널과 인텍이 각각 35%씩, 스미모토상사그룹이 20%, 동경은행과 스미모토은행이 각 5%이다.


연방통신위원회: FCC;Federal Communication Commission. 미국의 정보통신 분야를 규제, 감찰하는 행정기관. 대통령부에 속한다. 1934년에 규정된 미국 통신법(1934년 통신법)에 근거해 설립했다. CATV, 무선, 위성, TV, 유선을 사용한 주제 통신(주내에서 통신관장)과 국제통신을 규제하는 권한을 갖는다. 주내의 통신서비스에 대해서는 각 주의 공익사업위원회(PSC: Public Service Commission)가 규제하고 있다.


오브젝트 지향: 소프트웨어 개발 수법. 오브젝트라는 모듈 단위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한다. 오브젝트는 데이터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오브젝트 지향의 개발수법을 사용하면 소프트웨어 보수성을 높여주고 소프트웨어 재이용을 촉진한다.


오토 디스커버리: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기를 찾아내는 기능. ICMP를 사용하는 방법과 ARP 캐시(UNIX 머신이 TCP/IP 이용시에 작성한 IP 어드레스와 MAC 어드레스의 대응표)를 참조하는 방법이 흔하다. IP 어드레스를 가진 제품에 한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허브와 제휴한 SNMP 매니저에서는 비 IP 단말기를 찾아내는 제품이 있다. 오토 마프와 조합돼 있는 제품도 있다.


운용관리: 유저 ID나 어드레스의 설정과 관리, 네트워크 시스템의 버전 업을 행한다. 네트워크 자원을 이용하는 엔드 유저의 신속 정확한 네트워크 운용을 실현한다.


원단 에코: 단말기에 보내질 때 신호가 교환기에서 간선측으로 흘러서 그것이 통신시에 회선루트를 일주해 단말기 측에 돌아오는 현상.


위성 2종: 위성 1종 사업자로부터 트랜스폰더를 빌려 그것을 분할하거나 부가가치를 창출해 재판매하는 사업자.


위성간 링크: 연합한 위성간에서 전파신호를 차례차례로 패스해 가는 것으로, 지구상이면 어디든 목적지까지 통화를 실현할 이리듐의 독자 계획. 신호를 중도에서 지상으로 내리지 않기 때문에 전송지연을 막는 효과가 있다.


윈도우 사이즈: ACK를 받지 않고 연속해 보내지는 데이터 패킷의 수. 상대편 응답을 기다리지 않고 송신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 응답이 오지 않은 상태에서 윈도우 사이즈를 초과해 데이터를 송신할 수는 없다. 회선품질이 좋은 경우 여러 데이터 패킷을 묶어 하나의 ACK를 보내면 효율이 올라간다. 이와 같은 방식은 패킷통신 국제표준 X.25를 시작으로 많은 통신방식에서 채용하고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 인간의 의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가르킨다. 키보드나 마우스, 디스플레이 등.


이더넷 버전 II: DEC, 인텔, 제록스가 공동개발한 100Mbps 허브형 LAN. IEEE에서 표준화한10BASE와 거의 동일한데 MAC 프레임 구조의 일부가 다르다.


이더넷 스위치: 이더넷용 스위치. 여러 포트를 장치해 각각의 포트마다 10Mbps를 이용한다. 포트에 접속한 각 단말기가 통신을 해도 각각의 트래픽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기존의 이더넷은 하나의 전송로(10Mbps)를 복수의 단말기가 공유해 단말기 수와 액세스 수가 증가하면 전송효율이 떨어진다.


이더넷: 전송속도 10Mbps인 LAN 표준 규격의 일종. 여러 단말기가 동일 전송로를 공유한다. 각 단말기가 전송로의 신호 유무를 조사해 다른 단말기가 신호를 송출하고 있지 않은가를 확인해 데이터를 송출하는 전송로 액세스 방식(CSMA/CD)을 사용한다. 여러 밴더가 같은 사양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판매한다.


이더넷 프레임: 이더넷에서 MAC 층 레벨의 데이터 프레임. 송신원의 MAC 어드레스, 송신선의 MAC어드레스, 상위 프로토콜의 데이터 등으로 구성한다.


이더타입: 이더넷의 상위 프로토콜 식별자. 이더넷 프로토콜의 타입 필드에 들어있다. ARP, IP, X.25 등을 식별하며, DEC, 3Com, AT&T, IBM, 노벨 등의 메이커(독자 프로토콜) 식별에도 이용되고 있다.


이리듐: Iridium. 1990년 6월에 미국의 모토로라사가 구상한 66개의 저궤도 주회위성을 사용해서 지구상을 완전히 커버하는 이동통신서비스. 1996년 10월부터 780km의 높이에 위성을 쏘아올려 98년 제2/4분기에 서비스를 개시한다. 6개의 극궤도에 11개의 위성을 배치한다. 휴대전화와 위성이 직접 통신해 위성간을 차례차례로 중계하는 것으로써 전세계 어디에서 어디까지라도 통신이 가능하다. 기존의 지상계 전화망(PSTN)과도 게이트웨이로 상호접속한다. 단말기는 지상 셀룰러와 겸용한다.


이리듐사: 이리듐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 설립한 회사. 1991년 6월에 시스템 구축과 운영을 위해 설립됐다. 초기비용 33억 7000만 달러의 출자자를 전세계적으로 모집해왔다.


인말샛: 국제 해사위성 기구. 정지위성에 의한 선박용 해상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1979년에 발족한 정부간 국제기관. 출자자는 미국의 콤샛(COMSAT), 영국의 BT, 일본의 KDD 등이다. 약 2만대의 선박용 단말기뿐만 아니라 항공과 육상에서도 약 7000대의 단말기가 사용하고 있다.


인터네트워킹: 라우터를 사용한 여러 네트워트를 상호접속하는 것. 네트워크끼리는 서로 대등한 관계이고, 메인프레임 호스트 중심의 종래 수직형 네트워크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인터넷: Internet. 세계 최대의 컴퓨터 통신망. 원래는 미국 국방부가 정보 공유를 위해 구축한 알파넷(Arpanet)에서 파생된 네트워크. 대학이나 기업의 연구소 등이 연구용도로 이용하다가 유저가 증가함에 따라 상용서비스를 개시했다. 유저수가 2000만여명, 접속 호스트가 200만대 이상에 이른다. TCP/IP 프로토콜은 인터넷의 프로토콜로 개발됐다.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는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컴퓨터 기종이라도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국내에서는 1994년 6월말부터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국통신이 한국인터넷(KORNET)이란 이름으로 서비스하고 있으며, 데이콤, 나우콤 등도 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인터프리터 방식: C 언어 등의 고급언어로 작성한 프로그램 실행방법의 하나. 유저가 기술한 프로램을 직접 해석 실행한다.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번역한 컴파일 방식과는 다르다. 프로그램의 이식성을 높일 수 있다. 다만 프로그램의 실행속도가 지연되는 것이 흠이다.


인텍: 일본 굴지의 VAN 회사. 미국 스프린트의 패킷 교환기를 도입해 일본 내에서 패킷교환서비스를 제공. 기기도 직접 판매한다. 인텍이 개발한 축적형 팩시밀리 통 신시스템을 스프린트가 도입해서 SprintFax를 제공한다.


장해관리: 네트워크 내의 장해발생을 감시, 장해 발생시에 그것을 절단하거나 장해장소를 특정한다.


전이중 이더넷: 송신과 수신이 동시에 가능한 이더넷. 송수신 대역으로써 각각 10Mbps가 용이하다. 쌍방향으로 동시 통신할 수 있어 최대 20Mbps 광역폭을 얻게 된다.


전자메일: 네트워크를 이용해 PC 등의 단말기끼리 문자나 음성정보를 메일 형태로 주고 받는 시스템.


정보가전: PC 등의 개인용 컴퓨터와 TV나 AV(음성. 화상) 기기 등 가전기기의 중간에 위치하는 제품군의 총칭.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나 전자노트북, 전자수첩, 휴대형 정보단말기 등도 포함하는 광범한 의미로 사용한다.


정보 고속도로: Information Super Highway. 미국의 앨고어 부통령이 주창한 국가 기간전산망 건설계획을 통칭하는 말. 미국의 계획은 연방 주도하에 산학연이 공동으로 국가 정보 인프라(하부구조)를 정비 구축함으로써 정보의 생성, 저장, 보급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국내에서도 초고속 정보통신망 구축을 추진중이다.


제3차 컴퓨터 제정: 미국의 연방통신위원회(FCC)가 통신서비스와 정보처리서비스를 정의해 규제의 범위를 명확히 하기 위해 실시한 제정. 제1차는 1971년, 제2차는 1980년, 제3차는 1986년에 실시했다. 제2차 제정에서는 통신서비스를 주고 받는 방법 간에 정보 내용이 변하지 않는 음성/데이터통신 등의 기본서비스(basic service)와 프로토콜 변환과 음성축적 서비스 등의 고도서비스(enhanced service)로 분류했다. 기본서비스는 규제 대상이며, 고도서비스는 규제대상이 아니다. 통신사업자가 고도서비스를 제공한 경우에는 분리 자회사를 통해 제공하는 고도의 비효율성과, 84년 AT&T사 분리에 따라 경쟁환경이 크게 변해, 시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많아졌다. 이같은 불만에 따라 제3차 제정에서는 기본/고도서비스의 분리와 규제/비규제의 방식이 유지됐으나, 고도서비스는 분리자회사가 한다는 조건은 철폐됐다. 통신사업자에 대응해서 ONA(오픈 네트워크 아키텍처) 제공, 기본/고도서비스 부문의 회계분리, 네트워크 정보의 개시, 고객정보의 비밀보호와 개시 등의 새로운 의무를 부여했다. 제3차 제정도 1990년 6월에 샌프란시스코 연방공소재판소가 무효라는 판결을 내리면서, FCC가 재검토를 하고 있다.


제너럴 매직: General Magic. 멀티미디어 휴대형 정보단말기용 OS와 오브젝트지향 언어를 개발하는 미국의 회사. 애플컴퓨터를 비롯해 AT&T, 소니, 마쓰시다산업, 필립스 등이 출자하고 있다.


지연: 신호가 상대편 단말기에 도착할 때까지 긴 시간을 요구하는 현상. 해저 케이블이나 통신위성 등을 경유하는 경우에 문제가 된다.


차세대 네트워크연구회: 일본의 미쯔비시상사, 미쯔이물산, 동경전력, 동급전철의 4개 사가 설립하고약 20개의 CATV회사가 참여한 단체.


출력레벨: 모뎀이 송출하는 신호의 크기.


칼레이더: Kaleida Labs. 미국 애플컴퓨터와 IBM이 출자해 정보가전용 OS를 개발하는 회사.


캅셀화: 한 네트워크에서 결정된 형식의 메시지를 다른 형식의 메시지를 사용하는 네트워크에 중계할 때, 전자의 메시지를 그대로 중계 네트워크에서 결정한 형식의 메시지에 포함해 보내는 방식.


캐스캐이드 접속: 허브의 다단접속. 한 대의 허브 포트에 또 한 대의 별도 허브를 접속하는 것. IEEE 802.3 규정에서는 1세그먼트 내 허브의 다단접속은 2대의 단말기 사이에서 4단계까지로 제한하고 있다.


캡틴: CAPTAIN. 일본 NTT가 1984년 11월에 시작한 공중 비디오텍스 서비스. 통신 프로토콜은 NTT가 독자 개발한 캡틴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다. 표시 가능한 화상의 상세한 정도 차이를 랭크 1-5(랭크가 높을수록 고정밀, 고세밀)까지로 나타내고 있다.


컨넥션리스형: 컨넥션리스형은 컨넥션을 개설하지 않고 하는 통신. 컨넥션을 개설할 때 자원을 예약할 수 있기 때문에 컨넥션형은 신뢰성 높은 통신이 가능하다.


컨넥션형: 통신을 시작하기 전에 착신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컨넥션이라 부르는 논리적인 회선을 설정하는 통신방식.


컨텐션: LAN 등에서 여러 단말기가 자유롭게 송신할 때 속도가 빠른 1대 단말기만이 송신권을 갖는 방식.


컨피규레이션 파일: 설정 파일의 일종. PC의 CONFIG.SYS와 윈도우즈용의 WINDOWS.INI 등이 그예다.


컨피규레이션 파일: 설정파일의 하나. 예를 들면 C컴의 CONFIG.SYS나 윈도우즈용의 WINDOWS.INI등이다. OS와 소프트웨어는 시스템 재 작동시에 이 설정을 참조한다.


코라프스트 백본: 고성능 라우터의 교환능력을 활용한 고속 백본 구축방법. 라우터와 허브가 내장하는 고속의 내부허브(백플레인)를 지선 LAN의 백본으로 사용하는 LAN 구축방법. 백본이 상자(라우터나 허브) 내부에 존재하기 때문에 'backbone in a box'라 부르기도 한다. 각 세그먼트를 수용한 허브를 라우터에 끌어들여 라우터 내부버스를 교환처리하기 위한 백본으로 이용한다. 대규모 LAN에 채용할 경우 허브와 라우터를 접속하는 전송로의 고속화와 라우터 자신의 처리성능 고속화가 필요하다. 고속 내부버스를 갖춘 센터허브에, 플로어 LAN을 수용한 플로어 허브를 접속하는 스타형이다. 센터허브의 후보로서는 스위칭허브, 라우터, ATM 스위치가 있다.


콜리전 도메인: LAN의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가 미치는 범위. 일반적으로 이더넷에서 콜리전(레임 충돌)이 생기는 범위를 의미한다. LAN 단말기는 똑같은 전송대역(이더넷은 10Mbps)을 여러 단말기로 공동이용할 수 있어 대역 사용권을 서로 쟁탈하는 매커니즘(MAC)을 갖고 있다. 이 동작의 과정에서 콜리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콜리전이 발생하면 프레임을 송출한 단말기는 특수 비트열을 일정시간 송출한 후에, 재차 같은 프레임을 송출한다. 콜리전이 많이 발생하면 전송대역을 사용하지 않는 시간대가 길어져 전체 전송대역이 작아지게 된다. 콜리전 도메인을 분할하는 장치로는 브리지, 이더넷 스위치, 라우터 등이 있다. 아직 전이중 이더넷에서는 실제 콜리전은 발생하지 않는다. ATM LAN에서는 콜리전이라는 현상이 없다.


크로스버 스위치: 상대방 번호에 의해 격자모양의 다단회로에서 접속경로를 접속하는 교환기. 전화의 자동교환기에서 사용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클라이언트/서버형: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제휴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식.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처리, 검색 등을 의뢰하고 서버상에서의 처리 결과만을 클라이언트에 보낸다.


클라이언트: 분산처리시스템에서 네트워크상의 다른 머신으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컴퓨터.


클라이언트 쉘: PC가 Netware의 클라이언트로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소프트웨어. 보통 파일명 NETX.COM으로 클라이언트에 놓아둔다. NETX를 작동하면 네트워크에 있는 서버를 찾아서 접속해야한 하는 서버를 결정한다. 로그인 처리도 클라이언트 쉘이 아니면 작동할 수 없다. 서버에 접속한 다음은 클라이언트에서 발생하는 처리 중에,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필요한 것만을 취해 네트워크로 흘려보낸다. 예로는 네트워크 드라이브의 파일 액세스나 네트워크 프린터로 인쇄 등이다.


클립보드: 윈도우즈에서 복수 애플리케이션 간에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일시적인 데이터 보관영역. 어떤 애플리케이션에서 '컷' 또는 '복사'를 실행하면 그 데이터가 클립보드에 복사된다. 계속해서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 '페이스트'를 실행하면 그 어플리케이션에 클립보드의 데이터가 복사된다.


터미널 어댑터: 기존의 컴퓨터 등을 ISDN 회선에 접속하는 기기. 물리층 레벨에서 변환을 수행한다. 패킷망정보를 일정장의 패킷으로 분해해서 전송하는 축적교환 서비스.


턴키시스템: 열쇠를 돌리기만 하면 즉시 작동하는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이 이미 들어 있어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텔레비전 회의: 원격지 상호 간에 화상과 음성을 전송해 텔레비전 화면에 비치는 참가자의 얼굴을 보면서 하는 회의.


텔레터미널: 일본 시티미디어(JCM)가 제공하는 무선데이터 통신서비스. 패킷 단위의 종량제 과금방식이 특징이다. 짧은 메시지 교환이나 대화형 애플리케이션용이다.


텔터미널: 일본 시티미디어가 제공하는 반이중의 패킷교환서비스. 유선의 패킷교환과 달리 1회선으로 여러 상대방과 통신하는 논리다중은 불가능하다.


토큰 링 LAN: IBM이 제안하고 IEEE 802.5 표준으로 규격화된 링크형 LAN. 액세스 방식에 토큰 패싱을 채용했다. IBM 등이 전송속도 4Mbps와 16Mbps 제품을 출하하고 있다.


토큰 패싱: 토큰이라는 특수한 데이터를 전송로 상에 순회시켜 그것을 얻은 단말기가 데이터의 송신권을 갖는다. 데이터 송신이 끝나면 토큰을 해방한다. 전송로가 링크형인 경우를 토큰 링, 버스형인 경우를 토큰 버스라고 부른다.


토폴로지: 네트워크의 논리적인 형상. 스타형, 버스형, 링형이 있다.


통계적 다중: 통계다중을 사용한 통신노드에서는 100% 이상의 다중효과가 얻어진다. 결국 중계회선이나 통신노드에 접속된 단말기 속도의 합계보다 작게 된다. 중계회선을 완전히 점유하는 데이터가 통계적으로는 자주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에 따른 것이다.


트래픽: 특정 전송로 상을 일정시간 내에 흐르는 정보의 양.


트위스트 페어: 동선에 절연체로 피복한 것을 2선 1조로 만들어서 그것을 2조 혹은 4조로 묶어 1개의 케이블로 취급하는 케이블. STP(shield twisted pair)와 UTP 2종류가 있다.


파일 공유형: 서버의 하드 디스크를 가상 드라이브로 이용하는 방식. 서버 상에서 공유하고 있는 파일에 액세스해 직접 검색하고 갱신한다.


파일 매니저: 윈도우즈 3.1에 표준 첨가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하나. 파일의 복사나 이동, 소거, 디렉토리 작성과 소거 등이 마우스를 이용해 조작 가능하다.


패리티 비트: 데이터 전송시에 데이터가 올바로 전송되었는가를 체크하고 에러수정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비트. 1문자는 7비트 혹은 8비트 구성으로 각 비트는 통상 0과 1의 2진수로 표현된다. 송신측에서는 이 1문자를 표현하는 비트열에 새로운 비트(이것이 패리티 비트)를 부가, 전체의 비트열 속에서 1의 개수가 항상 홀수(혹은 짝수)가 되도록 처리한다. 수신측에서는 송신된 결과가 짝수(혹은 홀수)로 변환된다면 전송된 이 문자는 에러라고 판단한다. 이 방법을 패리티 체크 라고 부른다. PC통신에서는 에러검출은 하지만 에러수정은 처리가 복잡하지 않다.


퍼스널 커뮤니케이터: 미국 AT&T와 GO가 제창한 통신기능 탑재형 휴대 정보단말기의 명칭. 스케줄이나 주소록, 메모 등과 같은 개인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PIM(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기능과 전자메일이나 팩시밀리, 휴대전화 등의 통신기능을 조합시킨 단말기로 펜입력 방식을 채용한다.


펄스성 노이즈: 교환기 내부의 접촉불량 등에 의해 발생하는 순간적인 잡음.


페이저: 무선을 사용해서 호출음이나 데이터를 보내 개인을 호출하거나 정보를 보내는 기기. 삐삐라 한다.


펜티엄: Pentium. 미국 인텔사가 개발한 PC와 서버용의 차세대 CPU. 86 아키텍처의 최상위급이다.


포워딩: 수취한 패킷의 수신인을 보고, 지정된 포트에서 송출하는 것. 속도는 1초당 패킷 수(pps)로 표시하는 경우가 많다.


폭주: 네트워크에 대량의 데이터가 유입해 혼잡해진 상태. 네트워크 기기나 회선 용량이 한계에 이른 경우에 발생한다.


폭주제어: 폭주상태를 완화하기 위한 제어.


폴링: 마스터(주)가 되는 단말기와 슬레이브(종)가 되는 단말기 사이에서 마스터가 슬레이브의 송신을 제어하는 통신방식. 마스터가 슬레이브에 대해 송신요구 유무를 순차 물어봐서 요구가 있는 슬레이브에 송신을 허락한다.


폴링시 라우팅: 네트워크 관리자나 운용자의 정해진 기준이나 방침에 따라 통신 루트를 결정하는 방법.


풀서비스 네트위원회: 일본 케이블텔레비전협의회의 프로젝트로 발족된 위원회. CATV회사, 상사 등약 90개사가 참가. 1994년 6월부터 2년여에 걸쳐 전화, PC통신, 비디오 온 디멘드 등을 연구한다.


풀 컬러: PC 등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풀 컬러 화상을 충실히 재현하기 위해서는 약 1677만색의 표현능력이 필요하다. PC는 R(적색), G(녹색), B(청색)의 3원색을 조합시켜 다양한 색을 재현한다. 이 RGB를 어떤 비트로 표현하는가에 따라 전체의 표현능력이 변한다. 풀 컬러는 8비트가 필요하다. R, G, B가 각각 28=256단계, 전체로는 2563=1677만 7216단계(색)가 된다.


품질보증: QOS(quality of service)라고도 부른다. 멀티미디어 통신에서는 음성, 동화상, 데이터 등 미디어마다 통신에 대한 요구품질(비트 에러율, 전송지연 시간 등)이 틀려지지만 각각을 보증하는 것이 중요하다.


프레임 릴레이: 고속 데이터 전송용 프로토콜. OSI 7층 모델의 데이터 링크 7층에 해당하며, 전송 오류시 처리지연을 작게 하기 위해 재전송 제어를 할애해 데이터 다중화를 실현한 전송방식이다. 전용선의 고속성과 패킷망의 동시 다지점 접속기능을 겸비했다.


프레임: 프레임 릴레이에서의 데이터 처리단위. 유저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부, 각종 제어정보를 저장하는 헤더부, 프레임 전체의 에러를 찾아내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트레일러부로 구성한다.


프로젝트21: 국제 해사위성 기구인 인말샛이 구상하는 새로운 서비스. 핸드밸드형 휴대전화용 서비스를 겨냥한다. 위성은 저궤도(LEO)뿐만 아니라 중속궤도(MEO), 정지궤도(GEO)를 검토하고 있다.


프로토콜: 데이터 통신을 정확히 실행하기 위한 약속.


프로토콜 스택: 통신 프로토콜의 계층 구성에서 기존의 것으로는 TCP/IP 프로토콜 스택, OSI 프로토콜 스택 등이 있다.


프리엠프티브: OS가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프로세서를 할당해 제어를 관리하는 방식. 논프리엠프티브는 애플리케이션이 할당되어 제어를 OS에 넘기지 않는 한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프로세서를 이용할 수 없다.


프린트 서버 모드, 리모트 프린터 모드: Netware의 공유 프린터는 프린트 큐관리기능, 프린트 서버능, 리모트 프린터기능 등 3종류 기능을 조합시켜 실행한다. 프린트 큐관리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인쇄의뢰를 서버에 접수한다. 프린트 서버는 파일 서버의 큐에 모인 인쇄 데이터를 끄집어낸다. 리모트 프린터는 실제로 프린터를 접속한다. 이중 프린트 서버기능과 리모트 프린터기능을 겸비한 경우가 프린터 서버 모드, 리모트 프린터기능만을 가진 경우가 리모트 프린터 모드이다.


필터링: 데이터가 다른 도큐먼트에 전송되는 것을 막는 기능. 라우터는 브로드캐스트 데이터를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프로토콜별, 네트워크층의 어드레스별로 필터링 대상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이비전: 일본 NHK가 제안한 고화질 TV 방식. 주사선이 1125본으로 현행 NTSC방식의 약 2배이다. 화질의 종횡비는 9대 16이다.


하이퍼 텍스트: 문자, 이미지, 음성, 화면 등의 데이터를 서로 관련시켜 구성한 전자문서.


핸디 터미널: 휴대형 단말기. 한 손에 쥘 수 있는 크기로 소형의 액정화면과 턴키가 부착된 간단한 구조가 대부분이다.


허밍 코드: 어떤 처리에 따라 데이터에서 생성하는 에러 검출과 정정용 부호.


허브: LAN에서 여러 전송 케이블을 한 곳에 모아서 접속하기 위한 집선장치. 최근에는 스위치 기능이나 라우터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주요 메이커로는 시스코 시스템즈, 케이블트론 시스템즈, 칩컴, DEC, 시놉틱스 커뮤니케이션즈 등이 있다.


헤더: 셀, 프레임, 패킷 등의 앞에 저장돼 있는 제어정보. ATM 셀은 5바이트의 헤더 필드와 48바이트 데이터 필드로 구성한다. 셀 헤더 중에는 GFC(프로제어용), VPI(바이찰 버스의 식별자), VCI(바이찰 정보의 실별자), PT(셀정보 실별자), CLP(셀폐기 프라이어러티), HEC(헤더 에러를 검출하기 위한 비트) 등이 저장돼 있다. PT는 폭주를 알릴 때 사용한다.


헤테로지니어스: Heterogeneous. 네트워크에서 메인프레임이나 PC 등 규격이나 처리능력이 이기종 컴퓨터 간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묶는 것을 의미. 단어 뜻은 이기종의 혹은 이질의 의미로, Homegeneous(동질의)의 반대어이다.


화상 처리보드: 풀 컬러 정지화상과 동화상을 취급하려면 일반적으로 프레임 메모리 보드나 비디오 보드라는 화상처리용 보드를 PC에 탑재해야 한다.


화이트 노이즈: 간선계 케이블의 열잡음(회로를 흐르는 자유전자의 운동)으로 인해 발생한다. 통신거리가 길수록 증가한다.


제2부 영문 용어


100BASE-T: IEEE802.3u 위원회가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는 100Mbps 이더넷. 허브를 중심으로 한 스타형이다. IEEE802.3 구조의 MAC 사양(CSMA/CD)과 프레임 사양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특징. 사용 케이블 종류와 전기신호의 부호화방식에 따라 세가지 방식(TX, T4, FX)이 제안되고 있다. TX는 카테고리 5의 UTP가 STP로, 2조의 페어선을 사용한다. T4는 카테고리 3/4/5의 UTP로 4조의 페어선을 사용한다. FX는 광파이버용이다.


100BASE-X: FastEthernet이라 불리는 100Mbps의 이더넷. 기존의 이더넷과 같이 CSMA/CD(충돌검지)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100Mbps 이더넷: IEEE 802.3 위원회에서 검토하고 있는 100Mbps의 전송속도를 가진 LAN 방식의 총칭. 1992년 11월에 AT&T와 HP가 100BASE-VG를 제안한 것이 계기가 되어 검토하기 시작했다.


100VG-AnyLAN: IEEE 802.12 위원회가 표준화 작업을 추진하고 있는 고속 LAN 기술. FastEthernet와 같이 UTP를 이용한 100Mbps의 속도를 실현하는 허브형 LAN이다. 송신권 확보에 우선 제어기구를 갖추고 있는 것이 특징. 데이터 전송시에는 기존의 이더넷(혹은 토큰링)과 똑같은 구조의 데이터 패킷을 사용한다. 미국 HP, IBM, UB 등이 추진하고 있다.


10BASE-T: IEEE 802.3에 준거한 이더넷(전송속도가 10Mbps)에서 사용하는 트위스트 페어. 허브에서 스타형으로 접속된다. 액세스 방식은 CSMA/CD을 채용. RJ-45의 모듈 잭을 허브에 삽입하면 손쉽게 PC 등을 LAN에 수용할 수 있다. 똑같은 특성을 지닌 LAN 표준으로 10BASE-5, 10BASE-2가 있으나 이들은 사용하는 케이블이 서로 다르다.


29.9kbps: 샤논의 법칙에서 계산된다. 계산식은 통신속도=대역xlog2(1+S/N).


-30dBm: 단말국에서의 모뎀신호 레벨과 비교해서 약간 높은 레벨.


4004: 4비트 프로세서로 1971년에 발표되었다. 계산기(MCS-4)의 칩으로 사용되었으며 초당 6만개의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다.


8008: 8비트 프로세서로 1972년에 발표되었다. 명령어 수를 45개로 확장하였으며, 16KB의 메모리를 지원하였고 처리 속도도 초당 30만개의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향상되었다.


80286(AT): 16비트의 데이터버스와 24비트의 주소 비트로 이루어진 16비트 CPU로 4단계의 파이프라인 처리(버스유니트, 주소유니트, 명령어유니트, 실행유니트)로 속도 향상되었으며, 주소버스와 데이터버스의 분리에 의한 전송속도도 향상되었다. 또한, 실제모드와 보호모드로 구분하였고 메모리도 최대 16MB 사용 가능하게 되었다.


80386: 32비트의 CPU로 처리속도가 16Mhz - 33Mhz로 향상(CF. 286: 6-20Mhz)되었고, 캐쉬메모리를 채용(속도가 빠른 SRAM을 CPU와 주메모리 사이에 두어 자주 그리고 최근에 사용된 자료를 우선으로 캐쉬메모리에 담아두어 사용빈도가 높은 자료를 CPU가 빨리 찾아 처리함. 통상 64KB의 캐쉬메모리가 사용됨.)하였고, 메모리 용량도 더욱 확대되어 최대 4GB까지 메모리 확장 가능하며, 32비트의 데이터 버스와 어드레스버스를 사용하였고, 멀티 태스킹이 가능하며 다양한 운영체제의 사용이 가능하다. cf.) 386SX - 칩 내부구조는 80386과 같이 32비트 구조로 되어있어 CPU내부에서는 80386칩과 같이 32비트로 처리하나 프로세서와 메모리 사이는 286구조와 같이 16비트 단위로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따라서 속도 면에서는 80386보다 느리나 거의 비슷한 기능들을 갖는다.


80486: 32비트 데이터버스와 어드레스 버스를 가지며, 8KB의 내부케쉬메모리를 자체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CPU로 486 DX의 경우 수치연산 보조프로세서(80387)가 기본으로 내장되어 있으며, 다중작업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복수 운영체제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방대한 메모리 용량(가상메모리를 사용할 경우 64TB까지) 지원이 가능하다. cf.) 486SX - 수치연산 보조프로세서를 내장하고 있지 않은 486.


8080: 8비트의 데이터버스, 16비트의 주소버스, 10진수 산술명령문 등이 8008에 추가된 8비트 CPU.


8086: 내부 데이터버스와 외부 데이터버스가 모두 16비트 단위로 처리하도록 되어있는 완벽한 16비트 CPU로 어드레스 버스로는 20비트를 사용한다. 세그먼트에 의한 메모리 관리 기법을 도입하여 메모리 관리 능력이 1MB까지 향상되었다.


8088: 8086과 내부적으로는 유사하나 다른 점은 내부적 처리는 16비트로, 외부데이터 입출력은 8비트 폭을 처리하도록 조정 → 시스템 가격 낮춤.


AAL: ATM adaptation layer


AAL: ATM adaptation layer의 약자. ATM 층의 상위층. 상위 유저 데이터를 셀에 분해하거나 조립하는 기능. 셀을 분해/조립하는 SAR 부층과, AAL 층의 상위층 프로토콜을 SAR 부층에 매핑하기 위한 CS 부층에서 구성된다. CS 부층은 공통부분(CPCS)과 상위 프로토콜마다 상이한 부분(SSCS)으로 구분된다. AAL 프로토콜은 5종류(타입1~5)이지만 데이터통신용으로는 최근에 등장한 타입 5가 주를 이룬다. 상위 프로토콜이 프레임 릴레이인 경우에는 위로부터 FR-SSCS, AAL5-CPCS, AAL5-SAR로 구성된다.


ABR: available bit rate


ABR: Available Bit Rate의 약자. ATM 포럼이 ATM-LAN용으로 작성한 대역할당 방법. QOS 클라스는 0. 전송대역이 비는 경우에 의해 동적으로 대역을 할당한다. BestEffort 서비스라고도 부른다.


A-b-S: Analysis by Synthesis의 약자. 합성에 의한 분석.


access(엑세스): 메모리 또는 주변장치에 대하여 데이터의 전송신호를 보내어 데이터를 꺼내는 것 또는 컴퓨터가 파일이나 데이터 세트를 참조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에는 랜덤 엑세스 방식과 시퀀셜 엑세스 방식 등이 있다. 랜덤엑세스란 순서가 특별히 정해지지 않은 데이터 중에서 데이터를 꺼내고 싶을 때 어느 데이터나 같은 시간에 호출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기억매체에서 레코드의 배열순으로 엑세스하는 것을 시퀀셜 엑세스라 한다.


ACK: Acknowledge의 약자. 상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때 정상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한 것을 상대에게 전하는 제어정보. 잘못돼 있으면 NACK을 보내 재송신을 요구한다.


adapter(어댑터): adapter의 동사형인 adapt는 사전적 정의로 "적응시키다", "적합하게 하다"라는 뜻이다. 따라서 adapter란 "적응시키는 것", "적합하게 하는 것" 정도로 해석된다.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를 비롯한 대부분의 전기, 전자기기에서 사용되는 어댑터란 무엇인지 몇 가지 예를 보면서 이해해보자. 미니 카세트 녹음기를 사용할 때 우리는 건전지를 아끼기 위하여 가정용 전원에 아답타라는 것을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여기에서 아답타, 즉 어댑터는 건전지 대신 원하는 전압과 전류의 직류를 공급하게 적응시키는 것을 직류전원장치 또는 어댑터라고 한다. 또한 PC(Personal Computer:개인용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CGA라는 말을 자주 들어왔을 것이다. PC에서 출력되는 계산 결과나 그래픽 등은 CGA(Color Graphic Adpter:컬러 그래픽 어댑터)용 카드가 PC에 부착되어 있을 경우에 컬러 화면을 지원해 준다. CGA 역시 단색의 출력신호를 컬러로 적응시켜 주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어댑터란 전기적으로 상이한 환경을 서로가 부합되게 소통시켜 주는 전기회로를 일컫는 말이다.


ADC: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nalog-to-digital converter). 전자기기의 일종으로서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여 적절한 디지털 표현으로 변환하는 장치.


address(어드레스:번지): 어떤 단위의 정보를 기억하는 각 장소에 붙여진 식별 번호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메모리 속에서 정보 하나의 단위가 차지하는 특정한 장소를 지정하기 위하여 쓰인다. 번지는 보통 번호를 가리키는 숫자로 나타내는데, 표현 방법으로 여러 가지를 사용한다. 첫째는 어떤 조작을 가하지 않고 순차적으로 번호를 매겨 번지로 사용하는 방법이고, 둘째는 또 어떤 수를 기점으로 하여 그곳으로부터의 수로써 나타내는 방법이다. 전자를 절대 어드레스라고 하고, 후자를 상대 어드레스라고 한다. 숫자 대신 때로는 기호로 대신하는 경우도 있다. 이것을 기호 어드레스라고 한다. 예를 들어 0번지, 1번지, 2번지에 각각 정보를 넣는다는 말의 의미는 0이라고 약속된 기억장소, 1이라고 약속된 기억장소, 2라고 약속된 기억장소에 각각 정보를 넣는다는 말이다.


ADDRESS BUS: CPU가 메모리나 입출력 기기의 주소를 지정할 때 사용하는 전송로


ADPCM: 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ADPCM: 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의 약자. 적응 미분 펄스 부호변조. 음성부호화 방식의 하나로 TDM에 탑재된 CODEC(음성부호화장치)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이다.


ADSL: Asymmetrical Digital Subscriber Line의 약자. 미국 벨코어가 제안한 전송방식. 전화의 음성보다 높은 주파수를 이용해 동화상을 디지털 전송하는 기술로 MPEGI를 채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ADSP: apple talk data stream protocol


AFP: apple talk filing protocol


AI(Artificial Intelligence:인공지능): 인공지능이란 인간이 생각하는 것과 같은 과정을 컴퓨터로서 실행시키려는 것이다. 즉, 지식정보를 컴퓨터에 저장하여 인간의 지적 활동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연구하는 컴퓨터 공학의 한 분야이다. 컴퓨터를 인간의 두뇌와 비교한다면 아직은 비교도 되지 않을 만큼 유치한 단계에 머물고 있지만, 어떤 것에 대한 지식을 획득, 축적함으로써 학습효과를 기대한다거나 어떤 사항들에 대한 추론 등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그다지 황당무개한 애기만은 아니다. 지금도 컴퓨터와 사람이 직접 바둑이나 장기를 둔다든지, 수학적인 정리를 증명하는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 있으며, 의학분야에서는 의사의 진단을 돕기 위한 진단 시스템이 개발되어 실제로 환자의 진료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 사람의 두뇌에 필적할만한 인공지능이 가능한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컴퓨터 용량의 거대화와 여러가지 문제로 인해 현재로서는 단언할 수 없다. cf. 다른 사전 - AI: 이 말이 처음 쓰인 것은 1956년의 미국의 다트머스 대학에서 열린 세미나에서 였다. 인공지능이란 간의 두뇌처럼 학습을 하거나 사건의 추리 등을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컴퓨터 시스템을 만드는 기술을 말하는 것으로 80년대 이후 제5세대 프로젝트라 불린다. 이러한 인공지능의 대표적인 분야가 전문가시스템(Expert System)이다.


algorithm(알고리즘):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는 사람이 지시하는 지시사항에 따라 척척 일을 처리해 내고 있다. 그러나 컴퓨터에 대한 전문지식이 부족하거나 또는 다른 이유로 말미암아 컴퓨터를 외면한다면 컴퓨터는 한낱 쇠뭉치로 존재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컴퓨터는 자기 스스로 문제해결을 할 수 있는 논리적 사고가 없다는 것이다. 이것이 인간과 컴퓨터의 가장 커다란 차이라고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컴퓨터가 일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지시사항이 주어져야 하며, 또한 지시사항은 반드시 컴퓨터가 원하는 특성들로 짜여져야 한다. 바로 이러한 특성으로 짜여진 하나의 형태를 알고리즘이라고 한다. 알고리즘은 컴퓨터를 통하여 기대한 결과, 즉 올바른 출력을 성취하여야 하며, 또한 조금이라도 애매모호한 점이 있어서는 안된다.


allocation(할당): 컴퓨터에서 메모리는 우리들이 사용하는 책상에 비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작업을 할 때, 우리는 우선 깨끗하게 정리된 책상이 필요하며 그 책상 위에 필요한 물건 즉, 연필, 자, 종이 등을 올려놓고 작업을 시작하게 된다. 이 때 책상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보다 많은 양의 일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사용하기 편리한 위치에 여러 가지 용품들을 두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또 놓는 위치를 잘 할당하면 더 많은 용품을 얹어 놓을 수 있다. 컴퓨터에서 책상에 비유될 수 있는 부분이 메모리이다. 즉, 우리가 컴퓨터를 사용하여 어떤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메모리상에 필요한 자료나 프로그램을 올려 놓아야 하며, 메모리의 어느 부분에 무엇을 놓을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이러한 작업을 할당(allocation)이라고 하며 이 작업은 OS(Operating System:운영체제)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OS란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연결시켜 주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이다.


Alpha: 미국 DEC사가 개발한 신세대 CPU. 제품은 동사의 AlphaAXP시리즈.


Altair: 모토로라의 이더넷 호환 무선 LAN 시스템. 19GHz대를 사용하고, 전송속도는 15Mbps가 베이스.


ALU(Arithmetic and Logic Unit:산술-논리연산장치): 컴퓨터는 어떤 입력자료에 의해 요구되는 바를 처리, 출력하는 하나의 시스템이다. 컴퓨터가 수행하는 기본적인 기능은 크게 5가지 정도로 나누어지는 데 입력, 연산, 기억, 제어, 출력이 그것이다. 이 중에서 연산기능의 역할을 하는 부분을 중앙처리장치라고 하며 이것은 컴퓨터시스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이다. 이 중앙처리장치라는 것은 또 크게 3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산술-논리 연산장치(ALU), 제어장치, 주기억장치가 여기에 해당된다. 이 중에서서도 산술-논리 연산장치(ALU)는 컴퓨터로 하여금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등과 같은 산술 연산을 수행하도록 하며, 또한 어떤 두 수를 비교하여 어느 것이 더 큰가, 아니면 같은가, 혹은 더 작은가 등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analog(아날로그) 및 digital(디지털): 우리의 일상생활과 항상 공존하는 시간이나 온도 등을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양, 다시 말해서 각도나 길이 등으로 나타내는 표현 방법을 아날로그라고 한다. 그리고 이에 대응되는 개념으로 디지털이 있는데, 이것은 변화를 불연속적인 수치로 나타내는 표방법을 말한다. 예를 들어 태엽의 힘을 이용하여 시간을 바늘의 회전각으로 표시하는 보통의 시계가 아날로그 방식이라면, 수치적인 변화를 숫자로 표시하는 전자시계는 디지털 방식의 시계이다. 시계를 생각해 보면 알 수 있듯이 아날로그는 전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낼 때는 편리하지만, 디지털에 비하여 정확도 등이 뒤떨어진다. PC는 거의 디지털 컴퓨터이지만 특수한 분야에서는 아날로그 컴퓨터가 사용되고 있다. 아날로그 컴퓨터는 연속적인 물리량에 의하여 나타나는 자료를 입력시키며 그 출력 결과는 그래프, 전압이나 전류값 등의 아날로그량으로 출력된다.


anonymous FTP: 아노니머스 FTP(*쪽)을 찾아볼 것.


ANSI(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미국의 공업표준을 제정하는 단체이다. 이 단체에서는 미국에서 사용하는 여러가지 표준들을 제정하지만 실제로 이 단체에서 제정한 표준은 거의 세계적으로 사용된다. 이 단체에서 제정한 표준 중 대표적인 것이 정보의 표현을 위한 ASCII이다.


ANSI: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의 약자. 미국표준규격협회.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PN: Advanced Peer-to-Peer Networking의 약자. SNA의 새로운 네트워크 구성방법. 기존 호스트 중심의 네트워크가 아니라 수평형 네트워크를 실현한다.


Archie: 여러 아노니머스 FTP 서버의 파일 리스트 중에서 필요한 파일을 찾는 기능.


