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장소 (hazardous location) 전기설비의 구조 및 사용시 특히 고려해야 하는 폭발성 혼합기가 존재하거나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장소. National Electrical Code(NEC)는 위험장소를 관 련 위험물질에 따라 3개의 클래스로 분류한 다음, 각 클래스를 잠재된 위험 도에 따라 2가지 장소로 분류하고 있다. 1)클래스Ⅰ(가스.증기), 1종 장소: ①정상적인 상태에서 인화성 가스나 증기가 발화가능 농도로 존재하는 장소, ②평소, 수리 2)클래스Ⅰ(가스.증기), 2종 장소: ①밀폐된 용기나 설비 속에서만 휘발성의 인화성 액체 또는 가스를 취급, 가공, 사용하는 장소에서 이러한 위험물이 누 출될 경우란 장비의 우발적인 파손, 고장, 비정상적인 작동 등으로 국한되는 장소. ②적절한 배기설비를 통해 평상시 인화성 가스나 증기가 축적되는 것 을 방지하고 배기설비가 고장날 경우에만 발화가능 농도가 축적될 수 있는 장소. 누설 등으로 인해 인화성 가스나 증기의 농도가 자주 발화가능 농도 로 존재하는 장소, ③장비나 공정의 고장 또는 오작동으로 인해 인화성 가스 나 증기가 발화가능 농도까지 유출될 우려가 있고, 동시에 전기기기의 고장 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장소.

위험지수 (danger index) 산불위험의 상대적인 심각성을 나타내는 수치. 연소조건 및 기타의 변수들로 결정.(參/burning index)

위험지역 (hazardous area) 인화성, 가연성, 폭발성 등이 매우 높은 제품 또는 물질 등을 수용하고 있거 나, 또는 그러한 위험공정이 수행되는 지역.

위험평가 (risk assessment) 위험분석의 결과를 이용하여 위험경감전략의 상대적인 순위나 위험의 비교에 의해 의사 결정하는 과정.

위험품 (hazardous chemical) 유해성, 연소성 또는 반응성에서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 모든 고체, 액 체 또는 기체.

위험화물 (hazardous cargo) 미연방규정에 의해 위험물로 분류된 것 가운데 수송 중에 있는 화물.

윈도우 인디케이터 (window indicator) 필터형 호흡기 정화통의 사용수명을 표시해 주는 지시계.

윈드폴 (windfall) 바람에 의해 부러져 지면에 떨어진 나무 또는 나무의 일부.(參/blowdown, windthrow)

유기과산화 화합물 (organic peroxide formulation) 순수한 유기과산화 화합물 또는 여러 가지 조합과 농도로 혼합된 유기과산화 물과 다른 물질과의 혼합물. 유기과산화물 저장지역 (organic peroxide storage area) 유기과산화 화합물을 저장하는 지역.

유기과산화물류 (organic peroxides) 유기 라디칼과 활성산소기(-0-0-)가 결합되어 있는 유기화합물. 이 반응성 화 학물질은 1개 또는 2개의 수소원자가 탄화수소나 이중(hetero)고리나 산기 (acid radical)에 의해 대체되는 과산화수소의 유도체이다. 어떤 과산화물은 열이나 충격에 민감하며 폭발 잠재력이 있는 폭발성 화학물질로 알려져 있 다. 과산화벤졸 및 메틸에틸케톤 퍼록사이드가 그 예이다.

유기도료 (organic coatings) 알키드, 니트로셀룰로오스, 아크릴, 또는 오일, 그리고 탄화수소, 에스테르, 케 톤이나 알코올 등 인화성 및 가연성 용제류가 혼합된 액체 혼합물. 얇은 막 으로 칠했을 때 내구력이 있는 보호 및 장식용 마감재로 전환된다. 이러한 혼합물에는 흔히 안료가 들어 있다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82  (0) 2023.06.30
소방용어181  (0) 2023.06.30
소방용어178  (0) 2023.06.28
소방용어177  (0) 2023.06.28
소방용어176  (0) 2023.06.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