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지저항의 4가지 요소
1) 접지선의 저항
2) 접지극 자신의 저항
3) 전극표면과 토양과의 접하는 부분의 접촉저항
4) 전극주위의 토양이 접지전류에 대해서 나타나는 저항
#중성점 접지의 목적
1) 지락 고장시 건전상의 대지 전위 상승을 억제하여 전선로 및 기기의 절연 레벨을 경감시킨다.
2) 뇌, 아크 지락, 기타에 의한 이상 전압의 경감 및 발생을 방지한다.
3) 지락 고장시 접지 계전기의 동작을 확실하게 한다.
4) 소호 리액터 접지 방식에서는 1선 지락시의 아크 지락을 재빨리 소멸시켜 그대로 송전을 계속할 수 있게 한다.
#접지의 기능상 종류
1) 계통접지
2) 기기접지
3) 정전기 방지용 접지
4) 지락검출용 접지
5) 등전위 접지
6) 변압기 2차측 접지
7) 피뢰기 접지
#접지도체의 최소 단면적
최소 단면적 | |
큰 고장전류가 접지도체를 통하여 흐르지 않을 경우 | 구리(동) 6㎟, 철 50㎟ 이상 |
접지도체에 피뢰시스템이 접속되는 경우 | 구리(동) 16㎟, 철 50㎟ 이상 |
고장시 흐르는 전류를 안전하게 통할 수 있는 경우 | 특고압, 고압 전기설비용 접지도체는 6㎟이상의 연동선 중성점 접지용 접지도체는 16㎟이상의연동선을사용한다. 다만, 다음의 경우에는 공칭단면적 6[㎟]이상의 연동선을 사용한다. ① 7[kV] 이하의 전로 ② 사용전압이 25[kV]이하인 중성선 다중접지식의 것으로서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 2초 이내에 자동적으로 이를 전로로부터 차단하는 장치가 되어 있는 특고압 가공전선로 |
이동하여 사용하는 저압 전기설비용 접지도체 | 0.75㎟ 이상의 다심 코드 또는 다심 캡타이어케이블 1.5㎟ 이상의 유연성이 있는 연동연선 |
#보호도체의 최소단면적
선도체의 단면적 (구리) | 보호도체의 재질 및 최소 단면적(㎟,구리) | |
선도체와 같은 경우 | 선도체와 다른 경우 | |
S | S | (k1/k2)xS |
16≤S≤ 35 | $16^a$ | (k1/k2)x16 |
S>35 | $\frac{S^a}{2}$ | (k1/k2)x(S/2) |
k1:선도체에 대한 도체의 재질 및 온도에 따라 정해지는 계수
k2:보호도체에 대한 도체의 재질 및 온도에 따라 정해지는 계수
a:PEN 도체의 최소 단면적은 중성선과 동일하게 적용한다.
접지공사의 목적
2021-1 접지요소
2018-2 변압기 중성점 접지 목적
2016-1 (1997-2)
2015-3 목적
2008-3 공통접지
1997-2 개소
접지저항 저감
2013-3
2008-1
접지저항 측정
2011-2
2006-3
대지전압, 접촉전압
2020-2
2012-1
2011-1
2010-3
접지방식
2018-1 TN-C-S
접지선
2021-2 굵기 kec변경
2018-1 허용 온도
2017-1 보호선
2015-1 굵기
대지저항측정법
콜라우시 브리지
2019-1 2016-3 2011-1 2005-2 2003-1
2014-1
위너의4전극접 2013-3 2008-2
케이블 차폐접지 2003-3
보호도체 2011-3
'전기기사 > 전기설비기술기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기사] KEC 122 전선의 종류 [실기] (0) | 2022.04.24 |
---|---|
전기기사 분전반 시설 문제 [실기] (0) | 2021.10.15 |
[전기기사][실기]전선의 굵기(단면적), 전류, 과전류 차단기 문제 (0) | 2020.07.12 |
[전기기사] 간선 및 분기 회로 문제 [실기] (0) | 2020.07.08 |
[전기기사][전기설비기술기준]옥내 배선 문제 [실기][필기] (0) | 2020.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