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연샤프트 (smoke shaft) 건물의 지층에서 옥상까지 관통하고 있는 샤프트. 각 층마다 개구부가 있고 옥상에는 환기팬이 설치되어 있다. 화재시 발화층의 댐퍼가 개방되면 환기팬 이 작동하여 연소생성물을 배출한다.
배연설비 (smoke exhaust system) 옥내 화재로 인해 발생한 연기를 옥외로 배출하기 위한 설비.(同/smoke venting system)
배연탑 (smoke exhaust tower) 건축물의 최상층에 설치하는 연기배출용 탑.
배의 경사각 (heel angle) 배의 중앙을 지나는 수직선과 수면에 수직인 선과의 교차각도.
배의 전도각 (survival angle) 가상적 손상을 입은 후 안정성 측면에서 배가 허용하는 최대 경사각.
배전반 (switchboard) 패널 앞면이나 뒷면, 또는 양면 모두에 계기, 스위치, 퓨즈, 버스 등의 장치를 수용하고 있는 하나의 단일 슬라브로 조립된 패널 또는 패널그룹. 일반적으 로, 캐비닛에는 배전반을 설치하지 않고, 전후방 어느 쪽에서나 접근 가능한 개방 프레임상에 설치한다.
배출기, 이덕터 (eductor) 1)포나 웨팅 에이전트를 혼합하여 분사할 수 있도록 호스라인에 설치하는 장 치. 2)배출기를 통과하는 물의 속도에 의해 소화약제를 빨아들이는 배출기.(參 /siphon, suction booster)
배출기, 익죠스터 (exhauster) 건식 스프링클러설비에서 건식밸브 2차측 배관 내의 공기를 신속하게 배출하 는 장치.
배치 (arrangement) 공장 등에서 기계, 설비 등이 사용목적에 따라 그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배치 및 배열하는 것.
배치 (straight lay) 소화전이나 급수원으로부터 화재현장으로 호스를 배치하는 것.(參/forward lay, hydrant-to-fire lay, reverse lay)
배치 (pay out) 호스나 로프, 전기선 등을 호스함, 로프릴, 코일 등에서 풀어내어 배치하는 것.
배치 프로세스 (batch process) 일련의 공정처리가 동일한 장소에서 정해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되 는 프로세스
배치도 (site plan) 일정 면적 내의 건축물의 위치 및 점유 부분, 부속건물의 위치, 방위, 형상, 통로, 건축선 등을 평면으로 나타낸 도면.
배터리 리밋 (battery limits) 화학공장 등에서 유닛을 둘러싸고 있는 외각의 가상선. 즉, 구역화된 단위공 정의 경계선을 말한다.
백 필터 (bag filter) 가스를 포대(bag) 등으로 통과시켜 사이클론 집진기로는 포집되지 않는 미세 한 먼지까지 포집하는 장치.(參/cyclone, dust collector)
백드래프트 (backdraft) 고온의 가스가 폭발하거나 또는 급속하게 연소하는 현상. 적절한 배기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화재로 인해 산소가 고갈된 건물 안으로 외부의 산소가 유입될 경우 발생한다.(參/hot air explosion, smoke explosion)
백드레프트 (backdraft) 고온의 가스가 폭발하거나 또는 급속하게 연소하는 현상. 적절한 배기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화재로 인해 산소가 고갈된 건물 안으로 외부의 산소가 유입될 경우 발생한다.
백린 (white phosphorus) 왁스와 비슷한 반투명 고체 형태의 인 원소. 30℃(86℉)의 대기 중에서 자연 발화하며, 인체 내로 흡수될 경우 매우 강한 독성을 띤다.(同/yellow phosphorus, 參/phosphorus)
백수 (white water) 쇄목기, 초지기 등에서 배출되는 폐수. 함유되어 있는 섬유, 충전제 등으로 인하여 백색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