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설치목적
① 봉수 보호
② 관내청결 유지
③ 배수흐름 원할
④ 관내 기압 일정 유지
2. 통기관의 종류
종류 | 특징 | 관경 | ||
각개 통기관 | 각 위생기구마다 설치 가장 이상적 접속되는 배수관경의 1/2이상 |
32A | ||
루프 통기관 | 기구 2~8개 배수수평지관 최상류에 연결 배수수평지관과 통기수직관 중에서 작은 쪽 관경의 1/2이상 |
32A | ||
도피 통기관 | 루프 통기관 통기능률 촉직 배수수평지관 최하류에 연결(수직관 가장 가까이) 접속하는 배수수평지관 관경의 1/2 이상 |
32A | ||
습식 통기관 | 통기+배수 겸용 배수수평지관 말단부분 기구 바로 아래 설치 |
|||
신정 통기관 | 배수수직관 끝의 관경을 줄이지 않고 연장하여 대기 중에 개방하는 통기관 | |||
결합 통기관 | 베수수직관+통기수직관 배수수직관 통기능률 촉진 브랜치 간격 10 이상 통기수직관과 배수수직관 중 작은 쪽 관경 이상 |
50A | ||
특수통기방식 | 별도의 통기관을 설치하지 않고 배수수직관(신정통기관)만으로 배수와 통기를 겸하는 방식 소벤트방식: 공기혼합 이음쇠(기포주입장치-유속감소)와 공기분리 이음쇠(흐름원할)을 설치하여 배수와 통기를 겸하는 방식 섹스티아방식: 섹스티아 이음쇠와 섹스티아 밴트관을 설치하여 나선형배수(선회류)를 하는 방식 |
3. 통기배관상 유의사항
① 통기관은 기구넘침면(오버플러면) 150mm 위에서 수직(입상)통기관에 연결한다.
② 2중트랩이 되지 않도록 한다.
③ 오버플로관은 트랩의 유입구 측에 연결한다.(유출구x)
④ 변기는 될 수 있는 대로 수직관 가까이에 배치해야 한다.
'주택관리사보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생기구설비 요약 (0) | 2024.12.13 |
---|---|
시설개론 숫자 필수암기사항 (0) | 2024.12.07 |
건축법 핵심 요약 (0) | 2024.11.11 |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핵심 요약 (0) | 2024.11.11 |
공동주택관리법 핵심 요약 (1) | 2024.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