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토사) 암의 화학적ㆍ물리적 풍화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지반 재료로, 일반적으로 크기에 따라 전석, 조약돌, 자갈, 모 래, 실트와 점토 등으로 분류되며, 유기질토, 매립토, 준설 토 등으로도 분류할 수 있음
감도 측정기기 및 수신기 등이 외부의 자극이나 작용에 반 응하는 예민성의 척도로 스케일 팩터(scale factor)라고 도 함
범위 각 계측기기가 측정할 수 있는 범위
분해능 각 계측기기가 측정할 수 있는 최소 물리량
비직선성 계측기기의 입력대비 출력 관계가 이상적인 직선 관계 로부터 벗어난 정도
정확도 계측기기에서 나오는 출력값이 실제 참값과 얼마나 가 까운지를 나타내는 값
개착공법 자연비탈면 터파기, 흙막이, 물막이 등을 사용하여 지 표에서 굴착하고 현장타설, 프리캐스트, 파형강판 등 구조 물을 구축한 후 되메움하는 일반적인 공법
공동구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 제9호의 규정에 의한 공동구를 말하며, 지하 매설물(전기·가스·수 도 등의 공급설비, 통신시설, 하수도시설, 소방설비 등)을 공동 수용함으로써 도시 미관의 개선, 도로 구조의 보전 및 교통의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지하에 설치하는 시설물
공동구 본체 공동구를 형성하는 구조체
관리주체 공동구를 관리하는 지방자치단체 및 수용기관
내용년수 시설물 및 부대설비의 건설 후, 사용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물리적인 마모, 기능의 저하 등으로 인하여 그 시설 물을 이용하는 데 안전 및 기능유지가 어려운 상태에 이르 기까지의 기간
부대시설 공동구의 기능을 유지하는 시설로서 공동구 관리 사무소, 급ㆍ배수설비, 환기설비, 전원설비, 조명설비, 중 앙통제설비, 방재설비, 상황표지판, 기타설비 등을 말함
분기구 전기, 통신, 상하수도, 난방 등 공급시설의 일부가 분 기 되어 공동구 단면 또는 형태가 변화되는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