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보기구 회로
(notification appliance circuit) 경보기구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회로나 경로.

경보발신기(alarm box)
소방서에 화재경보를 송신하는 장치. 일반인이 쉽게 발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한다.

경보설비(alarm system)
소방서 또는 화재감시실로 경보를 전송하는 화재감지설비. 열, 연기등의 연소생성물질을 감지하고 스프링클러설비 배관의 물의 흐름을 감시한다.(同/signaling system)


경보수신시설(alarm receiving facility)
경보신호 또는 감시신호를 수신 받는 장소. 사설 감시실 또는 원거리 감시실, 중앙감시실 또는 소방서를 포함할 수 있다.

경보시퀀스(positive alarm sequence)
설비를 복구하지 않아도 점검시 경보신호를 수동으로 지연시키는 자동 시퀀스.

경보신호(alarm signal)
1) 주거용 방에서 점유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고 즉각적인 대응조치가 필요한 가스의 농도를 표시하는 신호.
2) 화재신호와 같이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한 긴급상황을 나타내는 신호.

경보용 디지털무선설비(digital alarm radio system(DARS))
방호구내에 위치한 경보용 디지털무선송신기(DART)로부터 무선채널을 통해경보용 디지털무선수신기로 신호를 전송신하는 설비.

경보용 디지털무선송신기(digital alarm radio transmitter(DART))
무선전송 교대채널(주변장치에 접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또 다른 하나의 채널)을 확보하기 위해 DACT에 접속되는 시스템의 구성요소.


경보용 디지털무선수신기(digital alarm radio receiver(DARR))
2개의 부구성요소(subcomponent)로 구성된 설비. 하나의 구성요소는 무선신호를 수신해서 해독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해독된 데이터를 표시한다. 2개의 부구성요소는 중앙감시실에 함께 위치하거나 데이터 전송채널에 의해 분
리될 수 있음.


경보용 디지털송신기(digital alarm communicator transmitter(DACT))
방호구역에서 발신장치 또는 다수의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설비의 구성요소.
이 송신기는 접속된 통신선을 점유하고, DACR에 접속시키기 위해 미리 선택된 숫자를 다이얼로 돌려서 발신장치의 상태변화를 표시하는 신호를 송신한다.


경보용 디지털수신기(digital alarm communicator receiver(DACR))
공공 교환망에 전송된 경보용 디지털송신기(DACT)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표시하는 시스템의 구성요소.

경보용 디지털통신설비 (digital alarm communicator system(DACS))
공공 교환망을 통해 방호구내에 위치한 경보용 디지털송신기(DACT)로부터 경보용 디지털수신기(DACR)까지 신호를 전송하는 시스템.


경보음(alert tone) 
음성메시지의 전송에 의해 입주자를 경계시키기 위한 주의신호.

경보전송회로 (alarm circuit)
중앙경보통제실로부터 각 소방대 및 관계기관으로 화재경보를 송신하는 경보회로. 에어혼, 벨, 스피커, 또는 현장 사이렌과 같은 음향 경보를 수반하기도 한다.


경보확인기능(alarm verification feature)
연기감지기로부터의 경보신호를 판단하기 위해 복구 후, 주어진 시간 내에 경보상황을 다시 확인하여 불필요한 경보를 감소시키기 위한 자동화재경보설비의 기능.

경보후 조치
(alarm service)
1)발신기를 수동으로 조작한 이후, 소화설비의 작동을 지시하는 경보를 발신
한 이후, 또는 다른 소화설비로부터 경보가 송신된 이후 취해야 할 조치.
2)경보 수신후 취해야 할 조치.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7  (2) 2023.06.04
소방용어16  (0) 2023.06.04
소방용어12  (0) 2023.06.04
소방용어11  (0) 2023.06.04
소방용어10  (1) 2023.06.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