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대류난방과 비교한 복사난방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실내 상하 온도분포의 편차가 작다
ㄴ.배관이 구조체에 매립되는 경우 열매체 누설 시 유지보수가 어렵다.
ㄷ.저온수를 이용하는 방식의 경우 일시적인 난방에 효과적이다.
ㄹ.실이 개방된 상태에서도 난방효과가 있다.

정답: ㄱ,ㄴ,ㄹ
해설
대류난방: 라디에이터,팬코일유닛
복사난방: 온돌
모닥불 : 대류, 복사

난방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온수난방은 증기난방에 비해 방열량을 조절하기 쉽다.
② 온수난방에서 직접환수방식은 역환수방식에 비해 각 방열기에 온수를 균등히 공급할 수 있다.
③ 증기난방은 온수난방에 비해 방열기의 방열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④ 온수난방은 증기난방에 비해 예열시간이 길다.
⑤ 지역난방방식에서 고온수를 열매로 할 경우에는 공동주택 단지 내의 기계실 등에서 열교환을 한다.

정답 ②

난방용 보일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상용출력은 난방부하, 급탕부하 및 축열부하의 합이다.
② 환산증발량은 100 ℃의 물을 102 ℃의 증기로 증발시키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보일러의 실제증발량을 환산한 것이다.
수관보일러노통연관보일러에 비해 대규모 시설에 적합하다.
④ 이코노마이저는 보일러 배기가스에서 회수한 열로 연소용 공기를 예열하는 장치이다.
저위발열량은 연료 연소 시 발생하는 수증기의 잠열을 포함한 것이다.

정답 ③
해설
① 정미출력 = 난방부하+급탕부하
     상용출력 = 난방부하+급탕부하+배관부하
     정격출력 = 난방부하+급탕부하+배관부하+예열부하
환산증발량이란  보일러의 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표준대기압력하에서 증발한 증기의 량
③ 
④ 연소용 공기 -> 급수
⑤ 저위발열량: 잠열을 뺀값, 고위발영량 : 잠열을 포함

기존 열관류저항 3.5㎡·K/W인 기존 벽체에 열전도율 0.04W/m·K인 단열재 두께 60mm의 단열재를 보강하였다. 이 때 단열이 보강된 벽체의 열관류율(W/㎡·K)은 ?

정답: 0.2
해설:
1) 열관류저항 = 단열재두께/열전도율 = 0.06/0.04 = 1.5
2) 전체 열관류저항 = 3.5+1.5 = 5
3) 열관류율 = 1/열관류저항 = 1/5 = 0.2


2023년

> 배관의 신축에 대응하기 위해 설치하는 이음쇠가 아닌 것은?
    ① 스위블 조인트 ❷ 컨트롤 조인트     ③ 신축곡관 ④ 슬리브형 조인트     ⑤ 벨로즈형 조인트

> 난방설비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증기난방에서 기계환수식은 응축수 탱크에 모인 물을 응축수 펌프로 보일러에 공급하는 방법이다.
    ② 증기트랩의 기계식트랩은 플로트트랩을 포함한다.
    ③ 증기배관에서 건식환수배관방식은 환수주관이 보일러 수면보다 위에 위치한다.
    ④ 관경결정법에서 마찰저항에 의한 압력손실은 유체밀도에 비례한다.
    ❺ 동일 방열량에 대하여 바닥복사난방은 대류난방보다 실의 평균온도가 높기 때문에 손실열량이 많다.

더보기

해설:
 2.증기난방의 분류 
      1)사용 증기압력에 따른 분류
          - 고압식: 증기압 0.1MPa 이상, 배관을 가늘게 할 수 있으나 방열면의 온도가 높기 때문에 난방에 의한   쾌감도가 낮으며, 지역난방이나 공장 등에서 사용 
          - 저압식: 증기압 0.1MPa 미만, 쾌적성이 높아 대부분 건축물에서 사용 
          - 진공식: 증기압 0.1MPa에서 진공압 200mmHg 정도의 증기를 사용, 진공식은 방열기 내의 압력을 조절하여 그 온도를 광범위하게 변화시켜 방열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2)배관방식에 따른 분류 
          - 단관식: 응축수와 증기가 하나의 관 속에 흐르는 배관방식 
          - 복관식: 증기와 응축수가 각기 다른 배관을 흐르는 배관방식 

      3)응축수 환수방법에 따른 분류 
          [중력환수식 증기난방]
          - 특징: 중력작용에 의해 응축수를 보일럴로 유입시키는 방식, 방열기는 보일러의 수면보다 높게 설치하여야 하며, 소규모 건물에 적합(현재는 잘 사용하지 않는 방식이다)  
          - 종류: 습식환수배관, 건식환수배관

          [기계환수식 증기난방] 
          - 응축수 탱크에 응축수를 모아 펌프로 보일러를 환수시키는 방식이다.  
          - 방열기 설치위치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 대규모 건축물에 사용한다. 

          [진공환수식 증기난방] 
          - 진공펌프로 장치 내의 공기를 제거하면서 환수관 내의 응축수를 보일러에 환수하는 방식이다. 
          - 진공펌프는 환수주관 말단의 보일러 측 부분에 설치한다.
          - 응축수 순환이 가장 빠르다. 
          - 보일러, 방열기의 설치위치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 환수관의 관경이 작아도 되며, 방열기 마다 공기빼기밸브가 필요하지 않다. 
          - 대규모 건축물에 적합한 방식이다. 

      4)증기 공급방식에 따른 분류 
          - 상향식: 증기주관을 건물의 하부에 설치하고 수직관에 의해 증기를 방열기에 공급하며, 입상관의 관경을 크게 하고 증기의 유속을 느리게 한다. 
          - 하향식: 증기주관을 건물의 상부 설치하고 수지관에 의해 방열기에 증기를 공급하며, 상향공급식 보다  관경을 작게 할 수 있다. 
          - 상하혼용식: 온도차이를 줄이기 위해 혼용하는 방식으로 대규모 건축물에 사용한다. 

