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성막포 (aqueous film-forming foam(AFFF)) 1)불화계면활성제에 포안정제를 첨가한 후, 이를 다시 물에 희석시켜 3~6%의 수용액을 형성토록 한 포소화약제. 공기 또는 산소를 제거하고 화재를 진압 할 수 있는 수성막을 형성한다. 2)포안정제를 첨가한 후 3~6% 비율의 담수 또는 해수로 희석시킨 불화계면 활성제. 산소 차단막을 형성하고, 연료의 표면에 수성막을 형성하여 연료의 증기 발생을 억제한다. 수성막포 소화약제는 보통, 단백포생성에 적합한 기 존의 포 발생장치를 사용한다. 고정식 또는 이동식 물분 수성막포 소화약제 (film Forming Foam Agents) 극성용매(물에 녹는 인화성 액체)에 용해되지 않는 것과 용해되는 수성막포 (AFFF)와 불화단백 수성막포(FFFP).

수세식 도장부스 (waterwash spray booth) 배기덕트에 유입되는 분진 또는 잔류물을 최소화하고 과잉분무 잔류물을 포 집하기 위해 물세척설비가 설치된 도장부스.

수소(H) (hydrogen) 발화점 400℃(752℉), 폭발범위 4~75Vol.%인 기체 원소. 인화성과 폭발성이 매우 강해 열 또는 화염에 노출될 경우 대단히 위험하다.

수소 블리스터링 (hydrogen blistering) 어떤 부식성 환경 하에서 탄소강 표면의 수소원자가 금속 내부로 침투하여 금속의 결함이나 엷은 조각 등에 모여 수소분자로 될 때 발생되는 가스 압력 에 의하여 금속에 기포가 생기게 되고, 결국에는 금속이 파괴되는 현상.

수소에 의한 손상 (hydrogen damage) 수소가 존재함으로 인해 또는 수소와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금속이 기계적 손 상을 입게되는 현상.

수소화리튬(LiH) (lithium hydride) 백색의 투명한 결정 덩어리 또는 분말. 습한 공기 중에서는 자연발화한다. 수소화물 (hydride) 나트륨, 리튬, 알루미늄, 붕소 등과 수소가 결합된 맹독성의 자극적인 무기 화합물. 물, 산화제 등과 접촉할 경우 격렬하게 반응하거나, 또는, 간혹 인화 성을 띠기도 한다.

수손 (water damage) 소화작업시 사용한 물로 인해 발생한 상품 및 자재의 손실.

수습 소방대원 (probationer) 정규 채용 이전에 수습 교육을 받고 있는 소방대원(同/probie, mop, rookie, ink)

수습기간 (probationary period) 소방대원 지원자들이 기본적인 훈련 및 교육을 이수하는 일정기간. 수신기 (receiver) 수신된 무선신호를 감지하여 음파로 증폭시켜 주는 장치.

수신기, 경보표시기 (fire alarm annunciator) 감지기 등으로부터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관계자 등에게 경보를 발신하는 설 비.(同/fire alarm control panel)

수압경보장치 (water pressure flow indicator) 스프링클러설비에서 물의 흐름으로 인해 발생하는 압력 강하치가 설정된 값 이하로 떨어질 때 유수경보장치를 작동시키는 장치.(同/pressure switch)

수압방출밸브 (water relief valve) 소방펌프의 토출압력을 제어하는 밸브.

수압펌프, 자동양수기 (hydraulic ram) 유체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유체를 높은 곳까지 밀어 올리는 펌프. 수용성 용제 (water soluble solvent) 물에 녹는 용제. 대표적인 것으로 알코올류가 있다.

수용인원 (occupant load) 어느 한 시점에 하나의 건물 또는 건물내 한 구역을 점유할 수 있는 이론적 으로 가능한 최대 인원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38  (0) 2023.06.24
소방용어136  (0) 2023.06.24
소방용어134  (0) 2023.06.24
소방용어133  (0) 2023.06.24
소방용어132  (0) 2023.06.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