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팅 에이전트 (wetting agent) 물의 표면장력을 감소시키고 침투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하는 화학물질. 내부로 물이 침투하기 어려운 가연물의 소화에 효과적이다.(同/penetrant, 參 /surface active agent)
웹, 지필 (web) 1)소면기의 도퍼에서 나온 섬유의 얇은 막 또는 섬유가 한 올씩 엉켜서 섬유 의 막이 된 것. 2)초지기 위에 있는 습지 또는 두루마리에 감은 건조된 종이로서 미완성 또 는 재단하지 않은 상태의 종이.
위성 중계회선 (satellite trunk) 위성을 중앙감시실로 연결시켜주는 회로 또는 경로.
위치에너지 (potential energy) 물체가 자기의 위치를 보유함으로써 생기는 에너지. 중력에 반하여 높은 위 치에 있는 물체가 갖는 에너지, 전하가 높은 전위에 있음으로써 갖는 정전에 너지 등.(同/kinetic energy)
위험 화물 (dangerous cargo) {주간통상위원회}(Interstate Commerce Commission)와 {미국해안경비대}(U.S. Coast Guard)에서 규정한 물질들. 클래스 A, B, C 폭발물, 인화성 액체, 가연 성 액체, 인화성 고체 및 산화제, 부식제, 압축가스, 클래스 A, B, C 독극물, 방사능 물질, 병균 등.
위험물 (hazardous substance) 평상시의 취급이나 사용으로 인해 인체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물질. 위험 물의 성질로는, 1)독성, 2)부식성, 3)자극제, 4)강력한 증감제(sensitizer), 5)고 인화성, 6)인화성, 7)가연성, 8)열이나 기타 다른 원인에 의해 압력을 발생시 키는 것 등이다.
위험물질 (hazardous material) 그 자체의 폭발성, 인화성, 독성, 부식성, 산화성, 자극성, 기타 해로운 특성으 로 인해 사망 또는 부상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물질.
위험분류 (hazard classification) 어떤 물질이나 지역, 공정 등이 갖고 있는 상대적인 위험을 분류한 것. 경급, 중급, 특급위험으로 분류한다. 위험분석 (risk analysis) 사고결과와 사고빈도를 조합하여 공학적 평가와 수학적 기술을 기초로 위험 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
위험분석용 데이터 베이스 (analysis data base) 정량위험분석을 위한 환경 데이터(대지 용도와 지형그래프, 인구와 인구통계 자료, 기상측정 자료)뿐 아니라 시스템종류와 같은 모든 입력데이터를 포함하 는 데이터 베이스.
위험분위기 ( h a z a r d o u s atmospheres) 산소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거나 낮은 분위기를 포함하여, 거주자들을 죽음, 부상, 심각한 질병 등으로 몰아갈 수 있는 오염된 분위기.
위험성 (hazardous) 그 가연성이 평균치 이상인 것 또는 그 자체의 폭발성, 불안정성, 독성 등으 로 인해 위험한 것.
위험예측 (risk estimation) 위험을 측정을 수립하기 위해 선택한 사건의 모든 결과의 발생가능성과 예측 결과를 조합하는 과정.
위험장소 (hazard location) 가연성 증기 및 가스, 분진 등의 폭발위험이 존재하는 장소. 미국의 경우, 위 험장소는 'Class'(Ⅰ,Ⅱ,Ⅲ), 'Division'(1,2), 'Group'(A∼G)의 조합으로 분류된 다. 클래스는 위험물의 종류(Ⅰ은 가연성 증기 및 가스, Ⅱ는 가연성 분진, Ⅲ 은 섬유분진)를, 디비젼은 위험물의 상태(1은 상시 존재, 2는 밀폐용기에 보 관된 것)를, 그리고 그룹은 위험물을 용도별로 구분해 놓은 조합을 뜻한다. (參/hazardous l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