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절연 내력 시험 : 차폐(보호막)이 망가지는 시험
접지 방식 | 최대사용전압 | 시험전압 | 최저 시험전압 |
비접지 | 7[kv] 이하 | 1.5배 | 500[v] |
7[kv] 초과 | 1.25배 | 10500[v] (60[kV]이하) |
|
중성점 다중 접지 | 25[kV] 이하 | 0.92배 | 500[V] (7kV이하) |
중성점 접지 | 60[kV] 초과 | 1.1배 | 75[kV] |
중성점 직접 접지 | 60[kV] 초과 170[kV] 이하 |
0.72배 | |
170[kV] 초과 | 0.64배 |
2. 절연 저항 시험 : 단순하게 말하면 누설 전류 측정, 주의 누설 전류계가 별도로 있다.
2.1 저압 전로에서 정전이 어려운 경우와 같이 절연저항 측정이 곤란한 경우에는 누설전류를 1[mA]이하 미면 그 전로의 절연성은 적합한 것으로 본다.
2.2 저압전로의 절연성능
측정시 영향을 주거나 손상을 받을 수 있는 기기 등을 분리가 어려운 경우에는 시험전압을 DC 250[V] 로 낮추어 측정할 수 있지만 절연저항 값은 1[MΩ]이상이어야 한다.
전로의 사용전압[V] | DC 시험전압[V] | 절연저항[MΩ] |
SELV 및 PELV | 250 | 0.5 |
FELV, 500[V]이하 | 500 | 1.0 |
500[V] 초과 | 1000 | 1.0 |
누전차단기 :
지락전류 : 지락에 의하여 전로의 외부로 유출되어 화재, 인축의 감전 또는 전로나 기기의 손상 등 사고를 일으킬 우려가 있는 전류
누설전류 : 전로 이외를 흐르는 전류로서 전로의 절연체의 내부 및 표면과 공간을 통하여 선간 및 대지 사이를 흐르는 전류
지락전류 > 누전(누설)전류
전기기사 | 산업기사 | ||
절연내력시험 | 2021-3 (2016-3) 2021-2 (2018-2) 2017-3, 2015-2 2014-2 회전기 2013-2 케이블 2011-3 2008-1 ,2003-3, 2002-3 |
||
절연저항 | 2021-1 KEC 2014-2 |
||
누전차단기 | 2012-3 2005-1 2002-2 |
||
절연협조 기준충격절연강도 |
2008-3 2007-3 2003-2 |
||
누설전류 | 2020-3 |
> 저압 전로에서 정전이 어려운 경우 등 절연저항 측정이 곤란한 경우 저항성분의 누설전류가 몇 [mA]이하이면 그 전로의 절연성능은 적합한 것으로 보는가?
정답 : 1
출처 : 필기 2021-1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21-1 절연저항 KEC 적용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8-2 절연내력시험 전압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7-3 (2015-2)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6-3 절연내력 시험전압, 시험방법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5-2 절연내력 시험전압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4-2 절연저항. 회전기 절연내력시험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3-2 케이블의 절연내력시험, 충전전류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2-3 (2005-1) 누전차단기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11-3 중성점 직접 접지식 전로의 절연내력 시험전압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08-3 절연협조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08-1 (2003-3) 절연 내력 시험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05-1 누전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03-3 절연 내력 시험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03-2 절연 협조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02-3 변압기의 절연 내력 시험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02-2 누전차단기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01-3 단락, 무부하(개방) 시험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01-1 캡타이어 케이블
'전기기사 >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기사] 심벌, 약호, 기호 문제 [실기] (0) | 2021.04.07 |
---|---|
[전기기사] 지락전류, 접촉 전압(대지전압) 문제 [실기] (0) | 2021.02.17 |
[전기기사] 측정 기출 문제 [실기] (0) | 2020.11.09 |
전력시설물 공사감리업무 수행지침 문제[실기] (0) | 2020.07.27 |
[전기기사][예비전원설비] 발전기, UPS, 축전지 문제[실기] (0) | 2020.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