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조수축 콘크리트는 습기를 흡수하면 팽창하고 건조하면 수축 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습기가 증발함에 따라 콘크리트가 수축하는 현상
경계부재 ① 축방향 철근과 횡방향 철근으로 보강된 벽이나 격 막의 가장자리 부분으로 경계요소라고도 함 ② 강재 단면과 수직, 수평 보강근으로 보강되어 벽과 다이아프램 가장자리에 배치된 부재
경량콘크리트 KDS 14 20 01(3.1.1)의 규정을 따르는 경량골재로 만든 경량콘크리트 또는 모래경량콘크리트
계수하중 사용하중에 설계법에서 요구하는 하중계수를 곱한 하중
고성능 감수제 감수제보다 감수성능을 증가시킨 것으로서, 소요의 시 공성을 얻기 위해 필요한 단위수량을 감소시키고, 유동성 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혼화제
고정하중 구조물의 수명 기간 중 상시 작용하는 연직하중으 로서 자중과 구조물에 고정된 하중
곡률마찰 긴장재를 곡선 배치한 경우 그 곡률에 의해 생기는 마찰
공칭강도 하중에 대한 구조체나 구조부재 또는 단면 의 저항능력을 말하며 강도감소계수 또는 저항계수를 적 용하지 않은 강도
구조 트러스 주로 축력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조립체
구조격막 바닥이나 지붕 슬래브와 같은 관성력을 수평력 저항부 재에 전달하는 구조 부재
구조물의 밑면 지진이 구조물에 직접 가력된다고 보는 수평면
구조벽 외력에 의한 축력, 전단력, 휨모멘트, 비틀림모멘트 등 의 조합력을 받을 수 있는 벽
구조용 경량 콘크리트 골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인공경량골재를 사용하여 만 든 콘크리트로서 재령 28일의 설계기준압축강도가 15MPa 이상이며 기건 단위질량이 2,000kg/m3 미만인 콘크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