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수도) 공급

부스터 펌프 작동법 : 밸브는 서서히 열어야한다.
부스터 펌프 트러블 
저수조 : 물 넘침 - 볼탑 확인
1) 집수정 펌프는 자동 수시로 확인

저수조 청소는 주기는 6개월

저수조 물 공급 배관 바꾸는 방법

누수 - 윗집 누수(수도,온수, 난방, 싱크대, 화장실)
          공용배관: 수도, 온수, 난방 크랙, 연결부위 누수, 10층이상 위 누수가 밑에 집으로 내려올수 있음,오수관, 잡수관, 배수관, 옥상 에어밴트 누수,
부품:보수용 멀티조인트, 신설용 멀티조인트, 스탠밴드, 서스밴드, 클램프
피트 배관 누수-> 각 길목에서 버터플라이 밸브 잠글것

기계실 - 순환펌프는 교대로 작동시켜야한다. 
침수 - 지하주차장, 

복도식아파트 -> 물공급 차단

1) 수도 - 수도공급관(청색) 잠그기-> 환수관() 잠그기->드레인
2) 온수 - 공급관(색) 잠그기 -> 환수관(색) 잠그기 ->드레인
3) 난방 - 비트입구에서 메인 밸브(잠그고)->옥상에서 잠그기-> 드레인

난방펌프 설치
급탕펌프 설치

배관 설치: 서스볼트


하수

집수정 배수 펌프 설치 : 3상: 물 배수량이 적으면 결선 순서를 바꾸자.
>  전극봉이 오염이 잘되기 때문에 오뚜기도 자주 청소해주어야한다. 전극봉 청소는 철 브러시를 사용한다.
> 물이 있는 부분은 케이블타이보다 동선을 사용한다. 내구성이 좋기 때문이다.
> 집수정 내부 수시로 청소해야함

사용부품

1. 수중펌프 2마력(380v)
2. 청동스윙체크밸브 50A
3. 황동볼밸브 50A
4. 스텐카플링 50A C*F 타입
5. 청고압호스 50A
6. 스텐파이프 50A
7. 용접배관부속 엘보, 티이, 니플 외
8. 수위감지기 홀더 및 전극봉
9. 잡재료비 용접봉, 반도, 절단석, 테프론 외
10.공과, 운임
11.인건비 용접공, 조공
12. 이윤
13. 스탠 캠록(캄록) 커플링

점검
1. 임펠러에 이물질 끼임 확인
2. 체크밸브 앞의 압력계 확인

다음과 같은 이유로 펌프 효율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캐비테이션
• 수격 현상
• 모래와 기타 물 속 거친 물질에 의한 마모
• 불량 전원 공급 장치
• 유량 또는 양정 요구 사항의 변화


배수관 : 설거지물, 화장실 샤워물, 세탁물, 배출, 1,2층 역류 시 ->지하 배관을 뚫어줌
싱크대 역류 : 1,2,3층 모두 역류, 화장실 함께 역류 하면 공용 횡주관 막힘
                       1개층 역류 -> 가지관 막힘 -> 세대에서 뚫어야 함 -> 전문 업자를 부른다.
오수관 : 똥, 오줌 배출
횡주관, 공용배관, 주물관(커팅) 
우수관 : 빗물관, 막히는 경우,1층 역류하는 경우 -> 1층 화단에서 관을 뚫어짐, 망치,
우수관 누수 원인
1.배관이 풀려 있을 경우 -> 꽉 조인다 -> 그래도 천장누수된다.-> 실리콘을 발라준다.
2. 슬리브 패킹 이상 -> 수정 또는 교체
3. 배관 틈새 누수 발생-> (1)방수, (2)속배관 삽입

부품: 배관 소제구, 

연장: 플렉스 샤프트


전기공급
수변전실 정전 비상 행동 
수변전일지 

전선 결선, 피복제거법, 절연테이프 감는법:
   연장: 전선꼬임 비트
전등 설치 
전기계량기 설치 
세대 차단기 설치 - 접속 부분을 새 부분으로 연결하라. 오래된 부분은 접촉저항이 클 수 있고 열화가 발생한다.

누전 

통신선 


승강기 문 여는 법 : 키, 갈고리

승강기 천장등 교체법 

승강기 문이 조금이라도 틀어지면 비상정지할 것- 문이 틀어진 상태로 상승하면 고장이 더크게 발생한다.

