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인화성 물질(extremely flammable)
태그 개방식 시험기'로 측정했을 때, 그 인화점이 -6.7℃(20℉) 미만인 물질을 말한다.([참]/Tagliabue open cup apparatus)

고장 정도(failure severity)
보통 성능결함으로 표현되는 장치의 성능저하에 대한 정도. 상, 중, 하로 구분한다.

고장률(failure rate)
시스템이나 기기, 부품 등이 특정 단위 기간동안 고장을 일으키는 비율. 단위
기간동안의 '총고장수/총동작 시간(또는 총 사건수)'으로 표시한다.


고장모드(failure mode)
하드웨어가 고장날 가능성이 있는 징조, 조건, 형태. 고장모드는 기능의 상실,조급한 동작, 허용오차를 벗어난 상태, 점검 중 발견한 누출과 같은 물리적인특성으로 인식될 수 있다.


고장모드 및 영향분석(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FMEA))
설비별 고장 유형에 따라 원인, 결과, 대책을 분석 및 수집하는 위험확인 기법.


고장빈도(failure frequency)
발생한 고장(사건)의 수를 고장이 발생한 기간동안에 경과된 총 시간이나 빈도


고장시간(down time) 
가공기 및 주변 장치가 고장 등으로 인해 정지하고 있는 시간.

고장의 공통 원인(common cause failure) 
같은 원인으로 인하여 2이상의 시스템, 부품, 장치의 고장.

고장전류(fault current)
전선과 대지 또는 전선과 전선 사이의 연결이 비정상적일 경우, 전선으로부터 대지로 또는 전선으로부터 다른 전선으로 흐르게 되는 전류. 아크나 절연파괴와 같은 경우에 발생한다.

고장확률(failure probability)
하나의 장치가 사용상태에서 또는 일정한 시간 동안 고장이 발생할 수 있는 확률(0에서 1까지의 값).

고적재저장(high piled storage)
지상 높이 4.55m(15ft) 이상, 또는 화물운반대나 선반 위에서는 높이 3.64m (12ft) 이상의 높이로 밀집 적재된 저장.

고정식 (교류) 발전기(fixed generator(alternator))
차량에 영구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용량 7kW 이상의 발전기. 보통 기계적으로 구동된다.

고정식 모니터(fixed monitor(cannon))
다량의 포를 운반할 수 있는 고정식 지지대에 설치된 장치. 배관 또는 호스를 통해 모니터에 수용액을 공급할 수 있다.

고정식 소화설비(fixed fire extinguishing system)
건축물 등에 고정된 소화설비. 스프링클러설비, 옥내소화전설비 등.([참고]/portable fire extinguisher)

고정식 포방출구(fixed foam discharge outlet)
탱크, 방유제, 기타 구획된 구조물에 영구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포 방출 장치.


고정장치, 파스너(fastener) 
전선을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장치.

고조파(harmonics)
전기적으로, 고조파란 그 파형 주기가 바람직한 주파수나 기본 주파수의 정수배인 주파수대에 있는 전압 또는 전류를 말한다. 고조파는 가변속도 구동장치, 정류기, 유도가열기, 개인용 컴퓨터, 포화변압기(형광등 안정기), 복사기, 정지형 스위, 형광 및 고광도 아크방전등, 기타 비선형 장치나 아크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한다.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21  (0) 2023.06.04
소방용어20  (3) 2023.06.04
소방용어18  (0) 2023.06.04
소방용어17  (2) 2023.06.04
소방용어16  (0) 2023.06.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