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겁고 신나는 일은 짧게 끊어서 해야 한다.
그래야 기분이 더 좋아지는데 효율적이라는 주장이 있다.
이유는
사람에게는 습관화의 위력이 있다고 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사람에게 습관적이고 일이 되버린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세계일주 여행을 하는 것 보다 짧은 해외 여행을 하는 것이 더 행복감을 주는 데 효율적이라는 것이다.
같은 음식을 계속해서 먹는 경우 음식을 부족한 듯 먹으면 더 맛있게 느껴진다.
- 반대로 지겨운 일일 수록 끊지말고 단번에 해야 한다.
- 개인의 행복과 그 존엄을 느끼면 사는 것이 행복이다.
- 사회적으로 높은 지위를 성취한 사람보다는 남을 돕는 일에 관심이 많은 사람의 행복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 산책하면 마음이 편해지는데 도움된다.
멍하게 있으면 편하다.
- 가을날 공원에 돗자리 깔고 누워 있으면 마음이 편하다.
- 구매를 절제하고, 구매와 구매 사이의 간격을 띄우고, 적응과정의 속도를 늦추면 행복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댄애리얼리-
- 자유는 행복해지는 원동력이다.
- 행복해지려면 양보다 질, 쇼핑보다 체험 ,결과보다 과정, 전체보다 개인을 우선하라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인이 행복 지수가 낮은 이유 (0) | 2013.12.12 |
---|---|
비교 우위 이론 (0) | 2013.11.06 |
생각,사고방식의 차이, 비교 (0) | 2013.09.14 |
한국에서 하나님 뜻이란? (0) | 2013.07.03 |
(책)(역사)세계사를 움직이는 5가지 힘 (0) | 2013.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