ARDIS: 미국 IBM과 모토로라의 합병회사로 1990년 4월, 미국 내에서 무선 패킷통신 서비스를 제일 먼저 시작했다.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의 약자. 통신하고 싶은 단말기의 어드레스를 모를 때 사용하는 어드레스 취득용 프로토콜. 일반적으로는 IP 어드레스로부터 MAC 어드레스를 알아낼 때의 프로토콜(RFC 826)을 나타낸다. ATM과 관련해서는 네트워크 어드레스(예를 들어 IP 어드레스)로부터 ATM 어드레스를 알아내기 위한 ATMARP와 그 반대로 ATM 어드레스로부터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알아내는 InATMARP가 RFC 1577로 공개돼 있다.


ARS(Audio Response System: 음성응답시스템): 컴퓨터 시스템에 전화기를 연결하여 고객이 질의할 때 음성으로 대답하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컴퓨터에 음성화일이 내장, 터미널을 통해 전화기와 연결하여 작동되는 것으로 데이터통신 기술과 음성합성 기술을 종합한 정보제공 시스템이다.


ASCII(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아스키): 미국의 ANSI가 제정한 정보처리 및 통신시스템 상호간의 정보교환용 표준코드로, 이들은 모두 7비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어부호 33자, 그래픽기호 33자, 숫자 10자, 알파벳 대,소문자 52자 등 모두 128가지이다. cf. 다른 사전 - ASCII code: 정보교환용 미국 기준 코드로 정보의 교환이나 전송을 위하여 쓰이는 영문자 댓소문자, 숫자, 특수기호, 제어정보 등을 포함하는 여덟개의 비트 코드로 구성된다. 비트의 구성 중 일곱개의 비트는 코드화 된 문자 세트, 한 개는 패리티로 사용된다.


assembler(어셈블러): 어셈블리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직접 이해하고 실행 할 수 있는 기계어 프로그램으로 변환하는 번역기를 어셈블러라고 한다. 어셈블리 언어로 기술된 프로그램을 어셈블러를 이용하여 기계어로 번역하는 작업을 어셈블이라고 한다.


AT&T: 미국 전화 전신 회사(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미국 최대의 전화 전신 회사.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데이터 크기에 따른 전송시간의 지연현상을 극소화시켜 종전에는 실현할 수 없었던 음성, 화상 및 문자 데이터를 동시간 안에 전송 가능하게 하는 비동기 전송 방식.


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의 약자. 비동기 전송모드. B-ISDN의 핵심이 되는 전송/교환기술로 음성, 데이터, 동화상을 총체적으로 취급하는 통신방식이다. 원래 정보를 ATM 셀이라는 53바이트의 고정장 데이터를 단위로 10(처음의 5바이트는 헤더)으로 나눠서 전송, 교환한다. 경로정보를 해더에 넣어두기 때문에 ATM 교환기 등 하드웨어로서 셀을 고속으로 중단하거나 교환시킬 수 있다. 현재 패킷교환 기술과 회선교환 기술의 장점만을 취해 전화, 저속 데이터 통신, 고속 파일 전송, 동화상 전송에 하나의 교환방식으로 제공한다. 보내는 정보는 짧은 고정장 블록에 분할된다. 그 앞쪽에는 보낼 곳을 표시하는 헤더를 붙인 '셀' 단위로 순차적으로 송신한다. ATM 교환기는 헤더의 내용을 참조해 고속으로 셀을 분배해 수신처로 보낸다.


ATM-LAN: ATM(비동기전송모드) 셀의 전송과 교환기술을 사용한 LAN 제품. 미국의 네트워크기기 업체가 제품화에 앞장섰다.


ATM-NIC: ATM 대응의 LAN 카드(Network Interface Card). 다양한 밴더가 워크스테이션용 카드의 제품화를 추진하고 있다.


ATM 포럼: ATM 기술을 채용한 제품의 조기 실용화를 목적으로 결성한 민간단체. 1991년 10월 미국 어댑티브(현재 NET), 시스코 시스템즈, 노던 텔레컴, 스프린트가 설립했다. 94년 3월 현재 450개 이상의 기업과 단체가 참가하고 있다. 특히 LAN 벤더가 LAN 분야에 실용화를 서두르고 있다.


ATP: apple talk transaction protocol


At Work: OA 기기를 PC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하도록 한 미국 마이크로소프트의 소프트웨어 체계. PC OS인 윈도우즈와 같은 조작성과 네트워크 기능을 제공하는 'At Work OS'가 베이스. 동 OS에는 전화기용 'At Work Phone', 제휴 정보단말기용인 'Handheld' 외에 프린터용, FAX용, 복사기용이 있다.


AURP: apple talk update routing protocol


backpressure: 링 레벨의 프로제어. 수신 버퍼가 꽉 차있으면 송신측에 송신을 일시 정지시키는 기능.


BBNS: BroadBand Network Services의 약자. 애플리케이션이 ATM을 잘 사용하기 위한 프로토콜/서비스 체계. ATM 표준을 지원하고, IBM이 각종 서비스기능을 부가하고 있다. 대역폭 관리에 의한 통신비용 삭감 효과와 멀티캐스트 기능, QOS(Quality Of Service) 보증 등을 제공한다.


BBS(Bulletin Board System: 전자게시판): 전자게시판은 문자 그대로 게시판에 게시된 것과 같이 통신망을 통해 주전산기와 PC 등의 단말기를 접속하여 불특정 다수의 가입자들이 정보를 교환하는 메세지 기능의 하나이다. 시사성 있는 뉴스, 각종 광고나 무역정보 등도 이 게시판을 통해 볼 수 있는데 이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분야만 골라서 볼 수 있으며 필요한 내용은 자신의 PC로 복사해서 보관하거나 프린트할 수 있다. 하이텔이나 천리안 등이 BBS의 범주에 들어간다. BBS 관리자를 시솝(SYSOP: SYStem OPerator)이라고 하며 BBS에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올려놓는 것을 업로드(UPLOAD),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받는 것을 다운로드(DOWNLOAD)라 한다.


BECN: backward 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


benchmark(벤치마크): 벤치마크(benchmark) 테스트란 컴퓨터의 데이터 처리 능력, 계산 능력, 파일을 읽고 쓰는 능력 등 컴퓨터가 가지고 있는 각종 성능을 시험하는 것을 말한다. 자동차가 성능을 실험하기 위하여 주행 시험을 비롯하여 각종 시험을 하는 것처럼 컴퓨터도 성능을 시험한다. 물론 컴퓨터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도 벤치마크 테스트를 한다. 동일한 업무를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상호 비교하여 어떤 프로그램이 더 빠른 업무 처리 능력이 있는지 비교한다. 그러나 컴퓨터는 정밀한 기계이므로 그 성능을 비교하기 힘들고 그 성능의 차이가 눈에 잘 보이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런 정밀한 검사는 사람이 할 수 없고 프로그램을 이용하는데, 여기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벤치마크 테스트 프로그램이라 한다. 우리가 학교에서 시험을 치르는 것도 학생들의 능력을 비교하는 벤치마크 테스트의 일종일 것이다.


Bench Mark: 어떤 컴퓨터 시스템의 성능을 측정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테스트할 컴퓨터에 어떤 특정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그 프로그램의 수행 능력을 측정해 시스템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방법이다.


BCD: 2진화 10진법(binary-coded decimal notation). 각각의 10진 숫자가 2진 숫자로 표현되어 있는 2진화 표기법.2진수란 두 상태의 조합, 즉 전류가 흐르는 것을 1,흐르지 않는 것을 0으로 하고 1과 0의 조합으로 정보를 표시한다. 디지털 컴퓨터에서는 10진법으로 나 타낸 수의 각 자리를 각각 4비트 이상의 2진 수치로 표현한다.


BGP: border gateway protocol


BIOS: 바이오스(basic input output system). 운영체제(OS)중의 하드웨어에 의존하는 제어 프로그램. 일반적으로 개인 용 컴퓨터의 OS는 상이한 하드웨어 상에서도 공통으로 동작할 수 있게 하드웨어 동작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을 모듈로 나누어서 만들고 있다.


B-ISDN: Broadband aspects of ISDN의 약자. ISDN이 제공하는 고속/광대역 서비스. N-ISDN(협대역 ISDN)과 같이 통일 인터페이스로 여러가지 기능을 제공한다. 핵심기술은 ATM과 SDH이다.


B-ISDN: broadband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BOC: bell operating company


BOOTP: bootstrap protocol


BPS(Bit Per Second): 초당 전송률의 약자. 초당 전송률이란 1초간에 몇 비트를 전송할 수 있는가를 수치로 표현한 것으로 주로 모뎀 등의 통신기기들의 성능을 나타날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14,400BPS라고 하면 1초당 14,400개의 비트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BRSA: boundary routing system architecture


Btrieve: 검색항목을 지정해 데이터(레코드) 집합에서 해당 데이터를 직접 호출하는 액세스 방법인 ISAM에 준거한 레코드 관리시스템.


Buffer: 속도에서 많은 차이가 나는 두 장치들 간에 속도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시적인 기억장치를 말한다. 예를 들어 CPU에서 인쇄작업을 위해 데이터를 프린터로 보낼 때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를 가지고 있는 CPU에서 보내지는 데이터를 상대적으로 느린 프린터는 CPU의 속도에 맞게 출력할 수 없다. 그러므로 이 때 CPU와 프린터 사이에 CPU에서 보내주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두어 이들의 속도 차이를 극복하는 방법을 취하는데 이렇게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보관하는 장소를 버퍼라고 한다.


BUS: 컴퓨터 내부에서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전송하기 위한 정보 전송용의 공통 통로를 말한다.


CONTROL BUS - CPU의 현재 상태나 상태의 변경을 기억장치나 입출력 장치에 알리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전송로


ADDRESS BUS - CPU가 메모리나 입출력 기기의 주소를 지정할 때 사용하는 전송로


DATA BUS - CPU와 기억장치및 주변장치들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전송로


C/S(Client & Server):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은 종래에 대형컴퓨터에서 모두 처리하던 작업을 특화된 마이크로 컴퓨터 즉 서버에게 분담하는 것으로 소형시스템과 네트워크 기술을 핵심으로 하여 네트워크 전체를 하나의 컴퓨팅 단위로 구성하는 방식이다. 이는 '네트워크 자체가 하나의 컴퓨터'라는 개념으로 실현하는 것으로서 네트워크로 연결된 두 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서로 협력하는 것이다.


CAE/CAD/CAM: CAE(Computer Aided Engineering)란 컴퓨터를 이용하는 기술분야의 전반적인 것들을 총칭하는 말이다. 대규모 집적회로의 개발 등으로 전자계산기의 역할에 불과했던 초기의 컴퓨터가 그 기능이 고도화 되고 이에 따라 가격도 저렴화 되고 있다. 또한 5~6년전만 해도 대형, 중형의 컴퓨터에서나 처리할 수 있던 일들을 점차 소형 컴퓨터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경향이 늘고 있다. 이에 힘입어 생산공장에서는 설계작업의 간편화, 시간의 단축, 제조공장의 효율화를 목적으로 컴퓨터 보조 설계(CAD:Computer Aided Design)와 컴퓨터 보조 생산(CAM:Computer Aided Manufacturing)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캐드(CAD)란 컴퓨터의 빠른 계산, 자료를 정확하고 폭 넓게 저장해 주는 능력을 이용하여 미리 저장해 둔 표준 도면을 이용, 이 중 필요한 부분만 손질하여 설계도면을 작성할 수 있게 해주는, 컴퓨터를 이용한 디자인(설계)을 말한다. 즉, 캐드는 건축, 토목, 항공기, 자동차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그려내고자 하는 것과 관련된 자료를 입력, 이를 보다 정확하게 보관 유지함으로써 실제 생산품과 거의 유사한 설계를 할 수 있도 록 최적의 설계, 수정, 분석 과정 등을 제공해 준다. 그리고 캠(CAM)이란 캐드에서 얻어지는 설계 정보와 생산에 관한 정보를 컴퓨터와 결합시켜 생산 과정을 조정, 통제하는 것이다. 또한 CAD와 CAM을 포함하여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설계 생산 시스템이라는 의미로 CAD/CAM 시스템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이상과 같이 설계과정에서 발생한 정보를 모아서 캐드, 캠 등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생산체계를 일컬어 CAE(Computer Aided Engineering:컴퓨터 이용 공학)라고 한다.


CAFIS: Credit And Finance Information System의 약자. 일본 NTT가 1983년에 개발한 공동이용형의 크레디트 온라인 시스템. 카드를 이용한 물건구매시의 사고방지와 신속한 처리를 한다. 크레디트카드 회사와 가맹점을 온라인 접속해 통신 프로토콜의 변화, 데이터 교환을 실시한다. 현재는 NTT로부터 분리된 NTT 데이터통신이 운영한다.


CAI(컴퓨터 보조 학습): CAI란 Computer Assisted Intruction을 줄인 말로 컴퓨터로 지원받는 학습이란 말의 약어이다. 즉, 컴퓨터를 교수-학습의 장으로 도입함으로써 교사가 가지고 있는 인내력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컴퓨터가 지닌 고도의 정확성과 완전한 기억력으로 학습자 개개인의 학습 능력을 존중, 이를 통해 보다 향상된 학습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컴퓨터 보조 학습의 진정한 목적은 개별 수업을 통한 학습시간의 단축과 개별적인 필요에 따른 학습의 선택 등으로 학습자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학습환경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CAP: Competitive Access Provider의 약자. '경쟁적 액세스 사업자'를 찾아볼 것.


CAT: Credit Authorization Terminal의 약자. 크레디트 카드 인증 단말기. 크레디트 카드의 여신한도, 사용기간 등을 체크하는 단말기.


CATV: Community Antenna TV 또는 CAble TV의 약자. TV 전파를 한 지점에서 수신한 다음 증폭해 동축케이블(75Ω)을 통해 가입자에게 유료로 전송한다. 난시청 지역에 공동 안테나를 사용했으나 사용 범위가 넓어졌다. 최근에는 컴퓨터 기술과 결합한 쌍방향 대화형 CATV로 발전하고 있다. 대화형 CATV는 홈쇼핑, 홈뱅킹, 원격검침, 홈시큐리티 등에 이용할 수 있다.


CCIR: comite consultatif international des radiocommunications


CCITT(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 comite consultatif international telegraphique et telephonique. 1957년에 설립되어 데이터 전송 등을 포함하는 전신 전화의 기술, 응용, 요금문제등을 연구하여 전신전화의 국제적인 표준을 제정하는 단체이다.


CCITT: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 무선통신을 제외하고 전기통신의 기술, 운용, 요금 문제를 연구하고 의견, 권고하는 국제기관. 1993년 3월 조직개편에 의해 현재 ITU-T(전기통신표준화센터)라 부른다.


CDDI: copper distributed data interface


CD-G(Compact Disc Graphic): CD-G는 국내에만 있는 방식으로 요즘 오디오에서 노래방을 이용하기 위해 많이 사용하는 방식으로 TV등과 연결시켜 음악외에 화면까지 볼 수 있다. CD-G는 16칼라를 지원한다.


CD-I(Compact Disc Interactive): 일반적인 CD-ROM Title은 텍스트와 오디오를 지원할 수 있지만 CD-I는 비디오까지 압축화상으로 지원할 수 있다. 텍스트, 오디오, 비디오를 모두 지원할 수 있는 CD-I는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압축할 수 있어(오디오:ADPCM, 비디오:MPEG로 압축), 장래에 VTR과 LD를 대체할 것이라는 전망이 있다. CD-I는 CD-ROM과 같은 장치가 아닌 하나의 독립된 장치로 CD-I안에 CPU등을 내장하고 있어 컴퓨터 없이 작동시킬 수 있다.


CDPD: Cellular Digital Packet Data의 약자. IBM의 CelluPLANII(셀플랜II)라는 방식을 사용한 무선 패킷통신 서비스.


CD-R(CD Recordable), CD-WORM(CD-Write Once Read Many): 일반 CD-ROM이 읽기만 하는 점을 개선하여 쓰기까지 할 수 있는 방식을 말한다. CD-R은 일반적인 CD에는 쓸 수 없으며 CD-R용 CD가 필요하다. 하지만 한 번 기록된 것은 다시 지울 수 가 없다. 보통 CD-ROM 타이틀 제조업체에서 제작용으로 사용한다.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은 디지탈 음악용으로 개발된 CD-DA(CD Digital Audio)를 데이터 저장용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600MB 이상의 대용량과 배포의 용이성, 저렴한 생산 원가 등의 장점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저장 매체로 널리 보급되었다. 이것은 읽을 수만 있고 추가, 삭제등 이미 기록된 정보의 성격을 변경시킬 수 없고 데이터 판독속도가 현저히 느리다는 것이 단점이다.


CD-ROM Mode: 대부분 CD-ROM드라이브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에 따라 Mode1과 Mode2를 가지고 있다. Mode1이란 순수한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어내는 것을 의미한다.(하드디스크에 저장된 화일과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Mode2는 CD-ROM드라이브의 데이터 외에 오디오, 비디오 신호등을 포함하고 있다.(CD-G를 생각하면 쉽다.) 이러한 신호를 Mode2라 한다.


CD-ROM Title: CD-ROM에 담겨져 있는 소프트웨어를 통칭하여 이르는 말로서 이는 CD 한 장에 다수의 프로그램이 함께 내장되어 있어 하나의 프로그램을 표현하기보다는 내장된 프로그램들을 표현할 수 있는 제목(타이틀)으로 표현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는 생각에 타이틀이라 부르게 된 것이다.


CD-ROM 드라이브: CD-ROM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읽어 주는 장치이다. CD-ROM 드라이브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1. 인터페이스 방식에 따른 분류


(1) AT-BUS 방식


현재 시중에 나와있는 대부분의 CD-ROM이 이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방식은 업계의 표준으로 정해져 있지 않아 사용자들이 가장 불편한 방식중의 하나이나,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소니, 파나소닉, 미쯔미, 필립스 등이 CD-ROM 드라이브 회사별로 각각의 인터페이스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CD-ROM 상호간에 호환이 되지 않는다.


(2) IDE방식


CD-ROM 드라이브와 하드디스크의 새로운 고속의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기존의 AT-BUS 방식보다 2배 이상 빠른 속도를 지원하며, 기존 PC에서 두개의 드라이브만을 지원하던 단점을 보완해 준다.


(3) SCSI 방식


빠른 속도와 다수의 드라이브를 지원이라는 측면에서 아주 뛰어난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 방식은 별도의 스카시 인터페이스 카드를 구입하여야 하며, CD-ROM 드라이브의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지는 않는다.


2. 타이틀을 넣는 방식에 따른 분류


타이틀을 넣는 방식에 따라 보조케이스에 담아서 넣는 캐디(Caddy)방식, 일반 CD 플레이어처럼 내장된 트레이에 올려놓고 삽입하는 트레이 로딩(Tray Loading) 방식, 휴대용 CD플레이어에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뚜껑을 열고 삽입하는 셸(Shell)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트레이 로딩 방식의 경우 사용자 입장에서는 무척 편리하지만 타이틀 회전 안전성이 약해 현재의 2배속이 한계이며, 외부의 작은 진동이나 충격에도 순간적으로 프로그램 실행이 끊어지거나 에러가 난다. 심한 경우 5.25인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의 잠금 장치를 여는 진동도 장애가 되는 경우가 있다. 캐디 방식의 경우 일일이 갈아 끼워야 하는 불편함은 있으나 회전 안정성이 보장되므로 차후 3배속 이상의 드라이브는 모두 캐디 방식을 선택할 것으로 보인다.


3. CD-ROM 드라이브의 속도


드라이브의 속도는 전송률(KB/sec)로 표시되며 숫자가 클 수록 성능이 좋다. 평균 150KB/sec를 기준으로 2배속(300KB/sec), 3배속(450KB/sec)으로 표현한다. 현재는 2배속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4. CD-ROM 드라이브의 버퍼


버퍼는 CD-ROM 드라이브가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메모리로서 KB단위로 표시되며 32KB부터 256KB까지의 제품이 있으며 버퍼의 숫자가 클 수록 좋다. 일반적으로 64KB이상이면 무난하다.


5. CD-ROM 드라이브의 전송량


초당 최대 전송량은 버퍼를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초당 최대 자료치를 의미하며, MB/sec로 표기한다. 대개 2.2MB/sec이상을 선택하면 무난하다.


ceNet: 상용 인터넷에 대한 기술 개발과 환경 정비를 목적으로 한 컨소시엄. 미국 아메리카은행 등의 은행과 DEC, HP 등의 컴퓨터 메이커가 참가한다. 전자경제기술이나 시큐리티기능을 강화한 모자이크(Mosaic) 등을 개발 중. 이외에도 인터넷관련 출판사 Mechlermedia가 주도하는 Meckler Web이 있다.


CGA: 컴퓨터 그래픽 접속기(computer graphics adapter). IBM PC에 사용되는 그래픽 카드의 일종. 이것은 IBM PC가 처음 나왔을 때 함께 나온 것으로,80칸 25행의 문자와 320*200 또는 640*200의 그래픽을 나타낼 수 있다. 최근에는 낮은 해상도 때문에 잘 안 쓰인다.


Chameleon NFS: 미국 네트매니지사의 PC용 TCP/IP 소프트웨어.


Chatting(채팅, 대화방): PC를 통해 멀리 떨어져 있는 친구나 동호인들과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영역. 대화방은 일반적으로 대화 내용을 누구나 볼 수 있고 참여할 수 있는 공개대화와 일정한 이용자들과만 대화를 하는 비공개대화로 나누어진다.


Chicago: 세계적인 소프트웨어 개발회사인 미국의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하고 있는 새로운 운영체제로 윈도우즈3.1의 다음 버전 개발 코드명이다. 지금 사용되고 있는 윈도우즈3.1과 다른 폴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매캔토시에서 지원하는 Plug and Play 기능을 지원한다. MS사에서는 공식적으로 95년 1월중, 늦어도 3월까지는 시카고의 개발을 마칠 예정이며 '윈도우즈95'라는 이름으로 완제품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한다.


chip(칩): 칩이란 트랜지스터와 같은 반도체가 수십~수천개로 이루어진 약 0.5cm 크기의 얇은 조각이다. 컴퓨터의 내부를 살펴보면, 직사각형의 형태에 수십개의 다리가 튀어나온 검은 부품들을 무수히 찾아볼 수 있는데, 이 부품을 IC(Integrated Circuit:집적회로)라 하고, IC의 다리들은 그 속에 들어있는 칩과 연결되어 있다. IC는 컴퓨터의 주요 부분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칩은 컴퓨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품이라고 할 수 있다. 컴퓨터를 비롯한 가정의 TV 등 모든 전자제품에 들어가는 수많은 부품들은 이 작은 칩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들은 기능이 막강한 탁상형 PC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주머니 속에 들어갈 만큼 작은 포켓용 카세트 녹음기를 가질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처럼 칩을 사용하게 되면, 제품의 크기를 극소로 줄일 수 있으며, 동작 속도가 빨라지고 전력소모도 줄일 수 있다.


CIDR: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CIR: Committed Information Rate의 약자. 프레임 릴레이 망에서 사용하는 속도 표현의 하나. 망이 폭주상태가 아닐 때에 기대할 수 있는 실효속도의 최저치. 논리링크마다 설정한다. 망이 폭주상태로 들어간 경우에는 이 속도로 통신한다 해도 프레임이 폐기될 가능성이 있다.


circuit(회로): 회로에서 '회'는 '돌아온다'는 뜻이고 '로'는 '길'이라는 뜻이다. 즉 일방통행처럼 가버리면 그만인 길이 아니라 서울의 지하철 2호선(순환선)과 같이 나갔다가 돌아올 수 있는 길을 의미하는 것이다. 우리는 전기회로라는 말을 익히 들어왔다. 지금 말한대로 회로의 의미를 전기회로에서 생각해 보면 전류, 즉 전기의 흐름이 밖으로 나가서 다시 돌아오는 것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그런데 중요한 사실은 전류는 빈손으로 나가서 빈손으로 돌아오지 않는다는 것이다. 전류는 분명히 전기의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빈손이 아니다. 그럼 이 전류는 왜 나가는 것일까? 무엇인가 필요에 의해서 나가는 것이다. 전류가 회로를 따라 밖으로 나가면서 회로 사이 사이에 있는 저항이나 트랜지스터, IC와 같은 부품에 전기를 주고 다시 돌아오게 되는 것이다. 이미 여러분도 알고 있는 이야기지만 이렇게 전류가 자신의 임무를 마치고 무사히 돌아오는것-회로-을 전기가 통한다고들 하지 않는가.


CISC: 복잡 명령 세트 컴퓨터(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CL: connectionless


CLLM: consolidated link layer management


CLLM: 프레임 릴레이망이 폭주상태에 있음을 알려주는 프레임. FECN/BECN에 의한 방법과는 달리, 송신자의 유무에 관계없이 단말기 측에 폭주상태를 통지할 수 있다.


CLNS: connection-less network service


CMIP: Common Management Information Protocol의 약자. OSI 7층 모델 중 애플리케이션층에 위치한 네트워크 관리용 프로토콜.


CMOP: CMIP over TCP/IP의 약자


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낮은 전력 소비를 특징으로 하는 MOS 구조로 된 집적회로의 일종. P 채널과 N 채널의 트랜지스터를 필요로 하며 속도와 밀도의 특성은 NMOS와 PMOS의 중간. 시스템은 보통 MPU 클록, 타이머 클록, 특정 입출력 에 대한 클록을 필요로 한다. 소비전력이 매우 작다는 장점을 가지며, 휴 대용 계산기, 전자 시계,초소형 컴퓨터 등에 널리 채용되고 있다.


COBOL(코볼): COmmon Business Oriented Language의 약자로서, 1960년에 미국의 컴퓨터 사용자와 제조업자를 중심으로 개발된 사무자료 처리용 고급 언어이다. 이 언어는 다량의 자료를 처리하는 데 적합하며, 코볼 컴파일러만 있으면 컴퓨터 기종간의 차이에 상관없이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사무계산 및 상업계산용에 적합한 이 언어가 다른 언어와 비교되는 특징으로는 구어체의 영어 문장으로 되어있고 컴퓨터의 내부적인 특성에 관계없이 설계되었으므로 사용시 기종간의 제한이 없다는 점, 그리고 프로그램을 쉽게 익힐 수 있으며 프로그램의 착오 발생시 수정이 용이하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1968년 미국 사무 처리 언어의 표준이 된 코볼은 그 후 코볼 컴파일러 사용에 따른 주기억 용량의 팽창, 간결하지 못한 긴 프로그램의 작성량 등의 단점을 보완하여 구조적 코볼을 등장시켰다.


CO: connection oriented


CommerceNet: ceNet과 동일


compile(컴파일)/compiler(컴파일러): 고급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래밍 언어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바꾸는 과정을 컴파일이라 하고 컴파일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컴파일러라고 한다.(고급 언어란 베이직이나 코볼 등과 같이 인간이 사용하는 언어와 비슷한 프로그래밍 언어이고, 기계어란 0과 1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언어이다.) 예를 들어 글을 전혀 읽지 못하는 철수라는 아이가 있다고 하자. 어느날 철수 앞으로 편지가 왔는데 이것을 읽을 수가 없어 영희가 편지를 읽어주어 철수가 그 내용을 이해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컴퓨터 시스템에 비교하면, 편지를 쓴 사람은 컴퓨터 사용자이고, 철수는 컴퓨터에 해당된다. 그리고 편지에 적힌 글은 고급 언어, 영희가 읽는 소리는 기계어에 해당되며, 편지의 내용을 말로 표현하는 작업은 컴파일이며, 영희는 컴파일러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concurrent processing(병행처리): 비슷한 두 개 이상의 명령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아침에 늦잠을 자서 학교에 달려가며 겉옷의 단추를 끼운다거나, 저녁밥을 먹으면서 TV를 본다든지 하는 것이 인간이 하는 병행처리의 예이다. 마찬가지로 컴퓨터에서도 여러 가지 일을 한 번에 처리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을 병행처리라 한다. 예를 들어 '2*3+4*5'의 계산을 한다면 다음과 같이 3단계를 거쳐야 한다. (1) 2*3을 계산 (2) 4*5를 계산 (3) (1)의 계산 결과와 (2)의 계산 결과를 더한다. 그런데 병행처리를 하면 위의 과정이 2단계로 끝날 수 있다. (1) 2*3을 계산하면서 동시에 4*5를 계산 (2) (1)의 계산 결과를 더한다. 이와 같이 병행처리를 하면 처리시간이 단축되어 효율적이다.


CONTROL BUS: CPU의 현재 상태나 상태의 변경을 기억장치나 입출력 장치에 알리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전송로


conversion(변환): 데이터의 표현 형식을 하나의 형식에서 다른 형식으로 바꾸는 과정을 말한다. 이 작업이 필요한 것은 각 컴퓨터에 따라 혹은 각 소프트웨어에 따라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표현 형식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GW 베이직에서 파일을 저장할 때 아스키 코드로 저장하기도 한다. 그런데 작업내용을 GW 베이직 특유의 코드로 저장시켰다면 보석글이나 기타 다른 소프트웨어에서는 GW 베이직의 자료를 사용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 변환(conversion)작업을 통하여 GW 베이직의 자료를 다른 소프트웨어가 알 수 있는 형태로 바꿀 수 있다.


copy(카피): 카피란 베낀 것, 사본, 복사하다라는 뜻의 단어로 원하는 자료나 문서를 원본과 똑같이 옮겨 놓는 것을 말한다. 학기말 시험이 바로 내일인데 이에 대비해 평소 열심히 필기해 놓은 수학노트를 분실했다고 상상해 보자. 더군다나 이 사실을 학교 수업을 마친 후에 발견했기 때문에 친구에게 빌려서 베낄 시간도 없는 상황이다. 정말 난감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런 경우 친구의 수학 노트의 내용중 시험에 필요한 부분을 복사기를 이용해 수 분내에 똑같이 떬겨 놓을 수 있게 해 주는 것, 이것이 바로 카피이다. 컴퓨터를 이용하여 여러 자료나 문서 등을 관리할 때도 필요한 부분을 복사해주는 명령어가 존재하는데,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복수 파일을 옮길 경우에는 'copy'를, 그리고 하나의 디스크에 있는 전체의 자료를 옮길 때는 'diskcopy'라는 카피 명령어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복사할 수 있다.


COSE: common open software environment


CPU(Central Processing Unit:중앙처리장치): CPU는 컴퓨터의 두뇌이며, 심장부로 가장 중요한 곳이다. 컴퓨터로 계산을 할 때에는 우선 문제를 키보드 등을 통해서 읽어 들인다. 그리고 입력을 통해 들어온 계산문제는 빠른 속도로 컴퓨터에 기억된다. 제어장치는 일정한 순서에 의거하여 기억장치나 연산장치에 지시를 내리고 기억장치에 기억된 숫자를 연산장치에 보내며 연산장치는 계산 문제를 풀이하여 그 결과를 만들어 낸다. 최종적으로 계산된 결과는 모니터 등의 출력장치로 보내어진다. 여기에서 입력.출력장치를 제외한 기억장치, 제어장치, 연산장치를 통털어 중앙처리장치라고 한다.


CPU Type(intel):


4004 - 4비트 프로세서로 1971년에 발표되었다. 계산기(MCS-4)의 칩으로 사용되었으며 초당 6만개의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다.


8008 - 8비트 프로세서로 1972년에 발표되었다. 명령어 수를 45개로 확장하였으며, 16KB의 메모리를 지원하였고 처리 속도도 초당 30만개의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향상되었다.


8080 - 8비트의 데이터버스, 16비트의 주소버스, 10진수 산술명령문 등이 8008에 추가된 8비트 CPU.


8086 - 내부 데이터버스와 외부 데이터버스가 모두 16비트 단위로 처리하도록 되어있는 완벽한 16비트 CPU로 어드레스 버스로는 20비트를 사용한다. 세그먼트에 의한 메모리 관리 기법을 도입하여 메모리 관리 능력이 1MB까지 향상되었다.


8088 - 8086과 내부적으로는 유사하나 다른 점은 내부적 처리는 16비트로, 외부데이터 입출력은 8비트 폭을 처리하도록 조정 → 시스템 가격 낮춤.


80286(AT) - 16비트의 데이터버스와 24비트의 주소 비트로 이루어진 16비트 CPU로 4단계의 파이프라인 처리(버스유니트, 주소유니트, 명령어유니트, 실행유니트)로 속도 향상되었으며, 주소버스와 데이터버스의 분리에 의한 전송속도도 향상되었다. 또한, 실제모드와 보호모드로 구분하였고 메모리도 최대 16MB 사용 가능하게 되었다.


80386 - 32비트의 CPU로 처리속도가 16Mhz - 33Mhz로 향상(CF. 286: 6-20Mhz)되었고, 캐쉬메모리를 채용(속도가 빠른 SRAM을 CPU와 주메모리 사이에 두어 자주 그리고 최근에 사용된 자료를 우선으로 캐쉬메모리에 담아두어 사용빈도가 높은 자료를 CPU가 빨리 찾아 처리함. 통상 64KB의 캐쉬메모리가 사용됨.)하였고, 메모리 용량도 더욱 확대되어 최대 4GB까지 메모리 확장 가능하며, 32비트의 데이터 버스와 어드레스버스를 사용하였고, 멀티 태스킹이 가능하며 다양한 운영체제의 사용이 가능하다. cf.) 386SX - 칩 내부구조는 80386과 같이 32비트 구조로 되어있어 CPU내부에서는 80386칩과 같이 32비트로 처리하나 프로세서와 메모리 사이는 286구조와 같이 16비트 단위로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따라서 속도 면에서는 80386보다 느리나 거의 비슷한 기능들을 갖는다.


80486 - 32비트 데이터버스와 어드레스 버스를 가지며, 8KB의 내부케쉬메모리를 자체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CPU로 486 DX의 경우 수치연산 보조프로세서(80387)가 기본으로 내장되어 있으며, 다중작업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복수 운영체제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방대한 메모리 용량(가상메모리를 사용할 경우 64TB까지) 지원이 가능하다. cf.) 486SX - 수치연산 보조프로세서를 내장하고 있지 않은 486.


PENTIUM - SUPERSCALAR ARCHITECTURE(한 개의 프로세서 내부에 두개 이상의 파이프라인을 가짐으로써 1개의 프로세서 싸이클 동안에 두 개 이상의 명령수행을 가능케 하는 구조)을 채택했으며, 부동소수점 장치의 기능이 크게 개선되었고, 별도의 코드와 데이터 캐시메모리를 8KB씩 보유하고 있다. CACHE WRITE방식(WRITE BACK방식으로 메모리 사이클에 대한 프로세서의 부하를 현격히 줄임.)을 채택했고, 분기 예측 (BRANCH PREDICTION) 기능이 있어 25%의 성능 향상을 가져왔다. 내부 256비트, 외부 64비트의 데이터 버스 구조를 갖는다.


CRAD: cell relay assembler/disassembler


CRT(Cathode Ray Tude:음극선관): 인간의 눈으로 모든 사물을 볼 수 있는 것은 사물이 가지고 있는 색을 우리가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며, 이것은 빛에 의해서 가능해진 것이다. CRT는 우리가 필요로 하는 정보 즉 문자나 그림 등을 TV나, 컴퓨터로 출력시키는 데 이용되는 장치로서, 컴퓨터에서는 모니터의 화면을 지칭한다. CRT는 독일의 브라운(Braun)이라는 과학자에 의해 완성되었기 때문에 브라운관으로도 통하며, CRT보다 브라운관이라는 말이 오히려 더 잘 알려져 있다.


CSMA/CD: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의 약자. 이더넷을 사용하는 전송로 제어방식(MAC 프로토콜)이다. 단어 뜻은 반송파 감지 다중 액세스/충돌검출. 전송로는 논리적으로 버스형.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하는 단말기가 전송로를 감시해서 신호의 유무를 조사, 신호가 송출되고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하고 데이터를 송출한다. 데이터 충돌을 검출하면 임의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재전송한다.


CSMS/C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의 약자. WaveLAN을 시작으로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 LAN 시스템에서 많이 채용하는 액세스 방식. 송신하기 전에 전파 캐리어가 있는지(다른 단말기가 송신하고 있는지)를 판별해 비어 있으면 송신한다. 데이터 충돌을 검출하는 CSMA/CD보다도 간단한 방식이다.


DAC: (1)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igital-to-analog converter). (2)계산기 증보식 설계(designed augmented by computer).


DAMA: demand assigned multiple access


DASD: 직접 접근 기억 장치(direct access storage device). 데이터의 판독, 기록 시간과 데이터의 기억 위치 사이에 실용상의 상관 관계가 없는 기억 장치로,전형적인 예를 들면 자기 디스크 기억 장치,자 기 드럼 기억 장치나 자기 데이터 셀 기억 장치 등이 있다. 이들은 어떤 목적의 정보를 호출하는데 마치 책의 페이지를 찾는 것과 같이 색인을 만들어두고 임의 호출한다. = random access memory


data(데이터): 인간이 식사를 함으로써 필요한 영양분을 섭취하듯이 컴퓨터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원하는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정보와 데이터의 차이점을 보면 데이터는 인간이나 컴퓨터가 통신, 해석 및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형성된 사실 및 개념의 표현을 어떠한 조건, 값 또는 상태로 나타내는 숫자나 문자이며, 정보는 데이터의 표현에 적용되는 특정의 명확한 약속에 의하여 인간이 데이터에 부여한 의미이다. 예를 들어 시험을 본 후 각 과목의 성적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실행하였다고 할 때 각 과목의 성적은 데이터가 되고 평균 즉 얻고자 했던 값은 정보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석차를 구하고자 할 때는 조금전 프로그램에서의 정보였던 평균이 데이터가 되어 새로 원하는 정보, 즉 석차를 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컴퓨터에 의해 출력된 정보는 다른 정보를 구하기 위한 데이터로 사용될 수도 있다.


database(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란 상호 연관된 데이터의 집합으로 어느 특정 조직의 응용 시스템들을 공동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통합 저장된 운영 데이터의 집합이다. 그리고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DBMS(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라 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친구들의 주소, 성적, 취미, 특기 등에 관한 사항을 정리한다고 하자. 이를 단순한 각각의 파일로 작성한다면 수영을 같이 갈 친구를 찾을 때 일일이 친구들의 파일을 살펴 취미나 특기가 수영인 사람을 찾아야 한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는 각각의 파일이 단순하게 자료 보관 정도의 의미 밖에 가지지 못하지만, 이를 데이터베이스로 작성해 두면 '취미나 특기가 수영인 친구를 찾아라'라고 명령을 내려 수영을 좋아하는 친구들의 목록에서 수영을 갈 친구를 쉽게 찾을 수 있다.


DATA BUS: CPU와 기억장치및 주변장치들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전송로


data communication(데이터 통신): 서로 떨어진 기계와 기계간의 정보의 수집, 가공, 처리, 저장, 분배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방식을 데이터 통신이라고 한다. 특히, 여기서의 기계는 컴퓨터가 주역이므로 데이터 통신을 컴퓨터 통신이라고도 한다.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인 음성통신(전화)이 단순히 음성의 전달에 의미를 두었던 것에 비해 데이터 통신은 컴퓨터에 의한 데이터의 처리까지 가능하게 하는 디지털 방식의 통신이다. 데이터 통신의 구성은 컴퓨터, 통신용 소프트웨어, 시리얼 카드, 모뎀, 전화선(통신회선)으로 이루어진다. 전송 과정을 보면, 전화선에 전화기 대신 컴퓨터를 연결하여 컴퓨터에서 생성된 디지털형의 데이터를 시리얼 카드에서 송신에 맞게 고치고, 디지털형의 데이터를 모뎀에서 아나로그형으로 바꾸어 송신을 한다. 그러면 다시 상대방의 모뎀에서 아날로그형의 데이터가 디지털형으로 바뀌고, 시리얼 카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여 최종적으로 컴퓨터가 데이터를 받아들이게 된다.


DB: database


DBMS: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data base management system). 데이터의 추가, 변경, 삭제, 검색 등의 기능을 집대성한 소프트웨어 패키지.


dbMAGIC: Brieve를 이용해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솔루션. DB2


DC: data circuitterminating equipment


DCE: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DDE: Dynamic Data eXchange의 약자. 윈도우즈 상의 복수 애플리케이션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능.


DDI계 셀룰러 전화회사: 일본 제2전전(DDI)이 설립한 휴대/자동차 전화회사의 그룹. 관서셀룰러, 중셀룰러, 4국셀룰러, 9주셀룰러, 북륙셀룰러, 동북셀룰러, 북해도셀룰러, 충전셀룰러의 8개사이다.


DDP: datagram delivery protocol


DDX: digital data exchange


deadlock(교착상태): 자동차를 타고 시내를 다니다 보면 서로 양보하지 않아서 교통이 막혀 버리는 것을 종종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교통체증과 비슷한 현상이 컴퓨터에서도 가끔 일어나는데, 이러한 상태를 교착상태라고 한다. 교착상태는 한 번에 한가지의 프로그램만을 실행시키는 개인용 컴퓨터(PC)에서는 일어나지 않고,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중 프로그래밍 컴퓨터에서만 발생하게 된다. 교착상태에 빠지면 프로그램들이 더 이상 수행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운영체제(OS)에서 프로세스에 우선 순위를 주는 등의 해결 방안을 가지고 있어야 교착상태를 풀 수 있다.


debugging(디버깅): 오류를 수정한다는 뜻으로, 작성된 프로그램 상의 잘못된 부분을 찾아내어 이를 정정하는 것 즉, 버그(bug)를 제거하는 작업이다. 컴퓨터는 한치의 실수도 없는 완벽성을 지향하는 기계이다. 그러나 이를 움직이고 쓸모있게 해 주는 것은 사람이 설계, 작성한 프로그램들이다. 사람이란 기계와 달라서 실수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실수가 없는 완벽한 프로그램의 작성이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렇듯 프로그램의 제작 과정에서 일어나는 실수를 버그라 하고 이를 찾아 내어 정정하는 것을 디버깅(수정작업)이라 한다. 디버깅은 먼저 프로그램의 작성시 시뮬레이터(오류수정기) 등을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보고 실수의 유무를 확인한다. 또한 신텍스(문법) 상의 오류 등과 같은 시스템에 관련된 실수의 유무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일반적으로 오류수정 과정은 기계를 넣기 전에 수작업을 거치게 된다. 일반적으로 오류수정 과정은 기계를 넣기 전에 수작업을 통하여 확인하는 과정과 컴퓨터를 이용한 검사, 실제로 데이터(자료)를 사용해 보는 조사 등 3단계로 나누어 진행된다.


