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화재(metal fire)
알루미늄, 마그네슘 등의 금속분말이 연소하는 화재. 보통, D급 화재로 분류한다.
금속화재 소화기(dry powder extinguisher)
금속화재용 분말약제를 소화약제로 사용하는 소화기.
금속화재용 분말약제(dry powder)
가연성 금속 화재시 사용하는 분말 또는 과립형 소화약제.([참고]/dry chemical)
금속화재용 소화약제(dry compound extinguishing agent)
마그네슘, 알루미늄, 나트륨, 칼륨 등의 금속화재 소화용 소화약제.
금수성 물질(water reactive chemicals)
물과 접촉할 경우 격렬하게 반응하는 알칼리금속 등의 물질.
급기저항(intake depression)
공조기의 급기측에서 발생하는 저항.
급속개방장치( q u i c k - o p e n i n g device(QOD))
스프링클러설비의 건식밸브 클래퍼를 신속하게 개방하고 밸브 2차측의 가압 공기를 배출시켜, 가압수가 헤드를 통해 빠르게 방사될 수 있도록 해주는 보조기구.([참고]/accelerator, exhauster)
급속단로장치( q u i c k - d i s c o n n e c t device)
여러 가지 장비들을 연결하고 분리시킬 때 사용하는 수동장치. 자동 또는 수동 차단장치.
급수-펌프차(tanker-pumper)
최소 용량 31.5ℓ/sec(500gpm) 이상의 펌프를 장착한 급수차.
급수담당관(water supply officer)
특정 진화작업에 필요한 급수 관련 업무를 책임지고 있는 소방간부. 펌프차가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소화전으로의 펌프차 배치, 물탱크차의 운용 및 펌프차 중계송수 등을 포함한 보조급수 설비의 지휘 등을 담당한다.
급수라인(feeder line)
1)급수원과 화재현장 근처의 펌프차량을 연결하는 호스.
2)급수호스.
급수라인(supply line)
1)Y자형 호스라인에 물을 공급해 주는 호스라인.
2)펌프 흡입부로 물을 공급해 주는 호스라인.
급수본관(water main)
그보다 작은 배관으로 물을 공급해 주는 대구경 배관 또는 도수관.
급수원(water supply point)
진화작업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물을 수용하고 있는 수원.
급수차(nurse tanker)
대용량 급수차. 화재 현장에 출동한 하나 이상의 소방펌프차나 물탱크 소방차에 물을 공급해 주고 이동식 수조로도 사용하는 차량.
급수차 출동(tanker call)
화재시 현장 주변에 이용할 수 있는 물이 충분하지 않을 때 급수차를 요청하게 되는데, 이러한 요청에 의해 급수차가 출동할 경우를 말한다.(同/tanker force)
급수차, 유조차, 탱커(tanker)
1)화재현장으로 물을 수송할 때 사용하는 소방차. 보통 3.785kl(1,000gal) 이상의 물을 수송하며, 펌프가 장착되어 있다.(同/tank apparatus, tank truck,water tank, [참고]/air tanker)
2)인화성 액체 수송차량.
급수차량 지휘자(tanker boss)
화재시 3~5대의 급수차를 지휘하는 소방간부.(同/tanker manager)
급수탑차(water tower truck) [참고]/water to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