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심도리 기둥 위에 놓인 도리
중도리 주도리와 종도리 사이에 있는 도리로서, 처마도리와 평행으로 배치하여 서까래 또는 지붕널 등을 받는 가로재
중방(中枋) 수장재 중 기둥허리에 걸리게 되는 부재
창방 기둥머리 사개에 짜맞추고 보머리와 함께 짜이며 수 장재보다 굵은 목재부재
처마(軒, 畩) 지붕이 도리 밖으로 내민 부분
처마안허리 추녀 끝이 많이 튀어나오고 서까래가 짧아서 생기는 곡선
초매기 서까래에 걸린 평고대
추녀(榮, 斜棟, 四阿, 春舌) 모혀까래 또는 모혀라고도 하며, 귀에 거는 굵은 목재 부재
충량(衝樑) 옆에 선 기둥머리에서 들보를 향해 건 보
퇴량(退樑 툇간에 얹은 보
팔작지붕 네 귀에 추녀가 걸린 집에서 합각을 두면서 구성한 지붕
평고대 평교자라고도 하며 서까래 및 부연 등의 끝 부분 위쪽 에 걸리는 네모지고 긴 목재부재
평방(平枋) 창방 위에 놓여 다포계의 공포들을 떠받치는 역할을 수행하는 넓고 두꺼운 목재부재
평주(平柱) 갓기둥, 퇴주 또는 툇기둥이라고도 하며 고주보다 짧 은 기둥
하방(下枋) 기둥뿌리에 결구되는 수장재
합각(合閣) 팔작지붕의 박공머리에 생긴 삼각형의 공간
홑처마 부연을 설치하지 않고 서까래만으로 구성된 처마
대단면 목조 건축물 부재의 짧은 변의 치수가 150mm 이상인 대단면의 구조용 목재 또는 구조용 집성재로 시공하는 목조건축물
보수 열화된 부재·구조물의 내구성과 방수성 등 내하력 이외의 성능을 복원·회복시키거나 손상의 원인을 제거하기 위해 행하는 행위
유지관리 구조물의 성능과 기능을 적정한 상태로 유지 할 목적으로 실시하는 제반 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