DEC: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1957년에 올슨에 의해 설립.


decode(해독): 'decode'라는 단어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해독'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해독이란 암호를 푼다는 뜻이다. 컴퓨터에서 해독이라는 용어가 존재한다는 것은 컴퓨터도 암호를 사용한다는 말이 된다. 사실 컴퓨터가 사용하는 암호란 일종의 변형된(그 형식이 바뀐) 데이터를 말한다. 컴퓨터 내부에서 일어나는 일을 살펴보면 어느 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으로 데이터가 옮겨질 때 보내는 쪽은 이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받는 쪽은 해독을 하게 된다. 이런 과정을 거치는 까닭은 마치 군인들이 멀리 떨어진 아군과 무전 교신을 하는 것과 비슷하다. 예를 들어 '적군이 공격해 온다. 우리 부대로 증원군을 빨리 보내달라.'라는 내용을 무전으로 '뚜뚜 따따'로 보내면 23자의 말을 단 4자의 말로 전달할 수 있다. 컴퓨터도 이처럼 간단하고 신속하게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보통의 데이터를 암호화하기도 하고 해독하기도 한다. 특히 인터넷 메일의 경우 encode와 decode를 많이 사용한다.


default(디폴트): 디폴트(default)란 '의무를 이행하지 않는 것'을 뜻하는 단어이다. 그러나 컴퓨터 용어로서의 디폴트는 '기본'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처음 컴퓨터가 등장했을 때 컴퓨터는 마치 갓 태어난 아기와 같은 존재였다. 그러다 보니 컴퓨터가 제대로 움직이려면 사람이 하나 하나 세세한 일들을 전부 직접 조작해야만 했다. 그 당시에는 컴퓨터를 다루는 사람이 컴퓨터를 직접 조작하는 일이 일종의 의무라고 생각되어졌다. 예를 들면 컴퓨터의 전원을 켜고 나서 컴퓨터에 모니터가 연결되었으면 1번 스위치를 눌러서 컴퓨터에게 연결되어 있다고 알려주고, 프린터가 연결되어 있으면 2번 스위치를 눌러주는 등의 번거로운 일을 해야만 했다. 그러나 PC 사용자는 앞에서 설명한 일들을 하지 않아도 된다. 그 이유는 그것들을 컴퓨터가 기본적으로 알아서 해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폴트란 단어의 의미는 컴퓨터가 '기본'이라는 초기 환경을 제공함으로 인해 사용자가 의무를 이행하지 않는다로 풀이된다.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흔히 디폴트값이란 말을 듣게 되는데, 이것은 사용자가 값을 따로 지정하지 않았을 때 기본으로 정해져 있는 값을 말한다. 이 값은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도 있는데, 디폴트값을 바꿔 놓으면 그 다음부터는 바? 값이 디폴트값이 되는 것이다.


demo(demonstration:데모): 자신들의 권리와 이익을 지키기 위해 사회 각 분야에서 데모를 한다. 본래 데모는 돌을 던지고, 최루탄을 쏘는 폭력이 아니며 '일치된 구호를 외치며, 피켓 등을 들고 거리를 행진'하는 등의 적극적이며 전시적인 방법으로 여론을 형성하는 민주주의의 한가지 방법이다. 다시 말해서 자신 이외의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을 가장 잘 알릴 수 있는 수단 중의 하나로써 데모를 하는 것이다. 그런데 묘하게도 데모는 컴퓨터에서도 벌여지고 있다. 컴퓨터에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그 프로그램의 특징과 주요 내용 등을 사용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그래픽 화면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게임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입력시키면 실제로 게임에 돌입하기 전에 그 게임의 가장 재미있는 화면이 나타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게임의 내용을 대충 알려준다. 이러한 화면을 데모 화면이라 하며 데모 화면을 만들어 주는 게임 내의 프로그램을 데모 프로그램이라고 한다. 데모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사용자에게 그 프로그램의 이용 욕구를 유발시키는 -우리가 알고 있는 데모처럼- 촉진제의 역할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바로 전에 데모 화면을 보여줌으로써 입력시킨 프로그램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device(장치): 디바이스를 우리말로 풀이해 보면, '어떤 특정한 목적을 위해 조립된 기기' 또는 '특수한 기능이 있는 부품이나 기기'를 뜻한다. 컴퓨터에서 그림을 그리기 위하여 그래픽 프로그램을 사용한다고 가정하자. 이 때 키보드 대신 마우스를 이용하여 그림을 그린다면 컴퓨터의 입력 디바이스는 마우스이며 그려진 결과를 프린터로 인쇄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출력 디바이스는 프린터이다. 만약 프린터로 인쇄시키기 위하여 인쇄 명령을 내렸지만 컴퓨터의 본체와 프린터가 올바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모니터에는 'I/O device error (입/출력 디바이스 에러)'라는 메시지가 나타나게 된다. 즉 입력 또는 출력에 필요한 장비(여기서는 출력 장치인 프린터)에 이상이 생겼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의 약자. 클라이언트 작동시에 IP 어드레스 등을 자동적으로 할당하기 위한 프로토콜. BOOTP라는 프로토콜의 확장판. RFC(Request For Comments) 1541에 기술되어 있다. IP 어드레스 외에 디폴트 게이트웨이나 네임 서버 등의 어드레스도 통지할 수 있다.


digital(디지털) 및 analog(아날로그): 우리의 일상생활과 항상 공존하는 시간이나 온도 등을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양, 다시 말해서 각도나 길이 등으로 나타내는 표현 방법을 아날로그라고 한다. 그리고 이에 대응되는 개념으로 디지털이 있는데, 이것은 변화를 불연속적인 수치로 나타내는 표방법을 말한다. 예를 들어 태엽의 힘을 이용하여 시간을 바늘의 회전각으로 표시하는 보통의 시계가 아날로그 방식이라면, 수치적인 변화를 숫자로 표시하는 전자시계는 디지털 방식의 시계이다. 시계를 생각해 보면 알 수 있듯이 아날로그는 전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낼 때는 편리하지만, 디지털에 비하여 정확도 등이 뒤떨어진다. PC는 거의 디지털 컴퓨터이지만 특수한 분야에서는 아날로그 컴퓨터가 사용되고 있다. 아날로그 컴퓨터는 연속적인 물리량에 의하여 나타나는 자료를 입력시키며 그 출력 결과는 그래프, 전압이나 전류값 등의 아날로그량으로 출력된다.


DINA: distributed information processing network architecture


DIP(Dual In-line Package switch:딥 스위치): 하드웨어의 변경없이 사용자가 회로의 기판 상에서 기능을 임의로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도록 컴퓨터 내부의 기판(메인 보드나 카드 등)에 설치된 작은 스위치의 무리를 딥 스위치라고 한다. 딥 스위치는 모든 기판에 장착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제조 회사에서 회로 설계상 특정 목적을 사용자에게 부여하기 위해서 장착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 용량이 512KB인 A사의 컴퓨터와 B사의 컴퓨터가 있다고 가정하자. A사의 컴퓨터는 메모리를 확장시킬 수 있는 확장 공간과 딥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B사의 컴퓨터는 확장 공간과 딥 스위치가 없다. 이 때 두 컴퓨터의 메모리를 640KB로 확장시키는 방법을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A사의 컴퓨터는 램칩(RAM chip)을 시중에서 구입하여 확장 공간에 삽입시킨 뒤 딥 스위치를 컴퓨터의 사용설명서에 명기된 대로 조절하면 간단하고 저렴하게 메모리를 확장시킬 수 있다. 반면 B사의 컴퓨터는 램칩의 추가에 의한 메모리의 확장은 불가능하며 램칩보다 가격이 비싼 메모리 확장 카드를 별도로 구입하여 컴퓨터 내부의 비어있는 슬롯(그래픽 카드나 디스크 컨트롤러 등을 끼우는 곳)에 끼워야 한다. 그런 다음 메모리 확장카드에 장착된 딥 스위치를 컴퓨터의 기종에 맞게 조절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와 같이 딥 스위치는 사용자에게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컴퓨터 구입시 딥 스위치의 유무 및 역할을 유심히 살펴 보아야 한다.


directory(디렉토리): 디렉토리는 사람의 이름, 주소 등을 묶어 놓은 주소성명록 또는 인명록 등으로 풀이되는데, 16비트 개인용 컴퓨터의 운영체제인 도스(DOS)에서는 파일이라는 용어와 함깨 도스를 관장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개념이다. 파일을 일정한 자료를 모아 놓은 데이터의 집합체로 본다면, 디렉토리는 이러한 여러 개의 파일을 정리, 보관해 놓는 용기라고 할 수 있다. 컴퓨터의 보조기억장치인 디스크에 정보를 저장할 때 자료는 파일 단위로 저장되는데 이러한 파일의 묶음을 디렉토리라고 한다. 우리가 사용하는 서류를 데이터라 한다면, 서류 여러 장의 묶음은 파일에 비유할 수 있다. 그리고 서류 뭉치 여러개를 담아 놓은 상자는 디렉토리, 이들 상자를 보관하는 캐비넷은 디스크와 대응시킬 수 있다. 우리가 캐비넷에 들어 있는 자료 중 원하는 것을 꺼내려면 먼저 캐비넷을 열고 그 속에 있는 상자를 차례대로 열어 보아야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컴퓨터에서도 필요한 자료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원하는 파일이 들어 있는 디스크내의 디렉토리로 들어간 다음 그 안에 든 여러개의 파일들 중에서 원하는 파일을 찾아야 한다. 디렉토리의 구조는 최초의 디렉토리인 루트 디렉토리와 이에 뿌리를 둔 하위 디렉토리인 서브 디렉토리로 이어진다. 서브 디렉토리는 정보를 담고 있는 디스크를 작은 저장 영역으로 분할해 줌으로써 파일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즉, 주제별로 디렉토리를 만들고 그 아래 소주제에 대한 서브 디렉토리를 나눈다. 이와 같은 계층적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많은 자료를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disk(디스크 혹은 diskette 디스켓): 디스크란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컴퓨터의 메모리 내에서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을 때 이것을 보관하기 위해 사용하는 일종의 컴퓨터 창고라고 할 수 있다. 즉, 어떤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사용하다가 다른 일을 처리해야 한다거나 따로 저장할 필요가 있을 때 현재 사용중인 프로그램을 보관하기 위해 사용하는 보조기억장치이다. 이것은 마치 우리가 필요한 일들은 메모지나 공책에 적어 기억하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즉, 우리의 기억력라는 것은 편리하기는 하지만 기억할 수 있는 일과 시간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종이라든지 공책이라는 보조 기구를 이용하여 잊어서는 안될 중요한 일들을 메모해 둔다. 마찬가지로 컴퓨터에서도 오래 보관해야 하는 자료나 데이터는 보조기억장치라는 것을 따로 사용하여 보관한다.(여기서 메모지나 공책에 해당하는 것이 바로 보조기억장치이다.)


display(도형표시장치): 도형표시장치는 사용자에게 컴퓨터가 알리려는 내용을 화면으로 보여주거나 입력하는 내용이 컴퓨터에 제대로 전달되었는지 사용자가 화면을 통해 볼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PC를 구성하는 여러가지 주변 장치 중에 하나로 모니터가 있다. 현재 모니터 없이 PC를 사용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만약에 모니터가 없으면 키보드에서 누른 키가 제대로 컴퓨터로 입력되었는지 처리한 결과를 전혀 알 수 없기 때문에 PC는 있으나마나한 존재가 되어 버린다. 이러한 모니터의 역할을 하는 장치를 도형표시장치라고 한다. 도형표시장치로는 CRT(Cathode Ray Tube), VDT(Video Display Terminal), 액정디스플레이 등이 있다.


DLCI: Data Link Connection Identifier의 약자. 프레임 릴레이에서 사용하는 상대편 식별자. 프레임 릴레이용 프레임의 해더(어드레스 필드)에 들어 있다. 이것을 사용해 1개의 물리회선 중에 복수의 논리회선을 설치할 수 있다.


DLL: dynamic link library


DLS: data link switching


DMA: 직접 메모리 접근(direct memory access).


DME: distributed management environment


DMI: PC나 프린터 등을 관리하기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 DMTF가 사양을 작성했다. 관리대상은 PC 본체, LAN 보드, 프린터, 모뎀, 주변기기, 소프트웨어 등이다.


DMTF: Desktop Management Task Force의 약자. 데스크 톱 관리용 API의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는 단체. 1992년에 IBM, 인텔, 썬 마이크로소프트, 시놉틱스 커뮤니케이션즈, 디지털 이큅먼트, 노벨, 휴렛팩커드, 마이크로소프트 등 8개 사가 설립했다. 1994년 4월에는 표준 API로 DMI(Desktop Management Interface) 버전 1.0의 사양을 통합 정리했다. 현재 약 300사가 참가하고 있다.


documentation(도큐멘테이션, 문서화): 문서화란 일반적으로 하나의 프로젝트를 구축하는 데 있어서 시스템의 설계, 세부적인 설계, 프로그램의 완성 단계까지의 개략적인 과정을 문서로 작성하는 것을 말한다. 즉, 하나의 일이 어떻게 시작되어 어떻게 진행되며 어떻게 끝나는지를 구체적으로 적어, 문서만 보면 누구든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체계화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어떤 일에 대해 담당자가 바뀌더라도 문서에 의해 인수, 인계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관리자가 시스템을 파악하고 관리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도큐멘트라는 의미가 조금 다르게 사용되는데, 그것은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담고 있기는 하지만 대체로 그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한 설명서의 의미를 담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파일명 중에 확장자가 .dos인 것은 대부분 프로그램의 도큐멘트에 해당하는 것으로, 처음 프로그램을 작동한다든지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가 잘 되지 않을 경우 이 도큐멘트를 프린터로 뽑아 한 번쯤 읽어보는 것이 프로그램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DOS(Disk Operating System: 운영체제): 도스란 PC에서 주로 디스크와 관련된 컴퓨터의 작동을 감시하고 지시하는 운영 시스템을 말한다. 사실 컴퓨터는 인간이 만든 가장 강력한 도구중의 하나이긴 하지만 인간이 직접 컴퓨터의 하드웨어(기계)를 제어할 수 없다. 그러므로 기본적으로 운영 시스템이라는 일종의 프로그램이 인간을 대신하여 컴퓨터의 하드웨어를 제어하게 된다. 도스가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기능은 현재 사용중인 플로피 디스크 혹은 하드 디스크의 어느 부분에 입력 데이터를 저장시키고 사용중인 디스크의 데이터 중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어떻게 빨리 쁹아 출력시킬 것인지를 일일이 간섭하고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도스는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기능도 있는데, 이것은 프로그램을 디스크에서 읽어 실행시키기까지의 모든 환경을 준비하는 것으로 프로그램이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과 디스크 공간을 체크, 현재의 상태에서 실행 가능한지를 점검한다. 이외에도 도스는 명령어를 처리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사용자가 컴퓨터에게 어떤 명령을 내렸을 때 그것이 어떤 명령어인지를 해석하는 것으로, 바로 이 도스의 명령어 처리 기능에 의해 우리가 컴퓨터에 내린 명령어가 실행되는 것이다. 결국 도스란 하나의 딱딱한 기계에 불과한 컴퓨터를 정말 컴퓨터답게 만드는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DOS 호환박스: 윈도우즈 상에서 도스 애플리케이션을 작동하기 위한 구조. 윈도우즈 상에서 독립된 8086 머신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윈도우즈를 기동하기 전에 도스의 상태가 호환박스에 복사되고 그 위에 도스 애플리케이션을 읽어 들인다. 그 때 윈도우즈의 상주부가 그 사이에 들어간다. 메모리 용량이 허용하는 한 여러 도스 애플리케이션을 가동할 수 있다.


dot(점): 컴퓨터 모니터의 화면은 수십만개의 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점들이 모여 글자나 그림이 만들어진다.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해상도가 640*200이나 320*200이라는 말을 듣게 되는데, 이것은 컴퓨터가 모니터에 화면을 구성할 때 몇 개의 점을 가지고 한 화면을 구성하는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앞의 수치는 가로 점의 수를, 뒤의 수치는 세로 점의 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흑백 모니터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허큘리스 그래픽 카드는 720*348이다. 이와 같이 나타낸 점의 수치를 해상도라고 하는데, 해상도는 화면의 선명도와 일치한다. 즉, 많은 점으로 구성될수록 해상도가 높아 보다 선명한 화면이 제공된다. 이러한 도트는 픽셀(pixel) 또는 화소라는 말로 불리우기도 한다.


down load (다운 로드): 모뎀과 시리얼 카드 등의 주변 기기들을 이용하면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컴퓨터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데, PC 통신의 경우 전자 게시판이라는 것이따로 있어 마치 게시판에 공고문을 붙이듯 필요한 메시지를 남기기도 하고 프로그램들을 올려 놓기도 한다. 전자 게시판은 필요하면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는 컴퓨터 통신의 한 영역으로, 이 곳에는 누구나 자신의 프로그램이나 여러 사람에게 알리고 싶은 공지 사항들을 게시할 수 있다. 그리고 게시판에 올려 놓은 프로그램 중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프로그램이 있을 경우에는 그 프로그램을 자신의 컴퓨터에 있는 디스크로 복사시킬 수도 있다. 이처럼 전자 게시판에 있는 프로그램 등의 정보를 자신의 컴퓨터로 가져오는 것을 다운 로드(down load)라 한다. 그리고 반대로 자신의 프로그램을 전자 게시판에 올려 필요한 사람들이 읽고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업 로드(up load)라 한다.


Downsizing: 예전에는 시스템을 통합하기 위해 중앙컴퓨터와 단말기를 이용했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해 모든 중요한 기능들을 중앙컴퓨터에 집중시켜 놓았다. 그러나 요즘 들어 PC의 성능이 발전하면서 중앙컴퓨터에서 수행하던 연산과 제어 기능 일부를 PC로 옮겨 수행해 정보처리의 효율을 높이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다운사이징이 실현되면 중앙컴퓨터가 고장으로 정지하거나 하는 등의 오류가 발생했을 때 모든 업무가 마비되는 단점을 극복, 중앙컴퓨터의 의존성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동적 램): 컴퓨터의 주기억장치에 사용되는 기억소자의 일종이다. DRAM은 콘덴서의 전하 충전 기능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므로 전원을 끄지 않아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콘덴서에 충전된 전하가 서서히 방전되어 RAM에 기억된 내용이 소멸된다. 따라서 수 ms(mili second: 1/1000초) 마다 똑같은 데이터를 써넣는 동작이 필요하며 이러한 동작은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DRAM은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에 비하여 회로가 간단하고 소비 전력이 적으며 동작 속도가 빠르고 집적도가 높으며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대용량 기억장치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drive(드라이브): 드라이브는 컴퓨터의 보조기억장치인 플로피 디스크 혹은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를 작동시켜 주는 장치이다. PC에서는 주로 디스크 드라이브를 통칭하는 말로 디스크에 기록된 내용을 컴퓨터 내부로 읽어 들이는 역할을 한다. 드라이브는 디스크의 작동과 함깨 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도 하는데, 디스크를 드라이브에 삽입시킴으로써 컴퓨터와의 대화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드라이브의 구조는 이를 움직이는 모터와 자료를 저장하고 읽어 들이는 기록 재생용 헤드 그리고 부가적인 전기기기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디스크 드라이브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복잡한 동작을 하고 있는데, 이러한 모든 동작은 부가되어 있는 전자회로를 통한 컴퓨터의 지시에 의해 제어된다.


DS-3: 미국의 고속 디지털 회선의 하나인 T3 회선(45Mbps)의 하이어라키.


DSI: digital speech interpolation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는 그 동안 컴퓨터를 주도해 왔던 CPU 대신에 동화상이나 음성, 음향, 정지화상 등과 같은 아날로그 데이터를 처리하는 새로운 하드웨어 처리기로 자리잡고 있는데 즉, 논리적인 연산을 수행하는 데는 CPU가 월등히 빠르지만, 아날로그를 샘플링한 자료를 처리하는 데는 DSP가 CPU보다 빠른 속도를 보인다. 수치연산을 위해 이용하는 코프로세서처럼 아날로그 자료 처리를 전문적으로 해주는 처리기의 역할을 한다. DSP를 PC에서 사용하면 통신, 영상처리, 음악, 잡음제거, 음성인식, 음성합성, 비디오, 전화기, MPEG 오디오등을 하나의 보드로서 처리할 수 있다.


DSP: Digital Signal Processer의 약자.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TE: data terminal equipment


DTP(Desk Top Publishing: 탁상 출판): DTP란 책상 위에 올려 놓을 수 있는 크기의 컴퓨터(Desk Top)를 이용하여 출판 을 하는 탁상 출판을 일컫는 말이다. 지금까지 하나의 인쇄물이 나오는 데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치고 있다. 원고 작성 - 원고를 입력할 곳으로 보냄(사진 식자 혹은 활판인쇄 등) - 출력된 원고를 이용하여 편집(사진, 그림 등 첨가물은 별도의 제작 과정을 거치게 됨).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하여 편집이 완료된 원고는 인쇄소로 보내짐으로써 비로소 완전한 인쇄물의 형태를 갖추게 된다. 컴퓨터를 이용한 탁상 출판은 기존의 출판 형태에 변혁의 바람을 몰고 온 1인 출판 체제이다. 즉, 개인용 컴퓨터를 가지고 탁상 출판용 소프트웨어를 이용, 개인이나 소규모 단체의 출판 분야에서 원고작성, 편집, 인쇄과정 등을 일괄적으로 처리해 줄 수 있게 하는 출판시스템이다. 본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입력 및 출력장치로 구성된다. 입력장치로는 원고의 내용을 입력하기 위한 단순 입력기와 이를 편집하는 데 필요한 편집기가 필요하다. 출력장치로는 레이저 빔 프린터(LBP)가 주로 이용된다. 탁상 출판은 컴퓨터를 출판에 이용한다는 점에서 전자 출판시스템 (Electronic Publishing System)이라고도 하지만 이는 탁상 출판의 한 분야에 불과하다.


dump(덤프): 일반적으로 컴퓨터에 입력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그 내용을 출력시켜 보는 일을 덤프라고 한다. 그리고 중요한 파일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기억장치로 파일의 내용을 복사하는 작업을 덤프라고 한다.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기억장치에 입력되기 때문에 덤프를 하기 위해서는 메모리에서 프로그램을 불러오게 된다. 따라서 덤프라는 말보다는 메모리 덤프라는 말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 확인 작업을 덤프라고 부르는 이유는 덤프 트럭에서 유래되었다. 포크레인으로 여러 차례에 걸쳐 흙을 퍼서 덤프 트럭에 싣는다. 흙을 다 실으면 덤프 트럭은 토사장(흙을 버리는 곳)에 가서 흙을 버리게 되는데, 덤프 트럭은 흙더미가 실린 적재함을 간단히 들어올려서 쏟아 부을 수 있다. 이런 작업을 덤프라고 하며, 덤프가 되는 트럭이기 때문에 덤프 트럭이라고 불리워 진다. 컴퓨터에서도 포크레인으로 여러 차례 흙을 실어담듯 일일이 키보드로 입력시키고, 프로그램을 확인시키기 위해 프로그램의 리스트를 출력시켜 보면, 덤프 트럭이 한꺼번에 흙을 쏟아붓는 것과 마찬가지로 프로그램의 리스트가 두루마리 휴지 풀리듯 쫘악 쏟아져 나온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프로그램 내용을 출력시켜 보는 작업을 덤프라고 하게 된 것이다.


DXI: Data eXchange Interface의 약자. ATM 포럼이 정한 비 ATM 단말기용 인터페이스의 사양. ATM용 DSU간의 인터페이스이다. 물리 인터페이스와 프레임 사양이 정해져 있다. 물리 인터페이스로서는 V35, X21, HSSI를 이용할 수 있다.


EBCDIC: 확장 2진화 10진 코드(extended binary coded decimal interchange code). 4비트로 숫자 한자리를 표현하는 BCD코드 확장.


ECL: emitter coupled logic. 전류 스위치형 논리. 양극 구조의 트랜지스터 이용. 고속 논리 연산 실행.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전자데이터 교환 또는 전자서류교환이라고 하며 때로는 전자동거래라고도 한다. 전자데이터교환이란 기업간의 거래에 관한 데이터를 정형,표준화하여 컴퓨터통신망을 통해 거래당사자의 컴퓨터사이에서 직접 전송신호로 주고받는 것을 말한다. EDI시스템이 도입되어 기업간의 거래가 EDI화되면 한기업이 거래가 있는 다수의 기업 또는 관련 하청업체,대리점 등과 거래서류를 지면이 아닌 전자적 신호로 바꿔 컴퓨터통신망을 통해 주고 받게 되므로 서류의 작성과 발송을 비롯하여 거래선으로 부터의 서류정리절차 등 번거로운 사무처리가 제거되는 소위 paferless trade(종이없는 기업거래)를 실현하게 되며 처리시간의 단축,비용의 절감 등 데이터(자료,서류)의 유통이 신속,원활하게된다. EDI는 통신시장에서의 VAN(부가가치통신망)사업의 핵심사업으로 미국과 유럽에서는 이미 84년부터 상용서비를 시작하였고 우리나라에서는 87년에 대우자동차가 미국의 거래선인 GM(제너럴모티스)사와 EDI거래를 시작한것과 88년 10월에 한국 데이터통신이 미국의 마틴마리에타사와 국내 EDI 테스트를 한것이 최초로 현재는 KTNet을 중심으로 종합무역자동차 프로젝트가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EDI를 도입할 때 기술적으로 문제가 되는것은 거래의 내용이나 조건이 판이한 모든 업종간에 통용될수 있는 통신프로토콜의 통일이다.


edit(편집): 편집이라는 것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어떤 문서를 작성하거나 흩어져 있는 여러 자료들을 필요한 형식에 맞추어 재배열하는 것을 말한다. 즉, 우리가 워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어떤 문서를 작성하는 것도 편집이라고 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데이터를 추가하고 삭제하는 것도 편집이라 한다. 또한 작성된 문서나 자료를 화면이나 프린터로 출력시키기 위해 그 양식을 지정해 주는 것 역시 편집이라 한다. 결국 넓은 의미로는 컴퓨터상에서 어떤 하나의 결과를 도출시키키 위해 행하는 모든 과정이며 좁게는 단순히 워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하나의 문서를 작성하는 작업 자체를 부르는 것이다(후자의 의미로 쓰이는 것이 더 일반적이다). 그리고 이 때 편집을 하기 위해 이용되는 워드프로세서 등의 편집 도구를 편집기 또는 에디터(editor)라고 한다.


EDPS(Electronic Data Processing System: 전자 자료 처리 체계): 사무, 관리, 경영, 과학, 기술 등에 관련된 모든 자료와 정보를 컴퓨터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시스템 체계를 말한다. EDPS는 단순한 수치의 계산 뿐만 아니라, 넓은 의미의 정보 처리인 자료 및 정보의 분류, 비교, 판단, 추정 및 논리적인 처리까지 포함한다. 따라서 EDPS가 적용되는 사업체에서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기업의 데이터(매상이나, 수입 등)에 대한 수치 계산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사업 전망 및 시세까지 예측하여 경영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끌어낼 수 있으므로, 기업 활동에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것이다. electronic mail(전자 우편) 우리 인간은 서로의 의사를 상대방에게 전달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먼 옛날부터 봉화나 파발마 또는 인편을 통해서 편지를 주고 받았다. 그 후 영국에서 우편이 개발되면서 전문 집배원이 생겨나 우표를 이용한 우편이 발달하게 되었고, 이후로 지속적인 우편의 발달로 오늘날에는 집배원이 필요없는 전자우편이 생겨나기까지 하였다. 전자우편이란 자신의 의사 전달을 지금까지 설명한 방식과는 그 차원이 다른 전자적인 이론과 구조를 이용한 무인 우편에 기초를 하고 있다. 전자우편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화상전화 방식, 아마추어 무선사들이 사용하는 패킷 통신 및 컴퓨터를 이용한 PC 통신 등을 들 수 있다. 화상 통신은 TV와 유사한 기기를 이용하여 의사를 소통할 수 있는 방식이며, 패킷 통신은 무전기의 전파와 컴퓨터를 이용하여 음성이 아닌 여러가지 정보를 무선으로 교환하는 것이다. 컴퓨터 통신은 컴퓨터와 일반 전화선을 연결해서 음성이 아닌 문자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형태의 통신 - 우편, 동호회, 회의 -을 즐길 수 있는 것으로, 컴퓨터가 대량으로 보급되고 있는 요즘은 PC 통신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의 가장 대표적인 전자우편은 PC 통신이다.


EGA: enhanced graphics adapter. IBM PC를 위한 그래픽 카드의 일종.


EGP: exterior gateway protocol


EIA/TIA: 미국의 전자공업회와 통신공업회. 1985년에 EIA는 CCIA(The Computer Communications Industory Association)의 의뢰로 구내배선 규격 개발을 개시했다. 1988년에 EIA의 통신부분이 TIA로 분리, TIA가 EIA의 지원을 받으면서 규격의 작성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그 때문에 EIA/TIA라고 표기한다


EIA: electronics industries association


EISA: Extended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의 약자. PC의 버스 규격. 마이크로 채널에 대항해서 컴팩, AST 리서치, HP, 인텔 등 IBM PC/AT 호환기 메이커가 1988년에 발표한 32비트 버스 규격. PC/AT 버스와 호환성이 있다.


E-MAIL(Electronic Mail): 기존의 통신 수단인 우편이나 전화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정보 통신 기술의 한 가지. E-MAIL은 우체국의 사서함 방식을 응용한 전자사서함으로 이용자 각자가 사서함을 할당받아 통신망을 통해 원하는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전달받는 것을 말한다.


EMBARC: Electronic Mail Broadcast to A Roaming Computer의 약자. 페이저 서비스를 사용해서 PC 등에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페이저를 PC 등의 단말기에 접속함으로써 단말기에서 정보의 검색, 가공이 가능하다. 미국 모토로라가 RS-232C 등의 인터페이스를 사용, 무선 모뎀을 개발, 시판하고 있다.


EMS(확장메모리): EMS는 LIM이라고도 불리는데, LIM EMS는 Lotus/Intel/Microsoft Expanded Memory Specification의 약자이다. 즉, 메모리 확장보드에 관한 표준을 미국의 큰 회사인 로터스,인텔,마이크로 소프트사에 의해서 규정된 메모리를 사용하는 방법의 테크닉을 규정해 놓은 것이다.근래의 덩치가 큰 프로그램들은 거의 이 EMS를 지원하고 있다.그러나 이 사실만은 주지해야 한다.EMS는 도스가 사용할수 있는 메모리를 늘려주는 것이 아니다.즉, 모든 프로그램에서 메모리를 확장해서 사용할수 있는 것이 아니고, EMS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에서만 EMS를 이용하여 메모리를 풍족하게 사용할수 있는 것이다.예를 들면 우리가 많이 쓰는 한글 워드 프로세서(1.xx버전)같은 것들은 EMS를 지원하지 않는다. EMS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은 위에서 열거한 것들과 요즘 새로이 나오는 프로그램들이 대부분이다.


emulation(에뮬레이션: 모방):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때, 사용중인 컴퓨터의 입출력 장치 등의 조건이 실행 프로그램과 일치하지 않는다면 프로그램은 절대로 실현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 프로그램이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의 하나가 에뮬레이션이다. 에뮬레이션은 에뮬레이션 프로그램이라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것인데, 쉽게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리들이 즐기는 게임 프로그램의 대다수는 컬러 그래픽용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사실상, 단색 그래픽 방식의 컴퓨터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단색 그래픽에서 컬러 그래픽을 모방하는 에뮬레이션 프로그램(simcga.com, magic.com 등)을 게임 프로그램 실행 전에 미리 실행시키면 컬러 그래픽으로 된 게임도 단색 그래픽의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에뮬레이션은 단색 그래픽에서 컬러 그래픽이 실현되는 환경만을 흉내내는 모방 기법인 것이다. 이외에 PC 통신에서 PC를 통신 단말기처럼 꾸며주는 통신 에뮬레이션 프로그램 등 컴퓨터 사용시 여러가지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에뮬레이션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Encina: OSF가 개발한 DCE 대응의 온라인 트랜젝션 처리 모니터.


END-USER(엔드 유저: 최종 사용자): 최종 사용자(END-USER)란 이미 누군가에 의해 만들어졌거나 개발되어 있는 여러 가지 프로그램들을 컴퓨터를 이용, 실제로 사용만 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컴퓨터와 관련된 일을 하는 사람으로는 크게 두 부류의 사람이 있다. 첫번째 부류는 컴퓨터를 직접 개발하고 운영하는 컴퓨터 전문가들인데 이들 전문가는 다시 사용자의 정보 요구에 기초하여 정보 처리 시스템을 설계하는 시스템 분석가와 시스템 분석가의 구체적 명세에 기초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프로그래머 그리고 컴퓨터에 여러 가지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입력시키는 오퍼레이터로 나눌 수 있다. 두번째 부류는 전문가들에 의해 만들어진 여러가지 응용 프로그램 중 자신이 필요한 프로그램의 사용법만을 익혀 이용하는 컴퓨터 사용자(최종 사용자)이다. 이들은 주로 최종 사용자라 불리는 일반 사용자들로, 회계담당자, 판매원, 기술자, 점원 또는 경영자 등과 같이 컴퓨터 또는 그것이 산출하는 정보를 사용하는 사람이 모두 여기에 해당된다. 이처럼 컴퓨터의 프로그램이나 시스템을 개발한다기 보다는 그저 컴퓨터를 업무의 일부분으로 사용하는 대부분의 현대인들은 이들 최종사용자 그릅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ENIAC(에니악): 에니악(ENIAC)이란 전자식 수치 적분 계산기(Electronic Numerical Integrator and Calculator)라는 뜻을 가진 단어의 머릿말을 인용해 만든 컴퓨터의 이름으로 세계 최초의 전자식 컴퓨터로 인정 받고 있는 기계이다. 에니악은 1946년 미국 펜실바니아 대학의 머클리와 에커드의 주도 하에 미 육군의 포탄과 미사일 탄도의 계산 등 국방 목적의 일을 수행하기 위해 고안된 초대형 컴퓨터이다. 무게 30톤, 크기는 가로 9미터, 세로 15미터의 방에 가득차는 이 기계는 무려 18000 여개에 달하는 진공관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엄청난 외관에도 불구하고 에니악의 성능은 계산기의 성능을 벗어나지 못한 수준의 것이었다. 그러나 당시로는 100명에 달하던 인원이 1년은 걸려야 해낼 수 있다고 여겼던 계산을 불과 2주만에 처리해 냄으로써 획기적인 전자장비로 인정을 받을 수 있었다. 에니악은 프로그램을 자체 내에 내장된 형태가 아니고 카드나 종이 테이프 등을 이용, 이를 읽어 들이는 방식을 취한 것이었으나 현재의 컴퓨터와 같은 2진법을 채용한 최초의 컴퓨터이다. 개발된 후 약 10년간의 명성을 누렸던 에니악은 현재 미국 워싱턴 소재 스미소니언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


EOF: (1)파일의 종료(end of file). (2)파일 종단 레이블(end of file lable). 운영 체제의 검지에 의한 정보 위치의 명시 및 데이터 블록 수의 기록에 의한 처리 확인 목적.


EOT: (1)end of transmission character. 데이터 통신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모든 전송이 완료한 것을 나타내 는 제어 문자. (2)end of tape. (3)end of text.


ES-IS: end system to intermediate system


ETSI: 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Expert Pad: Newton MessagePad의 샤프 제품. 기능은 공통이지만 모양은 다르다. 정식명칭은 Pi-7000.


expert system(전문가 시스템): 전문가 시스템은 인공지능의 한 응용분야로서, 전문가가 가지고 있는 전문 지식을 컴퓨터에 입력하여 컴퓨터가 마치 특정한 분야의 전문가처럼 주어진 문제에 대해 추론을 통해 해답을 제시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현재는 전문가 시스템은 의료 진단, 기계 고장 진단, 설계 지원, 광물 탐사 등에 사용되고 있다. 전문가 시스템은 어떤 물체에 대해 질문을 받으면 자신의 지식 베이스에 들어 있는 사실과 규칙을 토대로 추론을 하여 해답을 생성해 낸다. 예를 들어 의료 진단 시스템의 경우는 환자로부터 병의 증상을 입력받아 자신이 가지고 있는 의학적 지식을 토대로 하여 증상의 원인을 추론하고 적절한 처방을 제시하게 된다. 전문가 시스템을 이용하면 우선 실수가 없고, 휴식이 필요없는 등의 장점이 있으나 주변사항을 고려하지 않고 가장 적절한 처방을 내리기 때문에 무척 비싼 진료비를 내게 되는 단점이 있다.


FastEthernet: IEEE 802.3u 위원회가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고속 LAN 기술. 100BASE-T로불리기도 한다. UTP를 사용해 100M비트/초를 실현한다. 허브를 중심으로한 스타형이다. IEEE 802.3 사양의 MAC 사양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전송로로 사용되는 대선 수와 전기신호 부호화 방식이 서로 다른 2개의 방식(4T+와 100 BASE-X)이 제안되고 있다. 이미 표준화된 제품은 출시되고 있다. 미국 시놉틱스 커뮤니케이션즈, 3Com, 그랜드 정션 등이 추진하고 있다.


FAT(File Allocation Table:파일 할당 테이블): FAT(패트)란 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각각의 파일들에 대한 정보를 보관하는 하나의 테이블이다. 디스크는 처음 사용시 파일을 저장시키키 위해 작은 영역으로 영역을 분할하는데, 보통은 40개의 트랙과 9개의 섹터로 나누어 사용한다. 그리고 각각의 파일(프로그램 및 데이터)은 크기에 따라 정해진 트랙과 섹터에 저장이 된다. 패트는 바로 0번째 트랙(40개의 트랙 중 가장 바깥쪽에 있는 부분)의 첫번째 섹터부터 네번째 섹터까지이다. 일반적으로 섹터의 크기는 512KB이다. 그러므로 512KB가 넘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섹터에 모두 보관할 수가 없다. 그래서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은 512KB의 크기로 여러 개의 섹터에 나누어 보관하게 되는데, 이 때 문제되는 것이 '현재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다음 부분이 디스크의 어느 위치(어느 섹터)에 저장되어 있느냐'하는 것이다. 즉, 현재 섹터에 들어 있는 프로그램의 다음 부분의 프로그램이 들어 있는 섹터의 주소를 알아야 나누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래서 필요한 것이 바로 FAT인데, FAT에는 디스크의 여기 저기에 흩어져 있는 각 부분들이 들어 있는 섹터라는 일련의 방 번호들이 저장되어 있다.


FCC: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연방통신위원회. 미국의 정보통신분야를 규제, 감독하는 행정기관. 대통령부에 속해 있다. 1934년에 재정된 통신법에 기초해서 설립됐다. CATV, 무선, 위성, 텔레비전, 유선을 사용한 주를 걸친 주제통신과 국제통신을 규제하는 권한을 가진다. 주내의 서비스에 대해서는 각 주의 공익사업위원회(PSC:Public Service Commission)가 규제한다.


FDD: floppy disk driver.


FDDI: 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


FECN/BECN: 프레임 릴레이에서 프레임 헤더부분의 1필드. 프레임이 폭주상태가 된 망을 통과하려면 이 필드에 있는 비트를 0에서 1로 변환해 송신한다. 송신 측에서 수신 측을 향해 알려주는 것이 FECN 비트. 역으로 FECN 비트가 있던 프레임을 수취한 수신 단말기가 송신 단말기를 향해 보내는 것이 BECN.


FECN: forward 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


field/record/file: 필드란 수 많은 데이터들을 어떤 기준에 의해 정리, 보관하며 필요에 따라 원하는 자료들을 보다 쉽게 찾아 볼 수 있도록 구축해 놓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는 기본적인 용어 중 하나이다. 다시말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데 있어 의미있는 정보를 전달하는 최소한의 문자집합으로,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항목들을 필드라 한다. 그리고 이러한 필드들이 모여 하나의 단위로 묶여 연관성을 갖는 데이터의 집합이 될 때 이것을 레코드라 한다. 예를 들어 학생 수가 50명인 학급의 생활 기록부를 작성한다고 가정해 볼 때 생활 기록부상에는 기록되어야 할 여러가지 사항들이 있을 것이다. (이름, 생년월일, 주소 가족사항 등등...) 그리고 학생 하나 하나에 대해 이런 여러 가지 자료들이 기록될 것이다. 이 때 생활 기록부를 작성하기 위해 필요한 이름, 주소, 생년월일 등은 필드이다. 그리고 어떤 A라는 학생에 대한 기록 즉, 이름은 홍길동이며 주소는 서울시 강동구....이며 생년월일은 75년 5월 5일이라는 등의 자료(필드)들을 통털어 레코드라 한다. 또한 여러 개의 필드로 이루어진 레코드가 모여 이루어진 학급 전체 학생에 대한 자료를 파일이라 부른다.