승강기 관리 방법

https://www.aptn.co.kr/news/articleView.html?idxno=89666

여름: 환풍기 가동해야 함 -> 열을 배출하기 위해


소방 감지기 교체 
소방 수신기 
소방 유도등 
소방 발신기 
소화기 
프리액션 밸브 


검침 : 과사용량 점검 전기과사용 100kW 이상, 수도 과사용 - 20톤 이상
정문 차단기 
CCTV : 카메라의 해상도아 레코더가 호환 되어야 함
자동문


당직업무 
일일점검 및 작업일지 
주차 
도색


소음

옥상 벤틸레이터 

승강기 로프

배관

세대 감압변

창문 바람소리


화내는 사람 대응법 

주차 갈등

소음 갈등

흡연 갈등


여름

침수 - 지하주차장
누수 - 벽 크랙
옥상 누수
배수 - 옥상, 지하, 오수관, 배수펌프
변압기 과열
 승강기 환풍기 가동

겨울

동파 - 옥상 에어벤트, 저층 우수관, 소방 물탱크실, 소방배관, 프리액션벨브실, 소화전 누수및 동파, 난방 안되어 에어빼기, 수도, 온수 계량기함 누수, 
동파 예방 및 동파 녹이기

난방 배관 세척

지역 난방 안됨 - 옥상 에어벤트에서 공기를 뺌, 각 가정 집에서 공기를 뺌, 지하에서 드레인

 

클로브히치 매듭, 올가미매듭, 고정매듭,화물차 매듭

나사 절단기, 파이프 머신


놀이터 :열처리강 k5


계단 청소

신주(nonslip) 닦기- 황동이어서 주기적으로 안닦으면 검게 변하고 부식된다.


도장공사 주의사항

첫째 업체는 업력이 있고 규모 있는 곳을 택하는 것이 좋겠다. 업계 10위 내 업체면 무난하다. 규모가 있고 경험이 있다면 우선 믿어도 좋을 것이다.
둘째 괜찮은 감리업체를 선임한다. 양호한 감리업체를 선정하기 위한 노하우는 없으나 여기저기 수소문해서 추천받고 직접 만나서 전문성이나 성실성을 비교 선택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누군가 도장업체의 잘잘못을 지적해 주고 공사 전체의 방향을 선도해 줄 리더가 필요하다. 입찰단계 전서부터 업체선정, 공사 진행에 이르기까지 객관적 시각에서 볼 수 있는 기회를 감리업체는 적절히 제공한다.
셋째 세대 물청소는 반드시 한다. 세대 물청소는 민원이 많기 때문에 안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그런 말은 믿지 말고 해야 한다. 7~8년 만에 한 번 할 때 하지 않으면 세대 창문을 언제 청소할 수 있겠는가. 시방서에 아예 표기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넷째 세대 방수를 위한 세대 코킹도 이 기회에 싸게 할 수 있으니 반드시 하기를 권한다. 대신 원하는 세대가 업체에 직접 연락할 수 있도록 연결만 해주는 것이 좋겠다.
다섯째 외벽 재도장 외에 구석구석 페인트칠을 빠짐없이 요청해서 하도록 한다. 특히 평소에 하려면 돈이 들어 못하던 지하 계단 통로, 관리사무소, 경로당 등 실내외 벽면, 문지방 등 페인트가 칠해져 있는 모든 곳에 해달라고 할 필요가 있다.

출처 : 아파트관리신문https://www.apt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2622


어려운 누수 해결 방법

장기간 누수 원인이 밝혀지지 않는 건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첫째 관련 당사자의 관심을 집중시켜야 한다. 먼저 입주자대표회의의 관심을 끌어야 한다. 첫 번째 케이스에서는 세대 당사자를 잘 설득해 입대의 앞으로 사진도 첨부하고 간단하게라도 문서로 요청문을 달라고 했다. 말로써 얘기하고 호소한들 듣는 그때뿐이고 돌아서면 잊혀진다. 문서로 받아두면 발신인과 수신인이 명확하니 결말을 보지 않을 수 없어 입대의가 발 벗고 나선 것이다. 또 다른 관심 대상은 아랫집과 윗집 등 여러 세대가 관여돼있을 때 모두 단톡방으로 초대해 진행사항들을 공유했다. 특히 업자와 방문 약속을 정할 때 빠르게 반응을 할 수 있어 원활했다.

둘째로는 참을성을 가지고 꾸준히 다방면으로 노력해야 한다. 옥상에서 소방물도 뿌려보고 누수탐지 업체를 불러 내시경도 해보고 난방 배관이 새는가 해서 질소테스트도 해보고 창문코킹도 해보고 모든 방법은 다 해봤다. 비가 올 때까지 기다려 비가 와도 그전처럼 새지 않으면 그때서야 그게 원인이었구나 하고 안심하게 되니 참을성이 필요한 것이다.

배관구조에 대한 이해다. 공동구는 어디에 있고 우수관은 어디로 지나가는지 화장실과 씽크대의 하수배관은 어디로 가는지 이해가 돼 있어야 한다. 머릿속에 그림이 그려져 있지 않으면 헷갈린다. 그래서 아파트를 옮기고 처음 근무하는 소장들은 부지런히 세대를 방문해 봐야 한다. 건축도면집에서 계속 찾아보고 도면을 머릿속에 넣고 방문해 위치를 확인해보는 것이다. 지역난방이면 아파트 구조 자체가 배관이라고 할 정도다. 배관은 누수 원인을 찾는 기초지식에 해당한다. 이것만 되면 여름에 비가 새도 두렵지가 않다.
출처 : 아파트관리신문https://www.apt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0329


공용관리비 절감 방법

https://www.aptn.co.kr/news/articleView.html?idxno=77525

'주택관리사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관리사][민법] 법원(法源)  (0) 2023.05.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