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MathJax]/jax/output/CommonHTML/jax.js

2022년

>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칙상 주택의 부엌ㆍ욕실 및 화장실에 설치하는 배기설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배기구는 반자 또는 반자아래 80센티미터이내의 높이에 설치하고, 항상 개방될 수 있는 구조로 한다.
    ②  세대간 배기통을 서로 연결하고 직접 외기에 개방되도록 설치하여 연기나 냄새의 역류를 방지한다.
    ③ 배기구는 외기의 기류에 의하여 배기에 지장이 생기지 아니하는 구조로 한다.
    ④ 배기통에는 그 최상부 및 배기구를 제외하고 개구부를 두지 아니한다.
    ⑤ 부엌에 설치하는 배기구에는 전동환기설비를 설치한다.

정답 ②

>설비의 기본 사항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열용량은 어떤 물질을 1K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이다.
    ② 단위 질량당 체적을 비체적이라 한다.
    ③ 온도변화에 따라 유입 또는 유출되는 열은 현열이다.
    ④ 열관류율의 단위는 W/㎡ㆍK이다.
    ⑤  유체의 운동에너지는 배관내 어느 지점에서나 일정하다.

정답 ⑤

> 급수 및 배수 설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터빈펌프는 임펠러의 외주에 안내날개(guide vane)가 달려 있지 않다.
    ② 보일러에 경수를 사용하면 보일러 수명 단축의 원인이 될 수 있다.
    ③ 급수용 저수조의 오버플로우(overflow)관은 간접배수 방식으로 한다.
    ④ 결합통기관은 배수수직관과 통기수직관을 연결하는 통기관이다.
    ⑤ 기구배수부하단위의 기준이 되는 위생기구는 세면기이다.

정답 ①
해설 : 터빈펌프: 저유량, 볼류트 펌프: 고유량

> 배관내 흐르는 유체의 마찰저항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배관 내경이 2배 증가하면 마찰저항의 크기는 1/4로 감소한다.
    ② 배관 길이가 2배 증가하면 마찰저항의 크기는 1.4배 증가한다.
    ③  배관내 유체 속도가 2배 증가하면 마찰저항의 크기는 4배 증가한다.
    ④ 배관 마찰손실계수가 2배 증가하면 마찰저항의 크기는 4배 증가한다.
    ⑤ 배관내 유체 밀도가 2배 증가하면 마찰저항의 크기는 1/2로 감소한다.

정답 ③
해설

먹는물 수질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상 수돗물의 수질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경도(硬度)는 300 mg/L를 넘지 아니할 것
    ② 동은 1 mg/L를 넘지 아니할 것
    ③ 색도는 5도를 넘지 아니할 것
    ④  염소이온은 350 mg/L를 넘지 아니할 것
    ⑤ 수소이온 농도는 pH 5.8 이상 pH 8.5 이하이어야 할 것

정답 ④
해설 4mg/L


2021년 24회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펌프는?
- 디퓨져 펌프라고도 하며 임펠러 주위에 가이드베인을 갖고 있다.
- 임펠러를 직렬로 장치하면 고양정을 얻을 수 있다.
- 양정은 회전비의 제곱에 비례한다.

더보기

정답 : 터빈 펌프

건축물의 배수통기설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트랩의 적정 봉수깊이는 50 mm 이상 100 mm 이하로 한다.
    트랩은 2중 트랩이 되지 않도록 한다.
    드럼 트랩트랩부의 수량(水量)이 많기 때문에 트랩의 봉수는 파괴되기 어렵지만 침전물이 고이기 쉽다.
    각개통기관의 배수관 접속점기구의 최고 수면과 배수 수평지관이 수직관에 접속되는 점을 연결한 동수 구배선보다 상위에 있도록 배관한다.
    ⑤  크로스 커넥션배수 수직관과 통기 수직관을 연결하여 배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접속법이다.