FIFO(First In First Out): FIFO는 우리말로 '선입선출'이라 해석되는데, 먼저 들어간 것이 먼저 처리되어 나온다는 뜻이다. 초창기의 컴퓨터는 오늘날의 컴퓨터와는 달리 매우 단순해서 입력되는 순서와 출력되는 순서, 자료를 처리하는 데 어떤 순서를 적용할 것인지 등을 결정하여 일을 처리해야 했다. 그 처리 방법들 가운데 하나가 선입선출의 방법이다. 그러나 선입선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FILO(First In Last Out)처럼 먼저 들어간 것이 맨 나중에 나오는 방법 등 여러 가지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자료들이 다음과 같이 입력된다고 할 때, 입력 순서: 가, 나, 다 일 때 선입선출의 경우는 다음의 경우처럼 입력 순서대로 출력이 된다. 출력 순서: 가, 나, 다


Finger: 지금 사용중인지, 언제 사용했는지 등 유저의 활동상황을 아는 커맨드.


firmware(펌웨어): CPU 내의 롬에 기록된 마이크로 프로그램의 집합으로, 소프트웨어적인 특성과 하드웨어적인 특성을 같이 가지고 있는 것을 펌웨어라고 한다. 따라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중간에 속한다고도 할 수 있는데, 이러한 특성 때문에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실행되는 기능의 일부를 펌웨어로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동 소숫점 연산과 같은 것을 하드웨어로 구현하면 직접 논리회로를 설계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연산 속도는 빠르지만 무척 비싼 비용을 치뤄야 하고, 소프트웨어로 구현하고자 하면 일일이 기계어 루틴을 작성하여 이용해야 하므로 너무 늦게 처리 결과를 얻게 된다. 그러나 펌웨어는 CPU 내의 레지스터, ALU, 버스 등을 제어할 수 있는 마이크로 프로그램으로 작성되므로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것보다 빠르고 하드웨어로 구현하는 경우보다 싸게 부동 소숫점 연산을 할 수 있다.


flowchart(순서도): 급할수록 돌아가라는 옛말이 있다. 바쁘다고 서두르면 오히려 일을 그르치게 되는 경우를 염두에 두고 하는 말이다. 하나의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데는 여러 단계의 복잡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 실수가 없는 완벽한 프로그램의 작성을 위해 사전에 치밀한 준비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준비 작업의 하나가 순서도를 만드는 일이다. 순서도는 미리 정의된 기호와 그들을 서로 연결하는 선을 사용하여 프로그래밍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논리적인 흐름을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것은 특히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부분별 처리 과정을 그림을 이용하여 자세하게 설명해 줄 수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을 작성하는데 있어서 선행되어야할 필수적인 단계라고 할 수 있다. 프로그램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의 기호는 1962년 국제표준화기구에서 제정한 것을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다.


font(폰트): 폰트는 글자의 모양이라는 뜻으로 종류와 크기가 동일한 활자 한 벌을 가리키는 단어이다. 요즘은 개인용 컴퓨터, 각종 인쇄매체 및 전자출판의 발전이 가속화됨에 따라 보다 아름답고 다양한 종류의 글자를 개발하는 일에 그 어느 때보다도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글자들이 컴퓨터의 화면이나 프린터로 출력되는 일은 우리들이 노트 위에 직접 자신이 원하는 모양의 글자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 것과는 달리 매우 복잡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사람의 손과 필기도구 그리고 자 등에 해당되는 요소로 그 내용이 구성된 글자 설계 프로그램을 통하여 원하는 모양의 글자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의 글인 한글의 경우는 영문자와는 달리 초성, 중성, 종성으로 하나의 완성된 글자를 이루게 되므로 같은 '?'자라고 해도 어느 위치에 쓰이느냐에 따라 그 생김새가 각각 달라져야 하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모양의 폰트가 요구된다.


format(포맷): 포맷이란 넓은 의미로 체제, 구성 등의 사전적인 의미를 내포한 단어이다. 어떠한 자료를 정리할 때 이를 어떻게 배치하며 그 간격은 어느 정도로 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도 포맷(형식화)의 하나이다. 워드프로세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종 문서를 작성할 경우를 생각해 보자. 무턱대고 글을 써나가는 것보다는 좌우의 여백, 문단과의 간격, 앞뒤 줄맞춤 등을 고려하여 보기좋게 가지런히 배열하는 작업이 필요한데, 이것도 일종의 형식을 구성하는 것이다. 한편 포맷은 초기화라는 의미로도 사용되는 용어이다. 컴퓨터의 보조기억장치인 플로피 혹은 하드 디스크를 영역 분할 등을 통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 주는 작업을 일컬어 '포맷시킨다' 혹은 '초기화시킨다'라고 한다. 새로 구입한 디스켓은 포맷이라는 작업을 거치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는데, 디스켓을 트랙과 섹터로 나눔으로써 자료를 읽고 쓸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이 바로 포맷인 것이다. 포맷은 개인용 컴퓨터의 운영체제인 MS-DOS의 외부 명령어로 존재한다.


FORTRAN: formula translator. 과학 기술 계산용 프로그래밍 언어(1956년에 개발).


FPLMTS: Future Public Land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의 약자. ITU-RS(국제전기통신연합 무선통신부문, 구 CCIR)가 표준화 작업을 진행한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


FPLMTS: future public land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FRAD(frame relay assembler/disassembler): 프레임 조립/분해장치. 패킷교환용 단말기 등 기존의 통신환경용에서 만들어진 단말기를 프레임 릴레이 교환기/망에 접속할 때 사용하는 장치.


FTAM: file transfer, access and management


FTP: File Transfer Protocol의 약자. 파일 전송용 프로토콜로 TCP/IP의 상위 프로토콜의 하나. 동일한 파일 전송용 프로토콜로 TFTP(Trival File Transfer Protocol)이 있다. TFTP는 FTP와 같은 프로, 제어 등은 되지 않는다.


Fuzzy system: 애매성을 포함하는 시스템. 다목적, 대규모, 측정 불능, 인간의 주관 등 애매한 표현을 한 것으로써, 수량적인 해석을 퍼지집합을 이용하여 행하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다


G(giga): M(mega)의 1000배. G의 1000배는 T(tera).


Gopher: 분산환경에서 어떤 호스트에 필요한 정보가 들어 있는지를 알려주는 클라이언트/서버형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메뉴를 따라서 목적지까지 찾아가는 트리구조로 돼 있다. 1991년 미국 미네소타대학에서 개발했다.


graphics card(그래픽 카드): 컴퓨터에서 처리되는 과정 및 결과를 눈으로 보기 위해서는 모니터가 필요한데, 모니터는 컴퓨터 내부의 그래픽 카드를 통하여 화면에 정보를 싣게 된다. 즉, 그래픽 카드에서 만들어진 신호가 모니터에서 빛으로 변환되어 인간의 눈으로 이해되는 것이다. 그래픽 카드는 모니터에서 구현되는 색상과 해상도(화면의 선명한 정도)의 차이에 따라 여러가지로 구분된다. IBM PC에 장착된 최초의 그래픽 카드는 MDA(Monochrome Display Adapter: 단색 표시 카드)로 한가지 색만 나타나며 텍스트 문자(모니터에서 보이는 일반적인 글자)만을 표시하고 그래픽의 처리(미세한 점으로 이루어진 그림)는 불가능했다. 이에 비해 CGA(Color Graphics Adapter: 컬러 그래픽 카드)는 텍스트 문자와 그래픽 두 가지 모두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지만 텍스트 문자의 해상도가 떨어지고 지원 색상 역시 2~4색에 불과했다. 그 후, 미국의 '허큘리스 컴퓨터 테크놀로지'사에서 개발한 'HGC(Hercules Graphics Card: 허큘리스 그래픽 카드)'는 단색임에도 불구하고 텍스트 문자는 물론 그래픽도 깨끗하게 처리되며, 가격 또한 저렴하여 가장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 컬러 그래픽의 경우에도 CGA의 단점(2~4색 지원, 낮은 텍스트 문자 해상도)을 보완하여 EGA, VGA 등의 향상된 그래픽 카드가 개발되었다. EGA(Enhanced Graphics Adapter)는 EGA용 모니터와 사용할 경우, 16색에 640*350의 고해상도 텍스트와 그래픽을 제공하며, VGA(Video Graphics Array)는 약 256가지의 색상과 640*480의 고해상도를 지원하는 뛰어난 컬러 그래픽 카드이다.


Green PC: 그린 PC에 대한 규격으로는 미 환경청(EPA)이 정한 EPA규격이 있다. EPA규격에 따르면 그린PC는 다섯 가지 요소를 갖추어야 한다. 첫 번째는 저 전력을 소모해야 한다. 즉,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30W이하, 사용할 때는 100 - 150W를 소모해야 한다. 두 번째는 발열량이 적어야 한다. 세 번째는 소음이 적어야 한다. 또한 인체에 해가 없고 인체 공학적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각종 부수 기자재는 물론 컴퓨터 제조에 사용된 재질의 60%이상이 재활용 가능해야 한다. 그러나 EPA는 우선 첫 번째 항목만 만족하면 '에너지 스타' 승인을 해주고 있다.


GSM 방식: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의 약자. 구주지역에서 표준화된 디지털 휴대전화의 통신방식.


GUI(Graphic User Interface): 이전의 도스처럼 프롬프트 상태에서 명령을 직접 입력하는 라인 명령 방식이 아니라 인간의 직감을 형상화시킨 아이콘이라는 것을 만들어 놓은 후 이 아이콘을 이용해 컴퓨터에 명령을 내리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GUI는 인간의 직감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초보자들도 쉽게 배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GUI의 대표적인 예로는 IBM PC에서의 윈도우즈와 매킨토시의 시스템 시리즈가 있다.


H.261: 64k~2Mbps(px64k에서 p가 1,2,3....30)의 전송속도에 대해 화면을 압축부호화하는 알고리즘. ISDN의 B채널 1개로 이용하는 텔레비전화에서부터 INS 넷 1500을 사용한 TV회의까지 대응한다.


hacker(해커): 해커란 컴퓨터에 강한 흥미를 가지고 이에 몰두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일종의 속어이다. 컴퓨터 문화가 대중화되면서부터 컴퓨터 세계의 정체가 분명치 않은 해커라는 일련의 새로운 집단이 등장하여 적지않은 소란을 피우고 있다. 일반적으로 해커라고 지칭되고 있는 사람들은 전산학의 체계적인 지식없이 스스로의 시행착오를 통하여 터득한 지식으로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그런데 경우에 따라서는 컴퓨터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관한 실력까지도 겸비한 컴퓨터 애호가를 부르는 애칭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즉, 해커는 컴퓨터의 매력에 쏙 빠진 열정적이고도 실력있는 컴퓨터광을 일컫기도 하는 반면 타인의 컴퓨터에 침입해 그 속에 축적되어 있는 각종 귀중한 정보를 빼내가거나 없애 버리고 심지어는 중요한 자료의 내용을 엉뚱한 것으로 바꾸어 놓는 일 등을 서슴지않는 무례한 침입자로 인식되기도 한다. 그리하여 이들은 이곳 저곳에서 현대판 워터게이트 사건으로 비유될 만한 컴퓨터게이트 사건을 발발시킴으로써 굳게 닫혀 있어야 할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를 불법으로 침입하고, 뒤죽박죽으로 만들어 놓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극가의 중요 기밀 자료에까지 손을 뻗쳐 많은 사람들을 경악케 하고 있다.


HAL: hardware abstraction layer


hard copy(하드 카피): 컴퓨터의 결과치를 출력하여 보는 방법에는 소프트 카피(soft copy)와 하드 카피(hard copy)의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모니터 등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출력을 소프트 카피라 하고 프린터나 플로터 등의 영구적인 인쇄매체로 찍어내는 것을 하드 카피라 한다. 그런데 우리가 일반적으로 말하는 하드 카피는 소프트웨어의 출력 명령에 의한 출력이 아니라 모니터 상에 나타난 내용을 보이는 그대로 프린트 용지에 출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하드 카피 작업을 위해서는 키보드에 있는 PrtSc키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임의의 응용 소프트웨어의 도움말을 프린터로 출력하여 필요할 때마다 보려고 할 때 하드 카피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필요한 도움말을 모니터 상에 띄운 다음 PrtSc키를 누르면 그 내용이 그대로 프린터로 출력되어 종이 몇 장만 휴대해 버스나 전철안 어디든지 가지고 다니면서 볼 수 있다.


hardware(하드웨어): 하드웨어(hardware)는 딱딱한이라는 하드(hard), 제작품이라는 뜻의 웨어(ware)라는 두 단어가 복합되어 이루어진 단어이다. 일반적으로 하드웨어라 하면 철물, 철기류 혹은 컴퓨터, 어학 연습실, 우주 로케트 따위의 기재, 설비 등 기계 부분을 총칭하는 용어로 이해되고 있다. 그런데 현대에 오면서 하드웨어는 주로 컴퓨터의 기계 설비를 일컫는 말로 쓰이고 있는데, 다시 말하면 우리가 만져 볼 수 있는 컴퓨터의 본체나 주변기기를 포함한 기계적인 부분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하드웨어와는 대비되는 개념으로 주로 컴퓨터 시스템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나 기타 정보자료 등 하드웨어를 작동시켜 명령을 내리고 자료를 처리하도록 해 주는 것이 소프트웨어이다. 컴퓨터란 이와 같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상태를 의미하며, 이 둘의 관계는 수래의 양 바퀴와 같아서 어느 한쪽만 빠져 나가도 제대로 작동할 수 없게 된다. 컴퓨터 하드웨어의 역사는 초창기의 진공관에서 출발하여 트랜지스터로 대체되고 다시 또 반도체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집적회로를 만들어 내는 등 급속한 기술의 발전을 도모해 옴으로써 보다 저렴한 가격에 막강한 성능을 자랑하는 오늘날의 컴퓨터를 탄생시키게 되었다.


HDD: Hard Disk Driver.


HDTV: High Definition Television의 약자. 고품질 TV라고 하며, 해상도를 높혀 화질의 향상을 꾀한 TV. NHK의 하이비전 (주파선 1125개, 화면의 종횡비가 9대 16, 아날로그 처리)이 HDTV의 한 방식. 최근 미국에서는 High Resolution Digital Television이 HDTV이고, 디지털이 아니면 HDTV가 아니라고 주장하기 시작했다.


header(헤더): 헤더란 머리를 의미하는 영어의 헤드(head)에서 나온 말이다. 컴퓨터는 수 많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계로서, 그 많은 데이터를 처리하려면 처음 시작이 매우 중요하다. 우리가 분량이 방대한 책에서 어떤 내용을 찾고자 할 때 목차나 찾아보기를 우선 보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목차는 책의 맨 앞에 있고 찾아보기는 책의 말미에 있다. 컴퓨터에서도 마찬가지로 방대한 자료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해 헤드 즉 자료의 맨 앞부분에 그 자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 필요한 정보들을 기록하는데, 이러한 정보의 집합이 바로 헤더이다.


hexadecimal(16진수):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수치를 나타내는 데 사용하는 0에서 9까지의 수는 10진법에 따른 것이다. 즉, 10진법이란 7, 35, 971과 같이 모든 수를 0, 1, 2, 3, 4, 5, 6, 7, 8, 9로 나타내는 방법이다. 그런데 컴퓨터에서는 모든 수를 10진법이 아니라 0과 1로만 나타내는 2진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컴퓨터는 00, 01, 10 또는 11과 같은 단순한 형태로 이루어진 2진수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01111101과 같이 복잡한 형태의 2진수를 한꺼번에 처리하므로 대부분의 컴퓨터에서는 짧고 빠른 2진수의 속기 형식 즉, 16진수를 사용하고 있다. 16진법에서는 16개의 심볼(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을 사용하게 된다. 즉, 01111101이라는 2진수는 8자리인 8비트의 명령인데 이것을 앞의 4자리와 뒤의 4자리로 나눔으로써 16진수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앞부분의 0111은 10진수로 7이며 이것은 16진수로도 7이다. 또 뒤의 4자리인 1101은 10진수로 13이며 이는 16진법으로 D이다. 따라서 01111101이라는 길고 복잡한 2진수는 7D라고 하는 짧은 16진수로 나타낼 수 있게 된다. 10진수, 2진수 및 16진수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10진수


2진수


16진수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0000


0001


0010


0011


0100


0101


0110


0111


1000


1001


1010


1011


1100


1101


1110


1111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HGC: Hercules Graphics Card.


Hibernation(하이버네이션): 세계적으로 일기 시작한 컴퓨터 절전 문제를 보다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컴퓨터에서 절전및 작업상태의 보호를 실현코자 새롭게 제시된 신 기술로서 PC를 사용하다가 갑자기 정전이 되거나 누군가 전원코드를 뺐을 경우 현재 사용중인 자료나 환경을 하드디스크에 저장한 후 꺼지는 것을 말한다. 그래서 PC를 다시 켜면 PC가 꺼질 때의 상태로 완전히 복구해 준다. 전원공급이 차단된 후에도 하드디스크에 자료를 저장해 주는 것은 보조 건전지가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인데, 바로 이 건전지가 하이버네이선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이 건전지는 2개월 정도면 방전되는 단점이 있다. 하이버네이션 기능은 PC의 ON/OFF 스위치를 사용했을 경우는 사용할 수 없고, PC의 파워에 들어오는 전원이 끊겼을 경우에만 작동한다.


hidden file(히든 파일): 히든이란 우리말로 감추어져 있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히든 파일은 보이지 않게 감추어진 파일을 말한다. 파일을 보이지 않게 감추는 주된 이유는 그 파일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다. 만약 그렇게 해두지 않으면 파일들의 내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사용자가 변경하거나 삭제해서는 안될 중요한 파일을 없애거나 수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용자의 실수를 방지하기 위해 특정의 파일에 대해 사용자가 파일의 이름이나 내용을 알려주는 명령을 수행해도 관련 정보가 나타나지 않도록 해 두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파일을 히든 파일이라고 한다.


high-level language(고급 언어): 고급 언어란 프로그래머가 컴퓨터와의 대화를 위해 사용하는 언어 중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자연 언어(국어, 영어)와 비슷하여 그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만들어 놓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총칭해서 일컫는 말이다.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언어는 사람과 컴퓨터 중 어느쪽에 가까우냐에 따라 두가지로 나뉘어 진다. 첫째가 사람보다는 컴퓨터에 가깝다고 할 수 있는 언어로 우리는 이것을 저급언어라 부른다. 이 저급언어 중의 한가지인 기계어는 언어 자체가 '0'과 '1'로 이루어져 있어 사람이 이해하기는 어려워도 컴퓨터는 이것을 쉽게 인식할 수 있어 별다른 절차없이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두번째가 컴퓨터보다는 사람에 가까운 언어인 고급언어이다. 이것은 명령어 자체가 우리가 사용하는 자연언어와 비슷하기 때문에 기계어에 비해 프로그램의 작성이 용이하며 프로그램 자체를 이해하기도 훨씬 쉽다. 따라서 고급언어를 이용하면 전문가가 아닌 일반 사용자도 손쉽게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 대표적인 고급 언어로는 코볼(COBOL), 포트란(FORTRAN), 베이직(BASIC), 파스칼(PASCAL), PL/1 등이 있으며 시스템 프로그램을 제외한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이 고급언어로 작성된다. 그러나 컴퓨터는 기계어만을 이해할 뿐 일반 사용자(USER)들이 사용하는 고급언어는 이해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고급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바꾸는 작업이 필요한데 이러한 작업을 '컴파일한다'라고 한다. 결국 컴퓨터는 사용자가 작성한 고급 언어가 아닌 기계어에 따라 명령어를 수행하게 되며 고급 언어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만들어진 언어라고 할 수 있다.


HIPPI: High Performance Parallel Interface의 약자. 광채널 인터페이스의 규격. 전송속도 800Mbps로 고속 슈퍼컴퓨터나 미니 슈퍼컴퓨터, 그래픽 워크스테이션 등에 채용하고 있다.


hologram(홀로그램): 입체적인 영상을 만들어내는 기법의 하나이다. 우리가 물체를 볼 수 있는 것은 빛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빛에는 고유한 특성이 몇 가지 있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빛의 간섭성이다. 예를 들어 잔잔한 수면 위에 돌을 하나 던지면 수면 위에 물결이 일어난다. 그리고 여기에 돌을 하나 더 던지면 수면 위에는 두 물결이 서로 충돌하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와 마찬가지로 빛도 두가지가 동시에 만나게 되면 서로 간섭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이용하면 입체상을 만들 수 있다. 레이저광은 간섭성이 좋으므로 두 개의 레이저광을 감광재료에 비추어 물체로부터 나오는 반사광 또는 투사광을 본래의 레이저광과 간섭시켜 그 간섭무늬를 기록한다. 이렇게 상호 작용하는 여러개의 레이저 광선을 얇은 공기층에 쏘아서 만든 3차원 형상(입체상)을 홀로그램이라 한다.


host computer(호스트 컴퓨터): 호스트 컴퓨터란 주 컴퓨터 또는 전체 컴퓨터를 제어하며 데이터의 흐름을 규제하는 소프트웨어를 가지고 있는 컴퓨터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호스트 컴퓨터란 용어는 사용되는 분야에 따라 여러 가지 의미를 담고 있는데, 통신 분야에서의 호스트 컴퓨터란 어떤 하나의 컴퓨터에 여러 개의 PC 혹은 터미널이 연결되어 그 컴퓨터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나누어 가질 때의 중앙 컴퓨터를 일컫는다.


HPC Act: high performance computing act


HPCC: high performance computing and communication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의 약자. SGML에 문서간 링크를 기술할 수 있도록 한 것.


I'인터페이스: ISDN과 유저 단말기 사이의 국제표준인 I 인터페이스에 PHP 공중서비스용 위치등록 정보 등을 부가한 것.


IAB: internet architecture board


IBM(아이 비 엠): 많은 사람들이 '컴퓨터'하면 으례 APPLE과 IBM을 연상하게 될 것이다. 그리하여 마치 APPLE과 IBM이 하나의 제품에 붙여진 고유한 상품명인 것 처럼 인식하고 있으나, 이들은 모두 개인용 컴퓨터를 제작한 회사의 이름들이다. IBM은 Internation Business Machine Corporation이라는 긴 회사 이름에서 I, B, M 이라는 3자만을 따와서 만든 것으로 8비트 개인용 컴퓨터의 제왕이었던 애플 컴퓨터의 뒤를 이어 16비트 개인용 컴퓨터를 처음으로 만든 미국의 거대한 다국적 기업이다. 1981년 IBM PC 5150이라는 제품을 필두로 하여 IBM PC XT/AT 등 여러 후속 기종들을 발표한 IBM은 다른 컴퓨터 제조 업체에서 이들과 호환성을 기종들을 제작하면서부터 여러종류의 16비트 개인용 컴퓨터를 대표하는 대명사가 되었다.


IC(Integrated Circuit:집적회로): 전자산업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과거의 애니악(ENIAC) 시절에는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소형의 개인용 컴퓨터가 우리의 책상위에 군림하고 있다. 이처럼 작은 개인용 컴퓨터를 생산할 수 있는 것은 바로 IC의 개발된 덕분이다. IC라고 하는 전자 부품은 기판위에 반도체 부품의 삽입에서 배선에 이르기까지를 집약적으로 제조한 것이다. 이렇게 제조된 반도체 기판(이것을 칩이라고도 함) 자신은 IC라고 불리는 하나의 전자 부품이 된다. IC의 핵심인 반도체 기판은 일반적으로 사방 3mm에서 5mm 정도의 초소형이며, 이 안에 최대 1천개에 가까운 트랜지스터가 다른 전자 부품과 함깨 배선된다. 커다란 TV는 약 80여개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지만, IC를 사용함으로써 포켓형 TV의 생산도 가능해진 것이다. 이러한 집적회로의 사용은 부품을 연결시키는 배선의 접속수가 적고 그 길이가 짧기 때문에 전기적으로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포켓형 TV 또는 개인용 컴퓨터와 같이 전자기기의 초소형화를 이룩할 수 있었다. 또한 이것은 저전력으로 작동이 되며, 신호처리의 고속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의 약자. TCP/IP환경에서 접속확인 등의 용도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IC 메모리 카드: 정식 명칭은 PC 카드. 일본전자공업진흥협회(JEIDA)와 미국의 PCMCIA(Personal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이 공동으로 표준화했다.


ID: identifier number


IEC:


IEEE 802 위원회: IEEE의 LAN에 관한 표준규격의 권고 등을 행하는 위원회. 하부조직인 IEEE 802.3작업반은 이더넷 LAN의 규격을, IEEE 802.5 작업반은 토큰링 LAN의 규격을 담당하고 있다. 802.9 작업반은 IVD LAN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의 약자. 미국전기전자기술자협회. 세계 최대의 일렉트로닉스관련 학회.


IETF: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ILM: interim local management interface


InARP: in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index(인덱스): 인덱스는 일반적으로 한 권의 책에 수록된 내용들 중 원하는 항목을 쉽게 찾아 볼 수 있도록 해 놓은 찾아보기, 색인이라는 뜻으로 해석되며 지수나 지표로 풀이되는 수학적인 용어이기도 하다. 컴퓨터 사용자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는 범용 프로그램 중 데이터를 어떤 일정한 기준에 의해 보관함으로써 자료관리를 효율적으로 해 주는 프로그램이 있는데, 이러한 프로그램 내에서 원하는 형태의 배열과 찾아보기를 가능하게 해 주는 기능이 인덱스이다. 인덱스 기능은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파일 내의 레코드들에 대해 이들의 순서를 나타내기 위한 키값과 레코드 번호 등의 정보만을 따로 뽑아 수록한 인덱스 파일을 자동적으로 생성해 냄으로써 특정한 키값을 갖는 레코드들을 빠르게 검색해 볼 수 있게 한다. 한편 인덱스는 컴퓨터 주기억장치 내의 어떠한 상대적인 주소를 가리키는 값, 또한 그 값을 저장하는 레지스터를 일컫기도 한다. 또한 어떤 시스템의 성능을 가늠하는데 있어 각 분야의 평가 척도인 수치를 말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CPU 성능 지수, 디스크 엑서스 속도 지수 등이 바로 그것이다.


information(정보): 인간이 식사를 함으로써 필요한 영양분을 얻듯이 컴퓨터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원하는 정보를 출력해 낸다. 여기에서의 데이터는 컴퓨터가 어떠한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형성된 사실 및 개념의 표현을 어떠한 조건, 값, 또는 상태를 나타내는 숫자나 문자로 표현한 것을 가리키며, 정보는 이 데이터에서 원하는 특정한 의미를 부여하여 생성되는 값 또는 문자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데이터는 인간의 식사에 해당하며 정보는 식사를 통하여 얻게 되는 영양소와 같다. 우리가 컴퓨터를 사용하는 목적은 대부분 이러한 정보를 얻기 위함이다.


Information Highway(정보고속도로): 광케이블을 근간으로 하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학교, 기업, 연구소, 정부기관, 일반인 간의 원활한 정보교류를 목적으로 데이터및 음성, 영상자료 등을 수십 내지 수백 기가 BPS급의 초고속으로 유통시키려는 최첨단 통신 시스탬.


IN: intelligent network


initialize(초기화): 초기화는 어떠한 작업을 하고자 할 때 처음 사용하는 물건이 그 작업에 적합하도록 적응시켜 주는 것을 뜻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디스크를 사용하여 작업하고자 할 때 먼저 빈 디스켓을 작업할 컴퓨터의 조건에 적합하도록 만들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디스크를 트랙과 섹터로 나누어 주는 포맷과 같은 작업을 초기화라 한다. 또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사용해야 하는 변수의 값을 계산하기 전에 적절한 값으로 미리 지정해 주는 작업도 초기화라 한다.


INS 넷: 일본 NTT가 1988년 4월부터 개시한 ISDN 서비스의 명칭. 기본 인터페이스(2B+D)인 INS넷 64와 1차군 인터페이스(23B+D)인 INS넷 1500이 있다. 양쪽 모두 회선교환 모드(INS-C)와 패킷교환 모드(INS-P)가 있다. INS-C는 통신시간에 준해 요금을 부과한다. INS-P는 통신한 패킷 수에 대해 요금이 부과되는 구조이다.


intel(인텔): 1968년 미국에서 봅 노이즈라는 사람에 의해 설립된 반도체 제조 회사로 창업시 기억소자(memory chip)의 생산에 주력했으나 1971년 최초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개발에 성공하여 유명해졌다. 인텔사는 애플, 워크스테이션 계열의 컴퓨터에 부착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개발하고 있는 모토롤라사와 세계 반도체 업계의 양대 산맥을 이루고 있다. 인텔사에서 개발한 최초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4비트용으로 4004라 불려졌으며, 그 후 16비트용인 8086을 만들고 이를 약간 변형하여 8088을 만들었다. 이 8088은 IBM사가 발표한 IBM PC에 채용되어 널리 사용되었다. 또한 AT라 불리우는 PC에서 사용되는 80286은 8086 및 8088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가상기억장치 및 다중 작업을 위한 기능을 추가하여 발표하였으며, 32비트용인 80386과 80486도 개발하였다. 현재 PC에서 사용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대부분이 바로 인텔사에서 개발된 것으로, 인텔 80XX라는 용어가 거의 일반화되어 있다.


interface(인터페이스): 컴퓨터는 본체(드라이브 포함)와 모니터 및 키보드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는 키보드 및 드라이브를 통하여 프로그램을 입력시키고 모니터를 통하여 그 결과를 지켜보게 된다. 그러나 우리는 이처럼 컴퓨터를 소극적으로 이용하지 않고 프린터로 그림이나 도표를 그려내기도 하고 건반을 접속시켜 음악을 연주할 수도 있으며 조이스틱을 연결하여 게임을 즐길 수도 있다. 이 때 프린터나 건반, 조이스틱 등의 연결 코드는 컴퓨터의 어디에도 끼울 곳이 없다. 이 때 확장 슬롯에 기판으로 만들어진 연결 매체 즉, 인터페이스를 끼우고 여기에 연결 코드를 끼우면 된다. 이처럼 인터페이스는 컴퓨터의 본체와 컴퓨터 사용을 유용하게 하는 여러 가지 주변기기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상호간에 연결시켜 주는 것을 말한다.


Internet(인터넷): 전세계 130여개국에서 320여만대의 컴퓨터로 연결, 3000여만명의 가입자가 있는 세계 최대의 컴퓨터 통신망.


Internet Chameleon: PC용 TCP/IP 소프트웨어. Chameleon NFS와는 LAN에 접속할 수 없다는 점서 다르다.


INTEROP: 미국 Interop사가 주최하는 인터넷 기술에 관한 세계 최대 전시회. 1994년부터는 연 5회 분산해 개최한다.


interpreter(해석기): 인터프리터(해석기)란 고급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바꾸어 주는 일종의 프로그램이다. 사실 컴퓨터는 기계어라고 하는 저급 언어만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가 프로그램 작성을 위해 사용하는 언어는 기계어가 아닌 고급 언어이다. 그러므로 컴퓨터가 이해하지 못하는 고급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수행시키기 위해서는 고급 언어를 기계어로 바꾸어 주는 작업이 필요하다. 고급 언어를 기계어로 바꾸는 작업은 프로그램 작성 후 작성된 프로그램을 한꺼번에 모두 기계어로 바꾸는 방법과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서 한 줄씩 기계어로 바꾸는 방법이 있다. 프로그램을 한꺼번에 기계어로 바꾸어 주는 것을 컴파일한다고 하며, 컴파일(compile)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컴파일러(compiler)라고 한다. 이에 비해 프로그램을 한 줄씩 번역(기계어로 바꾸는 작업)하는 프로그램도 있는데, 이것을 인터프리터라 한다. 다 같이 원시 프로그램(고급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바꾸면서도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의 가장 큰 차이점은 컴파일러는 기계어로의 변환이 프로그램의 실행에 앞서 이루어지는 데 비해, 인터프리터는 프로그램 실행 도중 변환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또 한 가지 인터프리터의 경우, 항상 프로그램의 수행과 기계어로의 번역이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컴파일러에 비해 속도가 떨어진다. 기계어로의 변환 방식이 인터프리터 방식인 언어를 인터프리터 언어라 하는데 베이직이 대표적인 인터프리터 언어이다.


interrupt(인터럽트): 우리들은 일상 생활 속에서 하던 일을 멈추고 급히 또 다른 일을 처리해야 하는 경우를 자주 접하게 된다. 다른 사람의 대화에 급히 끼어 들어야 한다든지, 책을 읽다가 외부에서 걸려오는 전화를 받아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우리는 전화를 받은 후 계속해서 책을 읽을 수 있도록 읽고 있던 부분을 표시해 둔다. 컴퓨터를 사용할 때도 이와 유사한 경우가 있는데, 미리 프로그램된 작업 뿐만 아니라 이의 수행 도중에 요구되는 또다른 작업을 우선적으로 긴급히 처리해 주는 것이 바로 인터럽트 기능이다. 인터럽트 기능은 프로그램에 의하여 순서가 부여된 명령의 실행 순서를 어떠한 조건에 의하여 중단하고 다른 프로그램을 우선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해서가 아니라 그밖의 다른 것에 의해 발생되는 제어 흐름의 변경을 말한다. 이러한 인터럽트의 형태에는 외부 인터럽트와 내부 인터럽트의 2가지가 있다. 외부 인터럽트란 프로그램을 실행중인 CPU에 외부로 부터 요구되는 일을 시키기 위해서 현재 진행하고 있는 일을 중단시켜 놓고 또 다른 작업을 우선으로 실행시키는 것으로 하드웨어 인터럽트라고 한다. 반면에 내부 인터럽트는 프로그램 중의 명령에 의해서 하드웨어 인터럽트에 의해 발생되는 일련의 작업과 비슷한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소프트웨어 인터럽트라고도 한다. 이와 같은 인터럽트 기능으로 말미암아 컴퓨터는 예기치 않은 상태가 발생하더라도 중단없이 이에 대처할 수 있는 것이다.


IPCP: IP Control Protocol의 약자. PPP의 기능 가운데 통신에 앞서 IP 어드레스를 자동적으로 할당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IP: information provider. 정보제공자


IP: internet protocol


IPX: internetwork packet exchange. 미국 노벨사의 네트워크 OS인 NetWare의 통신 프로토콜. 노벨의 독자 프로토콜이다.


IP 어드레스: TCP/IP로 접속선을 특정하기 위한 논리 어드레스. 데이터에 부여된 IP 헤더 중 32비트의 길이를 갖는다. 유저 독자가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미국 SRI(SRI International)에서 관리하는 글로벌 어드레스를 취득할 수도 있다. 글로벌 어드레스는 접속 가능한 호스트 수에 따라 A, B, C 등급이 있다. 또한 어드레스를 관리하기 쉽도록 SRI에서 부여된 네트워크 어드레스부외에 서브넷 어드레스와 호스트 어드레스로 나누어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IP 접속: Internet Protocol에 의해 접속, 인터넷의 모든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접속형태. 전용선에 의한 접속이 주류이다.


ISA: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의 약자. IBM PC/AT 호환기 메이커가 만든 버스 규격.


ISAM(아이삼): ISAM이란 디스크에 파일을 저장하고, 또 저장된 파일을 찾아내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ISAM은 디스크를 블럭 단위로 나누어 한 블럭 안에서는 순차적으로 수록하고, 각 블럭별로 시작하는 위치를 기록한 차례(색인) 파일을 생성하여 찾고자 하는 파일의 키값을 주면 차례 파일을 살펴 원하는 파일을 빨리 찾아낼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검색 속도가 무척 빠르고, 삽입이나 삭제가 쉬워 대용량의 데이터베이스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다.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종합정보통신망) ISDN이란 기존의 전화선을 이용하여, 전화를 이용한 음성통신은 물론 팩시밀리나 비디오텍스와 같은 비음성통신까지도 제공하는 종합적인 전기통신 서비스를 말한다. 즉, 현재 이용되고 있는 팩시밀리나 텔렉스 등은 별개의 망으로 연결되어 있어 서비스에 따른 별도의 회선 연결이 필요한 데 비해 종합정보통신망은 전화난 데이터 등의 정보를 하나의 형식으로 통일시켜 놓음으로써 하나의 번호만을 가지고도 여러가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종합정보통신망을 이용하게 되면 사용자는 여러가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서비스에 따른 각각의 가입 절차를 밟을 필요없이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을 위한 한遁 번의 가입절차만 거치면 되며, 또한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 번호도 하나로 통일할 수 있어 여러개의 사용번호를 써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다. 지금까지 전화나 텔렉스가 각각의 망을 구축할 수 없었던 것은 이들이 사용하는 정보 형태가 어떤 것은 아날로그 신호를 이용하고 어떤 것은 저속의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종합정보통신망에서는 사용하는 모든 신호를 이용자/ 망 인터페이스를 이용, 디지털 방식으로 통일시켜 놓음으로써 하나의 망을 통해 모든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ISDN(Inter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종합정보통신망): 디지틀 기술을 바탕으로 하여 전화, 전신, 텔렉스, 팩시밀리, 컴퓨터 통신 등의 각종 통신망을 하나로 통합한 정보 통신망. 이는 현재 별개로 운영되는 전화망, 텔렉스망, 컴퓨터 네트워크를 하나로 묶는 것으로 음성이나 데이터뿐만 아니라 문자나 화상을 모두 디지틀화하여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는 큰 대역 폭을 얻기 위해 광섬유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cf. 다른 사전 - ISDN: 종합 디지털 통신망. 전화와 전신, 텔렉스, 팩시밀리, 비디오텍스 등 성격이 다른 서비스를 통합해 음성, 데이터, 화상을 전송하기 위한 국제 표준 규격의 통신망이다. 국내에서도 지난해 말부터 11개 도시 70개 전화국 관내에서 희망자에 한해 상용 서비스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ISDN 속도는 64Kbps에 불과해, 광 케이블을 기반으로 한 155Mbps 이상 속도의 B-ISDN(Broadband ISDN) 기술이 더 큰 관심을 끌고 있다.


IS-IS: intermediate system to intermediate system


ISO(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국제표준화기구):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단체로서 공업 상품이나 서비스의 국제교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표준화를 도모한다. 산하의 전문 분야에 따라 기술위원회(TC)가 있으며 그 밑에 각종 작업을 담당하는 소위원회(SC)가 있다. 컴퓨터및 정보처리 분야는 TC 97인데 그 밑에 15개의 SC와 60여개의 작업그룹이 있다. 이 위원회에서는 전문 용어, 프로그램 언어, 데이터 전송의 재특성 등에 관한 표준을 제정한다.


ISO 9000시리즈(국제품질인증제도): 일반품질인증과는 달리 소비자 입장에서 제품설계, 생산시설, 시험검사, 사후관리 전반에 걸쳐 규격 준수 여부를 확인하여 ISO(국제표준화기구)가 인증해 주는 국제품질인증제도. 9001부터 9004까지 4종류가 있는데 9001이 가장 포괄적인 규격이다. 현재 미국을 비롯해 51개국이 ISO 9000에 의한 품질인증체제를 국가규격으로 채택하여 수입제한에 사용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ISO 9660 표준포맷: CD-ROM 드라이브, Title을 제조하는 회사는 여러 회사가 있다. 모두 각자의 지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초창기 CD-ROM 드라이브는 호환성이 없었다. 이는 사용자들에게 사용상의 범위를 제약하는 불편한 일로서 이를 우려하여 하이 시에라 그룹(High Sierra Group)으로 알려진 회사들의 모임에서 ISO 9660이라는 표준 형식을 만들었다. 이렇게 표준 방식이 있기 때문에 다른 CD-ROM 드라이브나 다른 회사에서 만든 타이틀도 읽어 내는 것이 가능하다. 간혹 타이틀에 보면 "ISO 9660"을 지원한다는 마크가 붙어 있는데 이런 문구를 보게 되면 "표준규약 내지 표준규격"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의 약자. 국제표준화기구. 각 분야마다 전문위원회(TC;Technical Committee)를 설치해 현재 170이상의 TC가 있다. TC97(제 97위원회)이 정보통신을 포함한 컴퓨터와 정보처리의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다.


ITU: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


ITU-RS ITU radio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ITU-T: ITU telecommunications standardization sector. = ITU-TS


IVD LAN: Integrated Voice and Data LAN의 약자. 음성/데이터 통합 LAN. 디지털 PBX (구내교환기)와 종래의 LAN을 공존시켰다.


JCSAT-3: 일본이 1995년 8월에 쏘아올릴 예정인 위성.적도 상공 동경 128도에서 쏘아올릴 예정(1,2호기는 150,154도)이다. ku밴드 28개, C밴드 12개의 트래폰을 탑재, 일본은 중국, 러시아로부터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하와이 등 아시아 13개국을 중심으로 지구의 거의 1/3을 커버하게 된다. 대역폭은 54M, 36M, 27MHz를 탑재한다.


JPEG: Joint Photographic Coding Experts Group의 약자. 원래는 컬러 정지화상의 압축 부호화 방식의 표준화를 추진하는 ISO(국제표준화기구), IEC(국제전기표준협회), CCITT(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합동 조직 명칭. 그것이 컬러 정지화용 압축 부호화 방식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JUNET협회: UUCP 접속을 기본으로 하는 일본의 실험연구 네트워크. 후에 JUNET에서 몇 개의 네트워크가 독립했을 때, 그것들의 어느쪽에도 속하지 않는 조직을 접속하기 위해 JUNET을 운영하는 JUNET협회가 필요했다. 그런데 협회는 오히려 94년 10월에 그 역할을 종료하고 해산했다.


kernel(커널): 커널은 과일의 속(가운데)을 뜻하는 말로 핵심이란 의미를 가진다. 컴퓨터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프로그램인 운영체제 즉, OS(Operating System)의 여러 서브 프로그램 중 가장 핵심적인 프로그램을 커널이라 한다. 이 커널에는 컴퓨터가 작동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초기화 프로그램과 하던 일을 잠시 멈추고 다른 일을 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인터럽트 프로세스, 그리고 모니터의 상태를 살피는 모니터 프로그램, 키보드나 마우스를 관리해 주는 입출력 프로세스 등이 있다.


KB: 킬로 바이트(Kilo Bite). 천 바이트를 뜻한다.


KETEL(한국경제신문 텔리프레스): KETEL은 한국경제 신문사에서 1986년 11월 부터 시작한 전자 신문으로 이는 컴퓨터에 모뎀을 연결하여 신문을 받아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전화선이있는 곳이면 하루 24시간 언제라도 KETEL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KETEL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일반뉴스는 물론 증권정보, 투자정보, 기업정보, 외환정보, 상품가격 그리고 KETEL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자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전자우편 등이 있다.


keyword(키워드): 컴퓨터에서 자료를 검색할 때 컴퓨터는 우선 찾고자 하는 내용과 관련된 키워드를 찾아낸 다음 원하는 내용을 얻어낸다. 이처럼 키워드는 산적되어 있는 많고도 복잡한 자료를 효과적으로 찾아내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LAN(Local Area Network: 근거리통신망): 여러 대의 컴퓨터와 주변장치가 전용의 통신회선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통신 네트워크로서 그 규모가 한 사무실, 한 건물, 한 학교 등과 같이 비교적 가까운 지역에 한정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컴퓨터(PC)끼리 접속함으로써 더욱 편리하게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한 환경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랜의 사전적인 의미는 "반경 수 Km이내에서 수Mbps에서 수백Mbps까지 고속 통신이 가능하며, 사유기관에 속하는 통신 네트워크"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랜은 거리나 속도에 대한 한계를 지칭하기보다는 "철저히 오픈 시스템을 지향하며, 이 기종을 연결하고, 다양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연결성을 보장하는 환경"으로 이해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랜을 구축했을 때의 장점은 1 각종 주변기기의 공유 2. 프로그램및 화일 공유 3. 데이터베이스 공유 4. 정보의 효율적인 관리 5. 사용자 관리의 용이성이다.


language(언어): 사람들은 자신의 의사를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기 위해 말이나 글을 사용한다. 이 말이나 글로 표현되는 것을 언어라고 한다. 사람간의 의사소통의 경우처럼 인간과 컴퓨터 사이에도 서로의 의사를 전달해 줄 언어가 존재하는데 이러한 언어를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와 구별짖기 위하여 '프로그래밍 언어'라고 하며 흔히 줄여서 그냥 '언어'라고 하기도 한다. 프로그래밍 언어에는 0과 1로 이루어져 사람이 이해하기는 어려우나 컴퓨터는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저급 언어와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와 유사하여 사람들이 이해하기가 편리한 고급 언어가 있다. 그러나 이 고급 언어는 컴퓨터가 이해할 수 없으므로 마치 외국인과 이야기 할 때 통역관이 필요하듯이 컴파일러라는 번역기를 따로 사용해야 한다.


