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 피난용승강기 전용 예비전원
가. 정전시 피난용승강기, 기계실, 승강장 및 폐쇄회로 텔레비전 등의 설비를 작동할 수 있는 별도의 예비전원 설비를 설치할 것
나. 가목에 따른 예비전원은 초고층 건축물의 경우에는 2시간 이상, 준초고층 건축물의 경우에는 1시간 이상 작동이 가능한 용량일 것
다. 상용전원과 예비전원의 공급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전환이 가능한 설비를 갖출 것
라. 전선관 및 배선은 고온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 자재를 사용하고, 방수조치를 할 것
해설
층수 | 높이 | |
고층 건축 | 30층 이상 | 120m 이상 |
준초고층 건축물 | 30층 이상 ~ 50층 미만 | 120m 이상 ~ 200m 미만 |
초고층 건축 | 50층 이상 | 200m이상 |
2023년
>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중 카 부문에 설치되는 것은?
① 전자제동 장치 ② 리밋 스위치 ③ 조속기 ❹ 비상정지 장치 ⑤ 종점정지 스위치
2022년
> 승강기, 승강장 및 승강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비상용승강기의 승강로 구조는 각층으로부터 피난층까지 이르는 승강로를 단일구조로 연결하여 설치한다.
❷ 옥내에 설치하는 피난용승강기의 승강장 바닥면적은 승강기 1대당 5 ㎡ 이상으로 해야 한다.
③ 기어리스 구동기는 전동기의 회전력을 감속하지 않고 직접 권상도르래로 전달하는 구조이다.
④ 승강로, 기계실ㆍ기계류 공간, 풀리실의 출입문에 인접한 접근 통로는 50 ㏓ 이상의 조도를 갖는 영구적으로 설치된 전기 조명에 의해 비춰야 한다.
⑤ 완충기는 스프링 또는 유체 등을 이용하여 카, 균형추 또는 평형추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장치이다.
해설:
② 5 --> 6
④
2020년 23회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❶ 완충기는 스프링 또는 유체 등을 이용하여 카, 균형추 또는 평형추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장치이다.
②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는 전자식으로 운전중에는 항상 개방되어 있고, 정지시에 전원이 차단됨과 동시에 작동하는 장치이다.
③ 과부하감지장치는 정전시나 고장 등으로 승객이 갇혔을 때 외부와의 연락을 위한 장치이다.
④ 과속조절기는 승강기가 최상층 이상 및 최하층 이하로 운행되지 않도록 엘리베이터의 초과운행을 방지하여 주는 장치이다.
⑤ 전자·기계 브레이크는 승강기 문에 승객 또는 물건이 끼었을 때 자동으로 다시 열리게 되어있는 장치이다.
해설
② 전자브레이크
③ 비상통화장치
④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
⑤ 출입문 안전장치
2019년 22회
엘리베이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교류 엘리베이터는 저속도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❷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는 엘리베이터가 정격속도 이상일 경우 전동기에 공급되는 전기회로를 차단시키고 전자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기기이다.
③ 과부하 계전기는 전기적인 안전장치에 해당된다.
④ 기어레스식 감속기는 직류 엘리베이터에 사용된다.
⑤ 옥내에 설치하는 비상용 승강기의 승강장 바닥면적은 승강기 1대당 6㎡ 이상으로 해야 한다.
2017년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 기준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벽 및 반자가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재료(마감을 위한 바탕을 포함한다)는 난연재료로 할 것
② 채광이 되는 창문이 있거나 예비전원에 의한 조명설비를 할 것
③ 승강장의 바닥면적은 비상용승강기 1대에 대하여 6 ㎡ 이상으로 할 것. 다만, 옥외에 승강장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④ 승강장 출입구 부근의 잘 보이는 곳에 당해 승강기가 비상용 승강기임을 알 수 있는 표지를 할 것
⑤ 피난층이 있는 승강장의 출입구(승강장이 없는 경우에는 승강로의 출입구)로부터 도로 또는 공지(공원∙광장 기타 이와 유사한 것으로서 피난 및 소화를 위한 당해 대지에의 출입에 지장이 없는 것을 말한다)에 이르는 거리가 30m 이하일 것
해설 :
① 난연재료-> 불연재료 승강장 실내에서는 절대 불이 붙으면 안된다.
⑤ 30m 한달
'주택관리사보 > 공동주택시설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관리사보] [건축구조] 철골구조 기출 문제 (0) | 2024.03.09 |
---|---|
[공동주택시설개론] 소방법 기출 문제 2024 - 2017 (0) | 2024.02.20 |
[주택관리사보] [건축설비] 배수, 위생 통기 기출 문제 2024 - 2017 (0) | 2024.02.15 |
[주택관리사보][건축설비] 급탕 설비 기출 문제 (0) | 2024.02.15 |
[주택관리사보] [건축설비] 급수 기출 문제 (0) | 2024.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