해설: ⑤ 크로스 커넥션-> 결합통기관

길이가 50 m인 배관의 온도가 20 에서 60 로 상승하였다. 이 때 배관의 팽창량은? (, 배관의 선팽창계수는 0.2 × 10-4 [1 / ]이다.)

정답: 40 mm
해설 : (0.2x104)x50x(60-20) = 0.04[m]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상 개별난방설비의 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보일러는 거실외의 곳에 설치하되, 보일러를 설치하는 곳과 거실사이의 경계벽은 출입구를 제외하고는 내화구조의 벽으로 구획해야 한다.
    보일러실의 윗부분에는 그 면적이 0.5제곱미터 이상인 환기창을 설치해야 한다. 다만, 전기보일러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보일러실과 거실사이의 출입구는 그 출입구가 닫힌 경우에는 보일러가스가 거실에 들어갈 수 없는 구조로 해야 한다.
    오피스텔의 경우에는 난방구획을 방화구획으로 구획해야 한다.
    ⑤  기름보일러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기름저장소보일러실 내에 설치해야 한다.

냉각목적의 냉동기 성적계수와 가열목적의 열펌프(Heat Pump) 성적계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③  열펌프의 성적계수는 냉동기의 성적계수보다 1 크다.

송풍기의 날개 형식에 의한 분류 중 원심형 송풍기가 아닌 것은?
    ①  튜브형 다익형    익형 방사형    후곡형

정답 ①

해설: 날개형상에 따른 분류
       1) 원심형 -
       2) 축류형 송풍기  - 튜브형, 프로펠러형,베인형
       3) 사류형, 횡류형

히트펌프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겨울철 온도가 낮은 실외로부터 온도가 높은 실내로 열을 끌어들인다는 의미에서 열펌프라고도 한다.
    ② 운전에 소비된 에너지보다 대량의 열에너지가 얻어져 일반적으로 성적계수(COP)가 1이하의 값을 유지한다.
    ③ 한 대의 기기로 냉방용 또는 난방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④ 공기열원 히트펌프는 겨울철 난방부하가 큰 날에는 외기온도도 낮으므로 성적계수(COP)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⑤ 히트펌프의 열원으로는 일반적으로 공기, 물, 지중(땅속)을 많이 이용한다.

정답: ②


2020년 23회

난방설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방열기의 상당방열면적은 표준상태에서 전 방열량을 표준 방열량으로 나눈 값이다.
    ② 증기용 트랩으로 열동트랩, 버킷트랩, 플로트트랩 등이 있다.
    ③ 천장고가 높은 공간에는 복사난방이 적합하다.
    ④ 보일러의 정격출력은 난방부하 + 급탕부하 + 배관(손실)부하이다.
    ⑤ 증기난방은 증기의 잠열을 이용하는 방식이다.

더보기

정답: ④
해설: 정격출력-> 상용출력
정미출력

> 배관 속에 흐르는 유체의 마찰저항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배관의 내경이 커질수록 작아진다.
    ② 유체의 밀도가 커질수록 작아진다.
    ③ 유체의 속도가 커질수록 작아진다.
    ④ 배관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작아진다.
    ⑤ 배관의 마찰손실계수가 커질수록 작아진다.

정답 ①

> 배관의 부속품으로 사용되는 밸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글로브밸브는 스톱밸브라고도 하며, 게이트밸브에 비해 유체에 대한 저항이 크다.
    ❷ 볼탭밸브는 밸브 중간에 위치한 볼의 회전에 의해 유체의 흐름을 조절한다.
    ③ 게이트밸브는 급수배관의 개폐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④ 체크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한 방향으로 흐르게 하며, 리프트형 체크밸브는 수평배관에 사용된다.
    ⑤ 공기빼기밸브는 배관내 공기가 머물 우려가 있는 곳에 설치된다.