LAN 매니저: 미국 마이크로소프트사의 PC-LAN용 네트워크 OS. LAN 매니저 2.1부터는, 서버 서비스의 하나로서 SNMP 에이전트를 탑재하고 있다.


LAN 보드: LAN에 PC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용 하드웨어(소프트웨어도 포함). 보통 PC 확장 슬롯에 꽂아 사용한다.


LAN 인터페이스 드라이버: LAN 어댑터와 프로토콜을 독립적인 개발을 가능하도록 결정하는 인터이스의 드라이버 소프트웨어.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LAN 어댑터와 프로토콜 드라이버이면 타 제품끼리 조합해서 이용할 수 있다.


LAPD: link access procedure on the D-channel


lap top(랩탑): 무릎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다고 하여 랩탑이라고 이름 붙여진 이 소형 컴퓨터는 카세트 녹음기 처럼 이동이 가능한 휴대용 컴퓨터의 일종이다. 랩탑 컴퓨터는 휴대용 전자제품에서 흔히 지적되는 전력공급 문제를 다각도로 해결해 준다. 니켈, 수은전지 등 크기가 축소되면서 사용 기간이 연장된 전지의 등장, 시스템 내부 기기 등에 최소한의 전력만 공급하도록 하는 전원관리 프로그램이라는 소프트웨어 등이 선보임으로써 이동시의 전력공급 문제를 해결해 주고 있다. 이 밖에도 작은 화면의 특성을 살리기 위해 전자빔을 주사하여 문자나 도형의 형태를 표현하는 것이 아닌, LCD라 불리는 액정표시 디바이스와 유리관 내에 네온과 아르곤 기체를 프라즈마 상태로 공급, 이곳에 전압을 통과시킴으로써 문자, 도형을 표시하는 가스 플라즈마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기자, 소설가, 회사 경영자 등을 주 사용자층으로 하고있는 랩탑 컴퓨터는 잦은 이동을 요구하는 직종의 사용자들에게 점차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


LATA: Local Access and Transport Area의 약자. 미국에서 1984년 1월 AT&T 분할 당시, 분리된 22개 RBOC(벨계지역전화회사)의 서비스 제공지역을 정하는 것. LATA 내의 통신(시내, 시외 통화)은 지역계 전화회사의 독점서비스 구역으로, LATA간의 통신(LATA간 시외통화,주간통화)은 장거리계 전화회사의 경쟁서비스 구역으로 정했다. 미국 전역에 약 160개의 LATA가 있다.


LAT: local area transport


LCD(액정 디스플레이): Liquid Crystal Display의 약어로서, 끝이 봉해진 두장의 유리 사이에 액체 수정을 넣어서 만든 화면 표시 장치이다. 이 장치의 원리는 유리판 안쪽의 투명한 전극판에 전압이 걸리면 그 사이에 있는 액정의 분자 운동 방향이 갈라져서 이것을 통과하는 빛의 양이 변함에 따라 숫자나 문자 등이 표시되는 것이다. LCD는 랩탑, 노트북 컴퓨터, 휴대용 전자계산기 등과 같이 크기가 작고 가벼운 기기의 화면 표시 장치로 적합하다.


LCR: Least Cost Routing의 약자. 최저 요금회선 자동선택 기능.


LD-CELP: Low Delay 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의 약자. 저지연 부호여동형 선형 예측


LED: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IFO: 후입 선출 방식(lost-in first-out).


link(링크:연결): 컴파일(베이직, 파스칼, C 등의 고급 언어를 기계어로 변환시키는 것)되거나 어셈블(어셈블리와 같은 저급 언어를 기계어로 변환시키는 것)된 각각의 프로그램을 모아서 하나의 목적 프로그램으로 만드는 일을 '링크'라고 한다. 다시 말해서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하나로 연결시키는 일이 링크이다. 링크를 하기 위해서는 'linkage editor(연결 편집기)'라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연결 편집기에 컴파일되거나 어셈블된 여러 개의 프로그램과 미리 만들어진 라이브러리 루틴을 입력시키면, 곧 바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로드 모듈)이 간단하게 출력된다.


LIPX: large IPX(internetwork packet exchange)


LISP(리스프): LISP는 1960년 미국 MIT 대학의 메카시라는 사람에 의해 개발된 프로그래밍 언어로, LISt Processing의 약자이다. 이 언어는 람다라는 대수에 근거를 두어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모두 같은 형태로 표현함으로써 프로그램이 마치 데이터처럼 취급될 수 있고, 프로그램이 함수로 선언되어 필요한 작업을 수핼할 수 있다는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주로 인공지능과 그 응용 분야에서 많이 사용된다.


LLC: Logical Link Control의 약자. LAN 상에서 SNA 환경을 실현하는 경우 등에 이용하는 프로토콜.


LMI: local management interface


load(로드): 으로드란 외부의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읽어서 주기억장치에 옮겨 놓는 과정을 말한다. 컴퓨터에 요구되는 모든 업무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CPU)는 주기억장치에 올려져 있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만을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가 처리하고자 하는 대부분의 데이터나 프로그램들은 주기억장치에 있는 것이 아니라 보조기억장치에 있기 마련이다. 그러므로 이 보조기억장치에 있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들을 주기억장치로 옮겨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을 로드라 한다.


LOGO(로고): 1960년대에 미국 MIT 대학의 세이버 파페르라는 사람에 의해 처음 고안된 이 프로그래밍 언어는 원래 어린 아이들을 위한 컴퓨터 교육용 언어로 고안되어 컴퓨터를 처음 사용하는 초보자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언어이다.


MAC: media access control


macro(매크로): 매크로란 여러 개의 명령문을 하나의 명령어로 간단하게 묶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으로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같은 명령을 여러 번 사용해야 하는 상황에서 많이 쓰이고 있다. 매크로는 종종 함수와 비교되기도 하는데, 함수로 짜여진 프로그램은 기계어로의 번역시 함수가 사용된 위치에서 단 한 번 번역되므로 메모리를 절약할 수 있으나, 메크로로 짜여진 프로그램은 매크로를 부르는 위치마다 번역되어 메모리를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실행시 함수는 번역되어진 곳까지 제어를 이동 시켜야 하나 메크로는 그대로 순차적으로 실행해 나가면 되므로 실행 시간을 줄일 수 있다. 그러므로 이 메크로는 메모리를 좀 차지하더라도 빠른 시간안에 처리를 해야하는 프로그램 즉, 시스템 프로그램과 같은 프로그램에서 많이 쓰이고 있다.


MAC 어드레스: LAN 단말기가 통신시에 이용하는 단말기 식별번호. 이더넷, 토큰 링, FDDI 등의LAN 프로토콜에 공통적인 어드레스. LAN 메이커가 LAN 제어 칩에 붙인 글로벌 어드레스(전세계에서 하나 밖에 없는 어드레스)가 일반적이지만 유저가 설정할 수 있는 로컬 어드레스를 채용하고 있는 LAN 보드도 있다.


Magic Cap: 미국 제너럴 머신사가 개발중인 휴대단말기용 오브젝트 지향 OS.


mainframe(메인프레임:대형 컴퓨터): 대용량의 메모리와 고속도의 처리 속도를 지닌 멀티유저(여러명의 사용자가 하나의 컴퓨터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것)용 대규모 컴퓨터를 '메인프레임'이라고 한다. 이처럼 대규모 컴퓨터를 메인프레임이라고 칭하게 된 이유는 초창기의 ENIAC(에니악)과 같이 덩치 커다란 컴퓨터가 수 천개의 진공관을 설치한 회로기판을 철골로 된 뼈대인 프레임 안에 조립한 형태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전형적인 메인프레임은 주기억 용량이 수 십 MB 이상이고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의 수가 100명 이상인 컴퓨터를 의미했는데, 1980년대 초부터 개발되기 시작한 워크스테이션은 PC 크기의 컴퓨터이지만 대용량, 고속 처리, 고속의 통신망과 UNIX(유닉스:멀티유저를 위한 운영체제)의 사용이 가능해져서 여러분야에서 메인프레임과 같은 위치를 점하고 있다.


maintenance(메인터넌스:유지 보수):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상태를 최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예방과 대책이 필요한데 이와 같은 행동을 '유지 보수'라고 한다. 하드웨어를 유지 보수하기 위한 것으로 정기적인 점검, 조정, 수리, 부품 교환 등이 있으며 소프트웨어인 경우에는 프로그램의 오류를 찾아내고 고치는 디버깅 작업, 업무 변화에 따른 해당 프로그램의 일부 수정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에도 데이터의 손상 및 최근 논란이 되고있는 바이러스의 예방을 목적으로 사전에 백업을 받아두는 작업 역시 중요한 유지 보수의 하나이다. 첨단 컴퓨터의 등장과 업무의 고도화에 따라 근래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개발 비용보다는 유지 보수를 위한 비용이 더욱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의 약자. 도시 레벨까지 확대시킨 일종의 LAN. mailslot데이터그람형(콘넥션리스형)의 통신기능을 제공하는 API. 데이터의 송달확인 기능은 없다.


manual(매뉴얼: 수동, 취급설명서): '매뉴얼'이란 수동을 의미하며, 자동이라는 의미의 '오토(auto)'와 상대적 개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매뉴얼은 취급 설명서의 영어 표기이기도 하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카메라를 살펴보면 A와 M을 선택하는 스위치가 있는데 A는 auto(자동)를, M은 manual(수동)을 나타낸다. 이때 A를 선택하면 카메라의 모든 조절 장치가 자동으로 맞추어지지만, M을 선택하면 좋은 사진을 찍기 위해서 사용자가 카메라의 조리개, 촛점, 거리 등을 일일히 맞추어야만 한다. 또한 취급하기 복잡한 가전기기나 컴퓨터 또는 소프트웨어를 구입했을 때, 포장을 풀게 되면 취급설명서가 들어 있다. 취급설명서는 기기 또는 소프트웨어를 구입한 사용자가 스스로 조작하는 방법, 즉 사용자의 손을 이용하여(수동으로) 기기나 소프트웨어를 다루는 방법이 적혀 있다. 취급설명서를 흔히 매뉴얼이라고 부르는데, 이것은 매뉴얼(수동)로 손수 조작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되어 있기 때문에 유래된 것으로 알려졌다.


MB: 메가 바이트(Mega Bite). 백만 바이트를 뜻한다.


MCA/JSMR: 일본에서 서로 다른 유저가 공동으로 중계국의 복수 채널을 이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MCA는 이동무선센터가, JSMR은 일본이동통신시스템협회(JAMTA)가 제공. 각각 국내 90개소 이상의 지역에서 국소적으로 이용 가능. 운송업 등의 업무이용이 중심.


MCA: Multichannel Access의 약자. 아날로그의 음성용 자영무선.


MDF: main distributing frame


memory(메모리:기억장치): 컴퓨터의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넣어두는 장소가 기억장치 즉 메모리이다. 메모리는 주로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로 나뉘어진다. 주기억장치에는 램과 롬이 있다. 램은 정보를 받아들이고 계산의 결과치를 저장하는 등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나 전원이 꺼지면 기억된 내용을 모두 잃어 버린다. 반면에 롬은 전원이 꺼저도 기억된 내용을 잃지 않으며 기억되어 있는 내용을 읽을 수 만 있고 새로 저장하지 못한다. 그리고 보조기억장치에는 디스켓을 사용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해 놓을 수 있는 풀로피 디스크와 고정 디스크라고도 하는 하드 디스크가 있다.


memory map(메모리 맵): 동회나 복덕방에 가보면 지적도라는 도표가 있어 주민들이 살고 있는 집들이 어디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집이 얼만큼 큰가를 쉽게 알아볼 수 있으며 집을 찾는 사람들이 빠른 시간 안에 원하는 집을 찾을 수 있으며 주민을 관리하기에도 무척 효율적이다. 이와 같은 지적도가 컴퓨터의 기억장치를 관리하는데도 유용하게 쓰이고 있는데, 이러한 역활을 하는 것이 메모리 멥이다. 메모리 멥은 데이터 또는 일련의 프로그램들이 기억장치의 어느 부분에 저장되어 있는가를 보여주는 도표이다.


merge(머지:합병): 일반적으로 같은 규칙에 의해 순서가 정해진 두 개 이상의 정렬된 순차 파일을 합쳐서 하나의 파일로 만드는 작업을 머지라 한다. 예를 들어 여러 명이 각각 기능별로 따로 작성한 단위 플그램(모듈)들을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구성하는 작업과 같은 것이 머지이다. 머지시 주의해야 할 사항은 프로그램이 작성되어진 순서를 뒤바꾸거나, 하나의 단위 프로그램 중간에 다른 기능의 단위 프로그램을 넣을 수 없다는 것이다.


MFJ: Modification of Final Judgement. 수정동의심결. 미국에서 1984년 AT&T 분할을 결정한 연방재판소의 재정. 7개의 지역전화회사가 탄생했고, 이 즈음 독점방지의 관점에서 BOC는 장거리서비스, 기기제조, 정보서비스의 제공을 금지시켰다.


MHS: message handling system


MIB: Management Information Base의 약자. 네트워크 관리에서 관리대상 장치의 관리정보를 형식적으로 표현한 것. 개개의 관리정보는 관리 오브젝트라고 부르며, 유닉크한 식별번호가 붙어 있다. 인터넷 관리나 OSI 관리 등 표준화된 MIB 등의 정의가 있다. 표준으로 MIB-I/II, 호스트 리소스 MIB가 있다. 이밖에 각 메이커의 고유 MIB를 확장 MIB로 규정할 수 있다. SNMP 에이전트가 지원하지 않은 MIB는 MIB컨파일에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MIC: media interface connector


MIPS: Million Instructions Per Second의 약자. 컴퓨터의 성능을 표시하는 지표의 하나. CPU가 1초간당 명령 실행회수를 100만회 단위로 표시한 것이다.


MIS(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경영정보시스템): 경영내의 전반적인 정보를 통합적으로 분류 축적하고, 기업내의 각 분야에서 이 정보를 이용하여 의사 결정을 신속히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경영정보 시스템은 경영자가 기업을 통합 관리 운영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즉시 제공받아 의사결정과 신속한 조정 통제가 유기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설계된 정보제공 시스템이다.


MLT-3: Crescendo Communications사가 제시한 다치(多値) 변조방식. 평형대 케이블에서는 감쇠량과 전파방해의 관점에서 볼 때 고주파 신호전송보다 저주파 신호전송이 우세하다. 100Mbps의 고속 데이터 통신속도를 유지하면서 주파수를 낮추는 방법으로서 MLT-3가 나왔다.


MLT: multi-level transmit


MNP(Microcom Networking Protocol): 미국 마이크로콤사가 개발한 에러 정정, 화일 압축 기능을 가진 프로토콜이다. MNP 모뎀은 9가지 class로 구분된다. class의 증가는 추가된 기능에 따라 하위 class의 기능들을 포함하면서 개선되고 있다. 클래스 1부터 클래스 10(8은 제외)까지 있다. 클래스 4는 에러 정정기능, 클래스 5는 데이터 압축기능, 클래스 10은 무선회선에 관한 고속/안정화이다.


modem(모뎀): MOdulator/DEModulator의 약자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통신을 할 때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기기이다. 컴퓨터 통신에서 모뎀의 기능은 컴퓨터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의 신호 즉, 2진수화되어 있는 디지털 신호를 받아서 전화선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고, 전화선으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기능을 하는 데이터 통신 기기이다. 모뎀의 종류는 크게 전용회선을 이용하는 전용회선 모뎀과 일반 전화와 같은 교환 회선을 이용하는 다이얼업 모뎀으로 나뉘어진다.


module(모듈): 일정한 일을 처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최소 단위를 모듈이라 한다. 이 단어는 원래 건축학에서 사용되는 수치의 기준을 말하는 것으로, 컴퓨터에서는 처음에 다른 구성 요소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하드웨어를 각각의 부분을 지칭하는 단위로 사용되었다. 그 후 구조적 프로그래밍 기법이 개발되면서 프로그램의 일부분을 일컫는 기본 단위로 모듈이란 단어가 쓰이게 되었다. 프로그램을 모듈별로 나누어 구성하면 여러 사람이 동시에 작업할 수 있으므로 방대한 프로그램이라도 단시간에 작성할 수 있으며, 완성된 후에 업무의 변경 등 부득이한 사정으로 프로그램을 수정하게 될 때에도 해당되는 모듈만 찾아 수정하면 되므로 유지 보수 측면에서도 큰 도움이 된다.


Mosaic: 미국 일리노이대학의 NCSA(National Center for Supercomputing Applications)으로 개발되고 있는 분산데이터베이스의 클라이언트(단말측 기능). 서버측에서 사용하는 WWW, WAIS, Gopher 등의 클라이언트 기능에 더해 FTP기능도 가진다. GUI(그래피컬 유저 인터페이스)에 앞선다.


MOSPF: multicast extentions to OSPF


mouse(마우스): 마우스는 화면상에서 커서나 명령어 선택을 위해 나타나 있는 반전막대 등을 이동시킬 때 키보드 대신 사용하는 입력장치의 일종이다. 모든 마우스는 손에 쥐기 편한 작은 상자 모양으로 되어있고, 1개에서 3개의 버튼이 있다. 마우스를 책상 바닥 위에서 움직이면 그 움직인 방향과 거리만큼 화면의 커서가 이동한다. 또한 버튼을 이용하여 키보드의 리턴키와 같이 명령어를 실행시키거나 그 외의 여러가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마우스는 그래픽 프로그램에서 입력 좌표의 정확성과 손쉬운 커서이동 및 버튼을 이용한 선그리기, 색칠하기 등, 탁월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근래에는 그래픽 뿐만 아니라 팝업 메뉴 형식의 다양한 업무, 관리, 게임 프로그램의 개발로 인해 이제 마우스는 필수적인 입력장치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MPC(Multimedia Personal Computer) 규약: 멀티미디어 PC규약(MPC)은 컴퓨터 환경 하에서 멀티미디어 PC를 위한 스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주변기기의 최소한의 필요 사항을 규정한 것이다. 현재 이 규격에는 1991년에 발표된 최초의 사양인 레벨1과 1993년에 발표된 레벨2의 두 종류가 있다. 이것은 개발자에게 있어서는 대상이 되는 시스템의 최저 수준을 의미하며,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타이틀의 대부분이 MPC규격에서 제안한 시스템 이상을 기준으로 제작되어 있다. MPC 레벨1은 멀티미디어용 S/W 개발자를 위한 것이고 레벨2는 사용자가 갖추어야 할 최소한의 권장 사항이라 할 수 있다.

부 분


MPC 레벨1


MPC 레벨2


CPU


80386SX-16MHz


80486SX-25MHz


RAM


2MB


4MB


HDD


30MB


160MB


CD-ROM드라이브


150KB/sec


300KB/sec


사운드카드


8비트


16비트


비디오카드


VGA(16컬러)


640 X 480


VGA(6만5천컬러)


640 X 480


MPEG(Motion/moving Picture Export Group): 화상정보는 다른 형태의 정보인 음성, 음향, 문자 등에 비해 그 양이 매우 크다. 따라서 이러한 화상을 압축시키고 이를 복원하는 기술이 나타나는데, 이 때 화상정보를 압축하는 압축기술의 국제 표준규격이 MPEG이다. 이는 CCITT(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와 ISO(국제표준화기구)가 미국및 유럽의 제조업체들과 함께 만든 표준으로 화상정보를 100:1 정도로 줄일 수 있는 기준이 된다. cf. 다름 사전 - MPEG: 컬러 동화상의 디지털 압축/신장방식의 하나. ISO(국제표준화기구)와 IEC(국제전기표준회의)의 합동조직인 Moving Picture Experts Group(정식명칭 ISO/IEC JTC1 SC29/WG11의 속칭)이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머리글을 따서 방식의 이름을 MPEG이라 한다. MPEG1-4까지의 레벨로 나눠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3은 2에 흡수). MPEG1은 1.5Mbps까지를 대상으로 하고, MPEG2는 3M∼40Mbps정도가 대상으로 93년 말에 규격이 완성됐다. MPEG4는 10kbps정도까지의 저속으로 이동통신 등이 대상으로 되어 있다.


MPEG-2: 컬러 동화상의 디지털 압축/신장방식의 하나. 통신, 축적, 방송 등 어떤 곳에도 사용할 수 있는 범용부호화 알고리즘. 3M~40Mbps 정도가 대상이며 1993년 말에 규격이 성립됐다.


MPU: 마이크로 처리 장치(microprocessor unit). 마이크로 컴퓨터의 중앙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그 구조에 따라 해당 시스템에 가장 적합한 궁극적인 응용분야를 결정한다. 어떤 MPU는 특별히 처리 제어나 자료 통신 분야에 알맞게 되어 있으며 어떤 MPU는 경보기 능, 게임, 탁상 계산기 혹은 다른 목적으로 설계된 것도 있다. 우수한 시스템에 대한 척도로는 최대 능력, 다양성, 단위 시간당 처리량과 설계의 용이도 등을 들 수 있다.


MSO: Multiple System Operator의 약자. 전국에 복수의 CATV 회사를 소유하는 회사를 일컫는다. 일종의 프랜차이즈화로 경영권과 프로그램 편성권을 갖는다. 미국의 TCI, 타임워너 케이블 등이 대표적이다.


Multimedia(멀티미디어): 멀티미디어의 어원을 분석하면 여러가지 미디어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미디어란 인간 상호간의 감정이나 의사를 전달하는 수단이라고 풀어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란 다음의 다섯 가지를 만족할 경우라 할 수 있다. 1. 둘 이상의 미디어를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2. 멀티미디어는 두 가지 이상의 미디어를 동시에 사용해야 한다. 3. 미디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시스템을 사용해야 한다. 4. 사용자는 시스템과 대화할 수 있어야 한다. 5. 시스템을 사용해 정보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Multimedia PC: PC에 스피커, 마이크와 같은 음향기기 및 CD-ROM 드라이브와 같은 고용량 저장매체 TV카드, 소리카드 등을 부착하여 다중매체(Multi-Media)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개인용 컴퓨터.


multiprocessing(멀티프로세싱): 멀티프로세싱이란 시스템의 처리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하나의 컴퓨터 내에 여러 개의 프로세서(CPU)를 두어 이들이 각각 작업을 분담, 처리하도록 하는 방법을 말한다. 멀티프로세싱은 2개 이상의 CPU가 병렬적으로 작업하는 다중처리기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여러 개의 CPU가 하나의 주기억장치를 공유하여 각각의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얼핏 들으면 어떤 작업을 동시에 처리한다는 의미에서 멀티프로세싱과 멀티프로그램을 혼동할 수 있다. 그러나 멀티태스킹이나 멀티프로그램의 경우 하나의 CPU를 아주 빠른 간격으로 나누어 사용함으로써 여러 작업을 동시에 하고 있는 것처럼 느낄 뿐이지 멀티프로세싱과 같이 여러 개의 CPU가 실제로 동시에 운영되며 여러 프로그램을 처리하는 것은 아니다.


multitasking(멀티테스킹): 멀티테스킹이란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이 여러 개의 응용 프로그램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컴퓨터는 대부분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그 처리 속도가 좌우되지만 CPU에 못지 않게 컴퓨터가 작업을 수행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이 컴퓨터 주변장치들에 의한 입출력 처리 속도이다. 그러므로 CPU는 주변 장치들이 다음 작업을 위해 자료를 읽거나 쓰는 동안 그냥 놀고 있게 되는데, 멀티테스킹은 이처럼 CPU가 낭비하고 있는 시간을 이용하여 또다른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말한다. 멀티태스킹을 실행하면면 여러가지 프로그램을 하나의 CPU가 모두 처리하므로 실행 속도가 약간 떨어지게 되나 전체적으로 보면 여려 프로그램을 조금씩 계속 처리하므로 훨씬 효율적이 된다.


named pipes: 두개의 애플리케이션(프로세스) 간에 통신하기 위한 기능. 프로세스사이의 통신 수단인 파이프에 이름을 붙여 이름으로 각각의 파이프를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LAN Manager, Windows NT에서는 API의 하나로서 제공된다.


NBP: name binding protocol


NBP: 미국 3M이 개발한 NetBIOS 프로토콜. 이더넷의 타이프 필드를 사용해 NetBIOS 코멘드/리스펀스를 표현한다.


NCP: Netware core protocol


NDIS: Network Driver Interface Specification의 약자. 미국의 마이크로소프트사와 3Com사가 중심이 돼 개발한 LAN보드와 데이터 링크층의 통신용 인터페이스. NDIS 대응의 LAN 보드를 사용하면 LAN의 전송매체에 의존하지 않고 다른 상위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


NetBIOS: network basic input/output system


NetBIOS: 미국 IBM이 작성한 통신용 API. IBM의 PC-Networks, 마이크로소프트의 MS-Networks, LAN 매니저 등에서 채용.


NetBUEI: NetBIOS extended user interface


NETRPC: network remote procedure call


NetWare: 미국 노벨사의 PC-LAN용 OS. NetWare v3.11로 동작하는 네트워크 관리 소프트웨어 NMS(NetWare Management System)'의 기능을 향상시켜 SNMP를 지원했다.


network(네트워크): 고속버스 터미널의 매표구를 가보면 서울의 중앙 터미널이 전국의 수 십군데 지방 터미널과 선과 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지도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연결되어 있는 선은 지방과 서울 또는 지방과 지방간을 연결시켜 줌으로써 인적 교류를 추진하는 중요한 수단이 된다. 컴퓨터를 이용하는 데이터 통신에서도 고속버스 연결망과 같이 중앙 컴퓨터와 단말 컴퓨터 또는 단말 컴퓨터간에 통신 선로로 구성된 연결망을 연결시켜야 만이 쌍방간 또는 다자간 통신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연결망을 네트워크라고 한다. 다시 말해서 네트워크는 정보와 데이터가 왕래하는 보이지 않는 길이라고 할 수 있다.


NeXT(넥스트): 애플과 매킨토시라는 획기적인 컴퓨터를 창조했던 스티브 잡스는 또다시 넥스트라는 컴퓨터 제작회사를 설립하고 동명의 32비트 개인용 컴퓨터 넥스트를 88년 10월 12일 발표했다. 넥스트 컴퓨터는 워크스테이션의 수준을 유지하면서 가격과 규모에 있어서 개인용 컴퓨터를 실현시킨 획기적인 컴퓨터이다. 또한 본체 외형이 기존의 PC나 워크스테이션에서 보아온 형태(데스크 탑형, 타워형)를 완전히 탈피했다. 넥스트 컴퓨터의 하드웨어적 속성을 살펴보면 CPU로는 미국 모토롤라사의 MC68030(32비트, 25MHz)을 채택했으며 주기억용량은 8MB 기본에 최대 16MB까지 확장할 수 있다. 특히 넥스트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256MB라는 놀라운 용량을 가진 광디스크 기억장치를 보조기억장치로 채택하여 차세대 기억매체를 실현하고 있다.


NFS: network file system


NII: The 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의 약자. 미국의 정보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기본 구상. 행동 어젠더는 정책의 원칙과 목표로 적정한 세제.규제정책에 의한 민간투자 촉진, 전 국민에 정보자원에의 억세스를 보증하는 '유니버설 서비스' 개념 보급, 기술혁신과 신규 애플리케이션의 촉진, 연속적이 아닌 대화형 또한 유저 중심의 NII 운용촉진, 정보 안정성과 네트워크 신뢰성 보증, 주파수관리 개선, 지적소유권 보호, 정부기관이나 다른 외국과의 조정, 정부정보에 액세스 확대와 정부조달의 개선 등 9항목이다. 클린턴/고어 정권이 내걸은 차세대 정보기반 정비 정책으로 멀티미디어통신을 새로운 유니버설 서비스로 자리매겨 정보를 가진 자와 못가진 자의 격차를 없애고 정보로 국민을 풍요롭게 할 것을 주창하고 있다. NTT 구상의 기반이 되는 네트워크가 정보 슈퍼하이웨이다.


NLM: NetWare loadable module


NLPID: Network Level Protocol ID의 약자. ISO(국제표준화기구)와 ITU(국제전기통신연합)가 관리하는 네트워크층 레벨의 프로토콜 ID.


NLSP: NetWare link services protocol


NM 포럼: Network Management Forum. OSI(개방형시스템간 상호접속)의 네트워크 관리기능을 개발하기 위해 결성된 민간조직. 1988년 7월에 AT&T 등 구미의 통신사업자, 컴퓨터 메이커 8개사가 발족했다. 93년 1월 현재 총 117개사. OSI 네트워크 관리표준을 실장하기 위해 세밀한 사양을 작성한다.


NNI: Network-Node Interface의 약자. ATM 스위치 간, 그리고 ATM 스위치와 다른 ATM 망과의 인터페이스 사양.


node(노드): 노드는 식물 줄기의 가지나 잎이 나는 마디 혹은 조직의 중심점 등으로 이해되는 단어이다. 컴퓨터 사용에 관련된 용어로서의 노드는 데이터의 상하위 개념을 나타내는 위치, 네트워크나 회로 등의 교차점, 컴퓨터 네트워크 구성시 주컴퓨터와 연결되는 단말기, 워크스테이션 또는 통신용 컴퓨터 등의 여러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트리 구조로 구성된 데이터 조직에서의 노드는 최상위인 루트(root)노드, 이의 하위 노드인 페어런트(parent)노드 그리고 최하위 노드인 차일드(child)노드로 구성된다. 한편 노드 컴퓨터라 하면 데이터와 메시지 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전달시키는 컴퓨터를 의미한다. 노드 컴퓨터를 이용한 대표적인 분산처리 시스템으로는 ARPA라는 네트워크를 들 수 있는데, 이는 미 대륙과 유럽의 서로 다른 다수의 컴퓨터들을 인공위성을 통해 연결시켜 놓은 노드 컴퓨터를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노드 컴퓨터의 존재는 사용자들에게 나타나지 않는다.


NREN: national research and education network


NS: 나노초(nano second).


NSFnet: 전미과학재단(NSF)이 출자한 연구·교육용 백본 네트워크. 네트워크 자체는 미국 ANS가 NSF로부터 위탁해 운용하고 있다. 백본의 지역폭은 45Mbps. 상용 인터넷 대두와 함께 NSF는 NSFnet에 출자를 중지하기로 했다. 1994년 5월 이후 네트워크를 여러 민간기업에 이관하고 있다.


NT1: network termination 1


NTFS: NT file system


NTIA: national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administration


NTSC: 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의 약자. 흑백 TV의 호환성을 확보하고 컬러 TV용으로 전환할 때의 TV 동화상의 표준규격. PAL, SECAM 방식도 있다.


OA(Office Automation:사무 자동화): 다양한 현대 문명의 첨단 기기들로 인해 일일이 사람의 손을 거치지 않고도 자동으로 업무를 수행해 주는 자동화라는 개념이 여러 곳에서 도입되고 있다. 이는 크게 공장자동화, 사무자동화, 가정자동화 등 3부류로 나누어진다. 그 중 사무자동화는 다양한 기능을 갖춘 소형 컴퓨터, 팩시밀리, 워드프로세서, 복사기 등 사무자동화 기기의 등장에 힘입어 상호 관련성이 많고 복잡한 기존의 사무실 업무를 한층 간편하고 편리하게 만들어 주고 있다. 사무자동화는 전표정리, 보고서 및 사업현황 작성 등 비수치적인 업무에서부터 수치적인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무용 업무의 자동화를 위하여 컴퓨터, 통신 기술 및 시스템 과학과 행동 과학을 융화시켜 하나의 통합된 정보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경영의 합리화를 꾀하고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켜 주고 있다. 산업용 로보트의 등장에 따른 공장자동화, 원격제어 장치의 발달로 가능하게 된 가정자동화에 이어 오피스 혁명으로 불리우는 사무자동화는 현재 전체 노동인구의 약 20-30%를 차지하고 있는 사무직 종사원들과 이들을 거느린 기업 모두에게 자동화를 위한 비용의 투자와 이에 비례하는 작업의 합리성 여부라는 문제를 던져주고 있다. 그러나 사무자동화는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는 다양한 첨단 사무기기의 등장으로 보다 합리적인 업무 자동화의 내일을 더욱 실감나게 해 주고 있다.


OBE: office procedures by example. OA에 응용하기 위한 비절차용 언어.IBM의 Thomas J. Watson 연구소에서 개발한 것으로 워드 프로세싱, 데이터 프로세싱, 그래픽, 전자 우편, 문서 형식에 의한 보고 등의 기능을 갖도록 설계되었다.2차원적 비절차형 언어로서 QBE(query by example)에 의한 DBMS(data base management system)의 확장.


object code(목적 코드): 일반적으로 우리는 고급 언어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한다. 컴퓨터는 언어는 크게 고급 언어와 저급 언어(기계어)로 나누어 지는데, 고급 언어의 경우 사용하는 명령어들이 우리가 일상적으로 접하는 언어와 비슷하여 프로그램 작성이 비교적 수월하다. 그러나 기계어는 말 그대로 기계, 즉 컴퓨터가 이해하기 쉽도록 만들어진 언어이기 때문에 사람이 이것을 이용, 프로그램을 작성하기는 매우 어렵다. 실제로 컴퓨터는 프로그래머들이 고급 언어를 이용하여 작성한 프로그램은 아무 것도 이해하지 못한다. 그러면 컴퓨터는 어떻게 프로그램을 이해하고 실행하는 것일까? 프로그램은 크게 원시 프로그램(source program)과 목적 프로그램(object program)으로 나눌 수 있다. 원시 프로그램이란 소스 프로그램이라 하여 프로그래머가 처음 작성한 프로그램을 말하며 목적 프로그램이란 원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어떠한 형태로든지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표기법으로 바뀌어진 프로그램을 말한다. 다시 말해 우리가 작성한 프로그램은 그 자체로서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항상 목적 프로그램이라는 내용은 같으나 표기가 다른 새로운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고 있다. 목적 프로그램은 대부분 컴파일러나 인터프리터라는 번역기에 의해 생성되는데 이처럼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 만들어진 목적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코드가 바로 목적코드라는 것이다. 목적 코드는 대부분 기계 코드로 되어 있으나 때로는 기계 코드 자체는 아니지만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기계 코드를 만들어내는 데 아주 적합한 형태로 되어 있기도 하다.


ODBC: open database connectivity


ODI: Open Data-link Interface의 약자. 미국의 노벨사가 개발한 LAN 보드와 데이터 링크층의 통신용 인터페이스. NDIS와 똑같은 모양의 인터페이스이다.


OLE: object linking and embedding


OMR(Optical Mark Reader:광학 마크 판독기): 컴퓨터를 이용하여 다량의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데이터의 입력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예전에는 카드에 구멍을 뚫고 이를 컴퓨터가 읽도록 하는 펀치카드 방식이 가장 일반적이었으나, 입력 시간이 길게 소요됨으로써 그 효과를 제대로 거두기가 어려웠다. 이러한 제약점을 극복하고 컴퓨터 사용시 자료 입력의 극대화를 꾀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이 바로 종이에 기록되어 있는 글자, 숫자, 기호 등의 데이터를 기계가 직접 읽어 들이도록 하는 광학적 기호 판독장치이다. 광학 마크 용지에 일정한 서식에 따라 빈틈없이 칠한 마크를 기계에게 식별시키는 마크 센스(mark sence)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OMR은 대입 예비고사, 대학교의 수강신청 및 성적 처리,인구 동태, 출생 신고 등 우리들 생활 주변에서 매우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새로운 자료입력 방식의 개발로 인하여 데이터 입력의 간소화, 고속화가 매우 빠르게 진전되고 있다.


ONA: Open Network Architecture


Operating System(운영체제): 컴퓨터가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유기적인 관계를 가져야 하는데 이들을 조화있게 연결하는 중개자를 Operating System이라 한다. 운영체제는 사용자가 손쉽게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컴퓨터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 프로그램 중의 하나로 워드프로세스나 데이터베이스, 그래픽 프로그램 등 모든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고자 할 때 언제나 컴퓨터의 주메모리에 올라 있어 이들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한다. 운영체제는 감시, 메모리 관리, 입출력 관리, 파일 관리 및 명령어 처리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 감시는 응용 프로그램의 모든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며, 메모리 관리는 주메모리의 하나인 램(RAM)의 사용을 제어하는 것으로 응용 프로그램이 담길 메모리의 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입출력 관리는 데이터의 흐름을 관리하는 것인데, 이 기능으로 인해 응용 프로그램과 디스크 드라이브, 모니터, 프린터 등의 주변기기와의 데이터 교환을 편리하게 해 준다. 그리고 파일을 관리하는 파일 관리 기능과 사용자가 입력하는 명령을 처리하는 명령어 처리 기능까지 갖추고 있다. 운영체제의 종류는 유닉스(UNIX), 제닉스(XENIX), DOS, OS/2, VMS 등이 있는데, 개인용 컴퓨터에서는 DOS가 가장 많이 쓰이고 있다.


OOP: 객체 지향형 프로그래밍(object-oriented programming). 프로시저보다는 명령과 데이터로 구성된 개개의 객체를 중심으로 하는 프로그래밍. 객체는 프로그램 단위로서 정보와 그 정보를 조작하는 프로시저에 대한 기술을 포함한 단위로 간주된다.


optical fiber(광섬유): 광섬유는 빛을 전송하기 위해 특수하게 제작된 유리로 된 가는 선으로 석영유리를 기본 재료로 한다. 이것의 구조는 굴절률이 높은 코아라는 중심부와 굴절률이 낮은 클래드라는 바깥부분의 이중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두 부분의 경계면에서 빛은 전반사(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매질 사이에 빛이나 전파 등을 통과시키면, 입사된 파(wave)의 일부는 반사되고 일부는 매질을 통과한다. 이 때 입사파의 전부가 반사없이 전부 매직을 통과하는 것이 전반사이다.)를 되풀이하면서 안쪽으로 꺽이므로 빛이 지속적으로 중심축 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광섬유는 지름이 보통 0.1 내지 0.2mm이며 광섬유를 감싸고 있는 피복을 포함하더라도 그 직경이 1mm 이하이다. 이 정도면 우리 머리카락의 수 백분의 일 정도로 무척 가느다란 선이다.


optimization(최적화): 컴퓨터의 사용중 한정되어 있는 시스템을 최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명령이나 데이터의 구성 등을 정해진 기준내에서 최적으로 하여 프로그램의 크기를 작게 하고 실행속도를 빠르게 하는 등을 최적화라 한다. 최적화는 크게 프로그램의 내부적인 최적화와 프로그램의 외부적인 최적화로 나눌 수 있다. 프로그램의 내부적인 최적화는 컴파일 과정에서 발생하는 최적화와 같은 것으로 프로그램을 컴파일할 때 컴파일러에서 생성된 목적 코드(기계어로 번역된 명령어) 를 분석하여 불필요하게 번역된 부분은 빼고 공통 수식은 공유하며 사용하지 않는 코드나 데이터는 제거하는 방법 등으로 목적 프로그램의 크기를 줄여 실행 속도를 빨리하는 작업이다. 프로그램의 외부적인 최적화는 보조 메모리 등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나 프로그램이 삭제되거나 새로이 입력되는 과정에서 조그만 크기로 분리되어 다른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없을 정도로 작아진 메모리 영역을 재정리, 합병하여 적당한 크기로 구성하는 작업을 기리킨다.


OSF/DCE: OSF가 개발하고 있는 분산 컴퓨팅 환경을 실현하기 위한 미들웨어군. OSFUNIX 통합화/오픈화를 위한 업계 단체. UNIX OS로서 OSF/1을 표준화했다. 여러 컴퓨터로 협력해 처리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으로서 DCE라는 기술을 제공한다.


OSF: open software foundation


OSI: Open Systems Interconnection의 약자.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 서로 다른 컴퓨터간이나 네트워크간의 상호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ISO가 규정한 네트워크 프로토콜.


OS: Operating System의 약자. 컴퓨터의 하드웨어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관리하는 기본 소프트웨어.


OSPF: Open Shortest Path First의 약자. 회선 비용, 지연, 스루풋을 감안해 최선의 경로를 설정하는 라우팅 프로토콜. 인터넷에서 표준화돼 있으며, 중계 노드간 네트워크 구성정보를 교환할 때 사용한다. 각 중계노드는 그 정보에 기초로한 루트를 결정한다.


overflow(오버플로우): 정해진 작은 공간에 그 공간 보다 더 큰 물건을 담으면 내용물이 흘러 넘치는 현상을 볼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현상을 오버플로우라 한다. 이러한 오버플로우 현상의 한 예로 컴퓨터에서 산술 연산을 할 때 출력되는 값이 그것을 받아들여 저장시킬 레지스터나 기억장소의 용량을 초과하여 지정된 길이의 필드보다 더 긴 필드를 필요로 하면 발생된다. 예를 들어 2의 보수를 사용하는 4자리의 2진수 연산에서는 표현할 수 있는 수치의 범위가 -8에서부터 +7까지인데 만약 다음과 같은 연산을 한다고 하면 0110(6)+0101(5) (십진수) 결과치는 십진수로 11이지만 이 연산에서 출력된 1011값은 2의 보수로 표현되므로 십진수로 -5을 나타내게 된다. 즉 십진수 11이라는 값을 출력하려면 적어도 5자리 이상의 비트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4자리로는 출력이 불가능하다.


overlay(오버레이): 컴퓨터의 주기억장치(램) 보다 용량이 큰 프로그램은 주기억장치에 입력될 수 없다. 이것은 곧 프로그램의 수행이 불가능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오버레이'기법을 이용하면 프로그램의 수행이 가능해진다. 오버레이 기법은 용량이 큰 프로그램을 분할 가능한 몇 개의 부분으로 나눈 뒤, 각 부분의 실행이 필요할 때마다 필요한 부분만 주기억장치로 입력시켜 실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 때 분할된 각각의 부분을 '세그먼트' 또는 '모듈'이라고 하며 주 프로그램은 항상 주기억장치에 머물면서 필요한 세그먼트(모듈)를 오버레이 버퍼라는 일종의 기억장치에서 불러낸다. 특히 PC와 같이 주기억장치의 용량이 작은 컴퓨터들은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프로그램의 수행이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성적처리 프로그램의 용량이 사용하는 컴퓨터의 주기억 용량 보다 크면 입력이 불가능하다는 메시지와 함깨 실행을 할 수 없다. 이럴 때에 오버레이 기법을 사용하면 실행할 수 있다. 성적처리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성적을 합산하는 부분, 성적순으로 학생의 순위를 정렬하는 부분, 이상과 같은 결과를 인쇄하는 부분 등으로 나누어져 있다. 이와 같은 성적처리 프로그램을 오버레이 기법을 통해 합산, 정렬, 인쇄의 세가지 세그먼트로 나누고 각 세그먼트를 차례대로 입력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주기억장치(램)에 특정의 프로그램을 상주시키고 그 프로그램을 필요에 따라 호출할 수 있는 램 상주 프로그램에서도 오버레이 기법이 사용된다. 램에 특정 프로그램이 상주되면 프로그램 용량 만큼의 주기억 용량을 사용할 수 없게 되므로 다른 프로그램의 사용에 큰 제약을 받게 된다. 따라서 오버레이 기법을 이용하여 램 상주에 필요한 주프로그램을 상주시키고 나머지 세그먼트를 필요에 따라 주기억장치로 호출함으로써 램 상주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고 주 메모리의 용량이 줄어드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오버레이는 유용한 기법으로 기억용량이 작은 컴퓨터에서 많은 도움을 주지만 프로그래머가 프로그램을 각 세그먼트(모듈)로 나누고 세그먼트 간의 데이터 교환을 실행시켜야 하므로 고도의 프로그램 작성 기술을 요구한다.


