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사다리작업대(aerial ladder platform)
사다리차에서 기계적 힘 또는 유압을 이용하여 세우는 공중작업대.(사다리를 연속적인 피난에 이용하는 것을 포함)
공중작업대(aerial platform apparatus)
구조 및 진화작업에 사용하며, 기계적 힘 또는 유압을 이용하여 세우는 작업대. 굴절식 붐(boom)이나 접기식 붐, 또는 두 가지 방식이 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同/snorkel, hydraulic platform apparatus)
공중작업대 소방차(apparatus, aerial platform) [참고]/aerial platform apparatus.
공중작업차량(apparatus, elevating platform)
[참고]/elevating platform apparatus.
공중작업차량(elevating platform apparatus)
고층 건물의 화재시 진화작업 및 인명구조를 위해 사용하는 공중작업대가 탑재된 소방차량.(同/snorkel, aerial platform truck, hydraulic platform appliance)
공중장치(aerial device)
인원의 배치 또는 소화활동, 피난, 소화용수의 방수에 사용하는 공중사다리,
공중작업대, 공중사다리작업대, 급수탑 등.
공중정찰(aerial reconnaissance)
항공기를 이용하여 임야화재지역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것.
공중진화(aerial attack)
1)보통, 임야화재 진압시 항공기를 이용하여 산불 진행로에 소화약제를 투하하는 것을 의미. 공중에서 장비, 진화요원, 호스 등을 투입할 때에도 항공기를 이용한다.
2)고가사다리차에서 사다리 파이프를 이용하여 고층건물의 화재를 진압하거나 화재노출물을 방호하는 것.
공중진화(air attack)
임야화재지역에 항공기를 파견하여 소화약제의 살포, 진화요원 수송, 현장본부로의 보급품 공급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것.
공중투입대원(smokejumper)
화재현장 상공에서 공중 투입되는 소방대원.([참고]/helijumper)
공중투하(airdrop)
1)항공기를 이용하여 임야화재지역에 연소억제제 또는 소화약제를 투하하는 것.
2)낙하산을 이용한 인력 및 물자의 투하.
공중합체
(copolymers)
두 가지 이상인 단량체가 중합하여 각 성분을 함유한 중합체를 생성하는 반응을 공중합(共重合) 또는 혼성중합(混性重合, copolymerization)이라 하고, 이러한 반응으로 생성된 중합체를 공중합체라고 한다.
공진(共振)(resonance)
1)유도 리액턴스(reactance)와 용량 리액턴스가 평행하여 회로 전체에서 리액턴스가 없어지는 현상.
2)어떤 물체에서, 외부로부터 주어지는 진동 주파수가 그 물체의 고유 주파수(자유 진동 주파수)와 동일하게 되는 현상.
공칭전압(nominal voltage)
회로나 계통에 지정된 공칭전압값.(120/240, 480/277, 600 등)
공통덕트(common duct)
2개 이상의 분기덕트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수용하고 있는 덕트.
공항 램프(airport ramp)
격납고 앞 계류장(aprons) 및 포장된 주기장(hardstand)을 포함하여 표면 형태와 관계없이 항공기를 보관, 수리, 유지관리하는 모든 옥외지역.
공항 터미널 건물(airport terminal building)
항공권 판매, 비행 정보, 수화물 취급 및 항공운송과 관련된 다른 기능을 포함하여 주로 승객의 탑승 등에 사용되는 건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