더보기

정답 ②
해설: 볼밸브

> 배수배관 계통에 설치되는 트랩통기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신정통기관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기구의 물넘침선보다 150 mm 이상에서 배수수직관에 연결한다.
    ② 도피통기관은 배수수평지관의 최하류에서 통기수직관과 연결한다.
    ③ 트랩은 자기세정이 가능하도록 하고, 적정 봉수의 깊이는 50 ∼ 100 mm 정도로 한다.
    ④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때, 모세관 현상이나 증발에 의해 트랩의 봉수가 파괴될 수 있다.
    ❺ 섹스티아 통기관에는 배수수평주관에 배수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공기분리 이음쇠가 설치된다.

더보기

정답 ⑤

해설:
특수통기방식
소벤트 방식 : 공기분리 이음쇠
섹스티아 방식 :  배수수직관의 각 층의 합류점에 설치하는 섹스티아 이음쇠와 배수수평지관 및 수직관 아래 부분에 설치하는 섹스티아 벤드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나선형 배수파이프: 

> 급수설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초고층 공동주택의 경우 급수압을 조절하기 위해, 중간수조 방식이나 감압밸브 방식을 사용한다.
    ② 크로스커넥션(cross connection)은 급수설비 오염의 원인이 된다.
    ③ 급수량 산정 시 시간최대 예상급수량은 시간평균 예상급수량의 1.5∼ 2.0배로 한다.
    ④  압력탱크방식은 최고ㆍ최저의 압력차가 작아 급수압이 일정하다.
    ⑤ 고가수조방식은 펌프직송방식에 비해 수질 오염 측면에서 불리하다.

정답 ④
해설: 작아 -> 커 일정하지 -> 일정하지 않다.

> 펌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펌프의 회전수를 1.2배로 하면 양정은 1.73배가 된다.
    ② 펌프의 회전수를 1.2배로 하면 양수량은 1.44배가 된다.
    ③ 동일한 배관계에서는 순환하는 물의 온도가 낮을수록 서징(surging)의 발생 가능성이 커진다.
    ❹ 동일 성능의 펌프 2대를 직렬운전하면 1대 운전 시보다 양정은 커지나 배관계 저항때문에 2배가 되지는 않는다.
    ⑤ 펌프의 축동력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양정, 양수량, 여유율이 필요하다.

정답 ④
해설:
양수량회전수 = 비례. 양정회전수 = 제곱에 비례. 축동력→회전수 = 세제곱에 비례.
⑤ 효율 추가한다.

> 공동주택의 최상층 샤워기에서 최저필요수압을 확보하기 위한 급수펌프의 전양정(m)을 다음 조건을 활용하여 구하면 얼마인가?

더보기

정답: 62
해설: 50+10+7-5 = 62


2019년 22회

1.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배수배관의 통기방식은?
- 봉수보호의 안정도가 높은 방식이다.
- 위생기구마다 통기관을 설치한다.
- 자기사이펀 작용의 방지 효과가 있다.
- 경제성과 건물의 구조 등 때문에 모두 적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더보기

정답 : 각개 통기 방식

2.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서 기계부문의 권장사항 중 위생설비에 관한 기준이다. 기준에서 명시하고 있는 ( )에 들어갈 온도로 옳은 것은?
 위생설비 급탕용 저탕조의 설계온도는 ()℃ 이하로 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부스터히터 등으로 승온하여 사용한다.

더보기

정답 : 55

3.양변기의 세정급수 방식을 모두 고른 것은?

더보기

정답 : 로우 탱크식, 세정 밸브식
대변기 세척급수방식 - 1) 세척 탱크식 : 로우탱크, 하이탱크
                                     2) 세척 밸브식
                                     3) 기압 탱크식

소변기 -개별식
             연립식

4.다음 조건에 따라 계산된 급수 펌프의 양정(MPa)?