P&P(Plug & Play): 좁은 의미에서는 말 그대로 전원 스위치를 올리는 순간부터 사용자는 간단한 교육만으로 자신이 하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일련의 하드웨어 설치를 의미하지만 넓은 의미에서는 사용하기 쉬운 컴퓨터 환경을 구축하는데 기여하는 하드웨어 설계와 인터페이스, 이를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괄한다.


packet communication(패킷 통신): 컴퓨터를 통신회선에 연결하여 상호간의 정보를 교환하거나 검색하는 행위를 일반적으로 컴퓨터 통신이라고 한다. 우리들이 주로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 통신은 개인용 컴퓨터와 전화선을 모뎀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PC 통신이 대부분이다. 실제로 많은 PC 사용자들은 모뎀을 장만하여 PC 통신을 하면서 날밤 새는 줄도 모르고 통신 삼매경에 빠져왔다. 그러나 올해부터 시행되기 시작한 전화료 시분할제 덕택(?)으로 열화와 같던 PC 통신 붐도 찬물을 뒤집어 쓴 것이 사실이다. 패킷은 작은 소프 또는 꾸러미로 해석되며 패킷 통신이란 데이터를 PC 통신처럼 연속으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량을 꾸러미처럼 모아서 전송한다는 것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특히 패킷 통신은 모뎀을 통하여 전화선에 연결시키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를 TNC라고 하는 모뎀과 비슷한 장치에 무전기와 연결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전화료 시분할제와 같은 것에 신경을 쓸 필요가 없다. 뿐만아니라 패킷 통신을 이용할 경우 국내보다 오히려 외국의 여러 사람들과 많은 정보 교환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국내 패킷 통신 이용자 보다 해외 패킷 통신 이용자가 몇 백배이상으로 많고 설령 외국인과 통신을 하여도 전화선을 이용한 PC 통신과는 달리 국제 전화 요금을 지불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패킷 통신을 이용하려면 무전기를 구입해야 하는 것은 물론 무전기를 사용할 수 있는 자격을 구비해야 하는데 1년에 통상 2회 치루는 자격시험(아마추어 무선사 자격시험)에 응시하여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PAD: packet assembly/disassembly


parameter(파라메터:매개변수): 파라메터란 컴퓨터에서 사용하고 있는 변수의 일종으로 한 프로그램 안에서만 계산된 값을 다른 프로그램에 전달할 때 이 값을 전문적으로 전달하고 전달받는 변수이다. 예를 들어 한 도시를 하나의 프로그램이라고 하고 그 도시에 살고 있는 시민을 데이터라고 가정하면 파라메터는 다른 도시로 시민을 나르는 시외버스와 같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다른 프로그램에 값을 전달하는 작업을 파라메터 패싱(parameter passing)이라고 한다. 파라메터 패싱은 그 전달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되는데, 실인자(즉, 값을 전달한 프로그램의 변수의 값)를 그대로 형식인자(즉, 값을 전달받을 프로그램의 변수의 값)로 전달하는 방식을 'call by value'라 하며 실인자의 주소값을 형식인자에 전달하는 방식은 'call by reference'라 한다. 그리고 실인자의 이름을 형식인자로 전달하여 서브루틴에서 형식인자가 사용될 때 마다 실인자 자체를 사용하는 것처럼 매번 다시 계산되어 실행시키는 방식을 'call by name'라 한다.


password(패스워드:암호): 은행이나 전당포 또는 가정에서는 도난 방지를 목적으로 현금, 패물과 같은 귀중품을 금고 속에 보관한다. 귀중품이 들어 있는 금고를 열기 위해서는 금고 열쇠 뿐 아니라 금고 주인만 알고 있는 비밀번호, 즉 암호를 금고 다이얼로 맞추어야만이 가능하다. 그렇다면 컴퓨터로 작성하여 보관하는 매우 중요한 데이터나 파일은 어떻게 보관하고 있을까? 물론 귀중한 데이터나 파일을 디스켓과 같은 보조기억장치에 입력시킨 뒤, 두꺼운 금고 속에 보관할 수도 있겠지만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 중요한 데이터나 파일을 컴퓨터의 내부(하드 디스크)에 보관시키고 데이터나 파일 혹은 컴퓨터 시스템에 암호를 걸어 놓으면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즉, 중요한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그 데이터가 필요로 하는 암호를 입력해야만 한다. 금고의 비밀번호는 다이얼이라는 기계적인 방식을 사용하지만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암호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작성된다. 특히 모든 업무를 전산 처리하는 대기업의 경우, 라이벌 회사의 중요 정보를 훔쳐내는 이른바 '산업스파이'에 대처하여 사내의 컴퓨터 및 단말기에 거의 의무적으로 암호를 걸어놓고 있으며 암호의 유출 방지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PBX: private branch exchange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미국의 인텔사가 주축이 돼 만든 CPU와 주변장치간을 연결하는 데이터 전송 통로이다. 32-64 비트의 정보가 한꺼번에 통과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어 지금까지 많이 쓰이던 16-32비트형 VESA로컬버스보다 64비트형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PCI버스의 가장 큰 특징은 CPU와 주변기기 사이에 컨트롤러를 두어 CPU가 주변기기의 동작과는 무관하게 계속 작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전송속도는 133Mbps이다.


PCMCIA(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 PC 시장을 창출하는데 필요한 IC카드의 표준을 개발하기 위해 만들어진 협회. 최근에 발표된 PCMICA 2.0에는 메모리 카드 외에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양이 포함되어 있다. 이 사양은 가로 세로 각각 54.0mm X 85.6mm의 신용 카드 크기를 지닌 68핀 카드를 표준으로 지정하고 있다. 각기 다른 IC 기술로 만들어진 카드라도 크기만 일정하면 표준 소켓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PC-NFS: NFS(Network File System)는 미국 썬 마이크로시스템즈가 개발한 UNIX 머신의 분산파일 시스템. PC-NFS는 PC로부터 LAN을 경유해 UNIX 머신에 액세스하는 시스템.


PC 카드: "IC 메모리 카드"를 찾아볼 것.


PC 카드형 포킷벨: 일본의 JEIDA(일본전자공업진흥협회)와 미국의 PCMCIA(미 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가 규정한 IC카드 사양에 기초한 포킷벨/페이저. 무선으로 수신한 메시지 등을 축적, 휴대 정보단말기의 카드 슬롯에 삽입한 단계에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내용을 표시한다. 미국에서는 모토로라가 애플의 휴대형 정보단말기 뉴튼(Newton)용 제품을 시판 중.


PC 통신: PC통신은 말 그대로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해서 통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통신이란 일정한 경로를 통해 한 구역에서 다른 구역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행위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러므로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정보가 있는 곳(발신지)과 정보가 필요한 곳(수신지), 매체(경로) 그리고 정보 이 네 가지 요소가 있어야 한다. PC통신에 있어서 발신지는 정보를 가지고 있는 각종 BBS(하이텔이나 천리안 등)이고, 수신지는 각 PC 사용자가 되며, 매체는 전화선이 된다. PC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PC와 전화선을 연결해 주는 모뎀과 통신용 에뮬레이터가 있어야 한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용정보단말기): PDA는 작은 패키지 안에 펜입력장치, 문자인식장치, 풍부한 개인정보관리 프로그램 및 응용프로그램 제공, 이동통신 장비로의 이용등이 가능한 첨단기술의 통합체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1.편리한 입력장치: 키보드 대신 펜을 이용한 입력 2.휴대용 시스템: 크기는 114.3 X 184.3 X 19mm, 무게는 453g 이하 3.간편하고 통합적인 명령 4.글로벌 통신이 가능하다. 5.전용 운영체제를 갖는다.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의 약자. 미국 애플컴퓨터가 주창한 개인 휴대통신 시스템 개념. 텍스트나 화상의 메모를 취하기도 하고 주소록이나 명함 등을 정리한다. 이 컨셉을 구체화한 휴대 단말기가 펜입력 조작방식의 뉴튼(Newton)이 발표됐다.


PDC 방식: Personal Digital Cellular의 약자. 일본의 디지털 휴대전화에서 채용하고 있는 표준통신 방식. RCR(전파시스템개발센터)이 표준27B'로 규정했다.


PDS(Public Domain Software: 공개소프트웨어): 누구나 비용을 물지 않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비상용화 프로그램.


PDU: Protocol Data Unit의 약자. 계층구성의 프로토콜에서 상위 프로토콜 계층으로부터 송신을 위해 주어지는 데이터의 단위.


PENTIUM: SUPERSCALAR ARCHITECTURE(한 개의 프로세서 내부에 두개 이상의 파이프라인을 가짐으로써 1개의 프로세서 싸이클 동안에 두 개 이상의 명령수행을 가능케 하는 구조)을 채택했으며, 부동소수점 장치의 기능이 크게 개선되었고, 별도의 코드와 데이터 캐시메모리를 8KB씩 보유하고 있다. CACHE WRITE방식(WRITE BACK방식으로 메모리 사이클에 대한 프로세서의 부하를 현격히 줄임.)을 채택했고, 분기 예측 (BRANCH PREDICTION) 기능이 있어 25%의 성능 향상을 가져왔다. 내부 256비트, 외부 64비트의 데이터 버스 구조를 갖는다.


Pentium: "펜티엄"을 찾아볼 것.


Personal Communicator: "퍼스널 커뮤니케이터"를 찾아볼 것.


PersonaLink: 미국 AT&T EasyLink Services사가 1994년 여름에 개시한 새 서비스.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해 뉴스 배선이나 온라인 쇼핑 등을 제공한다.


PHP: Personal Handy Phone의 약자. 퍼스널 핸디폰. 1대의 단말기로 가정, 사무실, 옥외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무선전화.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의 약자. 디지털 방식의 간이형 휴대전화시스템. 가정용이나 사무실 용 무선전화의 수화기를 가지고 나와 옥외의 무선기지국(공중전화박스나 건물옥상 등에 설치)을 통해 통신한다. 보행속도로는 이동하면서도 통화를 계속할 수 있다.


PIM: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의 약자. 개인이 사용하는 스케줄 관리표, 주소록, 비망록 등의 기능을 가리킨다.


PIR: peak information rate


PL/1: Programming Language/One의 약어로서, 포트란의 계산 개념과 코볼의 파일처럼 개념을 도입하여 과학적인 문제 해결과 함깨 경영 업무 처리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언어이다. PL/1은 과학기술 계산이나 사무처리, 시스템 프로그래밍 등 여러 분야에 적용할 수 있고, 어셈블리 언어에 의존하지 않고 컴퓨터의 모든 기능을 활용할 수 있으며, 프로그래머가 쉽게 언어를 익힐 수 있다는 등의 특징을 가진다. 또한 프로그램 작성시 형식적인 틀에 매이지 않고 자유로이 구사할 수 있으며, 구조적 프로그래밍을 하는 데 적합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PLA: 프로그램 논리 배열(program(mable) logic array).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는 오래 전부터 사용되고 있었던 것으로 논리곱과 논리합의 기능을 배열한 장치.PLA를 LSI로 보면 라이팅에 의해서 프로그램 가능한 AND 어레이와 OR 어레이가 접속된 단순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plato(플라토): 플라토란 Programmed Logic for Automatic Teaching Operation의 약자로 미국의 컨트롤 데이타사와 일리노이 주립대학이 공동으로 개발한 자동 교육 전문 시스템이다. 플라토 시스템은 CDCNOS라는 운영체제 아래에서 'CDC사이버170' 혹은 'CDC사이버70'라는 컴퓨터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단말기는 특수하게 설계된 키보드와 모니터를 부착하여 상반부는 슬라이드의 투영용으로, 하반부는 학습자와 컴퓨터의 회화용 문자 출력으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의 소프트웨어는 게임을 즐기며 수학이나 과학 등의 교육을 반복적으로 학습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PMD: Physical Media Dependent sublayer의 약자. ATM의 물리 계층 중 전송매체와 비트 동기를 규정하는 서브 계층.


point(포인터): 기억장치에 데이터를 저장하면 항상 데이터가 나란히 연결되어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기억장치의 비뀌어져 있는 곳에 저장되므로 때로는 데이터가 잘려져 따로 저장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마치 기차의 객차와 객차를 연결하듯이 잘린 데이터를 연결해야 하는데, 이러한 역할을 하는 자료 구조를 포이터라고 한다. 포인터는 앞에 저장되어진 데이터의 시작 주소를 비롯하여 뒤에 잘려 저장된 데이터의 저장 주소를 기억하고 있다가 데이터를 부를 때 이를 연결시켜 주므로 일일이 데이터를 탐색할 필요없이 빠른 시간안에 데이터 전부를 찾을 수 있도록 해준다.


POI: Point Of Interface의 약자. 일본 NTT와 신규사업자 네트워크의 상호접속점. 사업자간의 책임분계점이 되고 있다. 1992년 4월 NTT의 사업부제(지역통신사업부와 장거리통신사업부의 분리) 도입에 따라 장거리계 NCC(신규 제1종 전기통신사업자)의 NTT 지역통신사업부로의 접속형태를, NTT 장거리사업부와 NTT지역통신사업부간의 접속형태와 똑같이 한다는 관점에서 접속점의 수는 원칙적으로 1구 1개로 되고 있다. 91년 8월 7일부로 우정성이 관련사업자에게 통지했다.


POP: Post Office Protocol의 약자. 클라이언트로부터 메일서버에 액세스해 메일을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


pop up/pull down menu(팝업/풀다운 메뉴):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구입한 후에 이것을 동작시키려면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많은 명령을 암기하거나 이해해야 한다. 하지만 많은 명령을 모두 기억한다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렇다고 모르는 명령들을 사용할 때마다 매뉴얼을 뒤적거린다는 것도 여간 번거로운 것이 아니다. 팝업 메뉴나 풀다운 메뉴는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모르는 많은 명령을 간단한 키조작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든 메뉴 방식이다. 팝업 메뉴는 특정한 키를 누르면 화면 한 구석에서 윈도우가 예쁘게 열리면서 보기 쉬운 메뉴가 툭 튀어나오고, 커서키로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여 리턴키나 마우스의 단추를 누르면 하고자 하는 일을 척척 처리해 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메뉴 방식이다. 풀다운 메뉴는 특정한 키를 누르면 화면의 위쪽에 메뉴의 바가 나타나고 마우스나 키보드를 사용하여 메뉴 바의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면 그 밑으로 서브 메뉴의 창이 열리면서 그 항목에 따르는 서브 메뉴가 다시 나타나게 되어 있는 메뉴 방식이다.


port(포트): 포트는 항구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항구인 부산항을 머리속으로 연상해 보자. 부산항은 외국에서 출발한 수입품과 여객들이 우리나라로 들어오는 입구인 동시에 국내에서 외국으로 향하는 수출품과 여객들의 출구이기도 하다. 비행기가 이착륙하는 공항 역시 예외일 수는 없다. 공항의 '공'자는 하늘을 '항'자는 항구를 의미한다. 공항의 영어 표기인 'airport'에서도 'air'는 하늘을 'port'는 항구를 의미한다. 즉, 공항도 하늘의 항구로서 위와 같은 항구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마우스를 '시리얼 포트'에 연결한다거나, 프린터를 '패러렐 포트'에 연결한다는 말들을 들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컴퓨터에서 말하는 시리얼 포트 및 패러렐 포트는 컴퓨터의 항구라고 말할 수 있다. 시리얼이란 직렬을, 패러렐이란 병렬을 의미하는데, 직렬로 전송이 필요한 주변기기(모뎀, 마우스 등)는 시리얼 포트에 연결하고 병렬로 전송이 필요한 주변기기(프린터)는 패러렐 포트에 연결함으로써 컴퓨터의 본체와 주변기기 사이에 신호가 전달되어 주변기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pos(포스): Point Of Sales system의 약어로 경영에 관한 정보 관리 시스템을 말한다. 이 시스템은 각 판매장에 컴퓨터와 연결된 포스 단말기를 설치하여 각종 데이터를 일단 2차 기록 장치(포스 단말기)에 축적하였다가 중앙의 컴퓨터로 전송하므로써 판매에 관한 사무처리는 물론 시장 조사, 재고 조사 등 유통 경제의 종합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즉 상품 판매시 금전등록기가 하나의 특수 목적 컴퓨터 단말기가 되어 사무 처리를 감시하고, 재고 정리를 위해 자료 파일에 직접 기록하고, 신용 카드의 유효성을 검사하는 등의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POS 시스템은 보통 백화점이나 슈퍼마켓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POSIX: portable operating system for interactive executives


Power PC: 미국 애플컴퓨터, IBM, 모토롤라가 공동개발한 CPU. 이 컴퓨터는 이전까지 PC에서 사용됐던 32비트 프로세서가 아닌, 보다 성능이 뛰어난 64비트의 모토롤라 프로세서를 내장해 성능을 극대화시켰으며 SOFTPC와 SOFTWINDOWS를 이용해 매킨토시에서 IBM PC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애플이 이미 Power PC를 탑재한 새로운 매켄토시 컴퓨터 시리즈 제품을 발표했다.


PPP: Point to Point Protocol의 약자. 이기종 라우터 간을 전용선으로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 상위 프로토콜에 대해 절충하는 기능을 갖는다.


printer(프린터):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결과는 모니터의 화면을 통해서 볼 수 있다. 그러나 모니터의 특성상 한 번 지나간 화면을 다시 보고 싶다면 프로그램을 다시 실행시켜야만 한다. 즉, 모니터는 순간성을 지녔기 때문에 원하는 장면을 간직할 수 없다. 프린터란 컴퓨터를 이용하여 작성된 계산 결과나 문서 및 그래픽을 종이에 기록시키는 장치로서 자료를 문서화하여 보존할 수 있다. 프리터는 인쇄하는 방식에 따라 몇 가지로 구분되는 데 제 3의 빛이라고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레이저 빔 프리터(LBP)', 잉크를 분사하여 글자나 그림을 그려내는 '잉크 제트 프린터', 열의 변화에 따라 색깔이 변하는 열전사 종이를 사용하는 '열전사 프린터',잉크리본 위에 다수의 점을 찍어 종이 위에 인쇄시키는 '도트 매트릭스 프리터' 등이 있다. 기업체 또는 인쇄 출판 업체에서는 고가의 레이저 빔 프린터가 많이 보급되어 있지만 아직도 컴퓨터 사용자에게는 도트 매트릭스 프린터가 보편화 되어 있다. 도트 매트릭스 프린터는 하나의 글자를 구성하는 점의 수에 따라 9핀이나 18핀 또는 24핀 프린터로 나누어진다. 9핀이나 18핀 프린터로 찍어낸 문자는 24핀 프린터로 찍어낸 문자 보다 문자를 구성하는 점의 수가 핀의 수만큼 적기 때문에 글자체가 미려하지 못하다. 프리터는 이외에도 문자를 찍어내는 속도로도 구분할 수 있다. 프린터의 인쇄 속도는 CPS(Character Per Second:초당 인쇄 문자수)로 나타낸다. 프린터의 인쇄 속도가 180PCS라면 영문을 1초에 180자 인쇄한다는 것이며, 한글 또는 한자는 그 절반인 90자를 인쇄하게 된다. 프린터를 구입할 때에는 몇핀 프린터를 살 것인가도 중요하지만 인쇄 속도가 몇 CPS인지도 반드시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procedure(프로시져): 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어떤 단계적 행위로 모듈이나 서브 프로그램, 함수 등과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며, 특히 고급 언어로서 많이 사용하는 용어이다.


process(프로세스): 프로세스는 진행, 수속, 과정, 경과 등을 나타내는 단어로, 전산학에서 무척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어 한마디로 정의 하기는 어려우나 목정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발생되는 사건의 전개 과정을 통털어 지칭하는 말이다. 그 중 특히 실행중인 프로그램이라는 개념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실행중인 프로그램이라는 것은 프로그램이 CPU나 메모리에서 읽혀지고 처리되는 과정을 말하는 것이다. 또한 운영체제에서 CPU의 속도가 주변장치들의 속도보다 빠르기 때문에 CPU의 사용 시간을 분배하는 PCB(Process Control Block)가 존재한다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PROLOG(프롤로그): PROgramming LOGic의 약어로서, 기호 논리에 의거한 유연성이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제5세대 컴퓨터, 인공지능용 언어로서 많은 기대를 모으고 있다.


protect(프로텍트:보호): 프로텍트라 함은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정보를 타인이 고의적으로 도용하거나 자신의 실수로 소멸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일련의 작업을 말한다. 프로텍트는 크게 소프트웨어적인 방법과 하드웨어적인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 패스워드(암호)를 이용하는 방법이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의 대표적인 예이고 컴퓨터의 본체 내에 자물쇠를 채워 놓는 방법이 하드웨어적인 방법 중의 하나이다. 가령 중요한 정보를 타인이 불법으로 복사하거나 검색할 수 없도록 정보가 담긴 파일에 암호(패스워드)를 걸어놓는 일, 타인이 자신의 컴퓨터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열쇠를 채워 키보드를 작동시키지 못하도록 하는 일, 실수로 인한 파일의 삭제 또는 바아러스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플로피 디스크에 프로텍트 탭을 붙여 놓는 일 등이 모두 프로텍트를 위한 작업이다. 그러나 제아무리 튼튼하게 프로텍트를 걸어놓았다고 해도 아까운 재주를 어두운 방면으로만 이용하는 해커들에 의해 언젠가는 풀리고 마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가장 철옹성과 같은 프로텍트는 진정 프로텍트가 필요없는 사회가 도래하는 그 때가 아닌가 싶다.


Protocol(프로토콜): 컴퓨터 통신을 하는데 필요한 표준 통신 방식을 말한다. 현재 컴퓨터는 각 기종마다 언어나 데이터 처리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다른 기종의 컴퓨터와 직접 통신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이기종간에 서로 통신을 할 때 교환되는 메시지의 형태나 내용들은 특정한 규칙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모든 규범들의 집합을 프로토콜이라 한다. 프로톨콜은 원래 외교상의 언어로서 국가간의 교류를 원활하게 하는 외교상의 의례나 국가간의 약속을 정한 의정서를 의미하는 말이다.


PSC: Public Service Commission


pseudo language(의사 언어): 의사 언어란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데 사용하기 위해 만든 프로그래밍 언어 중 하나로 프로그램의 각 모듈상의 작동 논리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언어이다. 즉, 의사 언어란 직접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그 프로그래의 개발자나 이용자에게 각 모듈이 하는 일과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언어이다. 의사 언어는 구성 형태가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언어보다 영어에 가까워 사용자가 알아보기 쉽게 되어 있다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공중전화교환망): 교환기를 통해서 가입자들 사이를 연결해 주는 전화망으로 일반 가정용 전화기가 이에 해당된다.


PVC: Permanent Virtual Connection의 약자. 고정 접속에 의한 정적인 컨넥션. X.25 패킷교환이나 프레임 릴레이 등에 있어 단말기 간의 접속방법의 하나. 교환기에 논리 채널 식별자(VPI 또는 VCI)와 상대방의 어드레스를 고정적으로 설정하는 것으로 실현한다. 설정작업은 ATM 스위치의 관리 콘솔로부터 실행. 패킷교환에서는 Permanent Virtual Circuit로 표현하고 있지만 ATM에서는 Connection으로 부른다. PVC에 대해 통신을 개시할 때 상대를 지정하는 방법을 VC(Virtual Call:상대 선택접속)라고 한다. cf. 화학에서 PVC는 polyvinyl chloride를 말한다.


PWB: PWB/UNIX system. 이 시스템은 표준 유닉스 시스템의 확장판으로 프로그램의 개발을 지원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었으며 한 명으로부터 수백 명에 이르는 사람들이 관여하는 프로그래밍 과제들을 지원하는 프로그래밍 도구들의 집합이다.


QPSK: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query langulage(질의어, 조회언어): 데이터베이스를 정의하고 엑세스하는 도구에는 데이터 정의어(DDL)와 데이터 조작어(DML)가 있다. 질의어는 데이터 조작어의 일종으로 데이터베이스에 담긴 정보를 찾아보거나 조작하기 위해 대개 단말기 상에서 일반 사용자가 대화식으로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다. 질의어는 그 형식이 비절차적이고 문법이 비교적 간단하여 컵퓨터에 숙련되지 않은 일반 사용자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근래에는 SQL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RAID: redundant arrays of inexpensive disks. 여러 디스크 장치에 데이터를 분산 기록해 처리속도의 고속화, 신뢰성을 높이는 방법. 원래 디스크 어레이 장치에서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통상의 디스크 장치를 디스크 어레이 장치처럼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디스크 어레이도 등장하고 있다. 이 명칭은 1987년에 미국 버클리대학의 데이빗 A.패터슨 외 2명이 발표한 논문 A Case for Redundant Arrays of Inexpensive Disks에서 처음 등장했다. 이 논문에서는 RAID를 5개의 레벨 (RAID1-RAID5)로 분류하고 있다. RAID1-5 이외에 RAID0(패리티 디스크가 없는 레벨 3의 디스크 구성)와 RAID6(레벨 5에 이중의 패리티 체크를 행하는 것)도 있다.


RAM(램): 램은 Random Access Memory의 줄임말로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는 언제든지 읽고 쓰는 작업이 가능한 컴퓨터 기억장치를 말한다. 램은 현재 컴퓨터의 주기억장치로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데이터와 프로그램이 기억되는 장소로 모든 작업의 중심이 된다. 램은 가격이 저렴하고 기억 내용을 수시로 변경시킬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는 반면 전원이 끊어지면 기억내용이 사라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random file(랜덤 파일): 랜덤파일이란 데이터들이 일정한 순서에 의해 저장되어 있는 순차파일과는 대응되는 개념으로, 각각의 특성에 맞게 자료를 분류하여 그 중에서 사용자가 필요한 부분만을 찾아 볼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파일의 형태를 말한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자료들은 대부분 어떤 기준에 의해 분류되어져 있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생활 기록부의 경우 대부분 번호순서에 따라 정리되어 있으며 '학년, 반, 번호, 이름, 주소, 생년월일 ' 등의 항목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학년, 반, 이름 등과 같은 항목을 필드라 하며 각각의 필들들이 모며 한 사람의 자료를 구성하고 있는 상태를 레코드라 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이러한 레코드들이 모여 하나의 파일을 생성하게 된다.


RARP: 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RBOC: 1984년 1월 미국 AT&T사 분할에 따라, 지역전화회사로서 RHC(Regional Holding Company) 7개 사와 그 산하의 BOC(Bell Operating Company) 22개 사가 지역분할된 형식으로 탄생했다. RBOC(Regional Bell Operating Company)는 이 지역 주주회사 RHC의 것으로 벨 애틀란틱, US 웨스트 등 7개 사가 있다.


RBOC: regional bell operating company


RCR: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radiosystems. 일본의 전파시스템개발센터. 민간의 무선통신기술 표준작성단체이다. 통신기기의 접속성 등을 확보하는 레벨까지 표준화한다.


RCR 표준 28: 제2세대 코드리스 전화시스템으로 PHP 통신방식의 규정. 현재는 기본적인 통화기능만이 결정됐다.


RDBMS: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릴레이셔널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RDB(릴레이셔널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일종. 행과 열로 구성되는 2차원의 표로서 데이터를 표현한다. 검색이나 갱신을 실행하는 소프트웨어를 RDBMS라고 부른다.


recover(복구): 복구란 용어의 의미 그대로 사용 중의 실수 또는 오동작으로 인하여 훼손된 것을 원래의 상태로 환원시키는 행위를 말한다. 컴퓨터를 사용하다가 명령을 잘못 내려서 모든 데이터를 삭제시켰을 때, 우리는 삭제된 데이터를 복구하기 위해서 복구용 유틸리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삭제 이전의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이와 같은 복구용 유틸리티에는 PCTOOLS 또는 노턴 유틸리티등이 있다. 또한 디스켓에 파일을 저장해 놓은 상태에서 물리적으로 디스켓이 오염되어 불량 섹터가 발생했을 경우 불량 섹터의 데이터가 담긴 파일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때는 불량 섹터에 담긴 데이터를 다른 양호한 섹터로 옮겨야만(복구해야만) 하는데 DOS의 RECOVER 명령을 이용하면 복구할 수 있게 된다.


recursion(되부름): 어떤 함수 또는 프로시져가 수행 도중 반복적인 알고리즘을 실행시키기 위해 자기 자신을 다시 부르는 경우를 recursion(되부름)이라고 한다. 포트란, 코볼, 베이직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지역 변수가 없거나, 있더라도 다른 프로시져와 연관성을 가지지 못하는 정적(static)으로 할당되므로 for문, while문, do문 등의 반복문을 사용하여 같은 명령을 여러번 수행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반면 리스프나 프롤로그 그리고 파스칼이나 C, PL/1 등의 알골계 언어들은 recursion(되부름)을 주된 반복 제어 구조로 사용하고 있다.


register(레지스터): 컴퓨터에서 계산이나 연산과 같은 작업을 간편하게 처리하기 위해서 비트나 문자로 된 정보를 하나 또는 그 이상 임시로 저장하는 장치를 레지스터(Resister)라고 한다. 만약 우리들이 속셈을 이용하여 (50-25) + (20-15)라는 계산식의 값을 구하려면 다음과 같은 절차를 밟게 된다.


1 (50-25)를 계산하여 25라는 값을 알아 낸다.


2 계산값 25를 머리 속에 잠시 기억해 놓는다.


3 (20-15)를 계산하여 5라는 값을 알아 낸다.


4 계산값 5 역시 머리속에 임시로 기억해 놓는다.


5 이제 1에서 기억해 놓은 25와 4에서 기억해 놓은 5를


더하여 정답 30을 알아낸다.


정답을 알아내기 위해서 우리는 25와 5라는 수치를 머리 속에 잠시 기억해 놓았다. 컴퓨터에서도 계산을 처리할 때 이와 같이 임시로 정보를 저장하는 장소가 필요한데, 이 장소가 바로 레지스터이다. PC의 경우 레지스터는 일반적으로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레지스터는 정보를 저장하기 때문에 램이나 롬과 같은 기억장치인 것 같지만 극히 적은 정보를 임시로 기억하기 때문에 기억장치로 보지 않는 것이 일반 견해이다. 저장하는 정보의 종류 또는 작용에 따라 레지스터는 여러가지로 분류되는데 계산 및 논리 연산의 결과를 임시로 기억하는 레지스터를 누산기라고 하며, 기억 번지나 장치의 번지를 기억하는 레지스터를 번지 레지스터라고 한다. 이외에 뎃셈으로 더한 수 또는 곱셈으로 곱한 수등을 저장하는 산술 레지스터, 현재의 동작에 이어 다음 단계에 수행할 명령어의 번지를 갖는 제어 레지스터 및 상황에 따라 누산기나 기억 레지스터 또는 번지 레지스터의 기능을 수행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범용 레지스터등이 있다.


relational database(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자료를 관리하여 유익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데이터베이스는 그 구성 방식에 따라 계층형 데이터베이스와 네트워크형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나뉘어 진다. 계층형 데이터베이스는 계층화된 자료, 즉 사원들의 경력을 나타내는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형태의 자료에 주로 사용되며, 네트워크형 데이터베이스는 회사의 부서간에 이루어 지는 업무나 종사자들을 나타내는데 적합한 데이터베이스 구조이다. 그리고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나타내고자 하는 자료의 연관 관계를 이용한 데이터베이스를 구현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학생과 교수 그리고 학과와 이들의 관계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데 적합한 형태이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개인용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작성된 프로그램 중 대표적인 것으로 R:DBASE라는 것이 있다.


relative address(상대적 주소): 주소란 어떤 특정한 장소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일종의 표식을 말한다. 우리들이 살고 있는 집의 경우, 제각기 고유의 주소를 가지고 현재의 위치를 나타낸다. 컴퓨터에서도 데이터나 프로그램은 제각기 자신만의 공간(물리적이든 논리적이든)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공간에는 그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주소가 매겨져 있다. 주소는 크게 절대적 주소와 상대적 주소로 나누어지는데, 절대적 주소란 어떤 기준을 가지고 일정하게 가리키게 되는 변하지 않는 주소를 가리키며 상대적 주소란 상대방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주소를 가리키게 된다. 다음에 나타나 있는 디렉토리들을 통해 좀 더 자세히 절대주소와 상대의 주소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자. 상대의 주소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자.

root


+-----+-------------+--------------------+


dos wp language database


+---++ +------+------+ +---+---+


hwp g2 basic pascal cobol dbase foxbase


+---+------+


gwbasic quickbasic


|


gwbasic.exe


위의 그림과 같은 디렉토리를 가지고 있는 컴퓨터에서 GW 베이직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자 한다면 우선 다음과 같은 명령을 내려야 할 것이다.


C:/language/basic/gwbasic/gwbasic.exe


그런데 만약 현재 내가 사용하고 있는 디렉토리가 quickbasic이라면 이때도 gwbasic을 실행시키기 위해 루트(/)로 부터 출발해야 할까? 그렇치는 않다. 그림을 보면 알겠지만 gwbasic과 quickbasic은 다같이 basic이라는 디렉토리의 서브디렉토리로 존재한다(이러한 디렉토리를 우리는 형제 디렉토리라 하는데 여기서 한가지 유의해야 할 점은 형제 디렉토리간에는 이동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이때는 우선 자신의 바로 위에 있는 디렉토리(이것을 우리는 흔히 mother 디렉토리라 한다)로 먼저 간 다음 형제 디렉토리로 가야한다. 그러므로 현재 사용중인 디렉토리 quickbasic에서 gwbasic.exe를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명령을 내린다.


c:/language/basic/quick>cd\ : 현재 사용중인 디렉토리에서 마더 디렉토리로 디렉토리를 변경시킨다.


c:/language/basic> : 현재의 디렉토리가 basic으로 변경되었다.


c:/language/basic>cd gwbasic : 현재의 디렉토리를 gwbasic으로 변경한다.


c:/language/basic/gwbasic> : 디렉토리가 gwabasic으로 변경되었다.


c:/language/basic/gwbasic>gwbasic.exe :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gwbasic 프로그램의 위치를 나타내는데 있어 첫번째 방법처럼 루트로부터 출발하여 표시한 것을 gwbasic의 절대주소라고 한다. 그리고 두번째 방법과 같이 현재 사용중인 디렉토리(quickbasic)로부터 gwbasic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을 상대적 주소라 한다. 다시말해서 상대 주소는 상대방의 위치에 따라 정해지는 나의 주소를 말한다. 실제로 주소라는 말은 디렉토리외에도 메모리상에서 데이터나 프로그램이 들어있는 위치를 나타내는데도 사용된다. 이 때도 주소가 실제로 프로그램이나 테이터이 할당되어 있는 메모리의 주소를 나타내면 절대주소라 하고 그렇치않고 현재의 위치에서 몇번째 떨어져 있다는 식으로 나타내어 진다면 우리는 이것을 상대주소라 한다.


reserved word(예약어): 예약어란 어떤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특별히 정해 놓은 의미있는 단어를 말한다.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나 함수 등이 예약어에 해당하는데, GW 베이직을 이용한 프로그램을 예를 들어 알아보도록 하자.


10 REM 연습 프로그램


20 CLS


30 LOCATE 10,10


40 FOR I1 TO 5


50 PRINT "컴퓨터 "


60 NEXT I


위 프로그램의 첫번째 행에서 사용한 REM은 설명문을 나타내는 명령으로, 프로그램의 실행과는 아무 관계가 없고 단지 사용자에게 이 프로그램이 어떤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알려주기 위해 사용하고 있으며 다음행에 있는 CLS는 프로그램 수행전에 화면을 깨끗하게 지우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 또한 LOCATE는 프로그램이 수행되는 위치를 나타내며, F0R-NEXT는 프로그램의 반복을 나타내고, PRINT는 다음에 오는 내용을 화면상에 나타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처럼 우리가 프로그램을 작성하는데 사용하는 명령어들은 각 명령어마다 나름대로의 의미를 담고 있어 프로그램 도중 이러한 명령어들을 만나면 컴퓨터는 정해진 문자들의 의미대로 명령어를 실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단어들을 예약어라고 한다.


resolution(해상도): 모든 물질이 원소로 구성되어 있는 것처럼 사진이나 그림도 원소와 같은 점(색세포)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문이나 잡지에 실린 아름다운 사진을 돋보기와 같은 확대경으로 자세히 살펴 보면 수많은 작은 점으로 이루어진 것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만약 같은 내용을 담고 있으며 크기가 똑같은 두장의 사진중에서 수많은 작은 점으로 구성된 사진과 이보다는 적은 큰 점으로 구성된 사진이 있다면, 전자의 사진이 후자보다 섬세하고 세밀하게 보일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전자가 후자보다 해상도가 높다고 한다. 즉 화상을 세밀하게 그린 정도를 해상도(Resolution)라고 한다. 해상도의 단위는 DPI를 사용하는데 DPI는 Dot Per Inch의 약자로 1인치(2.54Cm)의 선을 구성하는 점의 수를 말한다. 예를 들어 100DPI와 300DIP의 해상도를 가지고 있는 사진을 비교해 보기로 하자. 100DPI는 1인치의 선을 100개의 점으로 구성하며 300DPI는 300개의 점으로 구성하므로 당연히 300DPI의 사진의 해상도가 높다. 모니터에 그려지는 그래픽 역시 해상도를 이용하여 그 세밀하고 섬세한 정도를 나타내는데 이때에는 "화면의 가로를 구성하는 점의 수 * 세로를 구성하는 점의 수"로 해상도를 나타낸다. 허큘리스 그래픽의 해상도가 640*400이라고 할 때, 이것은 허큘리스에서 그려지는 그래픽의 화면이 640*400 256000개의 점으로 구성되는 것을 말한다.


resource(자원): 자원이란 컴퓨터가 어떤 일을 처리하는데 있어 필요한 기구와 기능, 즉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총칭하여 말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중앙처리장치를 비롯한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 및 각종 입출력장치, 제어장치, 데이터, 프로그램 등을 말한다. 컴퓨터는 일을 처리하는데 시간을 쪼개고 또 쪼개어 금쪽같이 사용하며 어떤 게으름도 부리지 않는다. 이것은 마치 어떤 사람이 정해진 시간안에 자신에게 맡겨진 모든 일을 처리하기 위해 동분서주하는 것과 같은데 실제로 컴퓨터는 한정된 자원을 가지고 사용자가 원하는 여러가지 일을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최대한으로 바삐 움직일 수 밖에 없다. 컴퓨터가 작업을 위해 사용하는 자원들은 운영체제(OS)에 의해 관리되고 움직인다. 즉, 운영체제는 여러가지 자원을 가지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메모리와 중앙처리장치 등의 자원을 적재적소에 분배하는 일을 한다.


RFC: Request For Comments의 약자. IAB(미국의 인터넷 운영단체)가 작성한 인터넷관련 사양 도큐먼트.


RFC: request for comments의 약자.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가 표준으로 정한 프로토콜의 사양을 기술한 것. 프로토콜의 표준외에 표준안이나 인터넷에 관한 문헌도 있다. TCP/IP는 RFC에 기술되어 있는 프로토콜의 대표 예.


RHC: regional holding company


RIP: Routing Information Protocol의 약자. 라우터 간에 받은 경로정보를 포함한 제어 패킷.


RISC(리스크: 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RISC는 필요한 소수의 명령어들만을 한 명령어 군에 포함시켜 한 주기의 클럭에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의 CPU 아키텍쳐이다. 70년대 중반부터 IBM을 비롯한 컴퓨터 관련 기업 및 각 대학에서는 컴퓨터가 자료를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들 중 20%의 명령어가 전체 사용 횟수(실행 시간)의 80%를 차지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에 따라 간단한 명령문들 만을 명령어 세트에 포함시키면 전체 실행 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으리라는 의견이 대두되었고, 이러한 발상에서 생겨난 새로운 형식의 칩이 바로 RISC이다. RISC 칩은 복잡한 명령어들을 명령어 세트에서 제거해 버림으로써 명령어의 실행 속도를 증가했기 때문에 CAD와 같이 단순하지만 실행 속도가 빨라야 하는 프로그램에 적합하다. 따라서 현재 CAD용 워크스테이션의 CPU 아키텍쳐로서 RISC가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RMON: Remote Network Monitering의 약자. 리모트 LAN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MIB로 1992년 11월에 미국 IAB에서 표준화했다. RFC1271로 규정돼 있다. SNMP의 표준MIB가 모니터하는 패킷은 IP 패킷이지만, RMON에서는 이더넷 패킷(IP이외의 프로토콜 로도 가능)을 모니터한다. 통신 중인 단말기의 조합을 통신량별로 수집하는 기능 등이 있다.


ROM(롬): 롬은 Read Only Memory의 줄임말로 데이터를 한 번 기록하면 기억된 자료를 다시 변경하거나 컴퓨터에 의해 추가로 기억시킬 수 없고 단지 판독만 가능한 기억 장치다. 그리고 램과는 다르게 롬에 기억된 내용은 전원이 단절되어도 소멸되지 않는다. 롬에는 컴퓨터를 사용함에 있어서 기본적인 기능을 내장시켜서 전원이 처음 들어왔을 때는 컴퓨터를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 준다. 이처럼 롬에는 컴퓨터에 생명을 불어 넣는 기본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데 이것을 '바이오스(BIOS: Basic Input Output System)' 라고 한다.


