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벽관 비틀림에 대하여 설계할 때에 단면의 속이 빈 것으로 가정한 가상의 관
배력철근 하중을 분산시키거나 균열을 제어할 목적으로 주 철근과 직각 또는 직각과 가까운 방향으로 배치한 보조철근
배합강도 콘크리트의 배합을 정할 때 목표로 하는 콘크리트 의 압축강도
복부보강근 전단력을 받는 부재의 복부에 배치되어 사인장 응력에 저항하는 철근
부분균열등급 프리스트레스된 휨부재의 균열 발생 가능성을 나타내 는 등급의 하나로 비균열단면과 균열단면의 중간수준으로 거동하는 단면에 해당하는 등급
부착긴장재 직접 또는 그라우팅을 통하여 콘크리트에 부착된 긴장재
브래킷과 내민받침 유효깊이에 대한 전단경간의 비가 1보다 크지 않은 내 민보 또는 내민받침 부재
비균열등급 프리스트레스된 휨부재에서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단면
비내력벽 자중 이외의 다른 하중을 받지 않는 벽체
비탄성 해석 평형조건, 콘크리트와 철근의 비선형 응력-변형률 관 계, 균열과 시간이력에 따른 영향, 변형 적합성 등을 근거 로 한 변형과 내력의 해석법
비틀림 단면 비틀림모멘트가 크게 발생하는 부재의 단면
비틀림 철근 비틀림모멘트가 크게 발생햐는 부재에서 이에 저항하 도록 배치되는 철근
비횡구속 골조 횡방향의 층 변위가 구속되지 않은 골조
사용하중 ① 하중계수를 적용하지 않은 하중 ② 사용한계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하중 ③ 작용하중이라고도 하며, 고정하중 및 표준열차 하중으로서 하중계수를 곱하지 않은 것 ④ 작용하중이라고도 하며, 고정하중 및 활하중과 같 이 이 기준에서 규정하는 각종 하중으로서 하중계수를 곱하지 않은 하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