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7-15

개인주의 와 민주주의, 인권 관계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소수의 의견도 존중 받는 사회?
다수의 의견만 존중 받는 사회?
 
나는 소수의 의견도 존중받고 표현의 자유가 있는 것을 민주주의라고 생각한다.
비판할 수 있는 자유가 있는 것
 
이런한 기본 전제하에
개인주의의 발달은 곳 민주주의 발달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집단주의는 무엇인가?
획일화된 사회?,독재자의 생각만 존중받는 사회?
 
여기서 집단지성과 중돌이 일어 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집단지성이 효율적인 판단을 하고 소수의 인권도 존중할 수 있는 판단력이라면 집단지성을 찬성한다.
 
인권을 얘기하려면
개인주의 우선이라고 생각한다.
이유는
인권이라는 것은 개인의 이익을 보호하는 것이다.
 

개인주의(?)의 성과는 민주주의,애플이나 닌텐도 같다.

집단주의의 성과는 베트남 전쟁,아프가니스탄 전쟁 인 것 같다.
베트남전쟁은 애국주의가 과학기술(미국)을 이겼고
아프가니스탄 전쟁은 종교 근본주의가 과학기술(소련)을 이긴 것 같다. 

 
2013-5-14 

자본주의는 이익중심의 사고방식이다.

이익이라는 것은 개인의 이익을 우선시 한다.

 

자본주의는 개인주의를 가속화 시키고

개인주의도 자본주의를 가속화 시킨다.

IT기술의 발달도 개인주의를 가속화 시키고 있다.

 

한국 사회는 급속하게 자본주의,개인주의 사회가 되어가고 있다.

이속에서 과도기 위치에 있는 나이 많은 세대들은 문화 충격을 경험하게 된다.

 

회사에서 실직하거나 부모와 자식간의 사고방식의 차이에서 그렇다.

가족을 운영해 가는 상황에서 경제적으로 힘든 상황을 격게 될 때

타협점을 찾지 못하고 갈등을 격게 된다.

 

예를 들면

부모는 자식에게 경제적으로 지원하면서 과거의 효도 문화를 보상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자식은 효도문화를 싫어하면서 부모의 경제적 지원은 무한으로 해주기를 기대한다.

 

한국은 집단주의 문화가 여전히 지배하고 있다.

그러나 개인주의와 자본주의 문화로 변하고 있다.

이러한 과도기에서

한국은 서양인들처럼 완전한 개인주의도 아니고 어설픈 개인주의에 집단주의가 지배하고 있다.

이러다 보니

 

경제적으로 가난한 사람들은 외면받고 소외받아 자살율이 높다.

사회안전망,사회복지가 부족한 것이다.

 

개인주의가 발달할 수록 타협의 문화가 발달한다고 생각한다.

 

집단 희생주의가 강력한 한국은 타협의 기술이 부족하다.

사회문화적으로 상거래 기술도 부족하다.

 

우리가 적응하는데는 시간이 필요하다.

 

동성애를 허용하는 국가 일수록

 

표현의 자유가 광범위하게 넓은 것 같고

 

개인주의가 발달한 것 같다.

 

근거는 없고 

그냥 내 느낌이다.

 

2018-5-7 추가

미국인이 말하는 한국인이 멋있다고 생각하는 점

후반부에 한국인은 타인의 감정을 많이 배려한다고 주장한다.

외국인이어서 그랬던 것이 아니었을까?

 

https://youtu.be/lvb7NO32t3U

 

2018-7-5 추가

 

독일 검찰이 학교에서 맨 처음 가르치는 것은 

수사받을 때, 자신이 잘못했다고 인정하지 말라는 것이다.

이것은 개인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첫번째 덕목이다.

 

오늘날 영장류들 중에도 오랑우탄을 빼면 집단으로 살아가지 않는 종이 있던가? 인간도 선사시대 시절부터 초원에서 다른 개체들과 함께 집단 공동체를 이루었으며 단 한 번도 홀로 살아간 적이 없다. 다만 진화심리학자들 중에는 온대기후에 속해 전염병이 많이 일어나는 지방에는 타인의 불필요한 행위를 감시하는 문화가 집단주의로 발달했다고도 한다.

출처: https://namu.wiki/w/%EA%B0%9C%EC%9D%B8%EC%A3%BC%EC%9D%98

 

 

 
개인주의 지수가 있다.
 
한국 집단주의 보여주는 말
 
모난 돌이 정 맞는다. 
이 말은 튀면 안된다는 것이다.
한국의 문화를 보여준다. 어릴적에는 이 말이 사실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개성을 중시하는 서구문화를 보면서 개인주의의 장점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모난 돌이 정 맞는다는 말에 대해 의문을 갖기 시작했다.
 
한국에서는 꼬치꼬치 따지는 사람을 싫어한다는 뜻도 있다.
 
정의를 위해 싸우는 사람은 피해본다라는 뜻도 있다.
 
체면, 명예를 중시하면 집단주의가 강한 것이다.
가족주의도 집단주의다. 출처: 한국문화의 탈중국화
 
 
2019-6-2
 
어느 나라든 개인주의와 집단주의는 공존한다.
어느 방향으로 기울었는가 차이이다.
상황에 따라서 개인주의나 집단주의가 사람에게 영향을 끼친다.
 
일본의 집단주의 사례
 


 

영화) 그랜 토리노

개인주의자가 가족주의를 부러워한다.

 

2023-1-21

개인는 행복을 추구하고 집단은 안전과 평화를 추구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