RPC: Remote Procedure Call의 약자. 프로그램의 일부를 네트워크 상의 별도의 기기에 위탁하는 구조. 클라이언트 서버에서 사용되는 분산형 컴퓨터 시스템에서 각각의 호스트 프로세스들끼리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수법. 클라이언트 상의 프로그램이 서버 상의 프로그램 처리능력을 이용할 때 사용한다.


RTMP: routing table maintenance protocol


S/N비: 모뎀신호와 회선 노이즈의 레벨의 차. 주로 dB(데시빌)이라는 단위로 표현한다. 회선상태가 나쁠수록 작은 수치가 된다. 계산식은 S/N=(모뎀의 출력레벨-회선로스)-노이즈의 레벨.


SAP: Service Advertising Protocol의 약자. NetWare에서 서버가 네트워크 상에서 이동하고 있는 것을 클라이언트에게 알려주기 위해 브로드캐스트하는 제어 패킷.


save(세이브): 세이브는 '저장하다'라는 뜻의 단어이다. 사용자가 작성한 프로그램은 램이라는 컴퓨터의 주기억장치에 자리잡고 있다가 컴퓨터의 전원이 끊어지면 그대로 사라져 버려 다시는 그 프로그램을 쓸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컴퓨터의 특성 때문에 플로피 디스크나 하드 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에 자료를 안전하게 저장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 사용하는 명령이 save(세이브)이다. save(세이브)는 원래 베이직 상에서 작성된 프로그램을 보조기억장치에 저장시키고자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였으나 현재는 베이직 뿐만 아니라 각종 워드프로세서, 스프레드시트, 데이터베이스와 유틸리티 프로그램 등 거의 모든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할 때의 명령어로도 사용하고 있다.


scanner(스캐너): VGA 카드의 지원을 받는 컬러 모니터를 사용하다 보면 간혹 여러분들은 VGA 데모 프로그램과 게임 등에서 실물처럼 정교한 아름다운 여성의 얼굴이나 비행기 그림 같은 것들을 보고서, 누가 이렇게 멋진 솜씨로 그림을 그릴 수 있는 걸까하는 호기심을 가지게 된다. 이런 의문은 스캐너라고 하는 화상 입력장치에 대해 듣거나 볼 기회가 생겼을 때 풀어지게 된다. 보는이에게 이런 호기심과 감탄을 안겨 주는 스캐너는 모니터 화면을 통해서 보다 정교하고 섬세한 그림을 볼 수 있도록 사진이나 그림들을 읽어들이는 컴퓨터 보조 입력장치 중의 하나이다. 스캐너에는 CCD(Change Coupled Device)라는 광센서가 부착되어 있는데, 컴퓨터로 읽어들이고자 하는 사진 위에 스캐너를 놓고 가볍게 훑으면 사진 위로 빛을 쏘아 반사되어 오는 신호를 이 CCD가 입력받게 된다.


SDDI: STP distributed data interface


SDH: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의 약자. ITU-T(구 CCITT)의 G.707, 708, 709 권고로 규정된 디지털 동기 전송 방식. 156Mbps를 기본단위로 전송속도를 정하고 있다. SDH의 기본이 되는 다중단위는 STM(Syncronous Transfer Mode)인데, 기본단위는 STM-1(155.52M비트/초)이다. 이밖에 STM-4(622.08Mbps), STM-16(2.488Gbps) 등이 규정돼 있다.


SDLC: synchronous data link control


sector(섹터): 극장에 가서 입장권을 사면 자기가 앉을 수 있는 좌석의 위치가 층수와 열수 그리고 번호로 나뉘어져 적혀 있는 것을 보았을 것이다. 이처럼 좌석 번호를 층수와 열수 및 번호로 나눈 것은 관람객이 보다 빨리 자기의 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인데, 컴퓨터에서도 빠른 실행을 위하여 이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보조기억장치인 플로피 디스크인데, 플로피 디스크에는 트랙과 섹터 그리고 면으로 구분하여 자료가 저장될 위치를 나타내 주고 있다. 그 구분 방식을 보면 XT용 2D 플로피 디스크의 경우 전체를 우선 앞면과 뒷면으로 나누고, 각각의 면을 둥글게 40개의 트랙으로 나누며, 또 각 트랙을 9개의 섹터로 나누고 있다. 그러므로 XT용 2D 플로피 디스크는 2(양면)*40(트랙)*9(섹터)=720섹터 즉, 자료가 앉을 수 있는 의자를 720개 가지고 있는 원형 극장과 같다. 또한 한 섹터에는 512바이트의 정보가 수록될 수 있으므로 XT용 2D 디스크에 저장될 수 있는 정보의 양은 720(섹터)*512(바이트)이므로 총 368640바이트(약 360킬로바이트)가 되는 것이다.


self-test(셀프테스트): 컴퓨터나 주변기기의 사용 도중에 이상이 발생하게 되면, 사용자들은 응급조치를 하고 싶어도 그 원인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애를 태우게 된다. 이와같은 난처한 상황을 고려해서 컴퓨터의 하드웨어 분야에서는 제품의 설계단계에서부터 '셀프테스트(Self-test)'라고 하는 자체 진단 기능을 내장하게 되었다. 셀프테스트 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컴퓨터나 주변기기에서는 이상이 발생할 경우, 어느 부분에서 이상이 발생했다고 하는 메시지를 출력시켜 주기 때문에 사용자는 간단하게 이상에 대한 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셀프테스트 기능은 IBM호환의 개인용 컴퓨터에도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컴퓨터가 시동되기 전 단계에서 CPU의 종류와 이상 유무, 주기억장치의 기억 용량 및 보조기억장치의 종류와 이상 유무, 그리고 직렬 및 병렬 포트의 연결 유무 등을 진단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전원을 켬과 동시에 자신이 사용할 컴퓨터의 환경과 동작 이상 유무 등을 감지하게 되는데 이와같은 셀프테스트를 '포스트(POST: Power On Self Test)'라고 한다. 포스트는 전원을 켬과 동시에 셀프테스트를 수행한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그 외에 주변기기인 프린터에도 셀프 테스트 기능이 내장되어 있는데, 셀프테스트를 실행시키면 프린터가 인쇄할 수 있는 모든 자형을 인쇄시켜 주고 사용자는 이 결과를 토대로 프린터의 이상 유무를 파악하게 된다. 프린터의 셀프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원을 끈 상태에서 폼 피드(form feed) 또는 라인 피드(line feed) 스위치를 누르고 전원 스위치를 켜면 된다.


sequential access(순차적 엑세스): 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의 내용을 읽거나 쓰는 데이터 처리방법은 크게 direct access(직접 엑세스)와 random access(임의 엑세스) 그리고 sequential access(순차적 엑세스)로 나뉜다. 직접 엑세스와 임의 엑세스는 거의 비슷한 방식으로, 기억장치에 자료가 어떻게 분류되고 어느 위치에 기억되었는가에 상관없이 필요할 때마다 언제든지 호출이 가능한 데이터 처리 방식이다. 이 방식은 데이터를 기억장치로부터 호출할 때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에 관계없이 엑세스 시간이 동일하다. 이에 비해 순차적 엑세스 방법은 파일의 레코드를 찾기 위해 현재의 위치에서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미리 정해진 순서에 의해 검색되기 때문에 만약 마지막에 있는 레코드를 읽는다고 하면, 앞에 있는 모든 레코드들을 컴퓨터의 주기억장치로 읽어야 하므로 레코드를 빨리 검색할 수가 없다. 즉,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에 따라 엑세스 시간이 달라지는 것이다.


setup(셋업: 마춤): 자기에게 맞는 옷을 구입하기 위해 양복점에 가면 재단사는 고객의 체형과 크기를 살펴 고객에게 어울리도록 양복을 재단하게 된다. 이렇듯 자기의 체형에 맞게 자신이 가지고 있는 물건의 형태를 맞추는 것을 셋업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셋업은 컴퓨터에서도 해야 하는데, 그 이유는 사람들마다 체형이 다르듯이 컴퓨터도 연결되어 있는 주변기기가 저마다 다르기 때문이다. 어떤 사용자는 외부기억장치로 20MB 하드 디스크를 사용하며 또 다른 사용자는 40MB 하드 디스크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컴퓨터의 바이오스는 자기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자기에게 어떤 주변기기를 부착시켰는지 전혀 알지 못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컴퓨터에게 어떠한 주변기기를 사용하고 있는지를 알려 주어야 한다. 또한 프로그램에도 그 프로그램을 사용하고자 하는 컴퓨터의 체형에 프로그램을 맞추어야 한다. 예를 들어 컬러 모니터와 마우스를 사용하는 컴퓨터에 흑백 모니터와 키보드를 사용하는 것처럼 프로그램을 맞추면 옷을 잘못 재단하여 몸에 맞지 않는 것처럼 프로그램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컴퓨터 사용자들은 항상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 시스템의 사양을 제대로 파악하여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알맞은 셋업을 해두어야 한다.


SGML: 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의 약자. 문서의 논리구조, 의미구조를 간단한 마크로 기술하는 언어. ISO에서 1986년 10월에 국제 규격화했다. 전자출판분야에서 주목되고 있다.


shareware(쉐어웨어): share라는 말은 '나눈다', '나누어 가진다'는 뜻을, ware라는 말은 통상적으로 '제품', '작품' 또는 '제작품'이라는 의미를 갖는 용어로서, 이 두 단어를 합한 쉐어웨어는 나누어 가지는 제품, 나뉘어진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쉐어웨어란 완성된 소프트웨어가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기능들 중에서 중요한 몇가지 기능을 제외시킨채로 여러 사람이 나누어 가질 수 있도록 배포한 소프트웨어를 가리키는 말이다. 쉐어웨어를 사용하는 이들은 나름대로 그 프로그램의 유용성을 판단한 후에 마음에 들어 요금을 지불하면 모든 기능들이 정상적으로 실행되는 완전한 소프트웨어를 제공받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수박을 팔고 있는 과일장수를 생각해 보자. 자기가 파는 수박이 아주 맛있다는 것을 증명해 보여 수박을 많이 팔고자 할 때, 수박장수는 손해본다는 생각없이 잘 익은 것을 골라 쪼개어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나누어 준다. 수박맛을 본 사람들은 그 수박이 맛있다고 생각되면 가격을 지불하여 맛본 것이 아닌 다른 온전한 수박을 사가고, 그렇지 않으면 맛본 것을 끝으로 그냥 가던 길을 계속 가면 된다. 쉐어웨어도 이 예와 똑같은 이치로서, 공개된 쉐어웨어는 누구나 아무런 부담없이 사용하거나 복사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권리가 사용자에게 완전히 공개된 것이 아니라 판권은 제작자에게 그대로 남아 있으므로 쉐어웨어를 구한 사람이 판권자에게 대금을 지불해야만 정식 사용자로 등록되어 여러가지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이 때 드는 비용은 대개 일반적인 상업성 소프트웨어보다 훨씬 저렴하며, 소프트웨어의 값이라기 보다는 일종의 기부금으로 생각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Shareware: 프로그램 개발자가 프로그램의 일정기능을 정지시키거나 메세지 등을 넣은 후 통신망에 공개해 사람들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이러한 쉐어웨어가 공개프로그램과 다른 특징은 공개소프트웨어는 사용기능에 제약이 없지만 쉐어웨어는 기능 제약이 있으며 공개소프트웨어는 비용부담이 없지만 쉐어웨어는 사용해 보고 마음에 들면 기능제약이 없는 제품을 구입해 비용을 지불해야 된다는 차이가 있다.


simulation(시뮬레이션): "모의실험을 하다"라는 뜻의 시뮬레이션은 실제 세계의 문제를 컴퓨터 내에서 모형화하는 작업을 말한다. 시뮬레이션은 직접 실험하기에 너무 위험하거나 조작상의 제한이 있는 경우 등 실제로 수행할 수 없거나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많은 비현실적인 문제들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모의로 시험해 보는 것이다. 시뮬레이션이 이용되는 분야로는 자동차의 생산, 화장, 비행훈련 등을 들 수 있다. 신형 자동차를 생산하는 데 있어 자동차의 성능이나 안전도를 알아보려면 실제로 자동차를 만들어 여러 가지 시험을 거쳐야 한다. 그러나 시뮬레이션을 이용한다면 그 자동차의 부품이나 차체의 재질, 엔진의 성능 등을 데이터로 입력하여 컴퓨터 안에서 간편하게 모든 시험을 끝낼 수 있다. 여성의 화장에 있어서도 일일이 색조화장을 하고 다시 지우는 작업을 반복하지 않고, 컴퓨터를 이용하여 가상으로 여러 형태의 화장을 해 본 다음 가장 마음에 드는 모양과 색의 조합을 택하여 실제로 화장을 할 수 있다. 또 위험성이 많은 전투기 비행사의 훈련도 모의 비행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실제와 똑같이 할 수 있다.


SINET: 일본의 학술정보센터가 문부성의 출자를 받아 운용하는 네트워크. 종래에는 대학만이 접속했지만 최근에는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유저가 접속할 수 있다.


SLIP: simple line interface protocol


SMDS: Switched Multimegabits Data Services의 약자. 고속 데이터전송용의 프로토콜. 실제 서비스에서는 45Mbps의 고속 전송을 실현하는 것이 있다.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UNIX의 전자메일 프로토콜. 보통 UNIX 시스템에서는 한자코드는 8비트계열의 확장 UNIX 코드(EUC)지만, SMTP는 종래부터 7비트계열의 JIS-7이다. 이 때문에 PC 시스템과의 게이트웨이에서는 한자코드 변환이 문제가 된다.


SNA LU6.2: SNA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간의 대등 통신기능을 제공하는 프로토콜.


SNAP: Subnetwork Access Protocol의 약자.


SNA: Systems Network Architecture의 약자. IBM이 개발한 통신시스템에 대한 독자적인 네트워크 아키텍처. 오픈 블루 프린트의 생략에 따라, SNA뿐만 아니라 TCP/IP나 OSI 등의 프로토콜 세트도 지원할 방침이다.


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의 약자. TCP/IP의 상위 프로토콜의 하나. 본래 OSI 관리가 표준화될 때까지의 단기적인 프로토콜로 TCP/IP 관련 프로토콜 작성을 취합 정리하고 있는 미국 IAB(Internet Activities Board)가 책정했던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 관리장치에 매니저, 피관리장치에 에이전트를 탑재해 매니저로부터 에이전트에 문의하는 것에서 관리데이터를 수집한다.


SNMP 플로키시 에이전트: SNMP 관리와 독자적 순서의 관리를 통합한 경우에 사용하는 게이트웨에서 독자적 순서의 관리툴에 플로키시 에이전트를 탑재한다. SNMP 매니저에서 플로키시 에이전트에 관리요구를 보내고, 플로키시 에이전트는 독자적 순서로 수집된 관리 데이터를 SNMP 매니저에 응답으로 보낸다.


SONET: Synchronous Optical Network의 약자. 동기식 광파이버 망. 미국 RBOC의 공동 연구기관인 벨코어가 제안해 현재 북미 표준이 된 디지털 전송 조직(Hierarchy). 52Mbps를 기본단위로 n배(n=3,12,...)마다 속도를 규정한다. ITU-T에서 규정한 국제 표준 인터페이스와도 일치한다.


sort(정렬): 방대하게 산재되어 있는 데이터를 가나다순, 알파벳순 또는 데이터의 크기순과 같이 일정한 규칙에 의거하여 순서를 정하여 배치시키는 것을 '정렬(Sort)'시킨다고 한다. 산재한 데이터를 정렬시킴으로써 사용자는 데이터의 관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정렬을 시키는 경우와 시키지 않는 경우의 차이를 다음 예를 통해서 알아보기로 하자. 한 학급의 생활 기록부는 대부분 학생 이름의 가나다순으로 정렬시켜 등재되어 있다. 따라서 김철수라는 학생의 생활기록을 찾기 위해서는 "김"이라는 성이 가나다순으로 앞부분(?)에 해당함을 누구나 알고 있기 때문에 쉽게 찾을 수 있다. 만약 정렬이 되어 있지 않고 무작위로 추려서 등재한 생활기록부에서 김철수라는 학생의 생활기록을 찾으려면 일일이 생활기록부의 맨처음부터 차례차례 뒤적여 봐야만 할 것이다.


source file(원시 파일): 컴파일러나 어셈블러에 의해 기계어로 번역되기 전의 프로그램 형태를 원시 프로그램이라 하며, 이 원시 프로그램이 들어 있는 파일을 원시 파일(source file)이라 한다.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들의 확장자는 대부분 EXE나 COM인데 이 파일은 DOS의 TYPE 명령이나 PCTOOLS의 VIEW/EDIT로 보면 무슨 뜻인지 도저히 알 수 없는 코드(16진 코드/아스키 값)로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파일을 실행 파일이라 하고 그러한 코드를 기계어 코드라 한다. 이에 반해 원시 파일은 그 자체로는 실행이 불가능하지만 사람이 알아 볼 수 있고 수정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실행 파일과 다르다. 우리는 베이직, 파스칼, C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알고 있다. 이 언어들을 이용하여 프로그래을 작성하면 *.BAS, *.PAS, *.C 등의 확장자를 가진 파일들이 생기는데, 이러한 파일이 원시 파일이다. 이 원시 파일을 컴파일하여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바꾸어 주면 목적 파일이 되고 이 목적 파일을 링크하면 실행 파일이 된다. 그러므로 모든 실행 파일은 바로 원시 파일에서 만들어 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원시 파일은 목적 파일이나 실행 파일에 비해 크기가 매우 작다. 예를 들어 turbo C의 경우, 원시 파일이 900바이트라면 목적 파일은 1,200바이트 정도, 실행 파일은 원시파일의 30배가 넘는 30,000바이트 정도가 된다.


SPARC: 스파크(scalable processor architecture). 미국 선마이크로 시스템즈 사에서 개발한 축소 명령형 컴퓨터 기술을 채택한 32bit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명칭.


spec(specification: 규격): 제품을 구성하고 있는 부품 및 그 제품의 특성을 일정한 형식을 갖추어 일목요연하게 나타낸 제원을 스펙(규격,사양)이라고 한다. 우리는 구입한 컴퓨터의 제원을 스펙을 통하여 파악하게 되는데, CPU의 종류와 처리속도, 주기억장치의 용량 및 보조기억장치의 종류, 사용 그래픽의 종류, 사용 한글의 종류, 파워서플라이의 규격, 사용할 수 있는 정격 전압, 제품의 크기 등이 명시되어 있다. 따라서 제품에 대한 스펙을 살펴 봄으로써 그 제품의 특성, 품질 및 용도 등을 일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상에서 처리해야 하는 자료가 있을 때, 처리할 자료의 구조에 관하여 선언하는 부분 역시 스펙이라고 한다. 이는 해당 자료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를 파악시켜주기 때문이다.


spooling(스풀링): 컴퓨터는 크게 중앙처리장치, 연산장치, 기억장치, 제어장치 및 입출력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각 장치들은 상호연관 속에서 컴퓨터 시스템을 동작시킨다. 이 중에서 카드 판독기와 프린터 등의 입 출력장치는 중앙처리장치에 비해 매우 느린 속도로 동작한다. 그러므로 중앙처리장치가 직접 프린터의 출력을 제어할 경우에는 프린터의 인쇄작업이 끝날 때까지 중앙처리장치는 아무 일도 하지 못하고 프린터의 인쇄작업이 종료 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우리가 컴퓨터를 통해 자료를 처리하는 가장 큰 이유 중의 하나가 신속성인데 만약에 중앙처리장치보다 느린 속도의 입출력장치로 인해 자료처리 속도가 느려져 컴퓨터를 재대로 활용할 수 없다면 정말 큰 낭패가 아닐 수 없다. 이러한 컴퓨터 처리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풀링의 개념이 도입되었다. 스풀(spool)은 Simultaneous Peripheral Operation On-Line의 약어로, 고속의 처리속도를 가지고 있는 중앙처리장치와 저속의 처리속도를 가지고 있는 입출력장치의 동작을 분리시켜서 동시에 독립적으로 동작시켜 컴퓨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한다. 예를 들어 프린터를 사용할 경우 출력시킬 데이터를 디스크 등의 보조기억장치에 잠시 기억시켰다가 CPU가 다른 일을 처리하면서 중간 중간에 조금씩 프린터로 보내부면 프린터가 인쇄를 하는 동안에도 CPU는 쉬지 않고 계속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전체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SPX: Sequenced Packet eXchange의 약자. NetWare 환경 하에서 동작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컨넥션형 통신 프로토콜.


SQL: 릴레이셔널 데이터베이스용의 데이터 조작언어. ANSI(미국규격협회), ISO(국제표준화기구)에서 표준화하고 있다. 표 형식의 데이터베이스를 대상으로 조건을 충족시키는 행이나 열의 항목을 검색할 수 있다. 삽입이나 삭제, 갱신도 가능하다.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정적 램): 정적 램은 전원을 끄지 않는 한 저장된 내용을 계속 기억하는 임의 접근 기억소자이다. 정적램은 동적램에 비하여 소비전력이 2배 정도가 되며, 가격이 비쌀 뿐 아니라, 동작 속도가 느리다는 결점이 있으나 동적 램처럼 회생(refresh)회로가 필요 없기 때문에 소용량 기억장치에 사용된다.


SRB: source routing bridging


ST-II: stream internet protocol-II


STM-1: synchronous transport module level 1


storage(기억장치): 기억장치란 컴퓨터에서 처리해야 할 데이터와 프로그램들이 저장되는 장소를 말하며, 크게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로 나누어 진다. 메인 메모리라고도 하는 주기억장치는 컴퓨터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보조기억장치에 비해 일반적으로 용량이 작고 값은 비싼 편이지만 엑세스 타임이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보조기억장치는 컴퓨터 외부에 위치하면서 일반적으로 주기억장치에 비해 많은 양의 정보를 기억할 수 있으며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보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STP: shielded twisted pair cable


structured programming(구조적 프로그래밍): 구조적 프로그래밍이란 1979년대부터 세계의 주목을 받기 시작한 프로그래밍에 관한 이론으로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데 있어 큰 프로그램을 한번에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기능별로 나누어 우선 부분별 작성을 한 다음, 각각의 작은 프로그램들을 서로 연결시켜 하나의 완성된 프로그램을 만든다. 예를들어 두더지 잡기라는 프로그램을 만든다고 가정할 때 우선 전체 프로그램을 기능에 따라 1. 화면에 두더지를 표시하는 부분 2. 두더지를 때렸을 때의 결과를 판정하는 부분 3. 게임을 종료시키는부분으로 나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다음 필요에 따라 각각의 부분을 다시 컴퓨터에 의해 특정한 수를 발생시키는 부분과 발생한 수에 의해 실질적으로 화면상에서 두더지가 표시되는 부분으로 나누며, 두더지를 때렸을 때의 결과를 판정하는 부분도 사용자로부터 숫자를 입력받는 부분과 입력받은 숫자와 컴퓨터가 계산한 두더지의 위치가 동일하면 점수를 가산하고 효과음을 내는 부분 등으로 나누어 작업 자체를 보다 구체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프로그램을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이 모두 결정되고 나면 이제 자신이 선택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가지고 가장 작은 부분부터 프로그래밍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 이처럼 구조적 프로그래밍은 프로그램화하고자 하는 작업을 구체적으로 나누면 나눌 수록 그 단계에서의 프로그래밍 작업이 줄러든다. 따라서 작업이 의외로 간단해 질 수 있으며 또한 프로그램 완성 전에도 작업의 전체적인 윤곽을 잡을 수 있어 프로그램의 파악이 용이하다. 그러므로 구조적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자체보다는 우선 작업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이 필요한데 작업의 분석은 가장 큰 테두리에서 부터 출발하여 그 아래 단계들을 좀 더 구체화시켜 일의 범위를 줄여나감으로써 가능해 진다.


subroutine(서브루틴): 서브루틴이란 프로그램 실행 도중 호출되어 사용되는 또다른 프로그램을 말한다. 이것은 보통 한 프로그램 내에서 여러번 반복되어지는 프로그램들을 하나로 묶어놓은 것으로, 메인 프로그램에서는 이들 서브 프로그램들을 필요할 때마다 수시로불러서 사용할 수 있다. 구구단 프로그램을 통해 좀 더 자세히 알아 보도록 하자.


CLS


PRINT "GUGUDAN"


INPUT "INPUT THE GUGUDAN NUMBER";A


GUGUDAN(A)


PRINT "END OF GUGUDAN"


SUB GUGUDAN(N)


FOR I = 1 TO 9


PRINT N; "*";I;"=";I*N


NEXT I


위 프로그램에서 위 다섯 줄이 메인 프로그램이고 아래 네 줄이 서브 프로그램이다. 구성을 보면 우선 메인 프로그램에서는 사용자에게 원하는 구구단을 입력하도록 하고 있으며 숫자가 입력되면 GUGUDAN이라는 서브 프로그램을 호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일단 서브 프로그램이 호출되면 서브 프로그램은 그에 해당하는 작업(여기서는 넘겨진 숫자에 1부터 9까지를 곱하여 출력하는 일)을 하고 작업이 끝나면 다시 메인 프로그램으로 돌아가 다음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위의 프로그램의 경우는 간단하기 때문에 굳이 GUGUDAN이라고 는 서브프로그램을 만들 필요없이 메인 프로그램 내에서 바로 처리하여도 무리가 없다. 그러나 좀 더 복잡한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메인 프로그램 내에서 같은 작업을 반복하는 프로그램을 포함시켜 작성함으로써 프로그램의 방대함으로 인해 효율성이 떨어질 염려가 있으므로 적절한 서브루틴 작업이 필요하다.


super computer(수퍼 컴퓨터): 수퍼 컴퓨터란 현재 개발되어 있는 컴퓨터 중에서 가장 크고 빠른 컴퓨터를 말한다. 컴퓨터는 크기와 성능에 따라 크게 개인이 사용하기에 적합한 소형의 마이크로 컴퓨터(대표적으로 PC)와 마이크로 컴퓨터보다는 크고 강력하지만 메인 프레임보다는 다소 약한 미니 컴퓨터 및 메인 프레임 컴퓨터로 나누어 진다. 그리고 기능이나 크기 면에서 메인 컴퓨터의 위로 을 수 있는 것이 바로 수퍼 컴퓨터이다. 그러므로 수퍼 컴퓨터는 컴퓨터 계보상 가장 상위에 속하면서 앞서 나열한 그 어떠한 컴퓨터들 보다도 강력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컴퓨터라고 말할 수 있다. 수퍼 컴퓨터는 특별히 짧은 시간 안에 복잡한 데이터들의 처리가 요구되는 정부 연구기관 및 국방기관, 일기 예보 기관 등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supervisor(수퍼바이저): 컴퓨터가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조화있게 연결하는 매개체가 필요한데, 컴퓨터에서는 이것을 운영체제(Operation System)라고 한다. 이러한 운영체제는 컴퓨터 활용에 필요한 전반적인 기능인 감시, 메모리 관리, 입출력관리, 파일관리 및 명령어 처리 등을 수행한다. 수퍼바이저는 운영체제가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기능 중 감시 기능을 가진 제어 프로그램의 일종이다. 다시 말해 수퍼바이저는 사용자 프로그램이나 서비스 프로그램 등의 처리 프로그램의 실행을 감독하는 기능을 가진 감시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이 수행하는 주요 기능을 살펴보면, 각 프로그램에 주 기억장치의 빈공간을 할당하고, 몇 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며, 입출력 처리의 스케쥴을 관리한다. 또한 여러 이터럽트를 처리하며, 입출력 장치의 오류를 알리고, 시간을 기록하거나 알리는 등의 일을 한다.


SVC: Switched Virtual Connection의 약자. 유저의 통신요구에 따라 시그널링 순서를 이용해 동적으로 설정된 컨넥션. 통신을 개시하기 전에 ATM 단말기가 접속하는 곳의 ATM 어드레스를 ATM 스위치에 전달하는 것으로 상대방을 선택할 수 있다. ATM 어드레스를 ATM 스위치에 전달하는 순서를 신호수순이라 부른다.


switch(스위치): 두가지의 조건 중, 하나의 조건을 선택할 수 있는 수단을 스위치(switch) 라고 한다. 즉, 컴퓨터의 전원 스위치를 ON에 설정하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조건이 되며, OFF에 설정하면 사용할 수 없는 조건이 된다. 스위치는 비단 물리적인(하드웨어적인) 조건에만 한정되지 않고 논리적인 (소프트웨어적인) 조건에도 성립이 된다. 한장의 디스켓을 포맷하기 위해서는 A 드라이브에 FORMAT.EXE 파일이 들어 있는 DOS 디스켓을 넣고 포맷시킬 디스켓을 B 드라이브에 넣은 다음, A> FORMAT B: 라고 명령하면 된다. 그러나 이 디스켓을 부팅용(시스템) 디스켓으로 포맷하기 위해서는 명령어의 뒤에 /S 라는 것을 붙여주면 되는데, /S가 포맷 명령에 사용되는 스위치 중의 하나이다. /S라는 스위치를 설정함으로써 포맷되는 디스켓에 시스템을 부여하는 조건을 주며, /S라는 스위치를 설정하지 않는 것으로 시스템이 필요없다는 조건을 주는 것이다.


SYM: syncronous transfer mode


system program(시스템 프로그램): 컴퓨터를 활용하는 데 필요한 프로그램은 크게 시스템 프로그램과 응용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진다. 응용 프로그램은 컴퓨터 사용자의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 작성된 프로그램으로,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그래픽, 게임, 데이터베이스프로그램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이에 대비되는 개념인 시스템 프로그램은 컴퓨터 자체의 동작에 관련되는 프로그램으로, 운영체제, 언어의 컴파일러, 링커, 라이브러리 프로그램 등이 포함된다. 이들 프로그램들은 컴퓨터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래머들에게 여러가지 편의를 제공한다.


S 버스: 썬 마이크로시스템즈 워크스테이션의 확장 슬롯용 버스.


T 바이트: T(테라)는 G(기가)의 1000배를 의미한다. 따라서 10T 바이트는 1만 G 바이트이다.


TA: terminal adaptor


TAXI: Transparent Asynchronous Transmitter/Receiver Interface의 약자. 100Mbps의 인터페이스.


TB: (1)트렁크 블럭 번호(trunk block number). (2)테라 바이트(tera byte). 약 1조 바이트.100만 기가 바이트와 같다.


TCI: 1993년 말 현재 1070만 세대의 가입자를 가진 미국 최대의 CATV 회사. 정식 명칭은 텔케커뮤니케이션즈(Tele-Communications Inc).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의 약자. TCP가 OSI 7층 모델의 트랜스포트층, IP가 네트워크층의 프로토콜에 각각 상당하고, UNIX에서 표준 채용하고 있다.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이용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사실상 표준이다. 일반적으로 TCP/IP는 TCP와 IP에 더해서 FTP(파일전송)이나 SMTP(전자메일), Telnet(가상단말) 등 상위 프로토콜까지 포함하던 명칭.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단체에서 표준화를 진행하고, 표준화는 RFC(Request For Comments) 토큐멘트로 정리돼 인터넷에서 공개한다. 원래 미국 국방성이 출자해 APRANET라는 컴퓨터 네트워크용으로 개발한 통신 프로토콜이었다. 최근에는 메인프레임이나 PC용 TCP/IP 소프트웨어도 제공된다.


TCP: tranmission control protocol


TDD: Time Division Duplex의 약자. 시분할 쌍방향 전송방식.


TDI: transport driver interface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의 약자. 시분할 다중 액세스방식.


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


TEI: terminal endpoint identifier


Telescript: 미국 제너럴 머신이 개발중인 오브젝트 지향의 통신 애플리케이션 기술용 인터프리터언어. 상대의 단말기나 메일박스에 전자메일 처리방법을 지정한 프로그램을 전자메일과 세트로해 네트워크에 송출한다. 네트워크나 단말기에 프로그램을 생성과 실행하는 기능을 넣으면 지적 메일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Telnet: TCP/IP의 상위 프로토콜의 하나. 자신의 워크스테이션이 멀리 있는 워크스테이션처럼 되기도 하고, 멀리 있는 워크스테이션을 직접 조작하는 것 같이 사용할 수 있는 가상 단말기능.


terminal(터미널): 터미널(또는 단말기)은 종착점이라는 의미로 쓰여지는 단어로, 버스 터미널이라 하면 버스가 도착하고 출발할 수 있는 장소를 의미한다. 이 터미널이라는 단어가 컴퓨터의 용어로 사용될 때는 버스가 아닌 데이터가 도착하고 출발할 수 있는 장소 즉,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기를 가리킨다. 터미널은 주로 여러 사람이 함 사용할 수 있는 중대형 기종에서 많이 쓰이는 단어로, 메인 컴퓨터와 연결하여 사용자가 메인 컴퓨터의 데이터 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도구를 말한다. 터미널의 종류는 크게 범용 터미널과 전용 터미널로 나눠지는데, 범용 터미널은 데이터를 입력하기도 하고 출력하기도 하는 것이고, 전용 터미널은 특정한 업무에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설계된 것으로 은행이나 각종 예약창구에 있는 모니터와 키보드를 지칭한다. 전용 터미널은 터미널 자체만으로는 독립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없다. 요즘은 용량이 큰 컴퓨터를 호스트로 하고 개인용 컴퓨터 자체를 터미널로 하여 터미널 자체만으로 독립적인 작업을 하면서 동시에 단순한 터미널의 역할도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하는 경우가 많다.


text(텍스트): 일반적으로 텍스트라고 하면 서문이나 부록, 주석 등에 대응하여 분문에 해당하는 부분을 일컫는다. 서적이나 잡지 등에 있어서는 삽화에 대응하여 글로 씌어진 부분을 말한다.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텍스트라는 용어 역시 이와 유사하게 사용되는데,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제어문자와 같은 것을 제외한 데이터 그 자체 즉, 메시지의 본문을 텍스트라고 한다.


TFDDI: 트위스트 페어(UTP, STP)를 사용한 FD야.


TFTP: trival file transfer protocol


third generation computer(3세대 컴퓨터): 시대별로 컴퓨터를 구분할 때 기억소자의 변천에 따라 1세대부터 4세대까지로 나눌 수 있다. UNIVAC1으로 유명한 1세대 컴퓨터는 진공관을, 2세대 컴퓨터는 트랜지스터를, 3세대 컴퓨터는 IC(집적회로)를 사용하였으며 4세대 컴퓨터는 LSI를 사용하였다. 3세대 컴퓨터는 가감산 속도가 1나노초(백만분의 1초) 이하이고 컴퓨터의 크기를 소형화하였으며, 기억용량은 100K워드부터 수 메가워드에 이른다. 1964년 IBM 시스템/360 시리즈가 발표되면서 등장한 3세대 컴퓨터는 다양한 모델들간의 표준화와 호환성을 부여하였다. 또한 컴퓨터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소프트웨어 분야의 커다란 진전이 있었다. 3세대 컴퓨터의 특징으로는 상이한 터미널에서 다수의 사용자들이 한 컴퓨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의 응용, 시분할 시스템(time sharing system),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동시에 처리하는 다중 프로그래밍 등을 들 수 있다. 3세대 컴퓨터가 중요시되는 이유는 4세대 컴퓨터에 쓰이고 있는 LSI(대규모 집적) 반도체 회로의 기초가 되는 IC를 처음으로 사용하였다는 점이다. 4세대 컴퓨터는 1972년 IBM 시스템/370 시리즈가 LSI를 사용하면서 등장하였으며,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컴퓨터에는 이 LSI보다 더 발전된 VLSI가 쓰이고 있다.


TIA: telecommunications industries association


time sharing(타임 쉐어링:시분할): 우리가 평소에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의 거의 대부분은 개인용 컴퓨터(이하 PC)이다. PC는 말 그대로 개인이 혼자서 사용하는 컴퓨터이므 으로 몇 시간이든 원하는 만큼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고, 심지어는 하루종일 컴퓨터 앞에 앉아 있다해도 간섭할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러나 PC가 아닌, 여러 사람이 한 대의 메인 컴퓨터를 여러 대의 터미널을 이용해서 공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야기가 조금 달라진다. 가령 K라는 항공사의 항공권 예약 시스템이 서울과 지방의 각 지점에서 동시에 가동되고 있다고 가상해 보자. 본사인 서울에는 전체 시스템의 중심이 되는 메인 컴퓨터가 있고, 각 지점에는 메인 컴퓨터에 접근할 수 있는 터미널들이 분포되어 있을 것이다. 이 시스템이 만약 PC처럼 한 사람이 메인 컴퓨터를 이용하고 있을 때는 다른 사람은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있다고 한다면, 어딘가 한 지점에서 단체 여행자의 항공권 예약업무를 하고 있을 때 다른 지점에서는 이것이 완전히 끝나기 전까지는 아무런 작업도 할 수 없을 것이다. 예약은 시간을 다투는 작업이므로 오랫동안 기다려야 한다면 원하는 시간의 비행기 좌석을 예약할 수 있다는 보장이 없는데, 이런 불편함과 비효율성을 해결해 주는 것이 타임쉐어링(시분할) 기법이다. 타임 쉐어링은 온라인 입출력 터미널을 사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장소에 있는 어떠한 사용자라도 시간이 지체되는 일 없이 자신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메인 컴퓨터 상에서 각 터미널에 적절한 작업시간을 할당하는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해서 시분할은 컴퓨터의 처리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아주 느리게 작동되는 컴퓨터 장비들의 동작을 시간에 따라 적절히 분산시킴으로써 시스템이 동작하는 전체 시간 간격 동안에 하나의 장치를 두 가지 이상의 목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기법이다. 좀 더 쉽게 설명하면, 컴퓨터의 전체 동작 시간을 작은 시간의 조각(타임슬라이스;time slice)으로 나누고, 동시에 요구되어져 들어온 여러 작업들에 이렇게 나뉘어진 시간조각 만큼씩의 컴퓨터 동작시간을 배당한다. 하나의 작업이 완전히 처리되는 과정을 시스템 쪽에서 보면 작게 나뉜 시간 조각 만큼의 작업이 여러번 반복된 후에야 비로소 하나의 작업이 끝나게 되고, 한 작업이 처리되는 도중에도 그밖의 여러 작업이 동시에 처리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컴퓨터의 처리 속도는 자료가 입력되는 속도나 출력되는 속도보다 훨씬 빠르므로 입력과 동시에 응답이 출력되는 것처럼 보여, 컴퓨터를 마치 혼자서 독점하고 있는 것처럼 느끼게 된다.


TLI: transport layer interface


topdown programming(탑다운 프로그래밍:하향식 프로그래밍): 탑다운 프로그래밍이란 단어가 가지는 의미 그대로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면서 프로그래밍해 나간다는 말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한가지 예를 들어 보자. 커다란 운동장에 서울 시민들이 모여서 각 동별로 경기를 벌이게 되었는데, 너무 많은 사람들이 한꺼번에 모여들어 누가 어느 동에 사는 사람인지 도무지 구분할 수가 없어 줄을 세우기로 했다고 하자. 이 때 줄을 세우는 사람이 운동장에 모인 사람들을 전부 한사람 한사람씩 묻고 다니며 어느 동에서 왔는지 확인한다는 것은 여간 번거롭고 힘든 일이 아닐 것이다. 이렇게 하는 대신에 먼저 서울시에 있는 여러 구별로 사람들을 모이게 하고, 각 구별 집합에서는 다시 여러 동별로 사람들을 따로 구분한다면 훨씬 수월한 작업이 될 것이다. 탑다운 프로그래밍도 이런 이치와 똑같다. 어떤 프로그램을 만들고자 할 때 처음부터 세세한 부분에가지 신경을 쓰기보다는, 먼저 전체적인 구조를 모듈(기능별로 묶여진 시스템의 최소단위)별로 구성한 다음 최상위 모듈에서부터 최하위 모듈까지 순차적으로 만들어 나가는 것이다. 따라서 상위 모듈에서 하위 모듈로 내려갈수록 점점 더 세분화되고 구체화되어 간다. 위의 예와 비교해 본다면, 줄을 세우는 사람은 프로그래머가 되고, 서울시는 최상위 모듈, 구는 중간 모듈, 동은 하위 모듈이 된다. 동은 물론 통, 반, 번지에 이르는 더 작은 크기의 모듈로 세분할 수도 있다. 탑다운 프로그래밍 기법에 의하면 프로그램의 실행 순서에 따라 코딩과 테스트를 같이 할 수 있으므로 하위 모듈의 테스트 시에는 이미 테스트된 상위 레벨의 모듈을 실제 프로그램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듈들간의 인터페이스도 코딩된 상태에서 각 모듈을 테스트하는 단계에서부터 컴퓨터로 검증되므로, 탑다운 프로그래밍은 결과적으로 소프트웨어의 질적 향상을 촉진한다.