더보기

정답 0.49

해설: 30+30x0.4+7 = 49mAq = 0.49Mpa

5.다음은 급수배관 피복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용어를 쓰시오.
여름철 급수배관 내부에 외부보다 찬 급수가 흐르고 배관 외부가 고온다습할 경우 배관외부에 결로가 발생하기 쉽다. 또한 겨울철에 급수배관 외부 온도가 영하로 떨어질 때 급수배관계통이 동파하기 쉽다. 이러한 두 가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급수배관에 ()와 방동 목적의 피복을 해야한다.

더보기

정답 : 방로 또는 결로방지 또는 방로피복


2018년 21회

1. 아파트에서 환기설비가 설치되는 실의 명칭들이다. 이 중 압력을 중심으로 환기설비를 계획할 경우 요구되는 실내압력의 특성이 같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더보기

정답:  화장실, 주방, 욕실

2. 국내 아파트의 단위세대에 있는 수평배관이나 수평덕트 중 일반적으로 아래층 천장 속에 설치되는 것은?
거실 환기덕트 주방 급수배관     거실 난방배관 욕실 배수배관     욕실 환기덕트

정답 ④

3. 급배수 위생설비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탱크가 없는 부스터방식펌프의 동력을 이용하여 급수하는 방식으로 저수조가 필요 없다.
    수격작용이란 급수전이나 밸브 등을 급속히 폐쇄했을 때 순간적으로 급수관 내부에 충격압력이 발생하여 소음이나 충격음, 진동 등이 일어나는 현상을 말한다.
    매시 최대 예상급수량은 일반적으로 매시 평균 예상급수량의 1.5~2.0배 정도로 산정한다.
    배수수평주관의 관경이 125mm일 경우 원활한 배수를 위한 배관 최소구배는 1/150로 한다.
    결합통기관배수수직관통기수직관을 접속하는 것으로 배수수직관 내의 압력변동을 완화하기 위해 설치한다.

정답 ①

4.배수수평주관에서 발생되는 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 )에 들어갈 용어를 쓰시오.
배수수직주관으로부터 배수수평주관으로 배수가 옮겨가는 경우, 굴곡부에서는 원심력에 의해 외측의 배수는 관벽으로 힘이 작용하면서 흐른다. 또한 배수수직주관 내의 유속은 상당히 빠르지만 배수수평주관 내에서는 이 유속이 유지될 수 없기 때문에 급격히 유속이 떨어지게 되고 뒤이어 흘러 내리는 배수가 있을 경우에는 유속이 떨어진 배수의 정체로 인하여 수력도약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부근에서는 배수관의 연결을 피하고 ()을 설치하여 배수관 내의 압력 변화를 완화시켜야 한다.

정답 : 통기관(또는 벤트관, vent pipe, 도피통기관), 통기설비, 통기시설

5.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칙상 '주택의 부엌욕실 및 화장실에 설치하는 배기설비' 기준이다. ( )에 들어갈 용어를 쓰시오.
배기통은 연기나 냄새 등이 실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음에 해당하는 구조로 할 것
가. 세대 안의 배기통에 () 또는 이와 동일한 기능의 배기설비 장치를 설치할 것

정답 : 자동역류방지댐퍼(또는 자동체크댐퍼)


2017년 20회

1.공조설비의 냉온수 공급관환수관의 양측압력을 동시에 감지하여 압력 균형을 유지시키는 용도의 밸브는?

더보기

정답 차압조절밸브

2.공동주택 배수관에서 발생하는 발포존(zon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물은 거품보다 무겁기 때문에 먼저 흘러내리고 거품은 배수수평주관과 같이 수평에 가까운 부분에서 오랫동안 정체한다.
    각 세대에서 세제가 포함된 배수를 배출할 때 많은 거품이 발생한다.
    수직관 내에 어느 정도 높이까지 거품이 충만하면 배수수직관 하층부의 압력상승으로 트랩의 봉수가 파괴되어 거품이 실내로 유입되게 된다.
    배수수평주관의 관경은 통상의 관경산정 방법에 의한 관경보다 크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⑤ 발포 존의 발생방지를 위하여 저층부와 고층부의 배수수직관을 분리하지 않는다.

정답 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