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전 키 (hydrant key) 소화전을 열고 밸브를 개방시킬 때 사용하는 도구.(參/hydrant wrench)

소화전 피트 (hydrant pit) 지면 또는 도로 밑에 설치된 소화전용 피트.

소화전 함 (hydrant house) 공장 구내 소화전이 수납되어 있는 구조물. 소방호스, 노즐, 도끼, 스패너, 랜 턴, 기타 기본적인 진화장비들도 보관되어 있다.

소화전 확보 (make a hydrant) 參/catch a hydrant. 소화전 확보 (take a hydrant) 1)펌프차를 소화전 옆에 대기시키라는 명령. 2)소화전에 호스를 연결하라는 명령.

소화전과 화재현장 호스 배치 (hydrant-to-fire-lay) 소화전 또는 급수원으로부터 화재현장으로 호스를 배치하는 것.(參/straight lay, forward lay) 소화전에 게이트 밸브를 부착하다 (gate a hydrant) 소화전을 개방하기 전에, 하나의 게이트 밸브를 방수구에 장착하는 것. 그 결 과 소화전 밸브를 차단하지 않고 다른 방수구를 사용할 수 있음.

소화주배관 (yard main) 구내 소화용 주배관. 대부분 지하에 설치한다.(同/fire service main, ring main)

속도 (velocity(vel)) 단위 시간당 위치변화율. 단위는 m/sec, km/sec 등.

속도수두 (velocity head) 유체의 흐름에너지.(同/velocity pressure, 參/Bernoulli's theorem, total rated head)

속동형 스프링클러헤드 (quick response sprinklers) 헤드의 표면적을 증가시켰거나, 또는 특별한 작동장치, 즉 금속날개 집열기나 전기적 뇌관(squib)을 부착한 스프링클러헤드. 신속한 작동을 목적으로 고안 된 것이다.

속동형 조기진압 스프링 클러헤드 (quick response early suppression sprinkler) 특정 화재위험을 조기에 진화할 수 있는 속동형 스프링클러헤드.

속동형 포용확장 스프링 클러헤드 (quick response extended coverage sprinkler) 확장된 방호면적에 물을 살수할 수 있는 속동형 스프링클러헤드.

손상방지블록 (chafing block) 둥근 홈이 파여 있는 상자형 장치. 상자에 파인 둥근 홈 속에 호스를 넣고 고리로 고정시켜 호스의 외피가 거리의 연석이나 콘크리트, 자갈 등과의 마 찰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손실 (damage) 화재로 인한 총손실. 기업휴지, 미래 생산 손실, 방목손실, 목재, 야생서식물 등과 숲이나 덤불, 초지의 화재로 인한 유역 손실 등. 손을 이용한 화재확인 (feeling for fire) 1)은폐된 공간에서의 화재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벽이나 격벽, 기타 관 련 표면을 손으로 만져보는 것. 2)연소된 물질과 잔해 등을 손으로 만져보면서 완전히 꺼지지 않고 남아 있 는 불씨를 확인하는 것.

손해사정인 (adjuster) 인명 또는 재산상의 손실을 조사하여 보험금 청구가 예상되는 손해액을 사정 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춘 사람.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33  (0) 2023.06.24
소방용어132  (0) 2023.06.24
소방용어130  (0) 2023.06.24
소방용어129  (0) 2023.06.22
소방용어128  (0) 2023.06.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