TPDDI: twisted pair distributed data interface


TPDU: transport protocol data unit


trackball(트랙볼): 키보드를 대신하여 화면의 커서를 손쉽게 움직이거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마우스(mouse)가 요즘 많이 보급되어 있다. 마우스는 책상 위의 공간에서 이저리 이동시켜 움직인 만큼 화면의 커서가 옮겨지기도 하고 마우스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화면의 메뉴를 선택하고 선택된 메뉴를 실행시키기도 한다. 트랙볼(TrackBall)은 작동 원리 및 기능이 마우스와 동일하지만, 마우스와는 달리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책상 바닥과 같은 최소한의 공간도 필요치 않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즉, 마우스를 책상 바닥에서 이리저리 이동시키면 아랫부분의 볼이 바닥을 따라 움직여서 그만큼 화면의 커서가 이동하는데, 트랙볼에는 이 볼이 윗부분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손바닥을 이용하여 볼을 좌우로 움직여 줌에 따라 화면의 커서가 이동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마우스를 뒤집어 놓은 형태로 이해할 수 있다.


translate(번역): 컴퓨터는 사람의 언어를 이해할 수 없다. 다만 기계어라는 2진수로 이루어진 언어만을 이해할 수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사람들이 작성한 프로그램이나 문서 등을 기계가 인식할 수 있는2진수로 바꾸어 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번역이라 한다. 어떠한 언어를 번역할 것인가에 따라 번역을 수행하는 도구가 여러 가지로 나뉘어지는데, 파스칼 언어나 C언어와 같은 고급언어를 번역하는 것을 컴파일러라 하고, 기계어와 비슷하나 이를 기호로 나타내어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어셈블리어를 번역하는 것을 어셈블러라 한다. 이러한 컴파일러나 어셈블러도 프로그램의 일종으로, 번역 프로그램들은 사람들이 작성한 본래의 프로그램에 오류가 있는가 없는가를 검사하여 오류가 없다면 이를 일단 목적 프로그램이라는 형식으로 바꾸어 준다. 이 목적 프로그램들 중 서로 연결하여 실행시켜야 하는 프로그램들을 링커라는 프로그램이 서로 연결해 주며, 로더라는 프로그램이 서로 연결되어 복잡하게 얽혀진 프로그램을 재배치시켜 완벽한 기계어 프로그램을 작성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앞에서 말한 컴파일러나 어셈블러만을 번역과정에 둘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원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만드는 전과정을 번역이라한다.


transmission(전송): 전송은 전신이나 전화선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어떤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보내는 것을 말한다. 이 전송의 형태는 컴퓨터의 모뎀을 이용한 것과 이용하지 않은 것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용하지 않은 것으로는 팩시밀리가 대표적이다. 모뎀을 이용한 대표적인 전송 형태로는 파일의 업로드나 메일 보내기 등을 들 수 있다. 컴퓨터의 데이터는 전화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경우에 전화선에 맞게 변환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일을 모뎀이 해 준다. 즉, 전화선을 이용한 데이터의 전송에 모뎀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단위 시간당 전송되는 비트, 캐릭터의 값을 전송속도라 하며 단위는 비트/초, 캐릭터/초, 블록/분 등과 같이 표시된다. 대표적인 전송속도의 단위로는 BPS(Bit Per Second)가 있다. 또한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되는 제어문자는 ISO에서 정한 SOH, STX, ETX, ETB, BOT, ENQ, ACK, NAK, DLE, STN의 10가지가 있다.


tree(트리:나무) 구조: 누구나 알고 있듯이 트리란 나무라는 뜻의 영어단어이다. 나무를 생각하면 제일 먼저 여러 갈래로 죽죽 나뉘어 뻗은 가지들과 무성한 잎사귀를 떠올리게 된다. 트리 구조란 자료들이 바로 이런 나무의 모습처럼 조직되어 있는 데서 이름 붙여지게 된 자료 조직형태 중의 한가지이다. 특 트리 구조란 정보의 여러 항목들이 가지(branch)로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계층적으로 조직되는 것을 말한다. 트리에는 근노드(root node;node란 한 정보 항목과 이것으로부터 다른 항목으로 뻗어진 가지를 합한 것)라고 하는 하나의 최상위 정점이 있고, 그 아래로 여러 자식노드(child node)가 붙는다. 이 자식노드들은 각각 자신의 자식노드를 가지는 부모노드(parent node)가 될 수 있으며, 하나의 부모노드와 자식노드들의 묶음을 전체에 대한 서브 트리(sub tree)라고 한다. 그리고 자신의 자식노드가 없는 가장 아랫부분에 위치하는 노드들을 나뭇가지 끝에 붙은 잎과 같다는 의미에서 리프(leaf), 또는 터미널 노드(terminal node)라고 부른다.


tree dimension animation(3차원 애니메이션): 차원(dimension)은 모두 4차원까지 있지만 현실에 존재하는 차원은 3차원까지이다. 1차원은 점, 2차원은 선의 개념이고, 3차원은 2차원에 거리의 개념을 더한 것이다. 애니메이션은 생기, 열정이란 뜻이지만 만화영화라는 의미로 더 많이 쓰인다. 따라서 3D 애니메이션은 3차원의 공간에서 그려지는 만화영화라고 말할 수 있다. 평면의 모니터에서 3차원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원근법을 사용하거나 명암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닥터할로에서 사각형을 그리면 2차원이지만 이 사각형에 원근법을 사용하고 색과 명암을 넣어 육면체를 만들면 입체감이 있는 3차원의 그림이 되는 것이다. 이것은 눈의 착각을 이용한 것으로, 이처럼 입체감이 있는 그림을 움직이게 하면 3차원 애니메이션이 된다. 3차원 애니메이션은 캐드(CAD)를 비롯한 컴퓨터 디자인, 시뮬레이션, 이미지 프로세싱 등에서 널리 쓰인다.


TSB: technical systems bulletin


TSR: terminate and stay resident


TSB: 단말 상태 블럭(terminal status block).


TTC: technical commission for telegraph and telephone. 일본의 전신전화기술위원회 명칭. 주로 ITU-T(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부문)의 권고나 ISO(국제표준화기구)의 표준을 기준으로 했다. 전기통신에 관한 국내 표준을 작성하는 민간단체.


TTL: 트랜지스터-트랜지스터 논리(transistor-transistor logic).


turbo(터보): 컴퓨터 사용자에게는 터보(Turbo)라는 말이 익숙해져 있다. 컴퓨터 본체의 앞면을 보면 처리 속도를 올려 주는 스위치가 터보 스위치이며, 미국의 '볼랜드'라는 소프트웨어 회사에서 만든 프로그래밍 언어 중에 유명한 것이 터보 C와 터보 파스칼이다. 이처럼 터보라는 말은 보통보다는 좀 더 빠른 것, 획기적인 것 등의 의미로 이해되어지고 있는데, 본래 터보라는 말은 기관(엔진)에서 사용되는 말이다. 누구나 알고 있는 것처럼 기관이란 동력 즉, 힘을 만들어 내는 복잡한 기계이다. 기관이 동력을 만들어 내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2가지로 나뉘어질 수 있다. 자동차의 엔진에서는 회전운동으로 만들어 내는 방법이 사용된다. 반면에 비행기에서 사용되는 제트엔진과 같은 기관은 터빈(turbin)이라고 하는 물레방아와 같은 것이 연료의 화력으로 회전하여 동력을 직접 얻어내는 방법을 사용한다. 피스톤이 이용되는 엔진에 비해 터빈이 이용되는 엔진은 연료의 화력을 직접 회전 운동으로 얻어내기 때문에 보다 월등한 동력을 얻어 낼 수 있으므로 우수한 기관으로 평가된다. 터보(turbo)란 이 터빈(turbin)의 형용사로, 보다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는 의미로 사용되는 것이다.


type(타입): 타입은 각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수학적 또는 표현상의 성질에 따라 분류한 것이다. 그럼 타입을 이해하기 위해 베이직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예로 들어 분류해 보자. 데이터의 값은 크게 상수와 변수로 구분된다. 상수는 계산에 이용되는 정해진 수로 항상 그 값이 변하지 않지만, 변수는 상수의 값에 따라 변하는 수로 알파벳 문자, 숫자, 소숫점을 이용하여 40자 이내에서 임으로 그 값을 지정할 수 있다. 상수는 크게 숫자 상수와 문자열 상수로 구분한다. 숫자 상수는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에 나타나는 숫자로 이것을 구분하면, 정수형 상수, 고정 소숫점 상수, 부동 소숫점 상수, 16진 상수, 8진 상수, 단정도 상수, 배정도 상수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문자열 상수는 인용부호 내에 들어 있는 문자, 숫자, 특수문자로 되어 있으며 널(null)을 포함하여 255자를 초과할 수 없다. 변수는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자료를 기억하는 장소로, 숫자 변수와 문자열 변수 그리고 배열 변수로 구분된다. 이 중 숫자 변수에는 변수 뒤에 %를 붙이는 정수형 변수와 변수 뒤에 !를 붙이는 단정도 실수형 변수, 그리고 변수 뒤에 #을 붙이는 배정도 실수형 변수가 있다. 문자열 변수는 문자열을 기억시킬 변수명을 의미하며 변수 뒤에 $를 붙인다. 그리고 배열 변수는 배열을 이용할 때 사용한다.


UA: user agent


UART: 범용 비동기 송수신기(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UDP: User Datagram Protocol의 약자. TCP/IP 프로토콜군의 하나. TCP와 같은프랜스포트층의 프로토콜. 하위층은 IP를 이용한다. TCP는 커넥션형의 프로토콜로서, 순서제어와 플로어제어를 실행하지만, UDP는 비커넥션형으로 순서제어나 플로어제어를 실행하지 않는다. 품질은 보증되지 않으나 고속으로 통신할 수 있다.


UNI: User-Network Interface의 약자. 유저 단말기와 망 사이의 인터페이스 사양.


UNIX(유닉스): 유닉스(UNIX)는 1969년 미국 AT&T의 벨연구소에서 켄 톰슨(Ken Thompson)의 주도하에 개발된 운영체제(OS)로서, 개발자 자신들의 주된 작업인 프로그래밍에 관한 연구를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하기에 적당한 작업환경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만들어졌다. 유닉스는 처음에는 미니급 이상의 중대형 기종에서 주로 사용되었으나, 워크스테이션의 보급으로 사용영역이 점차 확대되어 지금은 속도가 빠른 386 PC에서도 아주 효율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차츰 교육용으로 개발되어 현재는 대학이나 연구기관 등에서 널리 각광받고 있다. 유닉스는 시스템의 90% 이상이 C언어로 씌어지고, 다른 운영체제와는 달리 시스템 프로그램이 공개되어 있어 시스템의 변경이 용이하고 간단하며, 하드웨어에 구애됨이 없이 거의 모든 기종에 이식이 가능한 운영체제이다. 또한, 사용자의 명령을 실행하고 응답을 주는 대화식 시스템이며, 동시에 여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multi-tasking system), 두사람 이상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multi-user system)할 수 있다. 유닉스 시스템은 크게 커널(Kernel), 쉘(shell), 파일 시스템(file system)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커널은 운영체제의 핵심이 되는 부분으로 항상 주기억 장소에 상주하면서 프로세스 관리, 입.출력관리, 파일관리, 프로세스간의 통신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유닉스 시스템 자신이 살고 있는 컴퓨터 시스템 자원들을 관리하는 부분으로 디스크, 테이프, 프린터, 단말기, 통신회로 등의 장치들을 관리한다. 쉘은 유닉스 명령어를 해석하는 명령어 해석기(command interpreter)로 운영체제와 사용자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쉘은 유닉스 시스템의 일부분이 아닌 하나의 유틸리티 프로그램이지만, 사용자 쪽에서 보는 유닉스는 바로 이 쉘로서, 단말기를 통해 명령을 받고, 그 명령을 커널이나 다른 여러 유틸리티 프로그램을 작동시켜 실행한다. 그리고 파일 시스템은 데이터들을 체계적으로 구성하는 부분으로, 계층적 구조(hierarchical structure)로 되어 있어 사용자간 또는 그룹간의 디렉토리 및 파일을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user(사용자): 컴퓨터를 직접 다루며 컴퓨터로부터 원하는 정보나 작업 등을 받아들이는 사람을 사용자라 한다. 컴퓨터를 다루는 사람들을 단계별로 나타내면 하드웨어 개발자 - 운영체제 개발자 및 관리자 - 응용 프로그램 개발자 - 사용자로, 컴퓨터 사용자는 맨 마지막에 위치한다. 이처럼 사용자는 응용 프로그램 개발자가 개발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원하는 작업을 하기 위해 컴퓨터를 이용하는 사람이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그래픽 작업을수행할 수 있게 하는 그래픽 에디터 프로그램 중 하나인 닥터할로라는 프로그램은 응용 프로그램에 속하며, 이를 개발한 사람은 응용 프로그래머가 되고, 이 닥터할로를 이용하여 그림을 직접 그리며 컴퓨터를 이용하는 사람이 컴퓨터 사용자가 된다.


utility(유틸리티): 컴퓨터와 주변장치 또는 컴퓨터와 사용자간의 자료교환 등을 보다 용이하게 해 주는 프로그램을 '유틸리티(utility)'라고 한다. 유틸리티는 컴퓨터를 이용한 프로그래밍 또는 기타의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작업을 효율적이며 합리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만약 디스켓의 파일들을 용도와 목적에 맞게 분야별로 정돈하고 싶다면 디스켓 관리 유틸리티를 이용하면 편리할 것이고, 순간의 실수로 귀중한 데이터나 파일을 삭제하였다면 데이터 복구 용 유틸리티를 이용하여 복구할 수 있다. 시중에는 DOS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유틸리티들이 널리 보급되어 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노턴 유틸리티(NORTON Utility)와 PCTOOLS 등이 있다. 이러한 DOS 지원 유틸리티들은 컴퓨터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DOS의 명령어 외에도 디스크 관리 및 데이터 복구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UTP: unshielded twisted pair


UUCP: UNIX-to-UNIX copy의 약자. UNIX 머신 간에서 실행하는 파일 복사용 프로토콜. TCP/IP는 이용하지 않는다.


UUCP 접속: UNIX 머신 간의 통신방식(UUCP)에 의한 접속으로 전자메일과 뉴스 검색이 가능. 머신 간의 파일복사나 리모트 커맨드를 실행할 수 있다. LAN 간 접속과 같은 네트워크끼리의 접속과는 다르다. 가입전화망 등의 공중망에 의한 접속이 많다.


V.fast: 최대 28.8kbps의 전송속도를 얻을 수 있는 고속모뎀 기술 규격의 하나. 회선상태에 따라 신호를 송출하는 기술과 오류정정을 보다 정확히 하기 위한 기술을 병용한다. 1994년 여름에 ITU-T가 V.34로 권고했다.


VAN(Value Added Network: 부가가치통신망): VAN은 통신과 컴퓨터 발전에 따라 출현한 정보통신망의 한 형태로 공중 통신업자로 부터 통신회선을 차용하여 단순한 통신서비스외에 다양한 부가가치 서비스를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VAN의 기능은 데이터 전송기능과 정보처리 기능으로 대분 된다. 데이터 통신 기능은 공중회선망, 전용회선망, 패킷 교환망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정보처리기능에는 정보의 축적, 교환기능, 정보의 압축기능 등이 있다. cf. 다른 사전 - VAN: 정보를 가진 사업자가 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해 컴퓨터에 저장하고, 공중통신망을 통해 일반인에게 유료로 제공하는 통신망. 700번 서비스의 증권시세 정보, 법률·의학상담, PC 통신의 전자우편과 홈쇼핑, 전자신문 서비스 등이 VAN에 해당한다.


variable(변수): 10개의 객차로 구성된 전동차가 있다. 이 전동차가 각 역에 정차할 때마다 사람들이 타고 내리는데, 이 때 모든 칸에 똑같은 수의 사람이 타고 내리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타는 사람들은 사람이 적은 칸이나 자신이 내리기에 편한 칸에 타려고 할 것이고, 내리는 사람들도 나가는 곳이나 갈아타는 곳이 가까운 쪽으로 몰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동차의 각 칸에 타고 있는 사람들의 수는 전동차가 역에 정차하고 다시 떠날 때마다 계속 변하게 된다. 여기서 전동차가 각 역을 지나는 것을 프로그램이 단계적으로 실행되는 것이라고 할 때, 각 칸에 타고 있는 사람의 수는 변수값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변수는 프로그램이 반복적으로 수행될 때마다 변하는 각기 다른 수값을 가리키며 어떤 수치나 문자를 가정하여 기호로 나타낸 것이다. 또 전동차가 역에 정차했을 때 열리는 문도 항상 일정하지 않다. 어떤 역에서는 왼쪽 문이 열리고 어떤 역에서는 오른쪽 문이 열리는데, 열리는 문에 따라 사람들이 내리는 방향도 달라지듯이 변수의 형태도 프로그램에 따라 달라진다. 베이직에서 A=2 라는 프로그램문은 2라는 변수를 A라는 기억장소에 기억시키라는 뜻이 되지만 DATA문을 이용하면 A라는 기억장소에 기억되는 변수값은 DATA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프로그램에서의 변수는 위에서처럼 데이터문을 이용하는 경우와 직접 지정하는 경우 등이 있으며, 변수의 형태도 정수형, 실수형 등으로 나뉘어 진다.


VCC/VPC: Virtual Channel Connection/Virtual Path Connection의 약자. ATM 통신을 위한 엔드·엔드 컨넥션.


VC: virtual channel


VDS: 시각 표시 장치 시스템(visual display system).


VDT: video dialtone


VDT 증후군: VDT(Video Display Terminal) 증후군은 컴퓨터의 입출력장치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로 인해 발생하는 생리학적 현상이다. 현재까지 전자파로 인한 생리학적 현상으로는 시력장애, 백내장, 피부염, 생리불순, 기형아 출산 등으로 알려져 있는데, 지난해 말 국내 공정거래위원회에서는 전자파가 VDT 증후군이라고 추정되는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없다고 상반된 의견을 제시한 바 있다. 이러한 VDT 증후군의 원인이 되고 있는 전자파는 컴퓨터만이 아니라 텔레비전과 기계의 엔진에서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현재 추진되고 있는 고도 정보화 사회의 새로운 공해로 부각되고 있다. 현재 VDT 증후군의 예방책으로 모니터 앞에 보안기를 설치하거나 전자파 중화장치를 부착하기는 하지만 이것으로 어느 정도의 효과를 거두고 있는지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VESA Local Bus: 로컬버스는 CPU의 내부영역에 그래픽, 디스크 컨트롤러, 네트워크 등의 데이터 버스를 직접 연결해 데이터 병목 현상을 해결하고, CPU와 동일한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한 버스 방식이다. 각 업체간에 로컬버스의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디오 표준을 정하는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에서 표준규격을 제안하게 된 것이 현재의 VESA 로컬 버스이다.


VGA: 미국 IBM이 PC에 채용한 그래픽스 표시의 규격. 표시 모드는 전부 17종류. 이중에서 640*480 화소 표시로 26만 2144색의 컬러 파렛트로부터 최대 16색을 동시에 표시한다.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SVGA도 있다. 이는 1024*768 화소로 최대 256색의 동시 표시가 가능하다.


VI&P: 일본 NTT가 1990년 3월에 발표한 21세기를 겨냥한 통신서비스의 개념. Visual, Intelligent, Personal 의 3가지가 기본 개념이다.


Video Conference(영상회의): 상호 멀리 떨어진 회의실 사이를 영상과 음성으로 연결하고 다수의 인원이 앉아, 모니터 화면에 비쳐지는 상대편의 모습을 보면서 상호 같은 공간 속에 있는 느낌으로 회의를 진행시키는 것을 말한다.


videotex(비디오텍스): 문명의 발달로 인해 이제는 거의 대부분의 가정에서 텔레비전과 전화를 가지고 있다. 이 두가지 기기를 연결하면 새로운 정보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데, 이처럼 텔레비전과 전화의 연결에 의한 새로운 정보 서비스를 비디오텍스라 부른다. 뷰데이터(view data)라고도 불리우는 비디오텍스는 국제표준용어이며 국가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불리기도 한다. 영국:Prestel, 서독: Bildschirmtext, 프랑스: Teletel, 네덜란드: Viditel, 스웨덴: Viditel, 핀란드: Telset, 일본: CAPTAIN, 캐나다: Vista. 비디오텍스 시스템은 대체로 정보 제공자와 정보 가공자, 그리고 정보 수요자 등 세가지로 구성되는데, 정보 가공자는 정보 제공자가 보내준 정보를 대량의 기억장치가 있는 컴퓨터로 가공, 정리, 축적하였다가 정보 수요자의 요구에 의해 정보를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요즈음 한창 유행하는 BBS와 성격이 같다고 볼 수도 있으나 BBS가 컴퓨터와 컴퓨터간의 통신이므로 정보 제공자나 정보 수요자의 구별이 불분명한 데 비해 비디오텍스는 컴퓨터와 일반 텔레비전과의 통신이므로 정보 수요자는 텔레비전을 사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는 있어도 정보를 제공할 수는 없다.


VIP: Vines internet protocol


virtual memory(가상기억장치): 주기억장치를 실제보다 더 크게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가상기억장치(virtual memory)는 사용자가 기억 용량이 무한하다는 가상 하에서 프로그래밍할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이 가상기억장치를 이용하면 실제로 존재하는 주기억장치의 용량보다 큰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가상기억장치가 실제로 작동되는 방법을 보면, 자료나 프로그램들을 여러 개의 페이지 단위로 나누어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하고, 필요할 때마다 주기억장치로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처리하는 것이다. 페이지 단위로 세분된 자료와 프로그램들은 컴퓨터의 운영 시스템에 의해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 간에 서로 전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컴퓨터 시스템은 사실상 존재하는 것보다 더 큰 기억용량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컴퓨터 시스템을 마치 무한정의 주기억장치를 가지고 있는 것처럼 사용할 수 있다. 그 예로서, 512KB의 실제 기억용량(주기억용량)을 가지고 있는 컴퓨터는 디스크 상의 보조기억장치와 가상기억장치 운영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16MB의 기억용량을 가진 것처럼 동작할 수 있다. 개인용 컴퓨터의 가상 메모리를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려면 롬바이오스에서 제공하는 메모리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면 된다. 이 메모리 전송 서비스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MS-DOS에서 제공되는 VDISK.SYS, RAMDRIVE.SYS 등이 있다.


virus(바이러스): 바이러스는 원래 인체에 들어와서 스스로 증식을 하며 몸에 병을 일으키는 고약한 존재인데, 그래서인지 컴퓨터 바이러스에 대해서도 컴퓨터를 사용하면 감염되는 나쁜 병균이 아닌가 하고 잘못 이해하는 경우가 많다. 인체에 들어오는 바이러스는 감기와 같은 질병을 일으키고, 컴퓨터에 침입하는 바이러스는 컴퓨터를 엉뚱하게 망쳐 버린다는 의미에서 조금은 공통된 특징을 갖고 있지만, 컴퓨터 바이러스란 어디까지나 컴퓨터에서 수행되는 하나의 프로그램을 말한다. 단, 유용한 목적을 갖고 만들어지는 일반적인 프로그램과는 달리 컴퓨터 바이러스는 다른 프로그램이나 파일들을 지워버리거나 망쳐 버릴 목적으로 만들어진 프로그램이다. 우리 몸에 감기 바이러스가 들어오면 기침이 나고 열이 나서 생활에 지장이 많듯이 컴퓨터에 바이러스(바이러스 프로그램)가 들어오면 컴퓨터나 프로그램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못하는 것이다. IBM PC 호환기종에 감염되는 바이러스는 감염 부위에 따라 부트 바이러스와 파일 바이러스로 나눌 수 있다. 부트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디스크가 부팅되지 않거나 부팅시간이 평소보다 길고, 또는 디스크의 볼륨 라벨(volumn label)이 다른 것으로 바뀐다거나, 노턴 유틸리티나 PCTOOLS로 부트 레코드를 관찰하면 이상한 점이 발견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파일 바이러스에 감염된 경우에는 파일을 실행시킬 때 로드하는 시간이 길다거나, 파일 실행 후 파일 크기가 증가하고, 이상한 문자들이 출력되거나 시스템의 속도가 갑자기 떨어지는 등의 증세를 보인다.


VISICALC(비지캘크): PC용으로 작성된 최초의 전자계산용 소프트웨어로서, 애플 II 컴퓨터에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애플 컴퓨터가 출현한지 2년 후인 1978년도에 발표되어 PC 사용자들에 의해 엄청난 인기를 끈 비지캘크 프로그램은 당시 하버드 대학 경영대학원 재학 중이던 댄 브리클린(Dan Bricklin)과 그의 친구이자 프로그래머인 로버트 프랭크스톤(Robert Frankston)에 의해 만들어졌다. 어느날 교수가 변수가 달라질 때마다 재무모델을 일일이 다시 계산하는 복잡하고 반복적인 작업을 애플 II 컴퓨터를 이용하여 처리해 보고자 마음먹은 것이 바로 이 최초의 전자계산용 소프트웨어가 출현하게 된 배경인 것이다. 이 프로그램의 개발로 종전에는 며칠씩 걸리던 재무계산 작업을 수분 내에 해치울 수 있게 되었으며, 64KB의 주기억장치와 한 개의 디스크 드라이브만 있으면 프로그램의 작동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들에게 큰 경제적 부담을 주지 않아도 되었다. 따라서 비지캘크는 엄청나게 팔려 나갔으며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과 발전에도 지대한 공헌을 하게 되었다. 또한 그 이후로 많은 다른 전자계산용 프로그램의 개발이 연이어 이루어지게 되었다.


VLSI: 초대규모 집적회로(very large-scale integration 또는 very large-scale integrated circuit). 칩당 소자수(집적도)가 100000개 이상의 반도체 집적회로. 1칩에 1만 게이트 이상의 것을 말한다. VLSI는 미세 가공을 할 수 있는 전자빔이나 X선을 써서 가공된다. 반도체 집적회로는 집적 회로를 구성하는 부품 수의 집적 규모에 따라서 소규모 집적 회로 (SSI),중규모 집적 회로(MSI),대규모 집적 회로(LSI)라고 부른다.


VOD: Video On Demand의 약자. 비디오 온 디맨드(*쪽)을 찾아볼 것.


VPI/VCI: Virtual Path Identifier/Virtual Connection Identifier의 약자. ATM-LAN에서 어드레스 대신에 이용하는 통신로(논리체널)의 식별자.


VPN: Virtual Private Network의 약자. 가상사설망서비스. 통신사업자의 공중 네트워크를 유저가 자신의 전용선처럼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가입전화를 사내의 내선전화처럼 이용할 수 있다.


VP: virtual path


VR(Virtual Reality: 가상현실): 사람이 시각, 청각 등을 자유롭게 느낄 수 있도록 인공적인 상황을 컴퓨터 공간에 구현해 실제의 상황이 아니면서도 실제로 그러한 상황이라고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가상현실은 비행훈련기인 플라이트 시뮬레이션, 자동차 모의실험 등에 많이 쓰인다.


VRTP: Vines routing update protocol


VSAT: Very Small Aperture Terminal의 약자. 초소형 위성통신 지구국. 작은 직경의 파라볼라 안테나를 사용하는 지구국의 총칭. 일반적으로는 쌍방향 통신기능을 갖는 것을 가르키는 경우가 많으나 수신 전용을 포함하기도 한다.


VSPP: Vines sequenced packet protocol


VTAM: Virtual Telecommunications Access Method의 약자. SNA에 기초해서 IBM 메인프레임 호스트에서 가동하는 통신 기본 소프트웨어.


WAIS: Wide Area Information Servers의 약자. 분산환경에서 클라이언트/서버형 정보검색시스템. 특정 어귀를 지정하면 그 어귀가 포함돼 있는 파일을 검색한다. 클라이언트로부터 서버에 대응해서, ANSI(미국규격협회) Z39.50 프로토콜(정보검색을 위한 표준)로 검색한다. 1980년대 후반부터 다우 존스, 싱킹 머신, 애플컴퓨터, KPMG 피트마윅이 공동개발했다. 프리웨어로 입수할 수 있다.


wait state(대기 상태): 대기 상태라는 것은 컴퓨터가 작동중 다른 명령이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잠시 멈추어 있는 상태를 가리키는 것으로, 여러개의 프로그램을 한꺼번에 사용할 수 있는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에서 CPU가 하나의 프로세스(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에서 실행되고 있는 각각의 프로그램을 프로세스라고 한다)를 실행하고 있어 다른 프로세스를 처리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 또는 CPU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주기억장치로 액세스할 때까지 아무 일도 하지 않고 기다리는 상태 등과 같은 현상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러한 대기 상태가 길어지면 컴퓨터의 효율성이 떨어지므로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에서는 한 프로세스가 CPU를 점유하고 있는 시간을 쪼개어 여러 프로세스들을 돌아가며 처리할 수 있게 하며 CPU가 놀고 있지 않게 하기 위하여 액세스 속도가 보다 빠른 보조기억장치를 개발하기도 한다.


WAN(Wide Area Network): 보통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전용선이나 패킷교환망, ISDN 등의 통신회선 서비스를 사용한 광역 네트워크를 가리킨다. 최근에는 랜의 보급에 따라 WAN의 저속성이 문제시 되었으나, 랜과 같은 고속성을 가진 WAN도 등장하고 있다.


WAN: Wide Area LAN의 약자. LAN에 대한 광대역 통신망. 지리적으로 확장된 광범위한 영역을 포괄하는 통신망이다. 즉 LAN의 범위가 1개의 빌딩이라면 WAN은 1개 지역이기 때문에 호스트 컴퓨터도 처리 속도가 빠르고 용량이 커야 한다. 주로 본사와 지역 내의 영업망을 전화회사가 제공한 전용선을 통해 흩어진 각 지점을 연결하는 형태로 쓰인다.


Watchdog: NetWare에서 서버에 로그인 중인 클라이언트를 관리하기 위한 제어 패킷.


WaveLAN: 무선 LAN 시스템. Netware, LAN 매니저 등 각종 네트워크 OS에 대응한다. WaveLAN 보드를 PC에 삽입하고 드라이버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면 유선 LAN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2.4GHz대를 이용하고 전송속도는 2Mbps이다.


Whis: 아는 사람의 메일 어드레스와 네트워크에 연결돼 있는 조직명 등을 알기 위한 커맨드. 일종의 디렉토리 서비스.


WIDE: 케이오대학이 중심이 되어 운용하고 있는 일본의 연구용 인터넷. 대학 외에 기업연구소 등이 공동연구를 목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Win16: 윈도우즈 3.1이 제공하는 OS 환경. 16비트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전제.


Win32: 32비트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능력을 활용할 수 있는 NT의 독자 OS 환경.


window(윈도우): 윈도우란 직사각형으로 된 화면의 일부분으로 간단히 정의할 수 있다. 즉 한개의 모니터가 하나의 화면만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여러개의 화면이 한꺼번에 하나의 모니터에 나타날 수 있도록 꾸며진 화면 처리 기법이다. 초창기의 윈도우는 단지 화면을 가로 또는 세로로 분할하여 각각 다른 프로그램의 출력을 보여주느냐 것이 고작이었으나 근래에는 한 윈도우가 다른 윈도우와 겹쳐서 표시되는 중첩 윈도우, 윈도우가 밑에 있는 윈도우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고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팝업(pop-up) 윈도우, 화면상의 윈도우의 크기를 마음대로 늘리거나 줄일 수 있는 윈도우 등 다양한 기능의 윈도우들이 사용되고 있다. 보편적으로 각 윈도우는 서로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므로 하나의 모니터로 여러 작업의 출력 결과를 볼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컴퓨터의 사용효율을 높여 주게 된다.


word(워드;단어): 컴퓨터는 못하는 일이 없는 만능박사처럼 보일 수 있지만, 사실은 0과 1 단 두가지의 숫자밖에 인식하지 못한다. 인간을 도와 수많은 일들을 처리해 주고 있기는 하지만 컴퓨터도 기계임에 틀림이 없어서 YES 또는 ON 상태이면 1, NO 또는 OFF 상태이면 0이라는 명확히 구분되는 사실만을 이해할 수 있을 뿐이다. 그래서 컴퓨터에서 처리되는 모든 자료들은 최종적으로는 전부 0과 1의 조합으로 바뀌어지게 된다. 이렇게 컴퓨터가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0과 1)를 비트(bit)라고 한다. 그러나 하나의 비트만으로는 0 또는 1로 나타나는 두가지의 정보밖에 표현할 수 없으므로, 보다 많은 정보를 표현하기 위해 컴퓨터에서는 여러개의 비트를 하나로 묶어서 사용하는데 이것을 바이트(byte)라고 한다. 한 바이트는 보통 8개의 비트로 이루어진다. 그럼 워드(word)는 무엇을 가리키는 것일까? 워드는 '컴퓨터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단위' 즉, '컴퓨터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비트 수'를 말하는 것으로, 컴퓨터에서는 모든 자료가 이 워드를 단위로 하여 처리된다. 워드의 크기는 컴퓨터의 처리능력에 따라 컴퓨터 시스템마다 제각기 다르다. 컴퓨터 기종을 나타낼 때 8비트 컴퓨터니 16비트 컴퓨터니 하고 말하는데, 이 때의 8비트나 16비트가 바로 그 컴퓨터에서의 한 워드의 크기이다. 다시 말해서 8비트 컴퓨터는 8비트(1바이트)가 1워드이며, 16비트 컴퓨터는 16비트(2바이트)가 1워드이다.


wordprocessor(워드프로세서): 인간이 동물과 구별되는 것들 중의 하나가 문자라고 하는 상징체계를 이용하여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고 기록하는 것이다. 오랜 과거로부터 인간은 동굴의 벽이나 대나무, 그릇 등에 문자를 기록하였으며 고대 중국의 한나라 때, 채륜이란 사람이 종이를 발명함으로써 오늘날까지 문자를 종이라고 하는 가장 보편화된 매체에 기록할 수 있게 되었다. 18세기에 들어와서는 유럽에서 '타자기(typewriter)'가 발명되어 기계를 이용한 문자의 표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타자기의 출현으로 '문자의 기계화'가 이루어 지게 되었는데, 문자의 기계화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함과 동시에 통일된 규격으로 보관하는 것이 가능해 졌다. 컴퓨터 과학의 발전과 더불어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종이의 발명에 버금가는 혁신적인 기기가 등장하게 되었다. 컴퓨터에 사용되는 중앙처리장치(CPU)를 이용하여 타자기와는 비교할 수 없는 놀라운 기능을 갖춘 '워드프로세서(wordprocessor: 문서처리기)'라고 불리는 문서 작성기가 선을 보이게 된 것이다. 워드프로세서는 타자기처럼 문자를 단순하게 기록하는 것만이 아니라 작성한 문서를 용도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하게 입력시킨 문서를 다양한 규격과 형태로 출력할 수 있으며 영어, 일어, 한국어 등 다국어의 지원이 가능하다. 또한 앞 단락에 위치한 문서를 뒷 단락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자료의 이동 기능 등도 제공한다. 그 외에도 작성된 문서를 서류화하기 위해 프린터로 출력하기도 하고 문서를 보관하기 위해 디스켓에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업무의 효율을 증진시키게 되었다. 워드프로세서는 외형적으로 보았을 때, 기계 자체가 워드프로세서 고유의 작업만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전용 워드프로세서'와, 일반 컴퓨터에 워드프로세서 프로그램을 입력시켜 워드프로세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워드프로세서'로 구분된다. 전용 워드프로세서와 소프트웨어 워드프로세서는 문서 처리를 위한 기능적인 면에서는 별반 차이가 없지만, 전용 워드프로세서에는 프린터가 자체 내장되어 있으며 조작이 편리한데 반해 소프트웨어 워드프로세서는 별도의 프린터가 마련되어야 하며 전용 워드프로세서에 비해 조작이 상대적으로 불편하다.


workstation(워크스테이션): 워크스테이션은 32비트 CPU와 GUI(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그리고 네트워크 기능이 삼위일체로 활용되는 컴퓨터를 말한다. 워크스테이션의 일반적인 특징을 살펴보면, 네트워크 접속에 적합한 하드웨어 구조와 대용량의 주기억장치 및 보조 기억장치, 가상 메모리를 확보하고 있는 32비트 컴퓨터에 멀티 태스킹을 지원할 수 있는 운영체제인 유닉스를 구비하고 있고, 탁월한 그래픽 기능의 구현이 가능한 고해상도의 컬러 모니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워크스테이션의 규모와 가격은 PC 수준보다 높고 그 성능은 수십명이 동시에 사용하는 미니 컴퓨터와 수준이 비슷한데, 개인적으로 활용하여 각자의 업무를 진행할 수 있고, 그래픽 위주의 빠른 연산 기능이 가능하고 여러대의 워크스테이션을 연결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서로 활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환경은 PC처럼 단순하게 호스트와 단말기 사이를 수직관계로 구축하는 것이 아니라 수평적 위치에서 정보처리의 역할을 분담할 수 있다. 워크스테이션은 그 용도에 따라 사무용과 공학용으로 구분하는데, 사무용에는 CAD용 워크스테이션, 뱅킹 워크스테이션, 인텔리전트 워크스테이션 등이 있다. 공학용에는 분산처리 워크스테이션이 있다.


WOSA: windows open services architecture


WTSC: world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conference


WWW: World-Wide Web의 약자. W3으로도 표기. 스위스 CERN 연구소에서 개발됐다. Mosaic라 부르는 GUI 툴에 삽입돼 있다. 고퍼(Gopher)가 링크를 뻗치고 있는 파일의 내용에서는 알 수 없는데 반해, WWW는 정보 중에 오히려 링크를 끌어넣는 것이 가능하다. 도큐먼트에서 관련기사를 참조하는 용도에 좋다. HTML(하이퍼텍스트 기록언어), HTTP(서버/클라이언트간의 통신 프로토콜), URL(HTTP를 이용해서 인 터넷 상의 자원에 액세스하기 위한 이름붙이기 작업) 등의 기능을 갖는다.


WYSISYG(위지윅): What You See Is What You Get이란 말의 머릿글자를 딴 위지윅(WYSIWYG) 은 프린트시 나타나는 모습 그대로를 화면상에서 볼 수 있는 기능을 말하는 것으로, 워드프로세싱 프로그램이나 그래픽 프로그램에서 흔히 지원되고 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보석글II의 경우에 확대한 글자를 프린트하려면 화면상에서는 확대지정만을 할 수 있고 확대된 글자의 모습을 볼 수는 없다. 그러나 한글의 경우는 확대한 글자나 여러가지 형태의 글자를 화면상에서 볼 수 있으며 이를 그 형태 그대로 프린트할 수 있다. 즉, 위지윅이 지원되는 것이다. 위지윅이 지원되는 워드프로세서를 사용하면 워드프로세싱 작업시 출력될 형태를 미리 볼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화면상에서 확대한 글과 프린터로 출력한 글의 형태가 일치하고 화면에 그림까지 추가할 수 있는 워드프로세싱 프로그램이 있다면 완벽한 위지윅 기능이 발휘되는 것으로 전자출판(Desk Top Publishing)에 가까운 워드프로세싱 프로그램이 되는 것이다.


WYSIWYG(What you see is what you get: 위지윅): 컴퓨터 화면에 나타나는 문자와 그림의 모양이 프린터로 인쇄된 문서의 모양과 똑같다는 것을 나타내는 말로 글자의 크기, 서체, 머리말, 꼬리말, 각주 등을 화면으로 볼 수 있다.


X.400: OSI(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의 전자메일 프로토콜의 총칭. 정확히는 X.400 시리즈이다. ITU-T(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부회, 구 CCITT)가 전자메일에 대해 권고한 바 있는 일련의 시리즈. MHS(Message Handling System)라고도 부른다. X.400 시리즈에서는 1984년 권고와 88년 권고가 있으며, 상호접속시에는 주의가 요구된다. X.400에 따른 전자메일에서는 텍스트 정보뿐만 아니라 바이너리 데이터나 화상, 팩시밀리 등의 이미지 데이터를 총괄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취급한다.


XENIX(제닉스): Intel(인텔)사의 80286/80386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발표되면서 PC에서도 멀티태스킹이 가능해지고, 메모리 액세스가 증대되고, 처리속도 또한 빨라지게 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PC용 OS(Operating System;운영체제)인 MS-DOS만으로는 이처럼 탁월해진 기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없어, 하드웨어가 가지는 좋은 기능들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보다 강력한 OS로서 유닉스(UNIX) 시스템이 표준화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제닉스(XENIX)는 마이크로소프트사가 286/386 시스템에 멀티유저가 가능하도록 AT&T사의 유닉스 운영체제를 이식한 것으로, MS-DOS와 데이터의 호환이 가능하며, 유닉스가 가지는 기존의 기능에 MS-DOS의 특성을 부여한 것이 특징이다. 제닉스 시스템은 오퍼에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기본 시스템 모듈), 디벨롭먼트 시스템(Development System;개발 시스템 모듈), 텍스트 프로세싱 시스템(Text Processing System;문서처리 시스템 모듈)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오퍼레이팅 시스템에는 복수의 사용자 목록을 만들고, 파일 시스템을 관리하며, 파일들을 만들어서 관리하고 시스템 운영작업을 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들어 있다. 디벨롭먼트 시스템에는 어셈블리 및 고급언어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컴파일하고, 오류를 수정하는 데 필요한 프로그램이 있다. 그리고 텍트스 프로세싱 시스템에는 문서를 작성하고 편집하는 데 필요한 프로그램이 들어 있다.


XNS: Xerox network system


XTI: X/Open transport interface


XY plotter(XY 플로터): 컴퓨터의 처리결과를 종이에 인쇄하는 기계 중에서 가장 대중화되어 있는 프린터는 프린터 자체의 폭에 따라 인쇄할 수 있는 종이의 폭이 결정되어 폭이 넓은 종이에는 인쇄하기 어렵고 헤드에 큰 힘이 걸려 헤드가 깨지기 쉬운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XY 플로터는 종이를 고정시키고 펜을 움직여 가며 그림을 그리기 때문에 프린터로 인쇄할 수 없는 큰 용지에도 인쇄가 가능한 출력기이다. 그림을 그리는 데 있어서도 XY 플로터는 2개의 모터로 제어되는 펜을 이용하여 상하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선을 그을 수 있고 여러개의 펜을 장착하여 여러가지 색깔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프린터에 비해 매끄럽고 다양한 색깔의 그림을 그릴 수 있다. XY 플로터의 인쇄방식에는 이처럼 펜으로 그리는 방식과, 이와 달리 감광지에 빛을 투사해서 그리는 방식도 있다.


X단말기: UNIX 머신 상의 멀티윈도우 시스템인 X Window를 이용하기 위한 전용단말기.


Z-80: 'Z-80'은 자일로그(Zilog)라고 하는 미국의 반도체 회사에서 개발한 8비트용 마이크로프로세서(MPU: Micro Processing Unit 로서 인텔에서 개발한 8비트용 MPU인 8080보다 상위 성능을 가지고 있다. 초창기에 개인용 컴퓨터는 미국 또는 일본 등지의 반도체 및 전자제품 회사에서 조립용 키트(kit)로 시판되었는데 특히 샤프, 도시바와 같은 일본제 조립용 컴퓨터에는 Z-80을 MPU로 채택하였다. 그 후, 애플 컴퓨터가 탄생하고 개인용 컴퓨터의 세계를 석권하게 되었는데, 애플이 MPU로 사용한 것은 모토롤라의 6502였다. 애플의 독주에 경각심을 느낀 마이크로소프트를 위시한 미국과 일본 등지의 회사들은 애플을 제치고 표준으로 자리잡을 개인용 컴퓨터를 공동 개발하여 전세계에서 동시에 선을 보이게 되었다. 이것이 바로 MSX 컴퓨터인데, MSX에서 Z-80을 MPU로 채택하게 된다. Z-80이 세인의 관심에서 사라진 지도 오래되었지만 따지고 보면 Z-80은 개인용 컴퓨터의 발전에서 빠질 수 없는 역사의 한 장을 채우고 있는 것이다.


ZIP: zone information protocol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법 용어  (1) 2024.03.18
민법 용어  (0) 2024.03.18
[민법][물권법] 용어  (0) 2024.03.18
용어 ㄴ  (0) 2024.03.16
정보통신 용어 ㄱ  (2) 2024.03.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