⑤ 

난방설비에 사용되는 부속기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방열기 밸브는 증기 또는 온수에 사용된다.
    ② 공기빼기 밸브는 증기 또는 온수에 사용된다.
    ③ 리턴콕(return cock)은 온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이다.
    ④ 2중 서비스 밸브는 방열기 밸브와 열동트랩을 조합한 구조이다.
    ❺ 버킷트랩은 증기와 응축수의 온도 및 엔탈피 차이를 이용하여 응축수를 배출하는 방식이다.

더보기

해설: 버킷트랩은 부력을 이용하여 배수밸브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형식이며 응축수는 증기압력에 의해 배출된다

보일러에 관한 용어의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정격출력은 난방부하, 급탕부하, 예열부하의 합이다.
ㄴ. 보일러 1마력은 1시간에 100℃의 물 15.65kg을 증기로 증발시킬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ㄷ. 저위발열량은 연소직전 상변화에 포함되는 증발잠열을 포함한 열량을 말한다.
ㄹ. 이코노마이저에너지 절약을 위하여 배열에서 회수된 열을 급수 예열에 이용하는 방법을 말한다.

더보기

정답: ,
해설: ㄱ. 상용출력 = 난방부하 + 급탕부하 + 배관부하
               정격출력 = 난방부하 + 급탕부하 + 배관부하 + 예열부하 
          ㄷ.저위발열량->고위발열량
               저위발열량 = 순 발열량(수증기 X), 고위발열량 = 총 발열량(수증기 O. 잠열 포함)

기존 열관류저항3.0㎡·K/W인 벽체에 열전도율 0.04W/m·K인 단열재 40mm를 보강하였다. 이 때 단열이 보강된 벽체의 열관류율(W/m2·K)은 약 얼마인가?

정답: 0.25
해설
40mm-> 0.04m
1) 열관류저항 = 단열재두께/열전도율 = 0.04/0.04 = 1
2) 전체 열관류저항 = 3+1 = 4
3) 열관류율 = 1/열관류저항 = 1/4 = 0.25
 


2022년

> 난방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온수난방은 증기난방과 비교하여 예열시간이 짧아 간헐운전에 적합하다.
    ② 난방코일이 바닥에 매설되어 있는 바닥복사난방은 균열이나 누수 시 수리가 어렵다.
    ③ 증기난방은 비난방시 배관이 비어 있어 한랭지에서도 동결에 의한 파손 우려가 적다.
    ④ 바닥복사난방은 온풍난방과 비교하여 천장이 높은 대공간에서도 난방효과가 좋다.
    ⑤ 증기난방은 온수난방과 비교하여 난방부하의 변동에 따른 방열량 조절이 어렵다.

해설: 길어, 지속운전


2020년 23회

바닥 복사난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실내에 방열기를 설치하지 않으므로 바닥면의 이용도가 높다.
    ❷ 증기난방과 비교하여 실내층고와 관계없이 상하 온도차가 항상 크다.
    ③ 방을 개방한 상태에서도 난방 효과가 있다.
    ④ 매설배관의 이상발생 시 발견 및 수리가 어렵다.
    ⑤ 열손실을 막기 위해 방열면의 단열층이 필요하다.


2019년 22회

증기난방 설비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감압밸브 응축수탱크     팽창탱크 응축수펌프     버킷트랩

해설: 응축수 : 증기가 액체로 된 것


2018년 21회

보일러의 용량을 결정하는 출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

    상용출력 = 난방부하 + 급탕부하 + 배관(손실)부하


2017년 20회

온수난방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증기난방에 비해 보일러 취급이 어렵고, 배관에서 소음이 많이 발생한다.
    관내 보유수량 및 열용량이 커서 증기난방보다 예열시간이 길다.
    증기난방에 비해 난방부하의 변동에 따라 방열량 조절이 어렵고 쾌감도가 낮다.
    잠열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증기난방에 비해 방열기나 배관의 관경이 작아진다.
    겨울철 난방을 정지하였을 경우에도 동결의 우려가 없다.

해설:  잠열 -> 현열

바닥복사난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난방코일이 바닥에 매설되어 균열이나 누수 시 수리가 어렵다.
    각 방으로 연결된 난방코일의 길이가 달라지면, 그 저항 손실도 달라진다.
    ❸ 난방코일의 간격은 열손실이 많은 측에서는 넓게, 적은 측에서는 좁게 해야 한다.
    난방코일의 매설 깊이는 바닥표면 온도분포와 균열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열손실을 막기 위해 방열면 반대측에 단열층 설치가 필요하다.


2016년 19회

다음의 용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열용량은 어떤 물질 1 kg을 1℃ 올리기 위하여 필요한 열량을 의미하며 단위는 kJ/kgㆍK이다.
    ② ppm은 농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1 ppm은1 g/L와 같다.
    ❸ 엔탈피는 어떤 물질이 가지고 있는 열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현열량과 잠열량의 합이다.
    ④ 노점온도는 어떤 공기의 상대습도가 100 %가 되는 온도로, 공기의 절대습도가 낮을수록 노점온도는 높아진다.
    ⑤ 크로스커넥션(cross connection)은 급수, 급탕배관을 함께 묶어 필요에 따라 급수와 급탕을 동시에 공급할 목적으로 하는 배관이다.

해설
① 열용량은 그 물질의 온도를 1도 높이는 데 드는 열량이라고 한다. 단위는 J/K
1ppm은 1톤의 물에 1g의 염소이온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④ 높아진다-> 낮아진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