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를 풀기전 알고 있어야 하는 암기사항
1. 단거리(50km 미만) 송배전선의 전압강하 : 선로정수 R, L 고려. 집중정수회로
단상 2선식, 220 | e = 2I(Rcosθ+Xsinθ) [V] |
리액턴스 무시일 경우 X=0 e=2×17.8LI1000A =35.6LI1000A |
단상 3선식, 3상4선식, 220/110 | e = I(Rcosθ+Xsinθ) [V] |
리액턴스 무시일 경우 X=0 e=17.8LI1000A |
3상 3선식, 380/220 | e = √3I(Rcosθ+Xsinθ) =√3(P√3Vcosθ)(Rcosθ+Xsinθ) = PVr(R+Xtanθ) [V] |
리액턴스 무시일 경우 X=0 e=√3×17.8LI1000A =30.8LI1000A |
2. 전압강하율
전압강하율 = Vs−VrVr×100 =PV2r(R+Xtanθ)
Vs: 송전단 전압, Vr:수전단 전압
3. 전압변동률
전압변동률 = Vro−VrVr×100
Vro 무부하 전압, Vr 정격(전) 부하 전압
4. 전력손실
단상2선식 : 2I2R
3상 3선식 : 3I2R=3(P√3Vcosθ)2R = PV2cos2θ
5. 전력손실률
= 전력손실전력×100
6. 선로의 충전전류 및 충전용량
(1) 충전전류
Ic = 2πfc×V√3×10−3 [A]
(2) 충전용량
Qc = √3VIc = √3Vx2πfc×V√3×10−3
7. 배전 전압 승압의 필요성 및 효과
8. 절연협조
전기기사 | |||
실기 | |||
전압강하 | 단상2선식 | 2017-1 2015-3 단상 균등 부하 |
|
단상3선식,3상4선식 | 2018-1 | ||
3상3선식 | 부하전력 2022-2 2021-2 2019-1 2008-3 2017-3 3상 유도전동기 2017-2 약산식 2016-2 2007-2 송전단 전압 2014-3 2011-3 종단 전압 2014-1 콘덴서 추가 2011-1 2008-1 2005-1 2002-1 |
||
전압강하율 | 2017-3 2015-1 2012-2 2009-3 |
||
전압변동율 | 2012-2 | ||
전력손실 | 2018-3 변압기 손실, 3상3선 2017-3 2002-2 단상2선식 2015-2 3상3선식 2019-1 2014-3 3상 2013-1 손실율 2011-3 2011-1 2008-1 2008-2 1997-1 |
||
충전전류, 충전용량 | 2022-1 2021-2 2019-2 2015-2 |
||
전압 조정 | 전압조정기 2017-2 2005-1 변압기 탭 2015-3 2011-2 |
> 어떤 단상변압기의 2차 무부하 전압이 240[V]이고, 정격 부하시의 2차 단자 전압이 230 [V]이다. 전압 변동률은 약 몇 [%]인가?
풀이, 정답 240−230230×100 =4.35[%]
출처 : 2017-1
배전선로의 전압 조정기
1. 주상변압기 탭절환
2. 단권변압기
3. 유도전압조정기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17-1 단상2선식 전압강하, 승압
수전단 전압 60[kV], 전류 200[A], 선로의 저항 및 리액턴스가 각각 7.61[Ω], 11.85[Ω]일 때.
송전단 전압[kV]과 전압강하율[%]을 구하여라. 단, 수전단 역률은 0.8(지상)이다.
풀이 : 3상 전압강하 Vs = Vr + √3I(Rcosθ+Xsinθ)
전압강하율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15-1 전압강하, 전압강하율
송전단 전압 66kV, 수전단 전압 61[kV]인 송전선로에서 수전단의 부하를 끊은 경우의 수전단 전압이 63[kV]라 할 때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전압 강하율을 구하시오.
(2) 전압 변동률을 구하시오.
