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중저항 철근 소요하중에 저항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배근한 합 성부재 내의 철근
한계상태 구조물 또는 구조요소가 사용성, 안전성, 내구 성의 설계규정을 만족하는 최소한 의 상태로서, 이 상태를 벗어나면 관련 성능을 만족하지 못하는 한계
한계상태 설계법 확률론과 신뢰성 이론에 근거하여 구조물이 한계 상태를 벗어날 가능성을 적정 수준으로 제한하는 설계법
합성가새 철근콘크리트에 매입된 강재 단면(압연 또는 용접 단면) 또는 콘크리트가 충 전된 강재 단면으로써 가새로 사용되는 부재
합성기둥 압연 형강 또는 용접 형강이 구조용 콘크리트에 매 립되거나, 원형 또는 각형강관에 구조용 콘크리트가 충전 된 기둥
합성보 강재보가 슬래브와 연결되어 하나의 구조물로서 구조적 거동을 할 수 있는 보
합성슬래브 데크플레이트에 부착되고 지지된 콘크리트 슬래브 로, 지진하중 저항시스템의 부재 사이에 하중을 전달하는 다이아프램으로 거동하는 것
합성작용 2개 또는 그 이상들의 요소 또는 부재들이 그들 사이 의 상대운동을 방지함으로써 함께 작용하도록 만들어진 조건
합성전단벽 매입되지 않은 강재 단면이나 철근콘크리트에 매 입된 강재 단면을 경계부재로 갖는 철근콘크리트 벽
항복강도 응력과 변형의 비례상태의 규정된 변형한계를 벗 어날 때의 응력
항복모멘트 부재에 작용하는 휨모멘트가 항복모멘트에 도달하 여 단면의 최연단부가 항복하는 것
항복선 소성힌지선
항복선 방법 콘크리트 슬래브의 여러 개의 가능한 항복선 형태 중 에서 최소하중 전달능력을 결정하는 해석방법
항복선 해석 소성힌지 메카니즘 형성에 근거를 둔 부재의 하중전달 능력을 결정하는 방법
항복응력 항복점, 항복강도 또는 항복응력 레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