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작업(salvage operations)
화재 등의 긴급사태시 또는 그 후에 화재, 연기, 물, 기타 위험노출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줄이기 위해 취하는 조치.(同/salvage, [참고]/salvage company, salvage cover)
구조작업용 깔판(floor runners)
보통, 가로 91㎝ (3 ft), 세로 5.46m(18 ft) 정도의 중질 플라스틱이나 캔바스.
바닥 위에 설치하며, 구조작업중 잔해나 물 등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양탄자를 깔아놓는다.
구조차(salvage tender) 구조장비를 운반하는 차량.
구조차량(rescue apparatus)
구조작업용 장비를 구비하고 있는 차량.(同/rescue truck)
구타페르카(gutta-percha)
말레이시아 상록수에서 추출한 거친 플라스틱 물질. 고무와 유사하지만 고무보다 수지 함유량이 더 많고, 절연체로 사용한다.
구형 스프링클러헤드(old-style sprinkler)
총수량의 40∼60%를 초기에 아래 방향으로 살수하며, 상향형 또는 하향형 디플렉터를 설치하도록 설계된 스프링클러헤드.(同/conventional sprinkler)
구호 우선 순위(triage)
치료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환자 및 부상자를 분류하는 것.
구획된 연단(enclosed platform)
강당이나 집회실 등에서 부분적으로 구획되어 있는 곳. 그 천장은 앞무대로 부터 1.5m(5ft)를 넘지 않는다. 공연, 집회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구획벽(enclosure wall)
계단실, 엘리베이터 샤프트, 덕트 공간, 기타 한 층을 통과하는 수직 개구부를 에워싸고 있는 건물내 내력벽 또는 비내력벽.
구획실(compartment)
벽과 천장으로 완전히 둘러싸인 공간.
구획저장(cut-off storage)
동일한 건물이나 옥내에 칸막이 또는 벽으로 구획하여 혼합해서 저장할 수없는 물질을 저장하는 것.
국소방출방식(local application system)
화재발생위험이 높은 부분에만 집중적으로 방사하도록 소화설비를 설치하는방식. 가스 또는 분말소화설비의 약제 방출 방식이다.(同/local discharge system, [참고]/total flooding system)
국제단위계(International System Units(SI))
1960년 {질량 및 부피에 관한 제11차 국제총회}에서 채택된 국제 공용의 단위체계. 미터법과 유사하다.
굴뚝화재용 봉(chimney rods)
굴뚝화재를 진화할 때 휴대용 펌프의 노즐을 굴뚝 안으로 확장시켜 주는 봉.
굴절식 붐(articulating boom)
확장과 수축모드가 너클 이음쇠의 각을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는 2 이상의 접는 붐으로 구성된 공중장치.
굽도리판(foam dam)
플로팅 루프 탱크의 상부 포방출구에서 방출된 포를 가둬두기 위해 설치한격벽.
권장방수량(recommended fire flow)
일정 구역이나 지역에 필요할 것으로 산정된 권장방수량. 예전에는 인구를 기준으로 산정하였으나, 요즈음에는 관련 지역의 상대적인 화재위험도를 기준으로 산정한다.(同/required fire flow, [참고]/fire flow)
규소(Si)(silicon)
비금속 원소. 분말 형태에서는 인화성이 있다.
규칙행위(rule based action)
기억된 또는 문서화된 규칙에 따른 사람의 행위. 예를 들면, 펌프를 수리하기 위해서 보수매뉴얼을 사용하는 것 또는 계기를 보정하기 위해서 문서화된 체크리스트를 사용하는 것이 이에 해당된다.
그리드 바(grid bar)
혼타면기에서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