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광계수[$m^{-1}$] | 가시거리[m] | 상황 | |
0.1 | 20~30 | 연기감지가 작동할 때의 농도(연기감지가 작동하기 직전의 농도) | |
0.3 | 5 | 건물 내부에 익숙한 사람이 피난에 지장을 느낄 때 정도의 농도 | |
0.5 | 3 | 어두운 것을 느낄 정도의 농도 | |
1 | 1~2 | 앞이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의 농도 | |
10 | 0.2~0.5 | 화재 최성기 때의 농도 | |
30 | - | 출화실에서 연기가 분출할 때의 농도 |
2020-6
> 실내 화재 시 발생한 연기로 인한 감광계수 ($m^{-1}$)와 가시거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감광계수가 0.1일 때 가시거리는 20~30m이다.
② 감광계수가 0.3일 때 가시거리는 15~20m이다.
③ 감광계수가 1.0일 때 가시거리는 1~2m이다.
④ 감광계수가 10일 때 가시거리는 0.2~0.5m이다.
정답: ②
'소방설비기사[전기] > 소방원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설비기사][소방원로] 가연성, 불연성, 조연성, 조해성, 풍해성 (2) | 2022.12.27 |
---|---|
[소방설비기사][소방원론] 위험물 문제 (0) | 2022.12.15 |
[소방설비기사][소방원론] 이산화탄소 문제 (0) | 2022.12.13 |
[소방설비기사][소방원론] 주수소화 문제 (0) | 2022.12.13 |
소방원론 (0) | 2022.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