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기발생원 (vapor source) 공정과 건조대에 노출된 액체. 목표물에서부터 사방 0.3m 거리에서 연소하한 계의 25%를 초과하는 증기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침지 또는 피도장물.
증기압 (vapor pressure) 일정 온도에서 증기 그 자체 또는 기체들이 혼합된 혼합증기에 의해 발생하 는 압력으로서 기화되는 액체의 표면에서 측정된 것. ㎏/㎠ (또는 절대압 lb/in.²; psig)으로 측정. 증기지역 (vapor area) 작업 또는 조업중지 중에 침지도장공정, 드레인 보드(drain board) 또는 조합 드레인 보드, 컨베이어 또는 기타 장치의 인근에서 연소하한계의 25%를 초과 하는 인화성 증기가 체류하는 지역.
증기펌프 (vapor pump) 증기의 기류를 펌핑수단으로 채용하는 모든 펌프.
증류 (distillation) 액체 혼합물로부터 각 성분의 비점의 차이를 이용하여 각각의 성분을 분리하 는 단위조작을 증류라 한다. 휘발성분이 2종 이상 함유되어 있는 원액으로부 터 증류, 분리하는 것을 분류(分溜)라고 한다. 1)조작압력에 따라 상압증류, 감압증류(진공증류), 2)증류 목적에 따라 단증류, 정류, 평형증류, 수증기증류, 공비증류, 미분증류, 플래시증류, 분해증류, 분자증류, 추출증류, 3)조작방식에 따라 연속증류, 회분증류 등으로 분류한다.
증류장치 (distillation equipment) 증기압이 서로 다른 액체 혼합물에서 비등점 차이를 이용하여 가열, 기화, 냉 각(액화)하여 특정 성분들을 분리하고자 사용하는 장치. 이 장치는 공업적으 로 정류탑이 이용되고 있으며 정류탑은 재비기(reboiler)라고 하는 가열 증류 관과 탑 본체(column), 응축기의 세 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음.
증발 (aporization) 물질이 액체 또는 고체상태에서 기체상태로 변화해 가는 과정.(參 /evaporation, sublimation)
증발 (evaporation) 1)고체나 액체가 증기로 변하여 공기 또는 주변의 다른 증기와 혼합되는 과 정. 2)증발은 기화에 의해 슬러리 또는 용액으로부터 액체를 제거, 농축하는 작업 으로 증류와 차이가 있고, 증발에서 제거되는 증기는 통상 물이다. 증발성 액체 소화약제 (vaporizing liquid) 4염화탄소(CCl₄) 또는 클로로브로모메탄(CH₂ClBr)의 액체 소화약제. 인화 성 액체화재 또는 전기화재 진화시 사용한다. 소화약제가 기화하여 공기보다 무거운 증기 블랭킷을 형성, 화재를 화학적으로 소화한다. 증발성 액체 소화 기는 현재 사용되지 않는다.(參/halon extinguishers)
증발열, 기화열 (heat of vaporization) 일정량의 액체를 증기화 하는 데 필요한 열의 양. 물을 100℃(212℉)에서 증 발시키기 위해 필요한 열량은 539㎉/㎏(972Btu/lb)이다.(同/latent heat of vaporization)
증발잠열, 증발열 (latent heat of vaporization) 參/heat of vaporization.
증발하다 (evaporate) 액체상태에서 기체 또는 증기로 변화하다. 증점수, 증점수용액 (thickening water) 參/viscosity w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