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 지정 및 기초공사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기성콘크리트 말뚝 중 운반이나 말뚝박기에 의해 손상된 말뚝은 보수해서 사용한다.
2.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주근의 이음은 필히 맞댐이음으로 한다.
3. 강재말뚝의 현장이음은 용접으로 한다.
4. 잡석지정은 잡석을 한 켜로 세워서 큰 틈이 없게 깔고, 잡석 틈새는 채울 필요가 없다.
5. 밑창 콘크리트의 품질은 설계도서에서 별도로 정한 바가 없는 경우에는 10MPa로 한다.
정답 : [3]
해설
1. 기성콘크리트 말뚝 중 운반이나 말뚝박기에 의해 손상된 말뚝은 장외로 반출한다.
2.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주근의 이음은 필히 겹침이음으로 한다.
4. 잡석지정은 잡석을 한 켜로 세워서 큰 틈이 없게 깔고, 잡석 틈새는 사춤자갈을 채워 다진다.
5. 밑창 콘크리트의 품질은 설계도서에서 별도로 정한 바가 없는 경우에는 15MPa 이상의 것으로 한다.
82. 철근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벽 철근공사에 사용되는 간격재는 사전에 담당원의 승인을 받은 경우 플라스틱 제품을 측면에 사용할 수 있다.
2. 상온에서 철근의 가공은 일반적으로 열간 가공을 원칙으로 한다.
3. 보에 사용되는 스터럽의 가공치수 허용오차는 ±8mm로 한다.
4. 철근을 용접이음 하는 경우 용접부의 강도는 철근 설계기준 항복강도의 100%성능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5. 용접철망 이음은 일직선상에서 모두 이어지게 한다.
정답 : [1]
83. 블록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속빈 콘크리트 블록의 기본블록 치수는 길이 390mm, 높이 190mm이다.
2. 블록 보강용 철망은 #8~#10철선을 가스압접 또는 용접한 것을 사용한다.
3. 하루 쌓기 높이는 1.5m이내를 표준으로 한다.
4. 그라우트를 사춤하는 높이는 5켜로 한다.
5. 인방블록은 도면 또는 공사시방서에서 정한 바가 없을 때에는 창문틀 좌우 옆 턱에 400mm정도 물리도록 한다.
정답 : [4]
해설 그라우트 사춤 높이는 3~4켜로 한다
84. 미장공사에서 단열 모르타르 바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강재로 사용되는 유리섬유는 내알칼리 처리된 제품이어야 한다.
2. 초벌바름은 10mm이하의 두께로,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바른다.
3. 보양기간은 별도의 지정이 없는 경우는 7일 이상 자연건조 되도록 한다.
4. 재료의 저장은 바닥에서 150mm이상 띄워서 수분에 젖지 않도록 보관한다.
5. 지붕에 바탕단열층으로 초벌바름할 경우에는 신축줄눈을 설치하지 않는다.
정답 : [5]
85. 시멘트액체방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치켜올림 부위에는 미리 방수시멘트 페이스트를 바르고, 그 위를 100mm이상의 겹침폭을 두고 평면부와 치켜올림부를 바른다.
2. 한랭 시공 시 방수층의 동해를 방지할 목적으로 방동제를 사용한다.
3. 공기단축을 위한 경화를 촉진시킬 목적으로 지수제를 사용한다.
4. 방수층을 시공한 후 부착강도를 측정한다.
5. 바탕의 균열부 충전을 목적으로 KS F 4910에 따른 실링재를 사용한다.
정답 : [3]
해설
3. 공기단축을 위해서는 경화촉진제를 사용한다. 지수제는 바탕 결함부로부터의 누수를 막기 위하여 사용한다.
86. 건축물에 작용하는 하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적설하중은 구조물이 위치한 지역의 기상조건 등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2. 활하중은 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어렵고, 건축물의 사용 용도에 따라 변동 폭이 크다.
3. 지진하중은 건물 지붕의 형상 및 경사 등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
4. 풍하중은 구조골조용, 지붕골조용, 외장 마감재용으로 분류된다.
5. 고정하중은 자중, 고정된 기계설비 등의 하중으로, 고정칸막이 벽과 같은 비구조 부재의 하중도 포함한다.
정답 : [3]
87. 콘크리트 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콘크리트에 포함된 염화물량은 염소이온량으로서 철근 방청상 유효한 대책을 강구하지 않을 경우 0.30kg/m3이하로 한다.
2. 시멘트 저장 시 시멘트를 쌓아 올리는 높이는 13포대 이하로 한다.
3. 외기기온이 25℃이상의 경우,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는 비빔 시작부터 타설 종료까지의 시간을 90분으로 한다.
4. 콘크리트 타설 이음부 위치는 보의 경우 구조내력을 고려해 스팬의 단부로 한다.
5. 타설 이음부의 콘크리트는 살수 등에 의해 습윤시킨다.
정답 : [4]
해설 4. 전단력이 가장 작은 곳인 중앙부로 한다.
88. 콘크리트의 품질관리 및 검사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품질검사 방법으로는 슬럼프 검사, 공기량검사가 있다.
2. 구조체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검사 시험횟수는 콘크리트의 타설공구마다, 타설일마다, 타설량 150m3마다 1회로 한다.
3. 현장 양생되는 공시체는 시험실에서 양생되는 공시체와 똑같은 시간에 동일한 시료를 사용하여 만들어야 한다.
4. 구조물 성능을 재하시험에 의해 확인할 경우, 재하방법, 하중 크기 등은 구조물에 위험한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
5. 코어 공시체 압축강도 시험 결과의 3개 이상 평균값이 설계기준강도의 85%에 도달하고, 그 중 하나의 값이 설계기준강도의 75%보다 작지 않으면 합격으로 한다.
정답 : [2]
해설 구조체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검사 시험횟수는 콘크리트의 타설공구마다, 타설일마다, 타설량 120m3마다 1회로 한다.
89. 철골구조의 용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 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ㄱ. 용접자세는 가능한 한 회전지그를 이용하여 아래보기 또는 수평자세로 한다.
ㄴ. 용접부에 대한 코킹은 허용된다.
ㄷ. 모든 용접은 전 길이에 대해 육안검사를 수행한다.
ㄹ. 아크 발생은 필히 용접부 내에서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정답 ㄱ.ㄷ
90.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사용성 및 내구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구조물 또는 부재가 사용기간중 충분한 기능과 성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하중을 받을 때 사용성과 내구성을 검토하여야 한다.
2. 사용성 검토는 균열, 처짐, 피로영향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3. 보 및 슬래브의 피로는 압축에 대하여 검토하여야 한다.
4. 온도변화, 건조수축 등에 의한 균열을 제어하기 위해 추가적인 보강철근을 배치하여야 한다.
5. 보강설계를 할 때에는 보강 후의 구조내하력 증가 외에 사용성과 내구성 등의 성능 향상을 고려하여야 한다.
정답 : [3]
해설 3. 보 및 슬래브의 피로는 휨 및 전단에 대하여 검토하여야 한다.
'주택관리사보 > 공동주택시설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동주택 시설개론 기출 문제 2019 (0) | 2025.03.20 |
---|---|
공동주택 시설개론 기출 문제 2019 (0) | 2025.03.16 |
[주택관리사보][공동주택시설개론] 계산 기출 문제 2019- (0) | 2025.03.11 |
[주택관리사보][공동주택시설개론] 계산 문제 모음 2024 - 2020 (0) | 2025.03.09 |
[공동주택시설개론] 승강기 기출 문제 2016 - 2009 (0) | 2024.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