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정 형상과 기하학적 원의 차이난 부분의 자승화(제곱)가 최소가 되는 기하학적원(평균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방법
최소영역중심법(MZC- Minimum Zone Center)
측정 형상을 2개의 동심의 기하학적 원으로 끼웠을 때, 동심 두원의 간격이 최소가 되는 두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방법
최소외접원중심법(MCC- Minimum Circumsribed Center)
측정 형상에 외접하는 기하학적 원 중 최소가 되는 기하학적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방법
최소내접원중심법(MIC - Maximum Inscribed Center)
측정 형상에 내접하는 기하학적 원 중 최대가 되는 기하학적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방법
회귀분석
진원도 측정기 측정품 세팅
진원도, 원통도 측정시에 측정품을 세팅하는 경우 측정품의 축, 측정품의 기울기, 진직도, 측정품의 중심 위치는 중요하다. 왜냐하면 측정품 이외의 외부요소 (기울기 등)가 측정 값에 포함 될 수 있고, 측정품의 중심이 맞지 않으면 회전 할 때에 스타일러스와 충돌할 수 있기 때문이다.
회전 테이블 기능
측정할 때 측정품을 회전 시킵니다.
회전 테이블 기능
측정품의 X,Y 중심(원점)을 조절한다.
측정품의 기울기를 조절한다.
회전 테이블 중심 비교
측정품 기울기
측정품을 회전 테이블 위에 올려 놓을 때 제품의 기울기도 최대한 90도에 가깝게 맞추어야 한다.
측정품의 기울기(Tilting)를 조정할 때는 회전테이블을 사용한다.
진원도 프로파일 표시배율(Magnification)
아래 이미지는 측정 결과를 100배, 10000배 확대해서 차이를 보여줍니다.
진원도(Roundness) 측정
JIS B0621-1984 [기하 편차의 정의 및 표시]
[진원도 라는 것은 원형 형체의 기하학적인 원으로 부터의 이상적인 크기를 말한다] 라고 정의 되며,표시에 관해서는 [진원도는 원형 형체(C)를 두개 동심의 기하학적 원 사이에 두었을 때, 동심인 두원의 간격이 최소가 되는 경우에 이 두원의 반경차(f)로 나타내며, 진원도mm, μm 로 표시한다] 라고 기재되어 있다.
X,Y,E : 편심량을 의미한다.
Θ : 편심 각도를 의미한다
진원도 측정 결과
흔들림 (Runout)
흔들림은 진원도에 동심도를 포함한 것이다. 진원도는 중심이 기준중심과 일치한다. 흔들림은 중심이 기준중심과 벗엇난 것도 포함한다.
흔들림 = 진원도 + 동심도
진원도와 흔들림 비교
동축도(Coaxiality) 측정 결과
동축도는 기준 축선에서의 측정단면의 중심좌표의 차를 표시하는 값이다. 제1기준단면(D1)과 제2기준단면(D2)의 중심좌표를 통하는 축선을 기준축선(기준축직선)으로 한다. 측정단명의 중심좌표를 M으로 한 경우 이 기준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이 중심에서 중심좌표 M까지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의 직경 f가 동축도이다. 또 측정단명의 1군데가 아닌 경우( 복수 단면)는 기준축선에서 제일 멀리 떨어진 곳의 중심좌표까지의 거리 2배가 동축도가 된다
동심도(Concentricity) 측정 결과
동심도는 측정한 2단면의 중심좌표의 차를 표시한 값이다. 기준단면 중심좌표를 중심 D로 하여, 측정 단면의 중심 좌표를 중심 M으로 한다. 이 중심 D에서 중심 M까지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의 직경을 동심도라 한다
흔들림(Runout) 측정
흔들림은 진원도에 동심도를 포함한 것이다. 흔들림은 중심이 기준중심과 벗엇난 것도 포함한다.
흔들림 = 진원도 + 동심도
진원도와 흔들림 비교
흔들림 측정 분류
1. Circular Runout
2. Total Runout
원통도(Cylindricity) 측정 결과
원통도는 기준축선과 동축의 원통에서의 차를 표시하는 값이다. 제1기준 단면(D1)과 제2기준단면(D2)의 중심좌표를 통하는 축선을 기준축선이라 한다. 측정 단면 M으로서 기준축선과 동축인 원통에서 양 기준 단면과 이 측정단면을 끼워 넣었을 때의 내접하는 원통과 외접하는 원통의 반경차 f를 원통도라고 한다. 또 측정단면이 1군데가 아닐 경우(복수단면)는 최대의 내접 원통과 최소 외접원통의 반경차 f를 원통도라고 한다.
원통도 = 진원도 + Z축 진직도
원통도 측정 결과 : 제품 상단에서 관찰
원통도 측정 결과 : 3차원
직각도(Squareness) 측정
직각도는 기준축선(the datum axis line)(이상적인 직선)에 직각인 평면에서의 차를 표시하는 값이다.
직각도 = 평면도 + Z축 진직도
직각도
제1기준단면(D1)과 제2기준 단면(D2) 중심좌표를 통하는 축선을 기준축선(기준 축직선)으로 한다. 기준 측선에서 직각인 평면(Flatness) 에 대하여 평면도를 측정할 때 측정 반경(Radius)의 위치에서 측정 평면의 경사량이 직각도이다.
직각도-D
기준 측선에서 직각인 평면에 대하여 평면도를 측정할 때 측정 직경(Diameter)의 위치에서 측정평면의 경사량이다.
직각도-P
기준 측선에서 직각인 평면에 대하여 평면도를 측정할 때 측정된 프로파일을 포함 한 것이다.
직각도 기준축선(datum) 종류
직각도 측정 결과
평행도(PARALLELISM) 측정 결과
평행도는 기준축선에서 측정단면의 축선의 차를 표시하는 값이다.
처음 측정하는 단면을 기준단면으로 하여 이 기준단면의 축선을 기준축선 D로 한다. 다음에 측정한 단면을 측정단면으로 하여 이 축선을 측정측선 M이라 한다. 이 기준축선 D와 평행한 직선으로 측정축선 M을 끼워 넣을 경우의 간격이 평행도가 된다.
외력을 받으면 재료가 변형이 생겼다가 외력(탄성 한계이상의 힘)을 제거해도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지 않고 변형된 상태로 남는 성질
강성
재료가 외력을 받으면 변형도 생기지 않고 파괴도 되지 않는 성질
취성(brittle)
재료의 역학적 성질의 일종. 여림. 부스러지기 쉬운 성질.
인성(toughness)
잡아당기는 힘에 견디는 성질. 재료가 외력을 받으면 변형은 생기나 파괴가 되지 않는 성질
연성(ductile)
가소성의 일종으로 탄성한계를 넘는 변형력으로도 물체가 파괴되지 않고 늘어나는 성질. 금속 1g을 선으로 만들어서 얼마나 가는선으로 만들수 있느냐를 말한다.
전성(malleability)
두드리거나 압착하면 넓고 얇게 펴지는 금속의 성질, 금.주석 등의 금속은 전성이 많아 얇은 박(박)으로 만들 수 있다. 금속 1g 을 판으로 만들어서 얼마나 얇게 만들수있느냐를 말한다. 예를들면 금의 경우 1g으로 두드려서 얇게 만들면 두께 약 10-7m의 금박(면적 0.5m2)이 되고 길이 2800m의 가는 선으로 만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