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발화 (spontaneous ignition) 가연성 물질 내부의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반응에 의한 발화. 물질 내부의 유기화합물이 그 물질을 발화시킬만큼 충분한 열기를 발생시킬 때까지 느린 속도로 산화작용을 지속함으로써 발생한다. 산화작용에 필요한 산소가 충분 하고 물질에서 발생하는 열을 발산시킬 환기능력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 자주 발생한다.(同/self ignition, 參/autoignition temperature)

자연발화성 금속 (pyrophoric metal) 공기 중에서 자연발화하는 금속.

자연발화성 물질 (pyrophoric material) 54.4℃(130℉) 미만의 대기에서도 매우 쉽고 빠르게 발화하는 물질. 2염화티타 늄, 인 등의 고체 및 3부틸알루미늄 등의 액체가 포함된다. 나트륨, 부틸리튬, 수산화리튬 등은 습한 대기에서 물과 발열성 반응을 일으켜 자연발화하는 성 질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물질들은 희석가스 또는 석유 속에 저장하여야 한 다. 또 바륨, 미슈메탈 등은 아주 미미한 마찰에도 스파크를 일으키기 때문에 자연발화성 물질로 분류한다.(同/pyrophoric)

자연발화성 연료 (hypergolic fuel) 접촉시 자연발화하는 산화제와 가연물의 화합물. 액체 로켓 연료 또는 추진 제로 사용된다.

자연발화성 작용 (pyrophoric action) 고체가 자연발화 형태로 귀결될 수 있는 자연발화성 탄소를 생성하는 작용. 증기배관과 같은 고온의 배관이 나무 등의 가연성 칸막이를 통과할 때 칸막 이와 배관 사이에 충분한 이격거리가 확보되지 않을 경우, 배관의 열이 주변 가연물의 인화점을 낮추어, 심한 경우 가연물을 숯과 같은 자연발열성 물질 로 변화시킨다. 이러한 조건이 무르익기까지는 수개월 또는 수년이 걸리지만, 일단 조건이 성숙되면 배관의 온도가 조금만 상승해도 주변 가연물을 발화시 킬 수 있다.

자연발화온도 ( a u t o i g n i t i o n temperature) 인화성 가스, 또는 증기와 물의 혼합물이 불꽃이나 화염에 의하지 아니하고 도 발화할 수 있는 최저온도. 증기와 가스의 자연발화온도는 공기속에서보다 산소만 존재할 경우가 더 낮으며, 촉매역할을 수행하는 물질의 존재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자연발화온도 ( s e l f - i g n i t i o n temperature(SIT)) 물질의 내부에서 발생한 발열반응에 의해 물질이 발화하기 시작하는 최저온 도.(同/autoignition temperature)

자연발화온도 (spontaneous ignition temperature(SIT)) 參/autoignition temperature.

자연소화 (self-extinguishing) 열기가 지속적으로 제공되지 않을 경우 스스로 연소를 중지하는 것.

자연통풍 (natural draft) 굴뚝내 연도가스의 무게와 그에 상응하는 굴뚝 외부 공기의 무게 차이로 인 해 발생하는 기류.

자연통풍버너 (natural draft burner) 굴뚝이나 환기설비에서 발생하는 자연통풍을 이용하여 버너에 연소용 공기를 끌어들이는 연소장치.

자연통풍탑 (natural draft tower) 굴뚝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를 이용하여 공기를 이동, 즉 통풍시키는 통풍탑.

자연환기 (gravity ventilation) 바람이나 기체의 비중차를 이용하여 환기하는 방식.

자외선 감지기 (ultraviolet detector)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는 자외선 영역(약 4,000Å 이하)의 복사 에너지를 감 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1Å=1× 10-8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99  (0) 2023.07.02
소방용어198  (0) 2023.07.02
소방용어196  (0) 2023.07.02
소방용어195  (0) 2023.07.02
소방용어194  (0) 2023.07.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