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용오차 부재의 치수, 강도 등 규정된 조건으로부터 허용된 부 재의 제작 및 조립의 오차
현장 배합 시방배합의 콘크리트가 얻어지도록 현장에서 재료 의 상태 및 계량방법에 따라 정한 배합
현장봉함양생 공사현장에서 콘크리트 온도가 기온의 변화에 따르도 록 하면서 콘크리트로부터 수분의 발산이 없는 상태에서 행하는 콘크리트 공시체의 양
현장수중양생 공사현장에서 기온의 변화에 따라 수온이 변하는 수중 에서 행하는 콘크리트 공시체의 양생
현장치기 콘크리트 공사현장에서 배합하여 만들어내는 콘크리트
호칭강도 KS F 4010(레디믹스트 콘크리트)에 있어 콘크리트의 강도구분을 나타내는 호칭, 호칭강도=설계기준강도+기온 보정강도(T
혼화 재료 시멘트, 골재, 물 이외의 재료로서 콘크리트 등에 특별 한 성질을 주기 위해 타설하기 전에 필요에 따라 더 넣는 재료
혼화재 시멘트 대체 재료로서 비교적 다량으로 사용되는 플라이애쉬, 고로슬래그 미분말, 메타카올린 등의 혼화재료
혼화제 (콘)혼화 재료 중 사용량이 비교적 적어서 그 자체의 부피 가 콘크리트 등의 비비기 용적에 계산되지 않는 것
화학적 침식 침식성 물질과 콘크리트의 용식이나 성능저하 또는 콘 크리트에 침입한 침식성 물질이 시멘트 조성물질이나 강 재와 반응하여, 체적팽창에 의한 콘크리트의 균열이나 표 면의 박리 등을 일으키는 성능저하현상
가스 압접 이음 철근의 단면을 산소-아세틸렌 불꽃 등을 사용하여 가 열하고 기계적 압력을 가하여 용접한 맞댐이음
간격재 거푸집, 철근, 프리스트레스용 강재, 쉬스 등의 간 격 유지를 위해 사용하는 부품
강재 철을 주성분으로 하는 구조용 강의 총칭으로서, 구 조용 강판, 강관, 형강, 선재, 봉강, 볼트 및 연결재, 정착 재, 주조품 등과 이들의 부속재료
기계적 이음 직경이 큰 철근을 직접 연결하는 방법으로 나사커플러 방식, 슬리브 충전방식, 압접방식, 용접방식 및 이들을 혼 용한 것을 총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