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동충전방식
1.1 2차 전류
1.2 축전지의 용량
22-3
> 축전지의 자기방전을 보충함과 동시에 상용부하에 대한 전력공급은 충전기가 부담하도록 하되 충전기가 부담하기 어려운 일시적인 대전류 부하는 축전지로 하여금 부담하게 하는 충전방식은?
정답: 부동충전방식
> 비상경보설비의 축전지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따른 축전지설비의 외함 두께는 강판인 경우 몇 mm 이상이어야 하는가?
정답: 1.2
20-7
>예비전원설비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부동충전방식에 대한 회로(개략도)를 그리시오
(2) 축전지의 과방전 또는 방치상태에서 기능회복을 위하여 실시하는 충전방식은 무엇인지 쓰시오.
(3) 연축전지의 정격용량은 250Ah이고, 상시부하가 8kW이며 표준전압이 100V인 부동충전방식의 충전기 2차 충전전류는 몇 A인지 구하시오.(단, 축전지의 방전율은 10시간율로 한다.)
20-5
연축전지가 여러 개 설치되어 그 정격용량이 200Ah인 축전지설비가 있다. 상시부하가 8kW이고, 표준전압이 100V라고 할 때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 단, 축전지의 방전율은 10시간율로 한다)
(가) 연축전지는 몇 셀 정도 필요한가?
(나) 충전시에 발생하는 가스의 종류는?
(다) 충전이 부족할 때 극판에 발생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소방설비기사[전기] > 소방전기시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설비기사][소방전기시설] 비상방송설비 문제 (0) | 2022.12.18 |
---|---|
[소방설비기사][소방전기시설] 자동화재속보설비 문제 (0) | 2022.12.18 |
[소방설비기사][소방전기시설] 절연저항시험 (0) | 2022.12.17 |
[소방설비기사][소방전기시설] 무선통신보조설비 문제 (0) | 2022.12.17 |
[소방설비기사][소방전기시설][피난구조설비] 유도등 문제 (0) | 2022.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