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수도본관(city main)(美)
미국에서는 공공수도본관을 구내 소화설비에 직접 연결할 수 있으므로 소화설비의 급수원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우리 나라에서는 수도배관에 소화설비의 배관을 직접 연결할 수 없다.(同/public main)
공공수도본관(public (water) main)
상수도를 공급하는 관.(同/city main)
공공안전관리자(public safety officer)
경찰서에 소속된 지방자치단체의 공무원으로서 소방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을 갖추고 있어, 순찰 중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는 소방대원으로서의 임무를수행할 수 있다.
공극비(porosity)
입자의 전체 부피에 대한 간극 부피의 비
공급전압(supply voltage)
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同/source voltage)
공기 비흡입식 방출장치(non air aspirating discharge devices)
AFFF 또는 FFFP 수용액을 방출할 때의 방수형태와 유사한 방출형태로 방출하는 장치
공기비흡입식스프레이노즐(non air aspirated spray nozzle)
수성막포와 같은 포소화약제가 공급될 때 방출장치의 고유한 패턴으로 포를 방출하는 개방형 방향성 스프레이노즐(同/open, directional spray nozzle).
공기 압축기, 에어 컴프레서(air compressor)
1)저압장치. 전동기, 용적식 피스톤형 압축기 및 저장탱크로 구성. 작업공구, 페인트 분무기 등의 기계류에 저압의 공기를 공급한다.
2)고압장치. 전동기, 에어 캐스케이드 시스템에 연결된 다단계 압축기로 구성. 자급식 호흡기구에 필요한 고압의 공기를 생산한다.
공기 지지 구조물(air supported structure)
천막과 유사하며, 곧게 서 있도록 하기 위하여 외피와 내피 사이의 공간을 대기압 이상으로 가압한 구조물.([참고]/structure)
공기, 무선통신(air)
1)대기.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기체 혼합물. 질소 78%, 산소 21%, 희유기체
1%로 구성.
2)무선통신.
공기가스(air gas)
공기 중에 가연성 증기가 혼합된 기체.
공기막, 에어커튼(air curtain)
1)기름누출을 통제하기 위해 수중에 공기를 방출하여 형성된 기포의 막.
2)가공 처리된 공기(예:청정실, 무균실 등)가 출입문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출입문 주위에 설치한 공기의 막.
공기샘플링형 감지기(air sampling type detector)
감지장치로부터 방호구역까지 배관망이나 튜브망으로 구성되어 있는 감지기.
감지기 함 내의 흡입팬이 공기샘플링포트, 배관, 튜브를 통해 방호구역으로부터 감지장치까지 공기를 흡입하여 감지장치에서 공기 중의 연소생성물을 분석한다.
공기식 화재경보기(상품명)(aero fire alarm system)
천장 및 벽을 따라 설치된 작은 배관 속의 공기가 열기로 인해 팽창되면, 이배관에 연결된 감지장치의 다이어프램이 작동, 경보를 발하는 감지장치.
공기식 화재경보기(aero fire alarm system)
천장 및 벽을 따라 설치된 작은 배관 속의 공기가 열기로 인해 팽창되면 이배관에 연결된 감지장치의 다이아프램이 작동하여 경보를 발하는 감지장치.
공기실, 에어 체임버(air chamber)
공기로 가득 채워진 펌프 체임버(펌프동체). 용적식 펌프에서 피스톤이나 기어의 운동으로 인해 발생한 진동을 흡수, 완화시키는 기능을 한다.([참고]/airdome, air lock)
공기압입식 발포장치(compressed air system)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포수용액을 발포시키는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