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급탕설비의 안전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팽창관 도중에는 배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감압밸브를 설치한다.
② 급탕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자동온도조절장치를 설치한다.
③ 안전밸브는 저탕조 등의 내부압력이 증가하면 온수를 배출하여 압력을 낮추는 장치이다.
④ 배관의 신축을 흡수 처리하기 위해 스위블 조인트, 벨로즈형 이음 등을 설치한다.
⑤ 팽창탱크의 용량은 급탕 계통 내 전체 수량에 대한 팽창량을 기준으로 산정한다.
정답: ①
급탕설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중앙식에서 온수를 빨리 얻기 위해 단관식을 적용한다.
② 중앙식은 국소식(개별식)에 비해 배관에서의 열손실이 크다.
③ 대형 건물에는 간접가열식이 직접가열식보다 적합하다
④ 배관의 신축을 고려하여 배관이 벽이나 바닥을 관통하는 경우 슬리브를 사용한다.
⑤ 간접가열식을 직접가열식에 비해 저압의 보일러를 적용할 수 있다.
정답 ①
20 ℃의 물 3kg을 100 ℃의 증기로 만들기 위해 필요한 열량(kJ)은? (단, 물의 비열은 4.2kJ/kg ·K, 100 ℃ 온수의 증발잠열은 2,257kJ/kg으로 한다.)
정답: 7,779
해설: 20 ℃ 물 -> 100 ℃ 물 -> 100 ℃ 증기
4.2x3x(100-20) + 2257x3 = 7779
2023년
> 배관의 신축에 대응하기 위해 설치하는 이음쇠가 아닌 것은?
① 스위블 조인트 ❷ 컨트롤 조인트 ③ 신축곡관 ④ 슬리브형 조인트 ⑤ 벨로즈형 조인트
2022년
2020년 23회
급탕설비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간접가열식이 직접가열식보다 열효율이 좋다.
② 팽창관의 도중에는 밸브를 설치해서는 안 된다.
③ 일반적으로 급탕관의 관경을 환탕관(반탕관)의 관경보다 크게 한다.
④ 자동온도조절기(Thermostat)는 저장탱크에서 온수온도를 적절히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⑤ 급탕배관을 복관식(2관식)으로 하는 이유는 수전을 열었을 때, 바로 온수가 나오게 하기 위해서이다.
500인이 거주하는 아파트에서 급수온도는 5℃, 급탕온도는 65℃일 때, 급탕가열장치의 용량(kW)은 약 얼마인가? (단, 1인 1일당 급탕량은 100L/d·인, 물의 비열은 4.2 kJ/kg·K, 1일 사용량에 대한 가열능력 비율은 1/7, 급탕가열장치 효율은 100%, 이 외의 조건은 고려하지 않는다.)
해설: 4.2x($\frac{100}{3600}$x500)x(65-5)x$\frac{1}{7}$ = 500
2019년 22회
급탕설비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간접가열식은 직접가열식보다 수처리를 더 자주 해야 한다.
② 유량이 균등하게 분배되도록 역환수방식을 적용한다.
③ 동일한 배관재를 사용할 경우 급탕관은 급수관보다 부식이 발생하기 쉽다.
④ 개별식은 중앙식에 비해 배관에서의 열손실이 작다.
⑤ 일반적으로 개별식은 단관식, 중앙식은 복관식 배관을 사용한다.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급탕배관이 벽이나 바닥을 통과할 경우 온수 온도 변화에 따른 배관의 신축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벽(바닥)과 배관 사이에 설치하여 벽(바닥)과 배관을 분리시킨다.
정답: 슬리브
2018년 21회
급탕 배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2개 이상의 엘보를 사용하여 신축을 흡수하는 이음은 스위블 조인트이다.
② 배관의 신축을 고려하여 배관이 벽이나 바닥을 관통하는 경우 슬리브를 사용한다.
❸ ㄷ자형의 배관 시에는 배관 도중에 공기의 정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에어챔버를 설치한다.
④ 동일 재질의 관을 사용하였을 경우 급탕 배관은 급수 배관보다 관의 부식이 발생하기 쉽다.
⑤ 배관 방법에서 복관식은 단관식 배관법보다 뜨거운 물이 빨리 나온다.
해설 : 공기빼기 밸브
2017년 20회
'주택관리사보 > 공동주택시설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동주택시설개론] 승강기 기출 문제 2024 - 2017 (0) | 2024.02.20 |
---|---|
[주택관리사보] [건축설비] 배수, 위생 통기 기출 문제 2024 - 2017 (0) | 2024.02.15 |
[주택관리사보] [건축설비] 급수 기출 문제 (0) | 2024.02.15 |
[주택관리사보] [건축설비] 지능형 홈네트워크 기출 문제 (0) | 2024.02.11 |
[주택관리사보] [공동주택시설개론] [건축구조] 적산 기출 문제 (0) | 2024.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