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강(斜降)식 구조대 (slide type escape) 고층건물의 개구부에서 지상으로 비스듬하게 미끄러져내릴 때 사용하는 활강 장치. 사건 (event) 장치의 운전이나 인간행위와 관련 있는 사고, 또는 시스템에 고장을 발생시 키는 시스템 외부에서의 사고.
사건수분석 (event tree analysis) 초기 사건을 따라 귀납적으로 예상결과를 확인하고 정량화하는 논리적인 위 험분석기법. 사고 (incident) 공익안전요원 1인 이상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화재 또는 기타 긴급사태.
사고 (incident) 소방 또는 그 밖에 공안 관련기관의 업무를 필요로 하는 화재나 재해
사고결과분석 (consequence analysis) 빈도, 확률에 관계없이 사고결과의 영향만을 분석하는 것.
사고기록 (incident record) 어떤 사고와 관련하여 소방서에서 기록 보관하는 공식문서.
사고기록일지 (log) 소방서 사건일지.(同/company journal, journal) 사고보고서 (incident report) 특정 긴급사태 처리 책임자가 서면으로 작성한 서류. 사고발생시간, 처리내 용, 세부적인 사고현황, 손해정도, 사상자 등이 기록된다.
사고사례 (incident history) 일정한 기간동안 일정한 지역에서 발생한 화재사고 조사보고서.
사고영향 모델 (effect models) 사망, 부상, 재산피해에 대한 사고의 영향을 예측하는 모델 사고영향 지역 (effect zone) 독성물질의 누출로 발생하는 사고로 인하여 공기 중의 농도가 특정 농도 이 상인 지역. 인화성 물질의 누출사고로 일정한 기준에 따라 그 사고의 영향을 받은 지역. 열적인 사고로 일정한 복사열 한계에 근거하여 그 사고의 영향을 받은 지역.
사고원인 (accidental cause)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인간의 행위가 개입된 화재사고의 원인. 부주의한 화 기 취급, 아세틸렌 장비를 사용하는 용접 및 절단작업 등.
사고이력데이터 (historical incident data) 과거사고로부터 수집, 기록된 데이터.
사고지휘체계 (Incident Command System) 사고현장을 신속히 처리하고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 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할당된 자원의 관리 책임을 갖는 사고현장 조 직구성 내의 장비, 자원, 인원, 절차. 의사전달체계 등의 체계.
사고현장 지휘자 (incident commander) 특정 사고현장에 필요한 모든 활동을 총괄하는 고위 소방간부.
사다리 (ladder) 2개의 세로대와, 일정한 간격으로 세로대에 걸쳐 있는 여러 개의 가로대로 이루어진 등판용 장비.(參/aerial ladder, attic ladder, bangor ladder)
사다리 가로대 잠금장치 (ladder rung locks) 사다리가 접히지 않도록 가로대를 고정시키는 잠금장치.
사다리 격납실 (nest of ladders) 사다리 소방차의 사다리 구획실 내에서 대형 사다리의 적재 공간 사이사이에 소형 사다리를 적재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