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표면하 포주입방식 (semi-subsurface foam injection system) 표면하 포주입방식의 포방출구에서 포를 방출할 때는 포가 액면까지 떠오르 면서 오염 또는 파괴되거나, 소화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는데, 이러한 부작 용을 방지하기 위해 호스 컨테이너 등을 설치하여 포가 액면에 보다 효과적 으로 떠오르도록 하는 방식.(參/base injection, subsurface foam injection system)
반회분식 반응기 (semi-batch reactor) 보통 단일의 교반조가 사용되며, 반응물질이 있는 것을 일시에 반응기 안에 상비하고 다른 성분을 서서히 공급해서 반 연속적 조작으로 반응을 진행시키 는 반응기.
받침대 (underpinning) 參/shore.
발신기용 축전지 (box battery) 발신기의 경보를 전송하기 위해 무선신호가 사용되는 경우 개별 발신기에 전 원을 공급하는 축전지.
발신장치회로 (initiating device circuit) 자동 또는 수동 발신장치에 접속하는 회로. 수신된 신호를 확인하는 기능은 없다.
발연통 (smoke candle) 균일한 색깔의 연기를 일정한 속도로 방출하는 연기발생장치로, 소규모 화재 가 발생했을 때의 실제 상황을 모의 실험하는 장치이다.
발열반응 (Exothermic reaction) 열의 방출을 수반하는 화학반응. 흡열반응의 반대로 상온에서는 화학반응의 대부분이 발열반응이다.
발열성 (exothermic) 연소반응과 같은 열의 방출을 수반하는 화학적 변화.
발열점 (thermal start) ARC(Accelerating Rate Calorimetry) 화학반응으로 발열이 시작되는 온도. ARC 등의 열량계로 측정.
발전기,발생기 (generator) 1)전력을 생산하는 엔진구동장치. 2)화학반응을 이용하여 순수한 산소를 생산하는 장치. 발코니 (balcony) 1)건물의 벽면에서 돌출되어 낮은 벽 또는 난간으로 가로막힌 플랫폼. 2)극장의 객석 위로 돌출된 회랑.
발코니 피난방식 (balcony linking) 발코니를 피난경로로 이용하는 피난방식.
발포기 (foam maker) 적정 농도의 안정제(기계포 용액)를 함유한 가압상태의 물이 발포기를 통과 할 때 적당한 양의 공기가 유입되면서 포 수용액과 혼합되어 포를 발생시키 는 장치. NFPA에서는 저발포(20배 이하), 중발포(20배~200배), 고발포(200 배~1,000배)로 분류하고 있고, 우리 나라에서는 저발포(20배 이하), 중발포(없 음), 고발포(80배~1,000배)로 분류하고 있다.(參/foam making equipment) 발포도 (foaminess) 포 생성능력, vt/V. v는 포의 체적, t는 시간(초), V는 액체를 통과하는 공기 의 체적.
발포시간 (transit time) 포소화약제와 물을 혼합한 시점부터 거품이 형성될 때까지 경과한 시간. 사 용하는 물의 온도 및 경도에 따라 발포시간은 다르게 나타난다.
발포플라스틱 포장재 (expanded plastic packaging material) 물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포장재. 화재위험이 대단히 크다. 최 근에는 난연처리된 제품을 사용하기도 한다.
발화(유도발화, 자연발 화 )ignition(piloted-ignition , autoignit 어떤 물질이 외부의 도움 없이 스스로 연소를 지속하는 과정. 1)유도발화: 외부의 화염, 스파크, 작은 불씨 등에 의해 발화한 경우. 2)자연발화: 외부 발화원의 도움 없이 스스로 발화한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