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화구조(fire resistive construction)
벽, 기둥, 마루, 지붕 등의 구조부재가 불연성 또는 준불연성 재료로 시공되고 NFPA 220에 규정된 등급 이상의 내화성능을 갖춘 구조. 모든 건축양식 가운데 화재로 인한 구조적 손상에 가장 잘 견딜 수 있는 구조이다.
내화벽돌(fire brick)
1,580℃ 이상의 내화성능이 있는 벽돌.
내화성(fire resistive)
어떤 물질 또는 구조가 기대되는 내화성능을 발휘하는 능력. 내화재나 내화
구조는 모두 불연성이지만, 불연성 자재라고 해서 반드시 내화성을 갖춘 것
이라고 볼 수는 없다. 내화성이란 불연성보다 높은 등급의 내화성능을 갖춘
것이다. 보통, 건물 및 화재예방기준에 의거하여 시간당 내화성능으로 표시한
다.(參/non-combustible construction)
내화성 차단밸브(fire safety shut-off valve)
가연성 액체에 사용하는 밸브. 화염에 노출되더라도 15분 이상 견딜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내화성능(fire endurance rating)
건물 또는 건축자재가 화재에 노출되었을 때, 그 구조적인 특성을 보존할 수
있는 시간 또는 구조적인 특성이 파괴되지 않은 채 화재를 견딜 수 있는 시
간을 표시한 것. 관할 당국 또는 독립된 인증기관에서 결정한다.(參/fire
rating, fire resistance, fire resistance rating, fire resistant, fire retardant)
내화성능(fire rating)
구조물 또는 구성요소가 화재상황을 견딜 수 있는 능력을 시간으로 나타낸
것.(參/fire endurance rating, fire resistance, fire resistance rating, fire
resistant, fire retardant)
내화성능(fire resistance rating)
어떤 물질 또는 구조가 화재에 견딜 수 있는 시간을 분 또는 시간 단위로 측
정한 것. NFPA 251 및 ASTM E119의 절차에 따라 정한다.(參/fire
endurance rating, fire rating, fire resistance, fire resistant, fire retardant)
내화성능(fire resistance)
연소에 대한 저항도. 어떤 물질 또는 구조가 화재에 견딜 수 있는 시간의 길
이를 측정하는 시스템.(參/fire endurance rating, fire rating, fire resistance
rating, fire resistant, fire retardant)
내화성능결정(fire grading)
건물의 여러 구조부에 대해 일정 등급의 내화성능 시험을 실시하여 당해 부
위의 내화성능을 결정하는 과정
내화성능시험(fire performance test)
자재나 조립품 등에 일정한 조건의 열기 또는 화염을 가했을 때의 내화성능
을 시험하는 것
내화시간(fire endurance)
조립품, 자재, 생산재, 구조재 등이 화재시 그 본래의 성질 및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시간의 길이.
내화재료(fire-resisting material)
석면 등 불에 대해서 비교적 강한 재료의 총칭.
내화재료(refractory material)
화재에 노출되더라도 조직이 변하지 않고 소정의 강도를 유지하며 연소되지
않는 재료. 내화벽돌, 내화점토, 내화몰타르 등.
내화전선(fire proof wire)
내화성능이 있는 피복으로 감싼 전선.
내화처리(fireproofing)
화재에 대한 저항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작업.
내화처리재(fireproofing material)
공정 중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장치, 배관 및 이들의 지지대가 화재나 열에
노출되었을 때, 일정 시간 이상 동안 보호하도록 화재에 대한 저항력(내화성
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
내화피복(protective covering)
물질의 내화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내화성 재료로 물질을 덧씌운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