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극선관 (陰極線菅)(cathode ray tube(CRT)) 일반적으로, 텔레비전이나 관측용 브라운관을 지칭한다.

음향 정지 스위치 (silencing switch) 경보음을 멈추고자 할 때 사용하는 스위치.

응급의료진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환자나 부상자가 병원으로 후송되기 전 또는 후송되는 도중에 응급처치를 시 술할 수 있도록 훈련된 자.(參/paramedic)

응급처치, 응급치료 (first aid) 사고나 갑작스런 발병으로 인한 환자를 의사의 정식 치료 이전에 임시로 돌 보는 행위.

응급처치차량 (rescue unit) 사고현장에서 응급처치를 제공할 수 있는 장비를 구비한 차량.

응급치료가 필요한 사상자 (emergency medical service(EMS) casualty) 화재 이외의 원인에 의한 사상자. 익사자, 교통사고 사상자 등.

응력부식균열 (stress corrosion cracking) 인장응력과 부식성 매질이 공존할 때, 금속에 균열이 발생하는 현상.

응축액 (condensate) 온도가 내려감에 따라 가스(연도가스 포함)로부터 분리된 액체. 발전소에서는 복수(復水)라고도 한다.

응축증기 (condensing steam) 응축된 수증기를 함유하고 있는 백색 구름. 진화작업시 쏟아 부은 물로 인해 생성된 증기가 열을 빼앗겨 100℃(212℉) 이하로 냉각된 것이다.

응축폭발 (condensed phase explosion) 물질이 액체 혹은 고체 형태로 존재할 때 발생하는 폭발.

의용소방대 (volunteer fire department) 소속 대원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무보수로 근무하는 소방대.

의용소방대원 (call fire fighter) 1)근무시간당 또는 연간계약으로 보수를 지급받는 임시직 소방대원. 2)보조 소방대원.(同/volunteer, paid-volunteer, paid-on-call) 의용소방대원 (red shirt)(美) 한때, 소방대원들이 밝은 적색의 제복을 입던 것에서 유래한 말. 의용소방대원 (volunteer fire fighter) (美) 소방업무에 관심을 가지고 진화작업에 정기적으로 참여하는 대원으로서 근로 자재해보상법에 의한 보상 또는 사망이나 부상에 대한 기타의 보상을 제외하 고는 보수를 받지 않는 소방대원.

이격거리, 공간 (clearance) 1)건물과 건물 사이의 거리, 스프링클러헤드와 그 아래 적재된 물품 사이의 거리 등을 말한다. 2)배관과 노즐을 포함한 청정소화약제 소화설비와 노출되거나 비절연된 충전 부 사이의 거리.

이격된 (segregated) 저장된 물질이 다른 물질로부터 공간, 벽 또는 칸막이에 의해 물리적으로 이 격된 상태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86  (0) 2023.06.30
소방용어185  (0) 2023.06.30
소방용어183  (0) 2023.06.30
소방용어182  (0) 2023.06.30
소방용어181  (0) 2023.06.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