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현파 교류 = 직류분+기본파 + 고조파 (암기 : 직키고)
#실효값
I = $\sqrt{I^2_0+(\frac{I_{m1}}{\sqrt2})^2+...}$
#왜형파(비정현파) = 기본파(정현파) + 고조파(Harmonics)
왜형률 : 비정현파에서 기본파에 대해 고조파 성분이 어느 정도 포함되었는가를 나타내는 값
D = $\frac{전 고조파의 실효값}{기본파의 실효값}$ =$\frac{전고실}{기실}$ = $ \frac{\sqrt{I_2^2+I_3^2}}{I_1}$
왜형파 실효값 계산 공식
I = $\sqrt{I_0^2+(\frac{I_{m1}}{\sqrt2})^2+(\frac{I_{m2}}{\sqrt2})^2+...}$
고조파 발생원인
1)정지형 전력변환장치
2)변압기, 전동기
3)용접기, 아크로
4)전력전자응용기기
고조파 영향
1)통신선의 유도장해
2)보호계전기의 오.부동작
3)전력용 기기의 과열 및 소손
4)3상 4선식 회로의 중선선 과열
고조파 경감 대책
1)전력변환기의 다펄스화
2)리액터 설치
3)능동필터에 의한 억제
4)수동필터에 의한 억제
5)역률 개선 커패시터에 의한 억제
플리커 현상 경감 대책
1) 전원측
-전용 계통에서 공급한다.
-단락용량이 큰 계통에서 공급한다.
-전용 변압기로 공급한다.
-공급 전압을 승압한다.
2)수용가측
-전원계통에 리액터분을 보상
-전압강하를 보상
-부하의 무효 전력 변동분을 흡수하는 방법
-플리커 부하 전류의 변동분을 억제하는 방법
필기 | 실효값 | 전류 2019-1 전압 2016-2 전력 2019-1, 2018-2 전력 2014-3 왜형파 2015-1 |
왜형률 | 2019-3, 2014-2, | |
실기 | 왜형파 | 2021-2 실효값 2021-1 (2017-1) 2017-1 왜형률 2015-2 |
고조파 | 2021-3 2014-2 2008-1 (2007-1) 2007-3 2006-2 고조파 영향 |
|
플리커 | 2016-2 2014-2 2005-3 줄이는 방법 1991-6 |
선간전압 200[V] 역률과 효율이 각각 100%이고, 용량 200[kVA]를 6펄스 3상 UPS로 공급중일 때, 기본파 전류와 제5고조파 전류를 계산하시오. 단, 제5고조파 저감계수 K=0.5이다.
(1) 기본파 전류 $I_1=\frac{200\times10^3}{\sqrt{3}\times200}$=577.35A
(2) 제5고조파 전류 $0.5\times\frac{1}{5}\times577.35$=57.735
실기 2021-3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21-1 (2017-1)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17-2 (2008-1, 2007-3, 2007-1, 2002-1, 2001-2)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17-1 왜형률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16-2 플리커 대책
배전선의 기본파 전압 실효값이 V₁ [V], 고조파 전압의 실효값이 V₃ , $V_5$, Vn[V]이다. THD(Total Harmonics Distortion)의 정의와 계산식을 적어라.
(1) 정의 : 기본파에서 기본파에 대해 고조파 성분이 어느 정도 포함되었는가를 나타내는 값
(2) 계산식 :V = $\sqrt{V_0^2+(\frac{V_{m1}}{\sqrt2})^2+(\frac{V_{m2}}{\sqrt2})^2}\times100$[%]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15-2
> 선로나 간선에 고조파 전류를 발생시키는 발생 기기가 있을 경우
그 대책을 적절히 세워야 한다. 이 고조파 억제대책을 5가지만 서술하시오.
① 전력변환 장치의 펄스 수를 크게한다.
② 고조파 필터를 사용하여 제거한다.
③ 전력용 콘데서에는 직렬 리액터를 설치한다.
④ 고조파를 발생하는 기기들을 따로 모아 결선해서 별도의 상위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하고 여타 기기들로부터 분리시킨다
⑤ 변압기 결선에서 델타결선을 채용하여 고조파 순화회로를 구성하여 외부에 고조파가 나타나지 않도록한다.
> TV나 형광등과 같은 전기제품에서의 깜빡거림 현상을 플리커 현상이라 하는데 이 플리커 현상을 경감시키기 위한 전원측과 수용가 측에서의 대책을 각각 3가지씩 서술하시오
(1) 전원측
① 전용계통으로 공급한다.
② 공급 전압을 승압한다.
③ 단락 용량이 큰 계통에서 공급한다.
(2) 수용가 측
① 직렬 콘덴서 설치
② 부스터 설치
③ 직렬 리액터 설치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14-2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11-2 플리커 현상
고조파 전류는 SCR 등 전력제어소자 등에 의하여 발생하고 있는데 이러한 고조파 전류가 회로에 흐를 때 발생하는 장해요인과 그 대책을 각각 3가지씩 쓰시오.
(1) 장해요인 (2) 대책
[답안작성]
(1) 장해요인
① 변압기, 전동기 등의 여자 전류
② Converter, Inverter, Chopper 등의 전력 변환 장치
③ 전기로, 아크로 등
(2) 대책
① 전력 변환 장치의 pulse 수를 크게 한다.
② 고조파 필터를 사용하여 제거한다.
③ 변압기 결선에서 △결선을 채용하여 고조파 순환회로를 구성하여 외부에 고조파가 나타나지 않도록 한다.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08-1, 2007-3, 2007-1, 2002-1, 2001-2
선로에서 발생하는 고조파가 전기설비에 미치는 장해를 4가지만 설명하시오.
[답안작성]
① 전력용 기기의 과열 및 소손
② 3상 4선식 회로의 중성선 과열
③ 통신선의 유도장해
④ 보호계전기의 오⦁부동작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07-3
선로에서 발생하는 고조파가 전기설비에 미치는 장애를 4가지만 설명하시오.
① 통신선의 유도장해
② 보호계전기의 오 부동작
③ 전력용 기기의 과열 및 소손
④3상 4선식 회로의 중성선 과열
출처 : 실기 2006-2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05-3 깜박임 줄이는 방법
'전기기사 > 회로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기사] 시퀀스 논리 회로 문제 [실기][필기] (0) | 2021.01.26 |
---|---|
다상 회로 교류 전력 문제 [필기][실기] (2) | 2020.07.13 |
[전기기사][실기]설비 불평형률 문제 (0) | 2020.07.09 |
[전기기사] 나이퀴스트 판별법 기출 문제 (0) | 2020.06.05 |
[전기기사]피상전력, 유효전력(부하전력,소비전력, 평균전력), 무효전력, 교류전력 문제들 (0) | 2020.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