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소(O) (oxygen) 지구 대기의 약 21%를 차지하는 기체. 연소에 필요한 필수조건으로서 화재 4 면체의 한 부분을 차지할 뿐 아니라, 생물체의 호흡에도 필수적인 기체이다.
산소 발생식 호흡기 ( g e n e r a t i n g - t y p e breathing apparatus) 자급식 호흡기구의 일종으로, 교체 가능한 캐니스터 내부에서 화학반응을 통 해 필요한 산소를 생산할 수 있다.
산소감소, 질식소화 (starvation) 1)산소의 감소. 2)연료나 산소를 제거하여 화재를 진화하다.
산소결핍 (oxygen deficiency) 생명을 유지하거나 화염이 지속되기에는 충분치 못한 산소.
산소농도시험램프 (flame safety lamp) 대기 중의 산소 결핍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화염램프. 대기 중의 산소농도가 16% 아래로 떨어지면 램프의 화염은 자동적으로 소멸된다.
산소농축분위기 ( o x y g e n - e n r i c h e d atmosphere(OEA)) 산소농도가 21Vol.%를 초과하거나, 또는 산소의 분압이 0.218 ㎏/㎠ (160torr) 를 초과하는 대기상태.
산소마스크 (oxygen mask) 화학반응 또는 산소통을 통해 마스크 착용자에게 산소를 공급하는 자급식 호 흡기구.(參/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산소아세틸렌 용단기 (oxyacetylene cutting outfit) 아세틸렌가스와 산소의 혼합기를 연소시켜 철 등을 녹이면서 절단하는 기구 세트.
산소아세틸렌 용접 (oxyacetylene welding) 현실적으로 가능한 최고온의 화염(3,315.6℃ [6,000℉] 이상)을 발생시키는 산 소와 아세틸렌 혼합가스 용접법. 이 용접법은 매우 위험한 작업으로서 화재 및 폭발의 위험이 대단히 크다.
산소지수 (oxygen index) 산소와 질소가 혼합된 상승기류 속에서 점화된 물질이 연소를 지속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최저산소농도(Vol.%). 플라스틱, 고무, 섬유 등의 연소성을 표시 하는 것으로, 산소지수가 큰 물질은 불에 잘 타지 않는다 산소평형 (oxygen balance) 폭발성 물질의 위력과 화학구조 사이의 관계를 밝혀 폭발의 강도를 파악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 화합물 100g이 폭발(연소)할 때의 산소 과부족량을 그램 (g)으로 표시한 것이다. 완전연소 조성, 즉 산소평형이 0인 곳에서 폭발의 위 력은 최대가 된다. 일부 예외도 있지만, 0을 중심으로 하여 +와 - 양측으로 멀어져 갈수록 폭발의 위력이 저하되는 경향을 보인다.
산알칼리 소화기 (soda-acid extinguisher) 중탄산나트륨(NaHCO₃)과 황산(H₂SO₄)용기가 내장되어 있는 휴대용 소화 기. 소화기를 거꾸로 세우면, 황산과 중탄산나트륨이 반응하여 이산화탄소 가 스를 생성, 분출한다.
산알칼리 소화기 (tip-up extinguisher) 거꾸로 세워야만 작동하는 산알칼리 소화기.
산알칼리 소화기 ( s t o p p l e - t y p e extinguisher) 납마개를 느슨하게 끼운 병 속에 산성용액을 수용하고 있다가 소화기를 거꾸 로 들게 되면 마개가 열리고 산성용액이 쏟아져나와 산알칼리용액과 혼합되 도록 한 소화기.(參/soda-acid extinguisher)
산화, 산화반응 (oxidation) 본질적으로, 산화란 산소가 다른 물질과 결합하는 화학반응을 의미한다. 그러 나 오늘날에는 전자의 전이현상이 발생하는 모든 화학적 반응을 지칭하고 있 다. 산화와 환원은 항상 동시에 발생하며, 전자를 취득하는 물질을 가리켜 산 화제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