겸용 라인(dual line)
2개의 호스라인. 간혹, 종류가 다른 소화약제를 동시에 내보내어 복합적인 효과를 발하도록 할 경우도 있지만, 그보다는 소방펌프차 또는 노즐에 적절한용량을 제공하는 일에 더욱 널리 사용된다.
겸용 소방펌프차(triple combination)
호스와 물탱크, 펌프를 탑재하고 있는 겸용 소방펌프차.
겸용 제연설비(nondedicated smoke control systems)
건물의 HVAC 설비와 같이 구성부품을 다른 설비와 공유하는 설비. 연기를 제어할 경우 설비는 제연설비의 동작형태로 전환된다.
겸용노즐(all-purpose nozzle)
봉상 및 무상 겸용 노즐.(同/adjustable nozzle)
경가연물(light fuel)
신속하게 연소하는 가연물. 마른 나뭇잎, 마른 풀 등.
경계구역(zone)
1)여러 개의 감지기에 의해 하나의 회로로 방호되는 구역.
2)주소형 감지기 하나로 방호되는 구역.
경계선 화재경보기(line box)
경계선 또는 경계선 근처에 위치한 화재경보기. 경계선 화재경보기가 작동할경우 하나 이상의 소방서가 대응한다.
경계소방대(watch detail)
진화작업을 완료한 이후에도 재발화되는 것을 감시하기 위해 화재현장에 머무르는 소방대.(同/fire watch, [참고]/watch line)
경계시간(patrol time)
잔화 진화작업을 마무리한 시간부터 화재가 완전 진화되었음을 공표할 때까지의 시간.
경계신호(delinquency signal)
경비원이나 관리인의 경계 및 감시활동을 지시하는 신호.
경계호스(watch line)
경계소방대와 함께 진화작업 완료후에도 재발화되는 것을 우려하여 화재현장에 남겨 두는 호스라인.([참고]/watch detail)
경광등, 적색회전등(red flashing light)
사람들의 주의를 끌기 위해 사용하는 적색회전등. 소방차, 구급차, 경찰차 등에 주로 사용한다.
경급화재위험(light hazard)
화재가 발생한다 하더라도 소규모의 화재만 예상되는 상황.([참고]/low hazard)
경급화재위험(low hazard)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소규모의 화재로 그칠 만큼 낮은 가연성을 보이는 것.
경급화재위험(low hazard)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소규모의 화재로 그칠 만큼 낮은 가연성을 보이는 것.
경도풍속(gradient wind velocity)
특정 지역의 지상 303.4~606.8m(1,000~2,000ft) 고도에서 측정한 풍속.
경량기포 콘크리트(autoclaved lightweighting concrete(ALC))
콘크리트에 발포제를 혼합하여 콘크리트를 가볍게 한 것.
경보(alarm)
1)화재 또는 긴급사태의 발생을 알리는 음향 또는 시각 신호. 소방대의 즉각적인 출동을 필요로 한다. 의례적인 발신, 연습용 발신, 기타 긴급한 발신이아닌 것은 경보라 할 수 없다.
2)소방대의 출동을 필요로 하는 상황이 발생했거나 발생할 수 있다는 통보.
경보 발신기(alarm box)
소방서에서 화재경보를 송신하는 장치. 일반인이 쉽게 발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한다.
경보기구(notification appliance)
음향과 시각을 동시에 출력하는 경종, 사이렌, 스피커, 스트로브(strobe), 프린터 등과 같은 경보설비의 구성요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