[답안작성]
(1) 전압 강하율 = 66−6161×100 = 8.2[%]
(2) 전압 변동률 = 63−6161×100 = 3.28[%]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2-2, (2011-1)
3상 3선식 송전선로가 있다. 수전단 전압이 60[kV], 역률 80[%], 전력손실률이 10[%]이고 저항은 0.3[Ω/km], 리액턴스는 0.4[Ω/km], 전선의 길이는20[km]일 때, 이 송전선로의 송전단 전압은 몇 [kV]인가?
계산 :
전력손실 Pl = 0.1P = 0.1 x √3VrIcosθ = 3I²R
I = 0.1×√3Vrcosθ3R= 461.88[A]
송전단 전압 Vs = 60+√3x461.88(0.3x20x0.8+0.4x20x0.6)x10−3 = 67.68[kV]
답 : 67.88[kV]
계산 :
전력손실 Pl = 0.1P = 0.1 x √3VrIcosθ = 3I²R
I = 0.1×√3Vrcosθ3R= 461.88[A]
송전단 전압 Vs = 60+√3x461.88(0.3x20x0.8+0.4x20x0.6)x10−3 = 67.68[kV]
답 : 67.88[kV]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1-3 3상3선식 전압강하
그림과 같은 3상 배전선이 있다. 변전소(A)점의 전압은 3300[V], 중간(B점) 지점의 부하는 50[A], 역률 0.8(지상), 말단(C점)의 부하는 50[A], 역률 0.8이다. AB 사이의 길이는 2[km], BC 사이의 길이는 4[km]이고 선로의 km당 임피던스는 저항 0.9[Ω], 리액턴스 0.4[Ω]이다.
그림생략
(1) 이 경우의 B점, C점의 전압은?
(2) C점에 전력용 콘덴서를 설치하여 진상 전류 40[A]를 흘릴 때 B점, C점의 전압은?
(3) 전력용 콘덴서를 설치하기 전과 후의 선로의 전력 손실을 구하시오.
[답안작성]
(1) B점의 전압
VB = 3300 - √3x100((0.9x2)x0.8+0.4x2x0.6) = 2967.45 [V]
C점의 전압
VC = 2967.45-√3x50((0.9x4)x0.8+0.4x4x0.6) = 2634.9 [V]
(2) B점의 전압
VB = 3300 - √3x{100x(0.9x2)x0.8+0.4x2x(100x0.6-40)} = 3022.87 [V]
C점의 전압
VC = 3022.87-√3x{50x(0.9x4)x0.8+0.4x4x(50x0.6-40)} = 2801.17 [V]
(3) 설치 전 전력 손실 = 3x100²x1.8+3x50²x3.6 = 81[kW]
설치 후 전력손실
IAB = 100(0.8-j0.6)+j40 = 80-j20 = 82.46[A]
IBC = 50(0.8-j0.6)+j40 = 40.23[A]
3x82.46²x0.8+3x41.23²x3.6 = 55.08[kW]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1-1, (2008-1, 2005-1, 2002-1)
3상 3선식 배전선로의 각 선간의 전압강하의 근사값을 구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용할 수 있는 약산식을 다음의 조건을 이용하여 구하시오.
[조건]
1. 배전선로의 길이 : L[m], 배전선의 굵기 : A[mm²], 배전선의 전류 : I[A]
2. 표준연동선의 고유저항(20[℃]) : $\frac{1}{55} [Ωㆍmm²/m], 동선의 도전율 : 97[%]
3. 선로의 리액턴스를 무시하고 역률은 1로 간주해도 무방한 경우임
계산:
R = 158×10097×LA
전압강하 = √3IR = 132.48×ILA = 30.8IL1000A
답 :
전압강하 e= 132.48×ILA 또는 e=30.8IL1000A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07-2 전압강하,
'전기기사 > 전력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변전설비] 피뢰기 문제 [실기] (0) | 2020.07.15 |
---|---|
[전기기사][수변전설비]계기용 변성기 (PT, CT, MOF, ZCT, GPT) 문제 (0) | 2020.07.08 |
[전기기사] 3상 단락 사고 고장, 차단기 용량 문제 (0) | 2020.07.04 |
[전기기사] 변압기 용량 문제 [필기] [실기] (0) | 2020.06.30 |
[전기기사] 수용률, 부등률, 부하율 문제 [실기] (0) | 2020.06.28 |