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적인 글
논리적인 글
출처 유시민
감정 표현
정보 전달
주장
- 노무현 대통령 -
설득
설명
반박
감동
-비판하는 쪽
-사실의 나열
우리들이 글을 쓸 때는 팩트, 사실을 100퍼센트 친절하게 얘기해줘야 한다.
도덕적인 얘기를 하고 싶다면 팩트로 얘기하자.
-출처- 기자의 글쓰기 저자 박종인
색상, 크기, 수를 제외한 형용사를 피한다.
추상적인 단어보다 구체적인 단어를 쓴다.
라면 -> 파 송송 라면
비 -> 사워기처럼 많은 비
잘 생겼다 -> 장동건 같다.
꽃 -> 장미, 민들
30초 안에 소설을 잘 쓰는 법을 가르쳐 드리죠.
봄에 대해서 쓰고 싶다면, 이번 봄에 무엇을 느꼈는지 쓰지 말고, 어떤 것을 보고 듣고 맛보고 느꼈는지를 쓰세요.
사랑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지 쓰지 마시고, 사랑했을 때 연인과 함께 걸었던 길, 먹었던 음식, 봤던 영화에 대해서 아주 세세하게 쓰세요. 다시 한 번 더 걷고 먹고 보는 것처럼.
우리의 감정은 언어로는 직접 전달되지 않는다는 걸 기억하세요. 우리가 언어로 전달할 수 있는 건 오직 형식적인 것들뿐이에요.
이 사실이 이해된다면 앞으로 봄이 되면 무조건 시간을 내어 좋아하는 사람과 특정한 꽃을 보러 다니시고, 잊지 못할 음식을 드시고, 그날의 기분과 눈에 띈 일들을 일기장에 적어 놓으세요. 우리 인생은 그런 것들로 형성돼 있습니다.
그렇다면 소설도 마찬가지예요. 이상 강의 끝.
- 김연수, '우리가 보낸 순간'에서
짧음
팩트(Fact)
글은 쓰는게 아니라 고치는 것이다.
재미가 있나?
글이 어렵지 않은가?
다 읽고 질문이 있으면 잘 못된 글이다.
글은 연결성이 있어야 한다.
오탈자 없나?
반드시 소리내어 읽어본다.
출처 기자의 글쓰기
칼럼 잘 쓰는 방법
노트 쓰기로 당신의 천재성을 깨우세요
https://youtu.be/g-39OF50pUw
사람을 움직이는 글쓰는 법
-강원국-
구체적 |
묘사를 잘 해야한다 추상적으로 쓰지 말자 |
공감가는 글에 움직인다. |
감정이입과 역지사지가 되어야 한다 독자를 구체적으로 정해 놓고 쓰자 |
우리 뇌는 납득이 될 때 움직인다. |
설명이 잘 되어야 한다 전달을 잘하는 방법 : 비유, 예시, 비교 |
우리 뇌는 강요 받지 않을 때 움직인다. |
글의 군더더기를 최대한 빼야한다 독자에게 질문하듯 써야 한다 |
우리 뇌는 이익이 될 때 움직인다. |
이익과 혜택을 강조하자 글 자체가 이익과 혜택이 되어야 한다 |
우리 뇌는 이야기에 움직인다. |
반전과 의외성이 있는 이야기를 활요하자 |
우리 뇌는 정확한 것에 움직인다. |
문맥에 맞는 어휘를 쓰자 비문으로 쓰지 말자 쓴 글을 소리 내서 읽어보자 |
출처: https://youtu.be/EDwIB4OrkDA
'지혜 > 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국 미국 유럽, 북유럽 학교 교육 이야기 (0) | 2016.12.28 |
---|---|
(스크랩) 미국, 핀란드, 한국 교육이 각각 가진 특이점 3가지 (0) | 2016.12.28 |
(스크랩) 글을 쓰는 이유 (0) | 2016.12.13 |
(책) 명화를 결정짓는 다섯 가지 힘 (0) | 2016.05.13 |
아이에게 가르쳐야 하는 항목 (0) | 2015.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