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9월 필기
> 펌프 운전 시 발생하는 캐비테이션의 발생을 예방하는 방법 이 아닌 것은?
① 펌프의 회전수를 높여 흡입 비속도를 높게 한다.
② 펌프의 설치높이를 될 수 있는 대로 낮춘다.
③ 입형펌프를 사용하고, 회전차를 수중에 완전히 잠기게 한다.
④ 양흡입 펌프를 사용한다.
정답: ①
> 회전속도 1000rpm 일 때 송출량 Q ㎥/min, 전양정 H m인 원심펌프가 상사한 조건에서 송출량이 1.1Q ㎥/min가 되도록 회전속도를 증가시킬 때, 전양정은 어떻게 되는가?
정답: 1.21H
> 원심펌프가 전양정 120m에 대해 6m3/s의 물을 공급할 때 필요한 축동력이 9530kW 이었다. 이때 펌프의 체적효율과 기계효율이 각각 88%, 89% 라고 하면, 이 펌프의 수력효율 은 약 몇 % 인가?
정답: 94.5
2021년 1회 실기
(2) 펌프의 전양정[m]을 구하시오.
(3) 펌프의 전동기 용량[kW]을 구하시오.
> 원심펌프가 회전수 3600rpm으로 회전할 때의 전양정은 128m이고, 1.228㎥/min의 유량을 가진다. 비속도의 범위가 200~260 rpm⋅m 0.75/min0.5인 펌프를 설정할 때 몇 단 펌프가 되는지 구하시오.
펌프의 비속도
2020년 3회
> 터보팬을 6000rpm으로 회전시킬 경우, 풍량은 0.5m3/min, 축동력은 0.049 kW이었다. 만약 터보팬의 회전수를 8000rpm 으로 바꾸어 회전시킬 경우 축동력(kW)은?
정답: 0.116
풀이: 펌프의 상사법칙(축동력)
'소방설비기사[기계] > 유체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설비기사][유체역학] 베르누이 법칙 (0) | 2023.09.14 |
---|---|
[소방설비기사][기계] 유속 문제 (0) | 2023.09.04 |
[소방설비기사][기계][정역학] 부력 문제 (1) | 2023.09.02 |
[소방설비기사][기계][유체역학][동역학] 레이놀즈수 문제 (0) | 2023.09.02 |
유체의 정의, 분류 (0) | 2023.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