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9회

소방시설의 분류와 설비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① 소화활동설비 - 제연설비
    ② 소화설비 - 스프링클러설비
    ❸ 피난설비- 무선통신보조설비
    ④ 경보설비 - 자동화재탐지설비
    ⑤ 소화용수설비 - 소화수조

 화재안전기준상 연결송수관설비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송수구는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0.5 m 이상 1 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해야 한다.
    ② 송수구는 화재층으로부터 지면으로 떨어지는 유리창 등이 송수 및 그 밖의 소화작업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는 
장소에 설치해야 한다.
    ③ 송수구는 구경 65 mm의 쌍구형으로 해야 한다.
    ❹ 주배관의 구경은 80 mm로 해야 한다.
    ⑤ 방수구는 개폐기능을 가진 것으로 설치하여야 하며, 평상시 닫힌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해설 100mm

화재안전기준상 옥내소화전설비에 관한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고가수조란 구조물 또는 지형지물 등에 설치하여 자연낙차의 압력으로 급수하는 수조를 말한다.     
② 충압펌프란 배관내 압력손실에 따른 주펌프의 빈번한 기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압역할을 하는 펌프를 말한다.     
③ 기동용 수압개폐장치란 소화설비의 배관내 압력변동을 검지하여 자동적으로 펌프를 기동 및 정지시키는 것으로서 압력챔버 또는 기동용 압력스위치 등을 말한다.     
④ 체절운전이란 펌프의 성능시험을 목적으로 펌프 토출측의 개폐밸브를 닫은 상태에서 펌프를 운전하는 것을 말 한다.
❺ 진공계란 대기압 이상의 압력과 대기압 이하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계측기를 말한다.

해설 :
연성계
진공계 : 대기압 이하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계측기
압력계


2015년 18회

소방시설 중 경보설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자동화재탐지설비 ② 자동화재속보설비     ③ 누전경보기 ❹ 비상콘센트설비     ⑤ 비상방송설비

화재안전기준상 소화기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 은?     
① 소형소화기란 능력단위가 1단위 이상이고 대형소화기의 능력단위 미만인 소화기를 말한다.     
② 대형소화기란 A급 10단위 이상, B급 20단위 이상인 소 화기를 말한다.     
❸ 가스식자동소화장치란 열, 연기 또는 불꽃 등을 감지해 분말의 소화약제를 방사하여 소화하는 소화장치를 말 한다.     
④ 자동소화장치를 제외한 소화기구는 거주자 등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소에 바닥으로부터 높이 1.5m 이하 의 곳에 비치한다.     
⑤ 아파트의 각 세대별 주방의 가스차단장치는 주방배관의 개폐밸브로부터 2m이하의 위치에 설치한다.

해설 : 가스계


2013년 17

옥내소화전설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옥내소화전함의 문짝 면적은 0.5㎡ 이상으로 한다.
    ❷ 옥내소화전 노즐선단에서의 방수압력은 0.1MPa 이상으로 한다.
    ③ 옥내소화전 방수구 높이는 바닥으로부터 1.5m 이하가 되도록 한다.
    ④ 소방대상물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방수구까지의 수평거리는 25m 이하로 한다.
    ⑤ 소화전내에 설치하는 호스의 구경은 40mm(호스릴옥내소화전설비의 경우에는 25mm) 이상으로 한다.

해설 0.17MPa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