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명안전코드 (Life Safety Code) NFPA 101 코드. 화재 발생시 건물 내의 인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건물 설계 단계에서 건물 안전기준을 규정한 코드. 안전한 피난설비 등에 관한 기준을 명시하고 있으며, 의료용 건물에 대해서는 방호에 필요한 건물설계기준을 포 함하기도 한다.

인버젼, 역전 (inversion) 고도가 올라갈수록 그 온도도 상승하는 대기의 수평층.

인산 암모늄([NH₄]₂ HPO₄) (ammonium phosphate) 백색의 결정 또는 분말. 불연성, 저독성. 목재, 벽지, 텍스타일 등의 방염처리 용으로 사용. abc급 분말소화기용 소화약제. 임야화재를 지연시키기 위한 초 목 코팅제.(同/diammonium phosphate, DAP)

인산염 (phosphate) 參/ammonium phosphate.

인서비스, 근무중의 (in-service) 1)화재 등의 비상사태 임무를 완수하고 또 다른 임무 수행에 필요한 준비를 완료한 상태. 2)화재 현장에 도착하여 지시를 기다리는 상태.(同/on-the-line, on track)

인수시험 (acceptance test) 계약서와 사양서의 준수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인도시 구매자를 대신하여 수 행하는 시험. 인도전 또는 인도후 10일 이내에 실시한다.(同/performance test)

인입(引入)장치 (service) 전기공급설비로부터 배선설비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는 구내로 전력을 운반하 는 전선 및 장비의 총칭.

인입 전선로 (service raceway) 인입선을 수납한 전선로.

인입구 케이블 (service-entrance cable) 주로 인입용으로 덮개가 있거나 없는 단일 또는 다중 전선 인입선 (service conductors) 배전간선이나 변압기로부터 전력을 필요로 하는 구내 인입설비까지 연결된 전선.

인입장치 (service equipment) 회로차단기, 스위치 및 퓨즈, 부속품으로 구성된 기기. 건물, 기타 구조물 또 는 한정된 지역의 인입지점에 위치해 있으며, 주 제어 및 차단설비가 설치되 어 있다.

인입케이블 (service cable) 케이블 형태의 인입 전선.

인장형 스프링클러헤드 (pull type sprinkler head) 자동 또는 수동에 의한 인장력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인장기구를 부착한 스 프링클러헤드. 덕트의 내부 등 특수한 부분에 설치한다.

인접 발신기 (adjacent box) 화재경보가 송신된 발신기 근처에 위치한 또다른 화재발신기.(參/vicinity box)

인접경보기 (vicinity box) 화재가 발생하여 이미 경보가 발령된 경보기 근처에 위치한 경보기. (同 /adjacent box)

인접작업 (working near) 전기안전작업조건에 포함되지 않는 노출, 통전 중인 전선 또는 회로의 접근 제한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인증내화벽 (fire-rated wall) 표준시험법에 의한 시험을 통해 최소 30분의 내화성능을 갖는 것으로 인증된 벽체.

인증취득 (labeled) 정부가 인정하는 시험소 또는 인증기관으로부터 그 승인을 득하여 인증라벨 이나 상징, 또는 기타 인증 확인표지를 부착한 장비나 자재.

인증품 (listed) 국가적으로 인정받는 시험연구소의 시험을 거쳐 인증을 득한 장치나 제품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91  (0) 2023.07.02
소방용어190  (0) 2023.07.02
소방용어188  (0) 2023.06.30
소방용어187  (0) 2023.06.30
소방용어186  (0) 2023.06.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