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외력이 작용하는 구조부재 단면에 발생하는 단위면적당 힘의 크기를 응력도라 한다.
2. 주골조설계용 풍하중은 속도압, 가스트영향계수, 풍압계수에 풍하중의 산정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정한 수압면적을 곱하여 산정한다. 단, 내압계수의 영향도 고려한다.
3. 지진하중 산정 시 반응수정계수가 클수록 지진하중은 감소한다.
4. 지진하중 계산을 위해 사용하는 밑면전단력은 구조물유효무게에 비례한다.
5. 히빙현상은 연약한 점성토 지반에서 땅파기 외측의 흙의 중량으로 인하여 땅파기된 저면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
6. 슬러리 월은 터파기 공사의 흙막이벽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구조벽체로 활용할 수 있다.
7. 점성토 지반에서는 중앙부에서 침하가 일어나기 쉽다.
8. 슬래브 주근은 배력철근보다 바깥쪽에 배근한다.
9. 보가 그 경간 중에서 작은 보와 교차할 경우에는 작은 보의 폭의 약 2배 거리만큼 떨어진 곳에 보의 시공이음을 설치한다.
10. 콘크리트 혼합부터 부어넣기까지의 시간한도는 외기온이 25℃ 미만에서 120분, 25 ℃이상에서는 90분으로 한다.
11. 휨균열은 보 중앙부에서 수직에 가까운 형태로 발생한다.
12. 압축재 결합부에 볼트를 사용하는 경우 볼트 구멍의 단면결손은 무시할 수 있다.
13. 도장작업 장소의 기온이 5 ℃ 이하, 상대습도가 80% 이상일 때 도장작업을 중지한다.
14. 기온이 높아 강재 표면온도가 50 ℃ 이상이 되어 기포가 생길 우려가 있을 때 도장작업을 중지한다.
15. 공사현장에서 용접하는 접합부 등 도장되지 않은 부분, 운반 또는 와이어 등에 의하여 도막이 손상된 부분은 바탕만들기를 한 후 녹막이 도료로 보수 도장한다.
16. 보강블록구조의 벽량이란 내력벽 길이의 합을 그 층의 바닥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150㎜/㎡ 이상이어야 한다.
17. 막만든 아치는 보통벽돌을 쐐기모양(아치벽돌처럼)으로 다듬어 쌓는 아치이다.
18. 아스팔트 옥상 방수에는 지하실 방수보다 연화점이 높은 아스팔트를 사용한다.
19. 타일 붙임용 모르타르는 건비빔한 후 3시간 이내에 사용하며, 물을 부어 반죽한 후 1시간 이내에 사용한다. 1시간 이상 경과한 것은 사용하지 않는다.
20. 압착 붙이기는 오픈타임이 길면 접착력의 저하로 인한 타일의 탈락이 발생한다.
21. 도료의 배합은 제출된 도료 설명서를 참조하고, 희석제는 전용 희석제를 사용하도록 한다.
22. 이윤은 영업이익을 말하며 공사원가 중 노무비, 경비와 일반관리비의 합계약(이 경우에 기술료 및 외주가공비는 제외한다)의 15%를 초과하여 계상할 수 없다.
23. 2대의 펌프를 병렬 연결시 유량과 양정이 모두 증가하나 증가폭은 배관계 저항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24. 2대의 펌프를 직렬 연결시 비교적 유량이 작은 관로저항곡선의 경우 비교적 높은 양정을 얻을 수 있다.
25. 가압송수장치의 체절운전 시 수온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크밸브와 펌프사이에서 분기한 구경 20mm 이상의 배관에 체절압력 미만에서 개방되는 릴리프 밸브를 설치한다.
26. 공동주택이나 노유자시설의 거실에 설치하는 스프링클러설비는 조기반응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여야 한다.
27. 습식 스프링클러설비는 감지기와 수동기동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28. 음향장치의 음량은 부착된 음향장치의 중심으로부터 1m 떨어진 위치에서 90dB 이상이 되는 것으로 할 것
29. 노점온도는 건구온도와 관계업시 그 공기의 절대습도와 관계있다.
30. 부등률은 항상 1보다 크며 부등률을 적용하면 변압기용량을 적정 용량으로 낮추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주택관리사보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인트 칠 준비물 (0) | 2025.04.04 |
---|---|
아파트 지하실에 있는 폐기물 처리 시 준비물 (0) | 2025.04.04 |
위생기구설비 요약 (0) | 2024.12.13 |
통기설비 요약 (0) | 2024.12.13 |
시설개론 숫자 필수암기사항 (0) | 2024.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