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클러 배관스케쥴 (sprinkler piping schedule) 다양한 규격의 스프링클러설비용으로 승인된 배관의 규격을 수록한 것. 보통, 설치된 헤드의 수를 기준으로 한다. NFPA 13 참조.(同/piping schedule)
스프링클러 유수경보장치 (waterflow sprinkler alarm) 參/flow alarm.
스프링클러 입상관 (sprinkler riser) 수직으로 설치되는 배관. 제어밸브나 경보체크밸브 등이 위치한다. 입상관은 단일 방호구역의 스프링클러설비마다 1개씩 설치하는 것이 원칙이다.
스프링클러 제어밸브 (sprinkler control(stop) valve) 하나의 방호구역 내에 설치된 스프링클러헤드를 제어하는 밸브. 항상 개방되 어 있어야 하므로 '열린 상태로 잠금'(locked open) 위치에 두는 것이 원칙이 다.
스프링클러 필요방수량 (sprinkler demand) 살수면적 살수밀도 살수시간으로 계산한다.
스프링클러설비 (sprinkler system) 건물 내의 화재를 제어 및 진화하기 위한 설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스 프링클러헤드와 급수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력탱크, 소방펌프, 저수조, 압력 탱크, 상수도 연결부 등의 급수설비와 제어밸브, 그리고 스프링클러설비 작동 시 경보를 발하는 경보장치 등을 포함한다.(參/automatic sprinkler system, deluge sprinkler system, dry system, preaction sprinkler system, spray sprinkler, sprinkler alarm, sprinkler block, sprinkler connection, sprinklered, sprinkler head, sprinkler spacing, sprinkler stopper, wet pipe sprinkler system)
스프링클러설비 급수원 (sprinkler system water supply) 스프링클러설비의 급수원은 용량은 동일하고 동력원(전동기와 내연기관 등) 과 설치장소(서로 반대되는 곳에 이격)는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급수원을 설 치하는 것이 원칙이다.
스프링클러설비 송수구 (sprinkler connection) 펌프차에 연결된 호스라인을 이용하여 스프링클러설비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연결부. 보통, 2개의 송수구가 부착된 쌍구형 연결부를 말한다.(同/fire department connection)
스프링클러설비 유수경보 (sprinkler water flow alarm) 參/water flow alarm.
스프링클러헤드 (sprinkler head) 스프링클러설비의 방수장치. 헤드와 배관을 연결하고 있는 나사 니플, 퓨저블 링크 등의 방출장치, 물을 분무형태로 분산시켜 주는 반사판 등으로 이루어 져 있다.
스프링클러헤드 마개 (sprinkler block) 스프링클러설비의 전체적인 작동을 유지하면서 특정 스프링클러헤드의 살 수기능만을 정지시킬 때 사용하는 장치.(同/sprinkler stopper, sprinkler tongs, 參/sprinkler wedge)
스프링클러헤드 마개 (tongs) 參/sprinkler tongs. 스프링클러헤드 방호면적 (sprinkler spacing) 스프링클러헤드가 관련 위험을 적절하게 방호할 수 있는 면적.
스프링클러헤드 방호틀 (sprinkler guard) 기계적 손상으로부터 스프링클러헤드를 보호하는 장치. 사람 손이 닿을 정도 로 낮은 곳에 헤드가 위치할 경우 반드시 설치하여야 한다.
스프링클러헤드 쐐기 (sprinkler stopper) 參/sprinkler tongs, sprinkler wedge.
스프링클러헤드 쐐기 (sprinkler tongs) 同/sprinkler block, sprinkler stopper, 參/sprinkler wed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